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Next Generation Transmission & Substation Lab, KEPCO Research Institute, Korea.)



Digital substation, IEC 61850, IED, Interoperability, Verification system

1. 서 론

디지털변전소는 변압기, 송전선로 등 전력설비를 감시, 계측, 제어 보호하기 위한 지능형 전자장치(IED,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를 중심으로 하여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하여 변전소를 운영하는 상위시스템 간에 데이터를 공유하는 자동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변전소는 과거 변전소 운영시스템이 전기적 신호를 기반으로 하여 1:1의 장치 간 연결 관계를 가지고 전력설비를 단독으로 운전하는 방식이 아니라, 지능형 전자장치의 정보공유를 기반으로 하여 하나의 시스템으로 동작하는 것을 중요한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시스템 기반의 디지털변전소를 운영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정보표현을 위한 데이터와 통신 인터페이스를 위한 통신규격이 단일화되어야 하는데 현대의 디지털변전소는 국제규격 IEC 61850에 따라 운영되고 있다(1). IEC 61850 국제표준은 변전소 자동화를 위한 통신규약 및 시스템 표준으로써, 변전소의 제어케이블에 의한 복잡한 전기적 신호교환 방식에서 디지털 네트워크 기반의 광케이블 통신방식으로 운영하기 위한 변전소 통신프로토콜이다(2-3). 국내 전력회사인 한국전력공사는 154kV 변전소를 대상으로 IEC61850 기반의 디지털변전소를 2013년부터 구축하고 있으며 2020년 현재 약 100여 개소의 디지털변전소를 운영 중에 있다. 디지털변전소의 모든 전자장치는 국제규격인 IEC 61850을 따라 제작이 되고 이에 적합한지를 확인하기 위해 국제시험기관을 통해 적합성 시험을 통과해야 하며, 한전의 디지털변전소에 적용되는 지능형 전자장치와 운영장치는 IEC 61850 적합성 인증을 받은 제품을 사용하고 있다(4-7). 한전의 디지털변전소는 한 개 제작사 장치로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4 ~ 6개 다른 제작사 장치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장치 간의 상호운용성이 매우 중요하게 여겨진다. IEC 61850 국제규격이 변전소의 지능형 전자장치가 구현해야 하는 모든 정보표현의 방식을 단일하게 정의하는 것이 아니라 제작사별로 다르게 구현할 수 있는 자유도를 허락하고 있으며, S/W 구현을 위한 운영환경, 통신 라이브러리, 시스템 운영을 위한 동작 방식 그리고 통신장애 발생에 대한 대응 방식이 제작사마다 다른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이유로 디지털변전소 도입 초기부터 장치 간 호환성 문제가 발생하여 변전소 운영에 장애를 유발하였다(8-13). 본 논문은 현장에서 발생한 다양한 호환성 문제를 분석하여 단순 기기 고장이 아닌 상호운용성 이슈들을 선별하고 이를 사전에 검증할 수 있는 시험절차서를 실행할 수 있는 디지털변전소 상호운용성 시험 Test-bed와 시험의 전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검증시스템을 설명하고자 한다.

2. 본 론

2.1 디지털변전소 상호운용성 트러블 사례 분석

디지털변전소를 구성하는 장치 상호 간에 실제 발생한 장애 현상을 통하여 상호운용성 트러블 사례를 분석하였다. 지면의 한계로 본 논문에서는 운영기능과 네트워크 장애로 인한 상호운용성 트러블 사례 일부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2.1.1 운영장치-IED간 운영기능 상호운용성

(1) 원인

정보연계장치와 모선보호 IED 10대가 IEC 61850 통신을 진행 하는 중에 초반 정상적인 통신을 수행하던 중 모선보호 IED 모두로부터 통신연결 해제(abort) 요청이 발생하여 데이터 수신이 불가능하게 되는 통신트러블이 발생하였으며, 이후 정보연계장치는 사전 프로그램된 설정에 따라 모선모호 IED와 통신 재접속을 시도하지만 동일한 현상이 반복적으로 발생되었다.

