•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CuSe, Nanosheet arrays-like, Battery-type, Supercapacitors

1. 서 론

최근 슈퍼 커패시터는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높은 전력밀도, 빠른 충방전 사이클, 긴 사이클 수명, 효율적 비용과 환경 친화적인 독특하고 우수한 특성으로 인해 유망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으로 상당한 주목을 받고 있다(1-3). 그러나, 슈퍼 커패시터는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에너지 밀도가 낮기 때문에 슈퍼 커패시터를 상용화하여 시장에 적용하기는 매우 어렵다(3-4). 그 이유는 주로 슈퍼 커패시터의 성능을 제어하는 전기 활성 재료들의 특성에서 비롯된다. 따라서, 슈퍼 캐패시터 응용을 위한 새로운 고용량의 전기 활성 재료들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론상으로 높은 정전용량과 효율적 비용 때문에 현재는 의사 용량성(Pseodocapacitive) 재료 ($MnO_{2}$ ,$RuO_{2}$) 또는 배터리 타입 (NiO, $Co_{3}O_{4}$, $Ni(OH)_{2}$, 등) 재료가 슈퍼 커패시터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5-11). 그러나 배터리 타입 재료는 전해질 이온과의 확산제어 산화 환원 반응으로 부터 우수한 전기 화학적 반응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배터리 타입 재료의 에너지 저장 성능은 의사 용량성(Pseodocapacitive) 재료보다 우수하다(12,13). 따라서, 에너지 밀도를 포함한 슈퍼 커패시터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새로운 종류의 배터리 타입 재료의 설계 및 개발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금속 황화물($NiS_{x}$, $VS_{2}$, $CoS_{2}$, $NiCo_{2}S_{4}$, 등) 나노물질은 낮은 밴드 갭과 높은 전기 전도성으로 인해 슈퍼 커패시터를 위한 새로운 종류의 전기 활성 재료로 개발되어 왔고, 이는 더 나은 저장능력을 포함한 전기 화학적 성능 향상을 이끌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14,15). 또한, 셀레늄(Se) 계 전기 활성 재료는 리튬이온 배터리 및 슈퍼 커패시터에 대한 유망한 후보로서 주목받고 있다(16,17). 금속 셀레나이드나 나노물질은 우수한 전기 전도성, 다양한 원자가의 능력 및 더 우수한 전기 화학적 활성을 갖기 때문에 고성능 슈퍼 커패시터를 위한 대체 재료 또는 더 적합한 전기 활성 물질로 고려될 수 있다. 최근까지 에너지 저장 성능이 우수한 슈퍼 커패시터를 만들기 위한 금속 셀레나이드 나노구조 재료에 대한 연구보고는 거의 없다. 예를 들어, Tang 등은 2단계 수열공법(hydrothermal method)을 사용하여 결합재 없는 전극으로 니켈 폼에 NiSe 나노 와이어 필름을 합성하여 상당히 높은 정전용량 (5 A $g^{-1}$ 에서 1790 F $g^{-1}$)을 나타냈다(18). 한편, Wang 등은 화학 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 method)에 의해 흑연 기판 상에 계층 구조의 GeSe2 나노 물질을 제조하여 1 A $g^{-1}$ 에서 300 F $g^{-1}$ 의 정전용량을 보여 주었다(19). 또한, Zhang 등은 고온 환류공정(refluxing process)을 사용하여 우수한 사이클 안정성과 에너지 저장 성능 (0.5 A $g^{-1}$에서 228 F $g^{-1}$)을 갖는 SnSe 나노 시트를 보고하였다(20).

