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Gyro stabilizer, Speed control, Three phase converter, Torque control, Vector control

1. 서 론

선박의 전복사고 방지와 승선감 개선을 위해서 선박의 횡동요를 저감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1),(2). 횡동요 저감 장치는 선박의 외부 설치와 내부 설치로 구분할 수 있다. 외부 설치는 빌지킬, 핀, 포일, 러더 제어, 트립 탭이 있으며 내부 설치는 평형수와 자이로 안정기가 있다 (3). 자이로 안정기는 기타 장비에 비해 무게가 가볍고 유체항력에 대한 영향이 없으며 선박 정지 상태에서도 복원력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4).

자이로 안정기는 선박의 횡동요가 발생하면 스핀 모터를 통해 회전하는 플라이휠의 관성 모멘트를 이용하여 짐벌에 선체 횡동요 방향과 반대의 복원력인 세차 토크를 발생시켜 선박의 횡동요를 저감하는 원리이다 (5),(6). 자이로 안정기는 수동형, 능동형 및 발전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수동형은 유압식 또는 전자식 브레이크를 이용하여 짐벌의 세차 각도를 조절하고 능동형은 브레이크 대신 제어 가능한 전동기로 토크를 발생시키는 구조이다. 수동형과 능동형은 발생하는 토크를 기계 에너지 또는 전기 에너지로 소모하는 단점이 있다. 발전형은 영구자석형 동기 발전기(PMSG)를 짐벌 축에 직결로 연결하여 세차축에서 발생하는 토크를 브레이킹하면서 발전시켜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장점이 있다 (7). 발생된 전기 에너지는 부하에 전원공급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발전기의 전기 에너지는 제어에 따라 출력량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부하에 효과적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제어가 요구된다. 기존 제어는 발전기의 회전 속도에 따라 전류 제어를 통해 토크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불연속 발전 구간이 존재하게 된다 (8).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자이로 발전 시스템에서 발전기의 출력 전력 구간을 증가시키기 위한 속도 제어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기존 제어와 제안된 제어를 각각 제시하고 자이로 발전 시스템의 출력 특성을 비교 분석한다. 제안한 제어의 유효성은 기존 제어와 비교하여 시뮬레이션으로 검증하였다.

2. 자이로 발전 시스템

2.1 발전형 자이로 안정기

자이로 발전 시스템은 그림 1과 같이 관성 모멘트 발생용 플라이휠, 플라이휠 구동용 스핀모터, 세차 토크 생성을 위한 짐벌, 짐벌축의 회전속도를 발전기의 정격속도로 증가시키기 위한 기어박스, 회전방향을 단방향 유지하기 위한 베벨기어, 브레이킹 및 전력 생산을 위한 PMSG로 구성된다.

그림. 1. 발전형 자이로 안정기의 구성

Fig. 1. Configuration of generative gyro stabilizer

../../Resources/kiee/KIEE.2020.69.4.576/fig1.png

플라이휠과 PMSG의 사양 선정을 위해 짐벌의 세차축의 회전 각속도 $w_{pre}$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9).

(1)
$w_{pre}=\dfrac{\alpha}{T_{wave}}$

여기서 $\alpha$는 한 주기당 세차축의 회전각, $T_{wave}$는 평균 파도 주기를 나타낸다. 세차축의 회전속도가 저속이기 때문에 자이로 발전 시스템의 PMSG의 정격 속도가 저속인 경우 에너지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으므로 증속기를 이용하여 세차축 회전속도를 증가시켜야 한다. 증속기를 고려한 발전기의 입력 토크 $T_{g}$와 짐벌의 세차축 토크 $T_{pre}$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2)
\begin{align*} T_{g}=\dfrac{P_{g}}{w_{g}}\\ \\ T_{pre}=K_{d}\times T_{g} \end{align*}

여기서 $P_{g}$과 $w_{g}$는 발전기의 출력과 각속도, $K_{d}$는 증속비를 나타낸다. 발전형 자이로 안정기의 세차축의 토크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3)
$T_{pre}=J_{s\pi n}\times w_{s\pi n}\times w_{pre}$

여기서 $J_{s\pi n}$와 $w_{s\pi n}$는 플라이휠의 관성 모멘트와 회전 각속도를 나타낸다. 선박의 사양에 따라 자이로 발전 시스템의 파라미터 선정이 결정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5톤급 선박을 기준으로 자이로 발전 시스템의 사양을 선정하였다. 표 1은 자이로 발전 시스템의 파라미터를 나타낸다. 평균 파도 주기 4초를 기준으로 짐벌의 한 주기당 회전각도를 120°로 제한하고 발전기 및 증속기의 효율은 95%로 가정하여 100rpm, 3kW PMSG로 선정하였다. 플라이휠 속도는 스핀 모터의 사양을 고려하여 3300rpm으로 선정하고 최종적으로 세차 토크를 발생시키기 위한 관성 모멘트는 8.77$kg\bullet m^{2}$이다.