(2) 현장모의

KIE(KEPCO IED Explorer) 툴을 이용하여 현장의 정보연계장치와 동일한 RCB를 이용하여 모선보호 IED의 리포트를 수신받도록 구성하여 ○○변전소의 통신 상황을 동일하게 모의하였다.

모선보호 IED는 계측데이터에 대한 MMS(Manufacturing Message Specification) 리포트를 5초 간격으로 정상적으로 보내고 있는 중, MMS 리포트 전송전 마지막 IEC 61850 서비스 요청 이후 약 2분이 지난 시점에 abort 서비스를 보내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변전소에서 발생한 통신트러블과 동일한 현상이었다.

(3) 분석결과

A사에서 제작한 모선보호 IED는 정보연계장치와 IEC 61850 통신연결 중 주기적인 특정서비스(read 또는 directory 서비스) 요청이 없으면 abort 서비스를 보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IED는 정보연계장치로부터 특별한 IEC 61850 서비스 요청이 없더라도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연결만 유지하면 되기 때문에 모선보호 IED와 같이 정상적인 TCP 연결 중에 abort 등 통신해제 요청을 강제적으로 수행하는 것은 이와 같은 통신트러블을 야기할 수 있다.

2.1.2 네트워크 장애로 인한 상호운용성

(1) 원인

UFR IED가 상위운영시스템과 정상 MMS 서비스 운전 중 MMS 리포트를 전송하지 않고, 상위운영시스템의 MMS 서비스 요청에 대해 응답을 하지 않았다. 상위운영시스템은 UFR IED와의 MMS 서비스 이상을 감지하고 새로운 TCP 연결을 통해 MMS 통신을 시도하지만, UFR IED는 TCP 연결에만 응답을 하고 MMS 통신 연결에 대한 응답이 없었다. 이때 UFR IED와 상위운영시스템의 TCP 연결상태는 정상적으로 유지되고 있었다.

(2) 분석결과

통신 트러블 시점에 디지털변전소 시스템의 트래픽양이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어 이상 트래픽이 발생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B사에서 제작한 UFR IED는 엄청난 양의 HELLO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네트워크에 보내고 있었고, 이로 인하여 MMS 통신기능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B사의 HELLO 통신 기능을 OFF 하여 해당 장애를 해결하였다.

2.2 디지털변전소 상호운용성 시험절차서 구현

디지털변전소에서 발생하는 현장 장애를 사전에 방지하고 디지털변전소를 구성하는 각 제품군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11개의 시험 케이스로 구성된 시험절차서를 구현하였다. 그림 1은 시험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디지털변전소의 통신시스템을 모의하고 시험 및 분석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분석툴, 가상서버, KIE, 엔지니어링 툴, GOOSE Agent 등의 각종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였다. 시험대상은 실제 디지털변전소 현장에서 운전 중인 상위운영시스템과 IED이다.

그림. 1. 시험시스템 구성도

Fig. 1. Configuration diagram for the test system

../../Resources/kiee/KIEE.2020.69.11.1633/fig1.png

2.2.1 IEC 61850 통신메시지 기반 SAS IOP 시험

IEC 61850 통신메시지 기반 SAS(Substation Automation System) IOP(Interoperability) 시험은 5개의 Test Case로 구성된 필수시험으로 IEC 61850 MMS 및 GOOSE 기반 정보교환 및 제어기능 등의 시험을 포함하고 있다.

(1) GOOSE 송수신 시험

디지털변전소를 구성하는 IED들이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GOOSE 통신의 상호호환성을 검증하는 시험으로, 시험에 참가하는 모든 IED 제작사 제품 간에 GOOSE 송수신을 위한 각사의 엔지니어링 툴의 SCL 파일기반 GOOSE 설정 기능을 검증하고 IED의 GOOSE 수신 기능을 확인한다.

(2) GOOSE Fail SA 감시기능 시험(기본)

디지털변전소를 구성하는 IED가 다른 IED로부터 GOOSE를 수신하는 도중 네트워크의 이상 또는 H/W 문제로 GOOSE 수신이 실패할 때 이를 인지하여 GOOSE 수신 실패에 대한 정보를 MMS 리포트로 운영장치에 전송할 수 있는 지를 검증하고, GOOSE 수신이 정상적으로 회복되었을 때 IED가 GOOSE 수신처리를 정상적으로 수행하는지 검증하는 시험으로, 시험에 참가하는 운영장치의 IED의 GOOSE 수신 실패 확인기능과 IED의 GOOSE 수신 실패 인식 기능을 확인한다.

