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Korea Construction Equipment Technology Institute (KOCETI), Korea.)
  2. (Shinheung Industry Company, Korea.)



Self-Propelled Potato Harvester, Steering Control System, Ridge Tracking Method, Ackerman Steering, Displacement Difference

1. 서 론

오늘날 4차 산업혁명(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이 사회 전반에 광범위한 영향력을 미치며 최근 농업 분야에서도 다양한 제어기술들과 전장품들이 농기계들과 융합되어 농업 장비들의 기계화율 확산에 일조하고 있다.

농기계는 크게 논농사용과 밭농사용으로 나눌 수 있는데, 현재 논농사용 농기계들은 자동화・무인화에 많은 연구 개발들이 진행되고 있지만, 논농사에 비해 다양한 작업 패턴과 주변 외란들이 존재하는 밭농사용 실외 농기계들 중 트랙터 외에는 이와 관련된 연구 진행이 상대적으로 미진한 상황이다.

이와 관련하여 논농사용 농기계인 Kubota社의 SPU-68C 벼 이앙기에 자동 조향 제어 시스템을 개발 및 설치하여 실험하였고(1), 3조식 콤바인에 자율주행시스템을 장착하여 무인자율 선회 및 곡선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2), DGPS와 카메라 비전 기술을 이용한 자율주행 콤바인을 개발하였고(3), 논에서 잡초를 제거하는 논 제초 로봇의 바퀴를 연구하였다(4)

.

그리고 밭농사에 해당하는 실내용 시설농장에서 사용되는 무선원격 방제시스템을 연구 개발하였고(5), 실외용으로 국제기계社의 58마력급 트랙터에 RTK GPS, EHPS, CAN 등을 이용한 자율주행 트랙터를 개발하였으며(6), 이러한 자율주행 트랙터 연구기술을 활용하여 포장형상 및 경운작업특성을 인식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7).

땅속작물 수확기 중에서는 트랙터 PTO에 연결 및 종속되어 구동되는 수집형 수확기가 선별, 수집 등의 단계별 밭 작업을 자동화/지능화하는 기술 위주로 연구되었다(8).

본 연구에 사용된 자주식 감자수확기 장비는 트랙터의 동력 없이 실외의 밭 환경에서 저속으로 주행하며 구근류(감자, 양파, 마늘 등) 작물들을 굴취・수확하는 밭농사용 땅속작물 수확기의 일종이다.

현재 수동 조작으로 운전하는 자주식 감자수확기의 이동 패턴은 두둑과 고랑이라는 일정한 형태로 정형화 된 구역에서 반복적이고 규칙적인 주행 및 작업을 하고 있으므로 자동화하기에 용이하다고 할 수 있다.

자주식 감자수확기의 주행을 자동화하기 위해서는 두둑의 중앙부를 추종해가며, 경로를 이탈하거나 옆 두둑을 침범하지 않도록 작업 속도에 맞는 허용된 조향 각도 내에서 조향 제어를 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러한 조향 제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두둑의 폭과 높이에 관계없이 원활하게 두둑의 중앙값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 기구부와 이를 통해 두둑을 추종할 수 있는 최적의 조향 각도 값을 도출해야 된다.

본 장비의 작업 특성 상 수확기 전면부에 부착된 굴취부의 러그가 두둑을 파헤쳐나가며 두둑 밑 흙속의 작물들을 굴취・수확하는 작업 패턴이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작업 중인 두둑의 파손은 불가피하다.

그러므로 주행 중 조향 시, 굴취부나 전륜 바퀴로 인한 옆 두둑으로의 침범이나 파손을 최대한 방지해야만 기준 두둑의 작업을 마친 후 다음 경로(옆 두둑)의 주행 자동화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으므로 조향 제어는 최대한 안정적이고 정밀하게 이루어져야 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자주식 감자수확기의 조향 제어 방식은 그림 1과 같이 크게 경로 인식과 경로 주행이라는 두 가지 요소로 나눌 수 있다.