자이로 발전 시스템의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설계된 PMSG의 사양은 표 2와 같다. 정격속도가 100rpm이므로 고조파 함유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극수와 슬롯수를 40극과 48슬롯으로 선정하여 PMSG의 전압 파형이 정현적으로 출력이 되도록 설계하였다 (7).

표 1. 자이로 발전 시스템의 파라미터

Table 1. Parameters of gyro generation system

Item

Value

Average wave period ($T_{wave}$)

4 sec

Rotating angle per period($\alpha$)

2.09 rad

Angular velocity of precession axis ($w_{pre}$)

1.05 rad/s

Speed of precession axis ($n_{pre}$)

10 rpm

Rated output power of generator ($P_{g}$)

3 kW

Speed ratio ($K_{d}$)

10

Rated speed of generator ($n_{g}$)

100 rpm

Rated torque of generator ($T_{g}$)

301.6 Nm

Precession torque ($T_{pre}$)

3174 Nm

Speed of flywheel ($n_{s\pi n}$)

3300 rpm

Moment of inertia of flywheel ($n_{s\pi n}$)

8.77 $kg\bullet m^{2}$

표 2. 자이로 발전 시스템 설계 기반 PMSG의 사양

Table 2. Specifications of PMSG based on design of gyro generation system

Item

Value

Generator type

SPM

Phase resistance ($R_{s}$)

0.892 Ω

Phase inductance ($L_{s}$)

0.2 mH

Back EMF constant ($K_{e}$)

2992 Vpk/krpm

No. of Poles and slots

40/48

Moment of interia ($J_{g}$)

0.074 $kg\bullet m^{2}$

그림. 2. 자이로 발전 시스템의 구성

Fig. 2. Configuration of gyro generation system

../../Resources/kiee/KIEE.2020.69.4.576/fig2.png

2.2 자이로 발전 시스템

자이로 발전 시스템은 그림 2와 같이 발전형 자이로 안정기와 플라이휠 인버터, PMSG의 출력 제어를 위한 전력 변환장치(PCS)로 구성된다. 상용 전원에 결선된 플라이휠 인버터가 스핀 모터를 회전시키고 PCS는 발전기의 AC 출력 전력을 제어하는 3상 컨버터(CNV)와 부하 및 상용 전원 인버터가 스핀 모터를 회전시키고 PCS는 발전기의 AC 출력 전력을 제어하는 3상 컨버터(CNV)와 부하 및 상용 전원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인버터(INV)로 구성된다.

3. PMSG의 출력 제어를 위한 PCS

3.1 PCS의 기본 제어

발전형 자이로 안정기의 PMSG의 출력 제어를 위한 PCS의 제어 블록도는 그림 3과 같다. 그림 3 (a)는 PMSG의 3상 출력을 CNV의 회전센서를 이용한 벡터제어를 기반으로 제어하게 된다 (8). 그림 3 (b)는 상용전원과 계통 연계된 INV의 제어 블록도로 동기 좌표계 비례 적분 제어기를 적용하여 CNV의 DC링크단과 연결되어 일정한 DC링크 전압을 유지하고 PMSG이 발전 상태에 따라 CNV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상시 부하에 전력을 공급한다 (10).

그림. 3. PMSG 제어를 위한 PCS의 제어 블록도 (a) 컨버터 (b) 인버터

Fig. 3. Control block diagram of PCS for PMSG control (a) CNV (b) INV

../../Resources/kiee/KIEE.2020.69.4.576/fig3.png

3.2 기존 토크 제어

그림 4는 PMSG의 출력 제어를 위한 토크 제어기의 제어 블록도를 나타낸다. 기존의 파력 발전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방식으로 회전 속도에 비례하는 PMSG의 기전력에 맞게 q축 전류를 음의 방향으로 감소시키는 제어 방식이다 (8). q축 전류 지령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4)
$i_{q"_{"ref}}=-\dfrac{i_{s_{-}max}}{n_{rated}}\times n_{g}$

여기서 $i_{s_{-} m a x}$는 PMSG의 정격 출력 전류, $n_{rated}$와 $n_{g}$는 PMSG의 정격 속도와 실제 속도를 나타낸다. PMSG는 표면 부착형 영구자석 동기 발전기이므로 정격속도 내에서 동작하므로 최대 출력을 위해 d축 전류는 0을 유지한다.