(3) GOOSE Fail SA 감시기능 시험(심화)

디지털변전소를 구성하는 IED가 다른 IED로부터 GOOSE 이벤트를 수신하는 도중 네트워크의 지연 또는 IED 설정 등의 이유로 인해 이벤트 GOOSE의 간격이 TAL 값을 초과하는 경우 이를 인지하여 GOOSE 수신 실패에 대한 정보를 MMS 리포트로 운영장치에 전송할 수 있는지를 확인한다.

(4) Quality 데이터 해석 기능

디지털변전소를 구성하는 IED와 운영장치가 다른 IED로부터 GOOSE 이벤트 또는 MMS report를 수신할 때 데이터와 쌍을 이루는 품질데이터(quality)의 값에 따라 데이터 매핑 처리 또는 수신 무시가 가능한지를 확인한다.

(5) GOOSE 인터락 신호기반 제어 시험

디지털변전소를 구성하는 운영장치(또는 정보연계장치)의 제어명령에 IED가 GOOSE로 전송되는 인터락 신호를 인식하여 제어명령을 실행하는 시스템 동작의 상호호환성을 검증하는 시험으로, 시험에 참가하는 운영장치의 제어명령 실행과 결과확인 기능을 확인하고 동시에 IED의 인터락 신호에 의한 제어명령 수행기능을 확인한다.

2.2.2 네트워크 상황에 따른 SAS IOP 시험

네트워크 상황에 따른 SAS IOP 시험은 4개의 Test Case로 구성된 필수시험으로 현장 통신트러블 및 장애 대응 기능에 대한 상호운용성 검증 시험을 포함하고 있다.

(1) 네트워크 부하 증가에 따른 SA 시스템 건전성 시험

디지털변전소의 네트워크에 불특정 대상으로부터 대규모의 네트워크 트래픽이 유입되었을 때 운영장치와 IED의 통신건전성이 유지되는 한계를 측정하고, 통신 트래픽이 정상적으로 돌아왔을 때 운영장치와 IED가 통신회복 능력이 있는지를 검증하는 시험으로, 시험에 참가하는 운영장치와 IED의 MMS 리포트 전송 기능을 트래픽 부하를 가변하면서 확인한다.

(2) 네트워크 부하(GOOSE) 증가에 따른 GOOSE Fail SA 감시기능 시험

디지털변전소의 GOOSE는 L2계층(Mac주소 계층)의 브로드캐스팅 전송방식을 가지고 있어 네트워크에 GOOSE가 증가할수록 수신하는 IED는 처리속도가 느려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네트워크에 대규모의 GOOSE가 유입되었을 때 IED의 GOOSE 수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지를 검증하는 시험으로, 시험에 참가하는 IED의 GOOSE 수신 실패 표현 기능을 GOOSE 트래픽 부하를 가변하면서 확인한다.

(3) 연속 이벤트 발생에 따른 IED/운영장치 수신 시험

디지털변전소를 구성하는 IED들은 변전소의 이상상황 또는 조작에 따라 GOOSE와 MMS를 통해 전송하는 이벤트를 연속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이때 GOOSE와 MMS를 수신하는 IED와 운영장치가 이벤트 발생한 수와 동일하게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확인한다.

(4) IED 통신트래픽 이상 증가 시 운영장치 성능 검증

디지털변전소 현장에서는 낙뢰 또는 IED 오설정 등 여러 원인으로 다수 또는 한 개 IED가 평상 시 트래픽보다 수배에서 수십 배에 이르는 비정상적인 MMS 리포트 이벤트가 발생 할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통신트래픽 상황에서 운영장치가 통신 연결을 유지하거나 데이터 처리성능에 문제가 없는지를 확인한다.