그림 1 수확기의 조향 제어 방법

Fig. 1 Steering control method of the harvester

../../Resources/kiee/KIEE.2021.70.1.213/fig1.png

경로 인식이란 진행 경로인 기준 두둑의 조향 각도를 굴취부 좌・우에 부착된 두 개의 포텐셔미터를 통해 측정 후 변위차를 이용하여 향후 조향될 타겟 각도(TA)를 도출하는 것을 의미하며, 경로 주행이란 경로 인식 단계에서 계산된 타겟 각도와 조향을 하는 전륜 휠에서 측정된 실제 각도(RA) 사이에 각도 오차(TA-RA)를 실시간으로 보정하며 경로를 안정적으로 추종하고 주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경로 인식과 경로 주행 요소들이 안정적으로 연동되지 못하면 주행해야 되는 경로를 이탈하여 옆의 다른 경로(두둑)를 침범하고 파손시키거나 그 외의 또 다른 안전사고 등을 유발시킬 수 있다.

이에 최적의 조향 제어 시스템을 구성 및 설계하기 위하여 먼저 Ackerman 조향 구조를 가진 자주식 감자수확기의 기구부를 분석하여 작업 속도에 맞는 허용 가능한 최대 조향 각도 값을 수식적으로 계산하였고, 두둑의 중앙부를 감지할 수 있는 수확기용 두둑 감지 센서 및 알고리즘을 개발하였으며, 두둑의 중앙부을 추종 및 주행할 수 있게 해주는 적합한 조향 Gain 값을 실험을 거쳐 도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계들을 거쳐 연구되고 설계 제작된 변위차 추종 방식을 활용한 자주식 감자수확기의 조향 제어 시스템 개발에 대해 정리하고자 한다.

2. 자주식 감자수확기의 조향 기구부 해석

본 장에서는 자주식 감자수확기 장비의 기구부 형태와 사용 환경에 대해 정의하고, 전륜 방식의 Ackerman Steering 기구학을 바탕으로 제작되어진 조향 플랫폼의 원리를 해석하여 구해진 수식들로 이동 속도에 따른 조향 각도 값을 분석하였다.

2.1 자주식 감자수확기 외형 및 사용 환경 정의

밭작물인 구근류들 중 주로 감자를 수확하는 자주식 감자수확기는 휠(Wheel) 타입으로 4개의 타이어가 고랑 사이를 이동하며 전방의 굴취부가 해당 작업 두둑의 토양 밑을 굴취하면서 지면 위로 올라오는 감자들을 끌어올려 수확하는 방식으로 작업을 한다.

자주식 감자수확기는 트랙터 뒷단의 PTO에 종속되어 사용되던 기존 모델들과 다르게 차체 내부에 엔진부를 탑재하여 자체적으로 구동 후 굴취부터 수확까지 모든 공정 작업을 일괄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제작된 농기계이다.

본 연구에 사용된 자주식 감자수확기의 외형과 작업 모습은 그림 2와 같다.

그림 2 자주식 감자수확기의 외형과 작업 모습

Fig. 2 The appearance and working form of the self-propelled potato harvester

../../Resources/kiee/KIEE.2021.70.1.213/fig2.png

2.1.1 자주식 감자수확기 구성

본 장비의 크기는 5,600(L) × 2,100(W) × 3,100(H)mm, 무게 4,500kg, 굴취폭 1,500mm로 현대선진산업엔진社에서 제작한 D4DA-EM1P 디젤 엔진을 탑재한 100마력급 SHI-1400 수확기 모델을 대상으로 하였다(9).

그리고 경로 주행 시 조향 각도 값을 구할 때 중요한 요소인 타이어 스펙은 흥아타이어(TIRON)社에서 제작한 HS617 모델로 지름 1,005mm, 폭 300mm, 휠 내경 20인치, 편평비 85%를 가지고 있다(10).

본 장비의 일반적인 작업 속도는 1km/h이며, 최대 조향 각도는 좌우 10도까지만 선회하도록 설계되어 과도한 조향으로 인한 전도/전복 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하였다.

2.1.2 두둑과 고랑 환경

자주식 감자수확기를 사용하는 밭 환경은 감자를 재배, 수확하는 두둑과 고랑으로 이루어진 오프로드 노면이다.