금속 셀레나이드의 최근 결과에 의해 영향을 받아 첨가재 또는 결합재 없이 간단한 1단계 Chemical Bath Deposition (CBD) 반응을 통해 나노 시트 어레이(NSA)와 같이 구조화된 CuSe를 설계했으며 슈퍼 커패시터를 위한 배터리 유형 재료로 성공적으로 사용했다. 슈퍼 커패시터를 위한 CuSe 전기 활성 재료의 사용에 대해서는 최근 어떤 연구도 진행된 바가 없다. 형태적 및 구조적 연구를 보면 CuSe가 NSA와 유사한 형태를 나타내며, 이는 풍부한 전기 활성 부위를 제공하고 신속한 산화 환원 반응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조립된 CuSe는 2 A $g^{-1}$ 의 전류에서 ∼133.41 mA h $g^{-1}$ 의 비정전용량(specific capacity)을 달성하고 10 A $g^{-1}$의 높은 전류 밀도에서도 ∼133.41 mA h $g^{-1}$ 의 비정전용량(specific capacity)을 유지해 CuSe 전극의 고방전용량비(high-rate capability)를 보여주었다. 또한, CuSe 전극은 6A $g^{-1}$에서 3000 사이클에 걸쳐 ~95.23 %의 사이클 성능을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CuSe가 슈퍼 커패시터의 잠재적인 재료로서의 후보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2. 실험 과정

2.1 재료

염화구리 이수화물 ($CuCl_{2}.2H_{2}O$), 셀레늄 (Se), 황화 나트륨 ($Na_{2}SO_{3}$), 트리에탄올 아민 (TEA, $C_{6}H_{15}NO_{3}$), 수산화 칼륨 (KOH), 염산 (HCl)은 Sigma-Aldrich 사에서 구입하였다.

2.2 Ni 폼 기판에서 NSA와 유사한 CuSe의 성장

모든 화학 물질은 분석용(analytical grade)이며 정제없이 실험에 사용되었다. NSA와 유사한 CuSe 구조는 용이하고 효율적 비용의 CBD 방식을 통해 니켈 폼 표면에서 성장되었다. 전처리 전에, 니켈 폼 (1 x 2 $cm^{2}$)을 순차적으로 3 M HCl, 탈 이온수 (DI) 및 에탄올로 각각 15분 동안 헹구어, 니켈 폼 표면에 존재하는 원치 않는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전형적인 과정에서, 0.1M의 $CuCl_{2}.2H_{2}O$, 5ml의 $Na_{2}SeSO_{3}$, 및 0.8ml의 트리에탄올 아민 (TEA)을 50mL DI 물에 혼합하고 15분 동안 자기교반 하였다. $Na_{2}SeSO_{3}$ 수용액은 120 ℃에서 2시간 동안 0.2M의 $Na_{2}SO_{3}$ 수용액에서 0.1M의 Se를 환류시켜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성장 용액 및 세정 된 니켈 폼을 유리병으로 옮기고, 단단히 밀봉하여 60 ℃에서 1시간 동안 두었다. 실온에서, 활성 물질을 갖는 니켈 발포체를 오토 클레이브로부터 꺼내고 DI 물로 씻어낸 후 60℃에서 12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준비된 샘플은 CuSe로 표시된다. 니켈 폼 표면의 CuSe 전기 활성 재료의 질량 로딩은 3.2 mg $cm^{-2}$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2.3 재료 특성 및 전기 화학 측정

X-선 회절 (XRD, D/Max-2400), 주사 전자 현미경 (SEM, S-4800), 투과 전자 현미경 (TEM, CJ111) 및 고해상도 -TEM (HR-TEM) 특성 분석을 수행하여 CuSe 물질의 구조, 단계, 형태 및 원소 조성을 분석하였다.

모든 전기 화학 시험은 Bio-Logic SP-150 스테이션을 사용하는 3 전극 시스템에서 수행되었다. 전기 화학적 측정을 위해 3M KOH 수용액을 전해질로 ,백금 와이어를 상대 전극으로, Ag/AgCl을 기준 전극으로, 그리고 제조 된 CuSe를 작업 전극으로 하는 3 전극 세트를 구성하였다. CV (Cyclic Voltammetry) 테스트는 -0.2 ~ + 0.7V의 전위 범위에서 10 ~ 50 mV s-1 의 다양한 스캔 속도로 수행되었다. 마찬가지로, 정전류 충전/방전 (GCD) 측정은 -0.2 ~ 0.6V의 전위 범위의 다양한 전류 밀도에서 수행되었다. 또한, 전기 화학 임피던스 분광법 (EIS) 측정은 5 mV 진폭에서 100 kHz 내지 0.01 Hz의 주파수 범위에서 수행되었다. CuSe 전극 재료의 비정전용량 (specific capacity) (QSC, mA h $g^{-1}$)은 다음 등식에 따라 계산되었다(21):