2.2.3 SAS 신기술 적용을 위한 IOP 시험

SAS 신기술 적용을 위한 IOP 시험은 2개의 Test Case로 구성된 선택시험으로 Live Test 기능, Ed 2.0 등 최신기능에 대한 상호호환성 검증 시험을 포함하고 있다. 변전자동화 신기술 및 규격개정안 도입 가능성을 대비한 사전 검증 시험이다.

(1) 제어모드에 의한 SA 시스템 현장 가압中 제어기능 시험

디지털변전소의 교체 및 증설 등의 사유로 운전 중인 상태에서 차단 신호 출력 없이 운영장치(또는 정보연계장치)의 시험용 제어명령에 IED가 통신기능만 수행하는 시스템 동작의 상호호환성을 검증하는 시험으로, 시험에 참가하는 운영장치의 시험용 제어명령 실행과 IED의 제어모드 설정에 따른 정확한 제어명령 수행기능을 확인한다.

(2) 인터락 시뮬레이션에 의한 SA 시스템 현장 가압中 제어기능 시험

디지털변전소의 교체 및 증설 등의 사유로 운전 중인 상태에서 제어대상이 되는 설비이외에 인터락을 위한 다른 변전소 스위치의 조작 없이 운영장치(또는 정보연계장치)의 제어명령에 IED의 정상적인 동작을 검증하는 시험으로, 시험에 참가하는 제어 IED가 인터락신호를 정상신호와 시뮬레이션신호를 구분하여 제어기능을 수행하는지 확인한다.

2.3 디지털변전소 상호운용성 검증장치 개발

디지털변전소 상호운용성 검증장치는 구현된 시험절차서의 각 시험 케이스를 시험하기 위해 SA 트러블 모의장치, IOP 실시간 자동분석장치, IOP 관리시스템 세 가지로 구분하여 개발하였다.

2.3.1 SA 트러블 모의장치

SA 트러블 모의장치는 디지털변전소의 통신트러블을 재현하고 시험절차서 기준 시험용 데이터 전송 및 통신패킷을 주입하는 장치이다. 그림 2는 SA 트러블 모의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그림. 2. SA 트러블 모의장치 구성도

Fig. 2. Configuration diagram for Substation Automation trouble simulator

../../Resources/kiee/KIEE.2020.69.11.1633/fig2.png

SA 트러블 모의장치는 데이터를 삭제, 지연, 반복, 변조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신호 변조 장치, 네트워크 스위치의 포트를 구성해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경로 구성 장치, 임의의 가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네트워크에 부하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신호 발생 장치로 구성된다.

2.3.2 IOP 실시간 자동분석장치

IOP 실시간 자동분석장치는 운영장치, IED로부터 동작데이터 및 통신트래픽을 수집하여 분석하고 시험절차서의 기준에 따라 시험결과를 자동으로 판정하는 장치이다. 실시간 자동분석장치의 구성도는 그림 3과 같다. 모든 시험대상 설비의 통신 트래픽을 네트워크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실시간으로 취득하며 장치 동작을 분석하여 통신연결상태, 데이터처리, 지연 및 손실 등 시험대상 설비의 성능을 실시간으로 판단한다. 그림 4는 IOP 실시간 자동분석장치 툴의 설정화면을 나타낸다. 시험에 사용되는 시험대상의 맵핑 포인트 및 스펙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여 자동분석장치가 수집 및 분석할 데이터의 범위를 설정한다.

그림. 3. 실시간 자동분석장치 구성도

Fig. 3. Configuration diagram for Real-time automatic analysis device

../../Resources/kiee/KIEE.2020.69.11.1633/fig3.png

그림. 4. 실시간 자동분석장치 설정화면

Fig. 4. Setting screen of Real-time automatic analysis device

../../Resources/kiee/KIEE.2020.69.11.1633/fig4.png

2.3.3 IOP 관리시스템

IOP 관리시스템은 SA 트러블 모의 장치 및 IOP 실시간 자동분석장치 제어, 시험대상장치 등록, 시험 결과 저장 및 보고서 출력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Web Server 구축으로 Mobile 환경에서도 시험 진행 및 시험 결과 출력이 가능하다.