전국에 분포한 국내 감자 재배 지역들(충북, 강원, 전남, 전북 등)을 조사한 결과, 한 두둑에 한 줄씩 감자 심기 방식과 한 두둑에 두 줄씩 감자 심기 방식으로 크게 나뉘었으며 각각의 재배 방식에 따라 두둑과 고랑의 폭과 높이 등에서 약간의 차이가 났다(11).

본 논문에서는 자주식 감자수확기가 주로 사용되는 한 두둑에 한 줄씩 감자심기 방식에 맞춘 두둑과 고랑의 형태로 밭 환경을 조성하였고, 평지 노면을 기준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두둑 높이 150mm, 두둑 폭 1,200mm, 고랑 폭 600mm, 작업 두둑에서 옆 두둑까지의 폭 3,000mm로 그림 3과 같은 형상으로 두둑과 고랑을 구성하였다.

그림 3 두둑과 고랑의 치수와 형상

Fig. 3 Dimension and shape of the ridge and furrow

../../Resources/kiee/KIEE.2021.70.1.213/fig3.png

이 때 전체 고랑 폭인 600mm에서 타이어 폭이 300mm이므로 남은 고랑 폭인 300mm 안에서 바퀴는 조향을 하며 옆 두둑을 침범하지 않고 향후 이동할 경로인 작업 두둑을 추종하며 주행하여야 한다.

2.2 Ackerman Steering Kinematics에 근거한 수학적 모델링

조향이란 이동 물체의 진행 방향을 조작하여 선회시킨다는 의미로 현재 가장 대표적인 조향 장치로는 Ackerman Steering(애커만 조향) 기구부가 있다(12-16).

Ackerman Steering 기구부는 사다리꼴 모양을 가진 전륜 방식의 조향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자주식 감자수확기 역시 전륜 방식의 Ackerman Steering 기구부에 근거하여 제작되었다.

Ackerman Steering Kinematics을 이용하여 자주식 감자수확기의 수학적 모델링을 설계하면 그림 4와 같이 표현된다.

그림 4 애커만 조향 기구학에 근거한 수학적 모델링

Fig. 4 Mathematical modeling based on Ackerman steering kinematics

../../Resources/kiee/KIEE.2021.70.1.213/fig4.png

여기서,

$\theta_{FL}$ : 전륜 바깥쪽 바퀴 조향 각도

$\theta_{FR}$ : 전륜 안쪽 바퀴 조향 각도

$\theta$ : Ackerman 조향 각도

$O$ : 회전 중심(터닝 센터)

$L$ : 앞 차축과 뒷 차축 사이의 거리인 휠베이스

$T$ : 조향 바퀴와 조향 축 사이 거리인 트랙

$R$ : 조향 차량의 회전 반지름(반경)

여기서 휠베이스 $L$과 트랙 $T$는 자주식 감자수확기의 운동학적 폭과 길이로 간주하며, $R$은 회전 반지름(조향 반경)이다.

이 때, 회전 중심 $O$를 기준으로 양 쪽 전륜 바퀴의 회전 각도 크기는 아래 식 (1)과 같다.

(1)
$\theta_{FL}<\theta_{FR}$

이에 조향하는 이동 물체의 조향 각도 $\theta$는 Ackerman Steering 원리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2)
$\tan\theta =\dfrac{L}{R}$

식 (2)를 근거로,

(3)
$\tan\theta_{FL}=\dfrac{L}{R+\dfrac{T}{2}}$

(4)
$\tan\theta_{FR}=\dfrac{L}{R-\dfrac{T}{2}}$

또한 식 (2)는 다음과 같이 변형될 수 있다.

(5)
$R=\dfrac{L}{\tan\theta}$

이에 식 (5)를 근거로 식 (3)식 (4)에 대입하여, 전륜 조향을 위한 양쪽 바퀴의 조향 각도 $\theta_{FL}$ 과 $\theta_{FR}$ 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6)
$\tan\theta_{FL}=\dfrac{L}{(\dfrac{L}{\tan\theta})+\dfrac{T}{2}}$

(7)
$\theta_{FL}=\arctan(\dfrac{L}{(\dfrac{L}{\tan\theta})+(\dfrac{T}{2})})$

(8)
$\tan\theta_{FR}=\dfrac{L}{(\dfrac{L}{\tan\theta})-\dfrac{T}{2}}$

(9)
$\theta_{FR}=\arctan(\dfrac{L}{(\dfrac{L}{\tan\theta})-(\dfrac{T}{2})})$

그러므로 Ackerman 조향 각도 $\theta$는 전륜 바깥쪽 바퀴와 전륜 안쪽 바퀴의 조향 각도의 평균으로 식 (10)과 같이 근사할 수 있다(17-18).