그림. 4. 토크 제어기의 제어 블록도

Fig. 4. Control block diagram of Conventional torque controller

../../Resources/kiee/KIEE.2020.69.4.576/fig4.png

3.3 제안된 속도 제어

기존 토크 제어는 PMSG의 회전속도에 따라 전류를 공급하여 토크를 발생하는 방식으로 회전속도가 0으로 감소하여 기전력의 발생구간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속도 제어로 대처하면 기전력 발생 구간을 증가시킬 수 있어 해결할 수 있다. PMSG의 입력 토크 수식과 영구자석의 쇄교 자속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11).

(5)
\begin{align*} T_{g}=\dfrac{3}{2}\dfrac{P}{2}\lambda_{f}i_{q}\\ \\ \lambda_{f}=\dfrac{v_{ll(peak)}}{\sqrt{3}\dfrac{P}{2}\omega_{mr}} \end{align*}

여기서 $P$는 PMSG의 극수, $v_{ll(peak)}$은 PMSG의 선간 전압 최대치, $\omega_{mr}$은 그 순간의 각속도를 나타낸다. 영구자석의 쇄교자속 유지구간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속도가 유지가 되면 PMSG의 기전력 유지 구간이 늘어나 발전 구간 증가가 가능하다. 그림 5는 PMSG의 출력 전력 구간 증가를 위한 제안된 속도 제어기의 제어 블록도를 나타낸다. 발전형 자이로 안정기는 기존 파력 발전 시스템의 양방향 회전과 다르게 회전 방향을 단일 방향으로 유지하기 위한 베벨 기어가 있기 때문에 발전기의 일정 속도 제어가 가능하다. PMSG의 정격 속도를 속도 지령으로 PI제어기의 출력을 q축 전류 지령으로 발전기를 제어하게 되면 짐벌에서 발생하는 세차 토크에 따라 발전할 수 있다.

그림. 5. 제안된 속도 제어기의 제어 블록도

Fig. 5. Control block diagram of proposed speed controller

../../Resources/kiee/KIEE.2020.69.4.576/fig5.png

4. 시뮬레이션

그림 6은 자이로 발전 시스템의 제어에 따른 CNV의 PMSG의 입력 토크 $T_{e}$와 회전속도 $n_{g}$, 3상 기전력 $v_{a,\:b,\:c}$과 3상 전류 $i_{a,\:b,\:c}$, dq축 지령 전류 $i_{d_{-}ref,q_{-}ref}$와 실제 전류 파형 $i_{d,\:q}$을 나타낸다. 빠른 제어 응답의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평균 파도 주기 1초로 가정하여 세차 토크를 발생시켰다. 기존 토크 제어에서는 세차 토크의 크기에 따른 회전속도가 증가 또는 감소하여 PMSG의 기전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지만 제안된 속도 제어에서는 일정한 기전력을 유지한다. 결과적으로 토크 제어와 비교하여 속도 제어의 발전 구간이 약 14% 더 길게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6. CNV의 시뮬레이션 결과 (a) 기존 토크 제어 (b)제안된 속도 제어

Fig. 6. Simulation results of CNV (a) Conventional torque control (b) Proposed speed control

../../Resources/kiee/KIEE.2020.69.4.576/fig6-1.png../../Resources/kiee/KIEE.2020.69.4.576/fig6-2.png

그림 7은 자이로 발전 시스템의 제어에 따른 INV의 DC링크 전압 $v_{dc}$과 상용전압 $v_{grid}$, 인버터의 출력전류 $i_{\in v}$, 상시부하의 전류 $i_{load}$, 상용전원의 전류 $i_{grid}$ 파형을 나타낸다. 두 제어 모두 일정한 DC링크 전압을 유지하고 있으며 토크 제어와 비교하여 INV의 출력 전류와 상용 전원의 전류의 전력 공급 구간이 더 길게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7. INV의 시뮬레이션 결과 (a) 기존 토크 제어 (b) 제안된 속도 제어

Fig. 7. Simulation results of INV (a) Conventional torque control (b) Proposed speed control

../../Resources/kiee/KIEE.2020.69.4.576/fig7-1.png../../Resources/kiee/KIEE.2020.69.4.576/fig7-2.png