2.4 디지털변전소 상호운용성 Test-bed 구축

디지털변전소 변전자동화시스템을 구성하는 IED, 정보연계장치, 상위운영시스템 간의 상호운용성을 시험하기 위해 상설 시험장을 구축하였다. 그림 5는 시험을 진행하는 시험장으로 상위운영시스템을 설치할 수 있는 책상, 통신 구성을 위한 HUB 판넬을 설치하였고 시험장 내에 있는 설비의 운영 상태를 통합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시험장 전면에 설치하였다. 그림 6은 감독관실이며, 감독관실에 설치된 모니터를 통해 시험장에서의 시험 진행 상황을 모니터할 수 있도록 화면 공유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그림. 5. 디지털변전소 상호운용성 Test-bed 구축

Fig. 5. Construction of test-bed for interoperability in digital substation

../../Resources/kiee/KIEE.2020.69.11.1633/fig5.png

그림 7과 같이 IED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과 모의차단기가 구비된 IED 판넬에는 15개사의 IED가 설치되었고, 그림 8과 같이 정보연계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과 SCADA 시뮬레이터가 연계되어 있는 정보연계장치반에는 6개사의 운영장치가 설치되었다.

그림. 6. Test-bed 내 감독관실

Fig. 6. Supervisor’s office in the test-bed

../../Resources/kiee/KIEE.2020.69.11.1633/fig6.png

그림. 7. Test-bed 내 IED반

Fig. 7. IEDs in the test-bed

../../Resources/kiee/KIEE.2020.69.11.1633/fig7.png

그림. 8. Test-bed 내 정보연계장치반

Fig. 8. Gateways in the test-bed

../../Resources/kiee/KIEE.2020.69.11.1633/fig8.png

그림. 9. IOP 관리시스템 기반 상호운용성 시험 프로세스

Fig. 9. Interoperability test process based on IOP management system

../../Resources/kiee/KIEE.2020.69.11.1633/fig9.png

2.5 디지털변전소 상호운용성 시험

디지털변전소 상호운용성 시험은 그림 9와 같이 4단계의 프로세스를 통해 수행된다. 시험 진행은 Web 기반의 IOP 관리시스템에서 이루어진다. 1단계는 시험 대상을 선정하고 시험 케이스를 선택하여 시험을 시작한다. 시험이 시작되면 2단계에서는 각 시험 케이스마다 SA 트러블 모의장치가 장애를 발생시키거나 또는 시험 대상 장치를 조작하여 타 장치에게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모의한다. 3단계는 상위운영시스템 또는 정보연계장치가 IED로부터 수신 받은 데이터를 IOP 관리시스템에 입력하여 데이터를 저장한다. 마지막으로 4단계에서는 IOP 실시간 자동분석장치에서 수집한 데이터와 사용자가 관리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시험 결과가 도출되고 PASS, FAIL로 표현되는 시험 결과를 시험자가 즉시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0. 시험 결과

Fig. 10. Test result

../../Resources/kiee/KIEE.2020.69.11.1633/fig10.png

그림 10은 하나의 시험 케이스에 대해 출력된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시험 대상은 IED이며, 우측 결과란에서 각각의 운영장치와의 시험결과를 보여준다. 모두 PASS가 나오는 경우 운영장치 6개사와의 상호운용성에 문제가 없음을 의미한다.

3. 결 론

디지털변전소의 국제표준이 IEC 61850으로 단일화되었으나,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를 교환하는 과정에서 데이터 해석의 차가 발생하고 구현방식의 차로 인하여 호환성의 문제가 현장에서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상호운용성의 문제는 디지털변전소 준공을 지연시키고 변전소 운영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기 때문에 시간과 경제적 손실의 원인이 되고 있다. 본 논문의 디지털변전소 상호운용성 검증시스템은 다 수의 제작사가 참여하는 국내 디지털변전소의 현실을 반영하여 변전소를 운영하는 과정에 발생하는 정보교환의 장애를 사전에 발견하여 현장 설치 전에 해결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네트워크 장애 발생 시 이에 대한 대처 방식이 변전소 운영에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디지털변전소의 지능형 전자장치와 운영장치를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상호운용성 시험을 자동화함으로써 복잡한 시험절차를 실행하기 위한 과정을 단순화하여 시험소요시간을 큰 폭을 단축하였으며, 시험분석 및 판정 시 시험자의 인적실수를 최소화하여 시험의 신뢰성을 개선하였다. 향후 디지털변전소 상호운용성 검증시스템은 국내 디지털변전소에 적용하고자 하는 신규 제작사 장치를 대상으로 사용자 등록시험에 활용할 예정이며, 국제규격인 IEC 61850 개정에 따른 상호운용성 검증에도 사용될 예정이다.