(10)
$\theta =\dfrac{\theta_{FL}+\theta_{FR}}{2}$

2.3 이동 속도에 따른 허용 가능한 조향 각도 결정

2.3.1 이동 속도 별 이동 거리 및 회전 시간

본 연구에서는 안정적이고 정밀한 조향 제어를 통하여 옆 두둑을 침범하지 않고, 작업 중인 기준 두둑만을 추종하며 주행하기 위하여 이동 속도에 따른 허용 가능한 최대 조향 각도를 알아야만 하므로, 먼저 휠 내경 20인치의 타이어를 장착한 자주식 감자 수확기가 한 바퀴 회전 시 몇 m를 이동하는지부터 확인해야 된다.

이 때 바퀴는 직선 형태의 단단한 평지 노면으로 이루어진 고랑에서 이동하는 방식이므로 마찰이나 미끄럼(Slip) 현상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가정하고 본 연구의 고려조건에서 제외한다.

현재 수확기 타이어의 직경 정보를 알고 있으므로, 원의 둘레를 구하는 공식인 $2\pi R$로 계산하면 한 바퀴 회전 시 3.15m를 이동한다.

여기에 자주식 감자수확기의 작업 속도인 1km/h에서부터 이동을 위한 최고 주행 속도인 5km/h까지를 등속도로 가정하여 계산하면 아래 표 1과 같다.

표 1 이동 속도에 따른 초당 이동 거리

Table 1 Distance traveled per second according to moving speed

한 바퀴 회전 시 이동 거리

(3.15m)

이동 속도

(km/h)

이동 용도

초당 이동거리

(m)

1

작업용

0.27

2

주행용

0.55

3

0.83

4

1.11

5

1.38

표 1을 바탕으로 수확기의 작업 속도인 1km/h로 동작 시, 초당 0.27m를 이동하고, 11.66초가 흘러야만 타이어가 한 바퀴를 돌아가며 3.15m를 이동함을 계산할 수 있다.

2.3.2 이동 속도 별 고랑 내 회전 조향 각도

지금까지 정리한 Ackerman 조향 원리와 이동 속도에 따른 이동 거리 및 회전 시간 등의 정보들을 근거로 회전 중심 방향의 안쪽 앞바퀴가 고랑 내에서 옆 두둑을 침범하지 않고 허용 가능한 조향 각도를 구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중심 방향의 바깥쪽 앞바퀴는 회전 시 현재 작업 중인 두둑을 지나가게 되므로, 옆 두둑의 침범을 막기 위해서는 회전 중심 방향의 안쪽 앞바퀴 방향의 허용 가능한 조향 각도를 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때 허용 가능한 조향 각도를 구할 시 주의해야 되는 점은 안쪽 앞바퀴만의 조향 각도가 아닌 전면부에 장착된 굴취부의 조향 각도까지 포함된 결과 값을 구해야 된다는 점이다.

이를 도식적으로 표현하면 그림 5와 같다.

그림 5 이동 속도에 따른 허용 가능한 조향 각도의 도식화

Fig. 5 Schematic of the allowable steering angle by moving speed

../../Resources/kiee/KIEE.2021.70.1.213/fig5.png

여기서,

$A$ : 회전 중심 안쪽 방향의 허용 가능한 조향 각도

$h$ : 초당 이동 거리 + 타이어 지름 + 굴취부 길이

$a$ : 조향 시, 굴취부 바깥면의 두둑과의 이격 거리

$i$ : 조향 시, 굴취부 안면의 고랑 침범 거리

$d$ : 남은 고랑 폭 (30cm-a)

이 때, 조향에 따른 회전 방향의 굴취부 바깥면의 이격 거리 $a$는 고랑을 침범한 굴취부 안면의 침범 거리 $i$와 동일하므로, 아래 식 (11)과 같다.