(1)
$Q_{SC}=\dfrac{I×Δt}{m×3.6}$

여기서 I, ∆t, m 및 ∆V는 일반적으로 전류, 작용시간, 질량, 그리고 전압변화분의 의미를 갖는다. 각각의 실험 조건에 대해, 전기 화학적 측정은 3개의 유사한 유형의 전극을 사용하여 측정되었고 성능에서의 차이는 없었다.

3. 결과 및 토론

3.1 구조적 및 형태학적 특성

CuSe 전극 재료는 간단한 CBD 방법을 사용하여 Ni 폼 기판 상에 증착되었다. 초기에, 준비된 전극 재료의 구조 및 위상을 조사하기 위해 XRD 측정을 수행하였고, 그에 따른 CuSe의 XRD 패턴은 그림 1에 나타나 있다. 니켈의 강력하고 예리한 회절 피크는 니켈 폼의 배경에 기인한다. 2θ = $26.4^{\circ}$, $28.2^{\circ}$, $30.8^{\circ}$ 및 $45.9^{\circ}$에서의 회절 피크는 각각 CuSe (JCPDS No. 06-0427)의 (101), (102), (006), (110) plane으로 잘 식별된다(22).

그림. 1. 니켈 폼 기판의 CuSe 전기 활성 물질의 XRD 패턴

Fig. 1. XRD pattern of CuSe electroactive material on Ni foam substrate

../../Resources/kiee/KIEE.2020.69.2.304/fig1.png

그림. 2. (a, b) Ni 폼 표면에 CuSe의 저배율 및 고배율 SEM 이미지 (c, d) CuSe 전극의 TEM 및 HR-TEM 이미지

Fig. 2. (a,b) Low- and high-magnification SEM images of CuSe on Ni foam surface. (c,d) TEM and HR-TEM images of CuSe electrode.

../../Resources/kiee/KIEE.2020.69.2.304/fig2.png

니켈 폼 표면에서의 CuSe의 표면 형태와 구조는 그림 2 (a, b)에 나타나 있다. 그림 2(a), 2(b)의 SEM 이미지는 상호 연결된 나노 시트 배열과 유사한 구조가 니켈 폼 표면에 균일하게 덮여 있음을 보여준다. 헤테로 (Hetero) 구조의 이러한 성장은 빠른 확산과 반응을 위한 풍부한 전기 활성 부위 및 전해질-전극 계면을 제공하기 때문에 보다 높은 에너지 저장 성능을 가질 수 있다. 그림 2(c)는 CuSe 전극의 저배율 TEM 이미지를 나타내며, 나노 시트 어레이 유사 구조가 니켈 폼 표면에서 관찰되는 것을 나타낸다. 그림 2(d)는 CuSe의 (110) 평면과 관련하여 ~0.196 nm의 격자 무늬를 보여주는 CuSe의 HR-TEM 이미지를 나타낸다.

3.2 전기 화학적 특성

그림. 3. (a) 다양한 스캔 rate에서 CuSe NSA의 CV 곡선 (b) 스캔 속도에 대한 산화 환원 피크 전류의 전력-법 의존성

Fig. 3. (a) CV plots of CuSe NSAs at various scan rates (b) power-law dependence of redox peak current on scan rate.