그림 8은 자이로 발전 시스템의 제어에 따른 CNV의 전력 $P_{inv(TC)}$, $P_{inv(SC)}$, 상시부하의 전력 $P_{load(TC)}$, $P_{load(SC)}$, INV의 전력 $P_{grid(TC)}$, $P_{grid(SC)}$의 파형을 나타낸다. 토크 제어와 비교하여 속도 제어에서 발전되는 전력의 구간이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제어에 따른 전력량 비교는 표 3과 같다. 상시부하는 연속적으로 1kWh로 소비된다는 가정하면 토크 제어에서는 PMSG의 발전량은 0.72kWh이며 속도 제어에서는 1.06kWh로 약 32% 증가하였으며 상용전원에 공급되는 전력을 비교하여 토크 제어의 경우 상시 부하의 소비 전력량이 발전량보다 크므로 –0.28kWh를 상용전원에서 공급받아야 하지만 속도 제어에서는 상시 부하의 소비전력량보다 발전량이 크므로 0.054kWh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선박의 횡동요 저감용 자이로 안정기의 복원력을 유지하면서 세차 토크의 브레이킹을 PMSG로 발전하여 시스템의 소비전력이 저감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8. 전력의 시뮬레이션 결과 (a) 컨버터 (b) 부하 (c) 인버터

Fig. 8. Simulation results of power (a) CNV (b) Load power (c) INV

../../Resources/kiee/KIEE.2020.69.4.576/fig8.png

표 3. 제어에 따른 전력량 비교

Table 3. Power comparison according to controls

Item

Torque controller

Speed controller

Output power of converter ($P_{inv}$)

0.72kWh

1.06kWh

Output power of load ($P_{load}$)

1kWh

1kWh

Output power of grid ($P_{grid}$)

-0.28kWh

0.054kWh

5. 결 론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수동형 및 능동형 자이로 안정기보다 에너지 효율 측면에서 우수한 발전형 자이로 안정기의 구성 및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베벨 기어가 있는 발전형 자이로 안정기의 경우 발전기의 제어에 따라 출력량을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기존 파력 발전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기존의 토크 제어는 상용 전원에서의 전력을 소비하게 되지만 제안된 속도 제어를 적용하였을 경우 발전구간이 14% 개선되었고 발전 출력은 약 34% 증가하여 전력이 소비되지 않고 상용 전원에 전력을 공급하는 결과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하였다. 결과적으로 향후 제작될 발전형 자이로 안정기에서의 자이로 발전 시스템의 제안된 속도 제어 적용을 위한 유효성을 입증하였다.

References

1 
K. Mibasi, 1989, Vibration Absorber for Marine Machinery, Mitsui Zosen Giho, No. 138, pp. 33-40Google Search
2 
Tristan. Perez, 2006, Ship Motion Control: Course Keeping and Roll Stabilization using Rudder and Fin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Google Search
3 
K. S. Kim, B. H. Lee, 2018, Simulation of Vessel Motion Control by Anti-Rolling Tank,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Vol. 32, No. 6, pp. 440-446DOI
4 
S. H. Lee, 2014, Gyro-stabilizer Technology Analysis,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Google Search
5 
S. A. Kim, H. J. Kwon, K. P. Hong, S. G. Lee, G. H. Kang, 2018, A Study on the Control Algorithm of Power Converter for Gyro Wave Power Generat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gineering, Vol. 42, No. 9, pp. 755-760Google Search
6 
A. K. B. Poh, C. H. H. Tang, H. S. Kang, K. Q. Lee, C. L. Siow, A. M. A. Malik, M. Mailah, 2017, Gyroscopic Stabilization of Rolling Motion in Simplified Marine Hull Model, in Proc. of IEEE 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Underwater System Technology, pp. 1-6DOI
7 
K. P. Hong, G. H. Kang, S. K. Lee, 2017, Design of a 6kW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Generator with Low Speed and High Torque for Gyro Wave Power Gener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gineering, Vol. 41, No. 9, pp. 878-883Google Search
8 
J. S. Park, B. J. Hyon, J. Yun, J. Lee, J. Y. Choi, J. S. Choi, K. Hong, 2016, Vector Control for Wave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Permanent Magnet Linear Synchronous Generat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Vol. 19, No. 2, pp. 120-128DOI
9 
S. H. Park, S. Y. Yi, 2019, Active Balancing Control for Unmanned Bicycle Using Scissored-pair Control Moment Gyroscope,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rol, Automation and Systems, pp. 1-8DOI
10 
S. A. Kim, 2018, A Study on the Design and Control of Integrated Power Supply System with Static Transfer Switch for Special Vehicle, Ph.D. Dissertation,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of Dong-A Unviersity, KoreaGoogle Search
11 
J. K. Seok, S. K. SUL, 1999, Optimal Flux Selection of an Induction Machine for Maximum Torque Operation in Flux Weakening Region, IEEE Transactions on Power Electronics, Vol. 14, No. 4, pp. 700-708DOI

저자소개

김성안 (Sung-An Kim)
../../Resources/kiee/KIEE.2020.69.4.576/au1.png

He received the B.S degree, M.S degree and Ph.D.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Dong-A University, Busan, Korea in 2011, 2013 and 2018.

He has been working as a senior researcher at Korea Marine Equipment Research Institute.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electrical machines and power electron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