(11)
$a = i$

그러므로 $d$는 남은 고랑 폭인 30cm에서 $a$만큼의 거리를 뺀 값과 같으며, 이동 속도에 따른 허용 가능한 조향 각도 범위는 $d$의 길이와 같다.

즉, $d$를 넘어서는 순간부터는 옆 두둑을 침범하기 시작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본 장비를 기준으로 $h$를 구할 때 필요한 초당 이동 거리는 이동 속도에 따라 가변되지만, 타이어 지름은 100.5cm, 굴취부 길이는 209.75cm로 고정되어 있다.

이에 조향 각도에 따른 $a$의 길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아래 식 (12)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2)
$\sin A=\dfrac{a}{h}$

지금까지의 내용들을 바탕으로 바퀴와 두둑과의 이격 거리 및 조향 가능한 남은 고랑 폭을 작업 속도인 1km/h에서 최대 주행 속도인 5km/h까지 총 5단계의 이동속도에 따라 회전 방향 안쪽 바퀴 최대 조향 각도인 10˚까지의 초당 허용 가능한 조향 각도를 계산하여 아래 표 2부터 표 6까지 구하였다.

표 2 이동 속도 1km/h일 때, 허용 가능한 조향각도 범위

Table 2 Allowable steering angle range at moving speed 1km/h

바퀴 선회 각도 (˚)

바퀴와 두둑

이격 거리 (cm)

남은 고랑

폭 넓이 (cm)

상태

0

0

30

1

5.89

24.11

2

11.77

18.23

3

17.65

12.35

4

23.53

6.47

5

29.39

0.61

허용

6

35.25

-5.25

침범

7

41.10

-11.10

8

46.94

-16.94

9

52.76

-22.76

10

58.56

-28.56

결론

- 고랑 내 허용 가능한 조향 각도 : 0˚~5˚

- 옆 두둑 침범 각도 : 6˚~10˚

표 3 이동 속도 2km/h일 때, 허용 가능한 조향각도 범위

Table 3 Allowable steering angle range at moving speed 2km/h

바퀴 선회 각도 (˚)

바퀴와 두둑

이격 거리 (cm)

남은 고랑

폭 넓이 (cm)

상태

0

0

30

1

6.37

23.63

2

12.75

17.25

3

19.12

10.88

4

25.48

4.52

허용

5

31.83

-1.83

침범

6

38.18

-8.18

7

44.51

-14.51

8

50.83

-20.83

9

57.14

-27.14

10

63.42

-33.42

결론

- 고랑 내 허용 가능한 조향 각도 : 0˚~4˚

- 옆 두둑 침범 각도 : 5˚~10˚

표 4 이동 속도 3km/h일 때, 허용 가능한 조향각도 범위

Table 4 Allowable steering angle range at moving speed 3km/h

바퀴 선회 각도 (˚)

바퀴와 두둑

이격 거리 (cm)

남은 고랑

폭 넓이 (cm)

상태

0

0

30

1

6.86

23.14

2

13.72

16.28

3

20.58

9.42

4

27.43

2.57

허용

5

34.27

-4.27

침범

6

41.11

-11.11

7

47.93

-17.93

8

54.73

-24.73

9

61.52

-31.52

10

68.29

-38.29

결론

- 고랑 내 허용 가능한 조향 각도 : 0˚~4˚

- 옆 두둑 침범 각도 : 5˚~10˚

표 5 이동 속도 4km/h일 때, 허용 가능한 조향각도 범위

Table 5 Allowable steering angle range at moving speed 4km/h

바퀴 선회 각도 (˚)

바퀴와 두둑

이격 거리 (cm)

남은 고랑

폭 넓이 (cm)

상태

0

0

30

1

7.35

22.65

2

14.70

15.30

3

22.05

7.95

4

29.38

0.62

허용

5

36.71

-6.71

침범

6

44.03

-14.03

7

51.34

-21.34

8

58.63

-28.63

9

65.90

-35.90

10

73.15

-43.15

결론

- 고랑 내 허용 가능한 조향 각도 : 0˚~4˚

- 옆 두둑 침범 각도 : 5˚~10˚

표 6 이동 속도 5km/h일 때, 허용 가능한 조향각도 범위

Table 6 Allowable steering angle range at moving speed 5km/h

바퀴 선회 각도 (˚)