../../Resources/kiee/KIEE.2020.69.2.304/fig3.png

CuSe NSA의 전기 화학적 성능을 검사하기 위해, CV, GCD, EIS 및 사이클 성능 시험이 3M KOH 수성 전해질을 사용하는 3 전극 구성으로 수행되었다. 그림 3(a)는 -0.2 ~+0.7 V의 전위 창에서 다양한 스캔 rate에서 CuSe NSA 전극의 CV 곡선을 나타낸다. CV 곡선에서 CuSe NSA가 잘 정의된 산화 환원 쌍을 나타낸다는 것은 분명하며 (그림 3(a)), 이는 KOH 전해질에서 샘플의 가역적 패러데이 산화 환원 반응으로부터 주로 유기될 수 있는 배터리 타입 동작을 나타낸다. 스캔 rate가 증가함에 따라, 한 쌍의 산화 환원 피크, 확대 된 CV 면적 및 상승 된 피크 전류 값을 갖는 유사한 CV 형상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전기 활성 물질에서 우수한 가역성 및 개선된 전자 이동을 시사한다. 또한 산화 및 환원 피크 전위는 보다 양의 전위와 음의 전위로 이동하여 전기 화학적 산화 환원 반응 주기 동안에 물질의 우수한 이온 확산 속도와 낮은 저항을 나타낸다(23). 또한, 준비된 CuSe NSA 전극의 전하 저장 메커니즘을 조사하기 위해 전력 법칙 (ip = a.vb)을 사용하여 음극 피크 응답 (ip)과 스캔 rate (v) 사이의 관계를 설명했다(24). b 값은 log(v)-log(ip) 곡선의 기울기에서 추정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b = 0.5는 확산 제어 동작을 나타내고 b = 1.0은 표면 제어 과정을 나타냅니다. 그림 3(b)에 나타난 바와 같이, CuSe NSA에 대한 b 값은 0.663인 것으로나타났으며, 이는 0.5에 매 우 근접하여 지배적인 확산 제어 동작을 암시한다. 이것은 배터리 타입 물질의 동작에 대한 이전 연구와 매우 잘 일치한다(25).

그림. 4. (a) 다른 전류 밀도에서의 GCD 곡선 (b) 다양한 전류 밀도에서의 비정전용량 (specific capacity) 값

Fig. 4. (a) GCD curves at different current densities (b) specific capacities values at various current densities.

../../Resources/kiee/KIEE.2020.69.2.304/fig4.png

GCD 방법은 전기 활성 물질의 정전용량과 방전용량비(rate capability)를 계산하는 데 매우 유용한 기술이다. 그림 4(a)는 다양한 전류에서 CuSe의 GCD 곡선을 보여준다. 그림 4(a)에 나타난 바와 같이, GCD 곡선의 전압 안정에 기초하여, 비정전용량 (specific capacity)은 주로 배터리 유형 특성에 의해 주어지며, 이는 CV 시험 결과와 일치한다. GCD 곡선과 식 (1)에 따르면, 비정전용량(specific capacity) 값들은 그림 4(b)에 표시된 것처럼 각각 of 2, 4, 6, 10 A $g^{-1}$의 전류 밀도에서 192.93, 169.16, 155.5 및 133.41mA h $g^{-1}$ 로 계산 될 수 있다. 전류 밀도가 2에서 10A $g^{-1}$로 증가하면서 69.15 %의 적절한 비정전용량 (specific capacity)이 유지된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이것은 적절한 방전용량비 (rate capability)를 설명한다.

그림. 5. (a) 3000 사이클에 걸친 CuSe 전극의 사이클링 성능 (b) CuSe 전극의 EIS 곡선. 삽입 된 그림은 나이퀴스트 곡선에 맞는 고배율 곡선과 등가 회로를 보여준다.

Fig. 5. (a) Cycling performance of CuSe electrode over 3000 cycles (b) EIS curve of CuSe electrode. The inset shows the high-magnified plot and equivalent circuit to fit the Nyquist plots