References

1 
S. H. Jung, D. G. Kim, S. B. Choi, D. I. Lee, J. W. Kang, B. M. Kwak, E. G. Tark, H. H. Yoon, J. S. Kim, J. H. Park, H. S. Kim, 2001, Development of the Permissible Current- Carrying Capability Calculation Program of Transmission Power Cables Installed in Ducts, in Proc. of KIEE Conference, pp. 340-342Google Search

저자소개

Yu-Yeong Park
../../Resources/kiee/KIEE.2020.69.11.1633/au1.png

He was born in Korea.

He received his B.S. and M.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Wonju, Korea, in 2014 and 2016. He has worked on his Ph.D. in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 neering at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 sity since 2016.

From 2015 to 2018, he was a junior researcher at ENTEC.

He has worked at KEPCO Research Institute since 2019 and is currently a researcher.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SAS, IED, power system mo- deling & control, and power system protection.

He is a member of the KIEE and, KIIEE.

Tel: 042-865-7592, Fax: 042-865-5829

E-mail : yuyeong.park2@kepco.co.kr

Nam-Ho Lee
../../Resources/kiee/KIEE.2020.69.11.1633/au2.png

He was born in Korea.

He received his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Myoungji University, Korea, in 1998, 2001, and 2011, respectively.

From 2004 to 2006, he was a junior researcher at LS Industrial Systems.

He has worked at KEPCO Research Institute since 2006 and is currently a senior researcher.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IEC 61850, SAS, and power restoration.

He is a member of the KIEE, KIIEE and IEC TC57 WG10.

Tel: 042-865-5806, Fax: 042-865-5829

E-mail : namho.lee@kepco.co.kr

Nam-Dae Kim
../../Resources/kiee/KIEE.2020.69.11.1633/au3.png

He was born in Korea.

He received his B.S. and M.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Incheon National University, Korea, in 2013 and 2015.

He has worked at KEPCO Research Institute since 2015 and is currently a senior researcher.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IEC 61850, SA, and RTDS.

He is a member of the KIEE, KIIEE and IEC TC57 WG10.

Tel: 042-865-5809, Fax: 042-865-5829

E-mail : namdae.kim@kepco.co.kr

Woo-Joong Kim
../../Resources/kiee/KIEE.2020.69.11.1633/au4.png

He was born in Korea.

He received his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Myoungji University, Korea, in 2012, 2014, and 2019, respectively.

He has worked at KEPCO Research Institute since 2019 and is currently a senior researcher.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IEC 61850, SAS, and power system protection.

He is a member of the KIEE and KIIEE.

Tel: 042-865-5817, Fax: 042-865-5829

E-mail : woojoong.kim@kepco.co.kr

Jeonghoon Shin
../../Resources/kiee/KIEE.2020.69.11.1633/au5.png

He received the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South Korea, in 1993, 1995, and 2006, respectively.

Now, in 2020, he is also in the doctoral course of graduate school technology policy in Yonsei University.

Since 1995, he has been with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Research Institute (KEPRI), the research institute of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He is currently a Chief Researcher and leads the Power System Group in power system laboratory, KEPRI.

From March 2003 to February 2004, he was a Visiting Scholar with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Palo Alto, CA, US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wide area monitoring, protection and control systems based on synchro-phasor data, hierarchical voltage controls, real-time digital simulations, and transient/dynamic stability studies.

Tel: 042-865-5810, Fax: 042-865-5829

E-mail : jeonghoon.shin@kepc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