../../Resources/kiee/KIEE.2020.69.2.304/fig5.png

전기 활성 물질의 사이클 성능은 슈퍼 커패시터의 실제 적용에 아주 중요하다. 그림 5(a)는 3000 사이클에 걸쳐 6 A $g^{-1}$에서 측정 된 CuSe의 사이클 안정성을 보여준다. 초기 사이클에서 초기용량에 대한 비정전용량(specific capacity)의 작은 증가가 관찰되었는데, 이는 전해질과 전기 활성 물질 사이의 효과적인 계면 접촉이 증가하고 전극이 완전히 활성화되기 때문이다(26). 비정전용량(specific capacity)은 사이클 수와 관련하여 점차 감소했으며 3000 사이클에 걸쳐 초기 커패시턴스의 ~95.23 %를 유지하여 탁월한 사이클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CuSe 전극의 전기 화학적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EIS 분석을 수행하였다(그림 5(b)). 나이퀴스트 곡선에서 고주파 영역에서의 X 축의 절편은 직렬 저항 (Rs)을 나타내며, 고주파 영역에서 작은 직경은 전하 전달 저항 (Rct)에 해당하며, 더 낮은 주파수에서 스파이크는 이온의 확산 과정을 수반한다. 나이퀴스트 곡선은 등가 회로(그림 5(b)의 삽입)를 사용하여 적용되었다. CuSe 전극은 더 낮은 Rs ( ~0.08 Ω $cm^{2}$ ) 및 Rct ( ~0.48 Ω $cm^{2}$ ) 값을 나타내므로 더 우수한 전자 전도성과 우수한 전하를 나타낸다. 또한, CuSe 전극은 저주파 영역에서 직선을 전달하여 급속한 전하 전달을 나타내므로, 우수한 전자 전도성, 우수한 전하 전달 기구학 및 급속한 전하 전달을 나타내고 이를 통해 높은 에너지 저장 성능을 달성하였다. 더욱이, 에너지 저장장치로서의 활용을 위한 CuSe 전기활성 물질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험 과정의 발전 (다른 금속 셀레나이드 또는 탄소 물질과 CuSe의 합성)은 물론, 체계적인 분석과 측정 기술의 향상에도 기여하였다고 판단한다.

4. 결 론

결론적으로, 결합재 또는 전도성 첨가재가 없이 간단하고 효율적 비용으로 해결할 수 있는 CBD 반응을 사용하여 니켈 폼 표면에서 CuSe NSA를 성공적으로 성장시켰다. CuSe 전극의 물리적 특성은 SEM, TEM, XPS 및 XRD 측정에 의해 분석하였다. 형태학적 연구에 기초하여, CuSe NSA의 구조는 이온 및 전자의 에너지 저장 및 전달을 개선하기 위한 다수의 활성 부위를 제공한다. CV 및 GCD 곡선은 제조된 전극이 탄소계 물질 곡선과는 다른 패러데이 배터리 타입의 산화 환원 동작 특성을 보여 주었다. 배터리 타입의 재료로서, CuSe 전극은 3 M KOH 전해질에서 2 A $g^{-1}$ 에서 ∼192.93 mA h $g^{-1}$ 의 현저하게 높은 비정전용량(specific capacity)과 3000 사이클에 걸친 반복 주기에서도 ~95.23 %의 용량 유지율을 보여 줌으로서, 탁월한 사이클 특성을 입증하였고, 이를 통해 CuSe는 슈퍼 커패시터에 유리한 캐소드(cathode) 물질인 것을 확인하였다.

References

1 
Z. Yu, L. Tetard, L. Zhai, J. Thomas, 2015, Energy Environ. Sci., Vol. 8, pp. 702-730Google Search
2 
A. Vlad, N. Singh, C. Galande, P. M. Ajayan, 2015, Adv. Energy Mater., Vol. 5, pp. 1402115Google Search
3 
G. F. Chen, X. X. Li, L. Y. Zhang, N. Li, T. Y. Ma, Z. Q. Liu, 2016, Adv. Mater., Vol. 28, pp. 7680-7687Google Search
4 
M. Li, M. Zu, J. Yu, H. Cheng, Q. Li, 2017, Small, Vol. 13, pp. 1602994DOI
5 
C. Zhang, X. Cai, Y. Qian, H. Jiang, L. Zhou, B. Li, L. Lai, Z. Shen, W. Huang, 2018, Adv. Sci., Vol. 5, pp. 1700375DOI
6 
V. Augustyn, P. Simon, B. Dunn, 2014, Energy Environ. Sci., Vol. 7, pp. 1597-1614Google Search
7 
C. V. V. M. Gopi, P. J. S. Rana, R. Padma, R. Vinodh, H. J. Kim, J. Mater. Chem. A, 2019, Vol. 7, pp. 6374-6386DOI
8 
G. Nagaraju, S. M. Cha, S. C. Sekhar, J. S. Yu, 2017, Adv. Energy Mater., Vol. 7, pp. 1601362Google Search
9 
Z. Q. Liu, G. F. Chen, P. L. Zhou, N. Li, Y. Z. Su, 2016, J. Power Sources, Vol. 317, pp. 1-9Google Search
10 
R. Wang, Y. Suia, S. Huang, Y. Pu, P. Cao, Chem. Eng. J., 2018, Vol. 331, pp. 527-535
11 
J. Qi, Y. Chang, Y. Sui, Y. He, Q. Meng, F. Wei, Y. Ren, Y. Jin, 2018, Adv. Mater. Interfaces, Vol. 5, pp. 1700985Google Search
12 
W. Sun, X. Rui, M. Ulaganathan, S. Madhavi, Q. Yan, 2015, J. Power Sources, Vol. 295, pp. 323-328Google Search
13 
S. E. Moosavifard, M. F. El-Kady, M. S. Rahmanifar, R. B. Kaner, M. F. Mousavi, 2015, ACS Appl. Mater. Interfaces, Vol. 7, pp. 4851-4860Google Search
14 
J. Xiao, L. Wan, S. Yang, F. Xiao, S. Wang, 2014, Nano Lett., Vol. 14, pp. 831Google Search
15 
T. Li, Y. Zuo, X. Lei, N. Li, J. Liu, H. Han, J. Mater. Chem. A, 2016, Vol. 4, pp. 8029
16 
C.-P. Yang, S. Xin, Y.-X. Yin, H. Ye, J. Zhang, Y.-G. Guo, 2013, Angew. Chem. Int. Ed., Vol. 52, pp. 8363Google Search
17 
N. S. Arul, J. I. Han, 2016, Mater. Lett., Vol. 181, pp. 345Google Search
18 
C. Tang, Z. Pu, Q. Liu, A. M. Asiri, X. Sun, Y. Luo, Y. He, 2015, ChemElectroChem 2, pp. 1903Google Search
19 
X. Wang, B. Liu, Q. Wang, W. Song, X. Hou, D. Chen, Y.-b. Cheng, G. Shen, 2013, Adv. Mater., Vol. 25, pp. 1479Google Search
20 
C. Zhang, H. Yin, M. Han, Z. Dai, H. Pang, Y. Zheng, Y.-Q. Lan, J. Bao, J. Zhu, 2014, ACS Nano, Vol. 8, pp. 3761Google Search
21 
G. Nagaraju, S. M. Cha, S. C. Sekhar, J. S. Yu, 2017, Energy Mater., Vol. 7, pp. 1601362Google Search
22 
C. V. V. M. Gopi, S. Singh, A. E. Reddy, H. J. Kim, 2018, ACS Appl. Mater. Interfaces, Vol. 10, pp. 10036-10042Google Search
23 
J. Yan, Z. Fan, W. Sun, G. Ning, T. Wei, Q. Zhang, R. Zhang, L. Zhi, F. Wei, 2012, Adv. Funct. Mater., Vol. 22, pp. 2632-2641Google Search
24 
B. Y. Guan, A. Kushima, L. Yu, S. Li, J. Li, X. W. D. Lou, 2017, Adv. Mater., Vol. 29, pp. 1605902Google Search
25 
S. Yang, Z. Han, J. Sun, X. Yang, X. Hu, C. Li, B. Cao, 2018, Electrochim. Acta, Vol. 268, pp. 20-26Google Search
26 
C. V. V. M. Gopi, A. E. Reddy, J. S. Bak, I. H. Cho, H. J. Kim, 2018, Mater. Lett., Vol. 223, pp. 57-60Google Search

저자소개

김상효 (Sang-Hyo Kim)
../../Resources/kiee/KIEE.2020.69.2.304/au1.png

He graduated from Busan National University, Korea at 1990 and his major is electrical engine- ering.

He worked design center in HHI during 1991-1995 and R&D center at RSM during 1996- 2016 and he is currently an assistant professor in the electrical engineering department, Kyungnam College of Information & Technology,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are solar photovoltaic system and supercapacitor of renewable energy sources.

E-mail : ksh@eagle.kit.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