바퀴와 두둑

이격 거리 (cm)

남은 고랑

폭 넓이 (cm)

상태

0

0

30

1

7.82

22.18

2

15.64

14.36

3

23.46

6.54

허용

4

31.27

-1.27

침범

5

39.07

-9.07

6

46.85

-16.85

7

54.63

-24.63

8

62.38

-32.38

9

70.12

-40.12

10

77.84

-47.84

결론

- 고랑 내 허용 가능한 조향 각도 : 0˚~3˚

- 옆 두둑 침범 각도 : 4˚~10˚

자주식 감자수확기의 5가지 이동 속도에 따른 허용 가능한 최대 조향 각도 범위를 모두 구해보았다.

이를 그래프로 정리하면 아래 그림 6과 같다.

그림 6 이동 속도 별 조향 및 침범 각도 범위 그래프

Fig. 6 Steering and invasion angle range graph by moving speed

../../Resources/kiee/KIEE.2021.70.1.213/fig6.png

본 연구에 적용할 작업 속도 1km/h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허용 가능한 최대 조향 각도는 5˚까지로 나왔으며, 옆 두둑을 침범하기 시작하는 각도는 6˚부터인 것을 확인하였다.

3. 변위차를 활용한 조향 제어 시스템

본 장에서는 자주식 감자수확기 장비의 조향 제어와 관련하여 농기계의 조향 제어 기법들에 대하여 선행 연구된 다양한 논문들을 바탕으로 기존에 제시한 구현 방법들보다 더 단순하고 값싼 부품들로 구성하여 두둑을 추종하고 조향 할 수 있게 해주는 두둑 감지 센서와 조향 각도 생성 알고리즘에 대해 제안한다.

3.1 두둑 감지 센서 원리와 시스템 구성

농기계 조향 제어 및 경로 추종과 관련된 기존 연구 논문들에서는 일반적으로 복잡하고 값비싼 GPS, Lidar, 카메라 비전류 등을 사용하고 있다(19-25).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저속으로 작업을 하는 밭 작업용 농기계류에서 기존 연구 대비 더 단순하고 저렴한 방식으로 조향 제어를 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에 기존 고가의 Lidar나 카메라 외에 저가의 센서 기반으로 두둑을 감지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해 연구를 하였다.

자주식 감자수확기가 작업을 하며 조향과 주행을 해야 되는 밭두둑은 전반적인 모양과 형상은 일정한 형태로 비슷하며 큰 차이는 없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각각의 두둑들의 높이나 폭은 약간씩 다르며 균일하지 못한 걸 알 수 있다.

이러한 불규칙하고 균일하지 않은 특성을 반영하여 수확기 굴취폭 내에 들어갈 수 있는 모든 두둑의 중앙값을 원활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그림 7과 같이 사다리꼴 형태로 두둑 감지 센서 기구부를 설계하였다.

그림 7 두둑 감지 센서 기구부(좌)와 두둑 감지 원리(우)

Fig. 7 Ridge detection sensor mechanism(L) and ridge detection principle(R)

../../Resources/kiee/KIEE.2021.70.1.213/fig7.png

본 논문에서 제안한 사다리꼴 형태로 배치한 센서 방식이 두둑을 감지하여 중앙값을 찾는 원리는 균일하지 않은 두둑들의 높이에 따라 좌/우에 배치된 센서 더듬이부(L, R)가 두둑 측면 위부분에 걸쳐지고 그로 인해 센서 감지 영역이 달라지며 그 차이로 두둑의 폭을 가늠할 수 있게 된다.

좌/우 센서 더듬이부가 두둑을 지나갈 때마다 결과 값들이 나오고 이 좌/우의 두 값을 뺀 두둑의 위치 편차 즉, 변위차를 통해 두둑의 중앙을 추종할 수 있게 된다.

변위차가 0에 가깝게 수렴할수록 직선 형태로 두둑 중앙을 지나간다고 판단하여 전륜부의 조향을 덜 하게 되고, 변위차가 크게 발생할수록 해당 경로인 두둑을 벗어나고 있다고 판단하여 0에 수렴하도록 전륜부 휠을 조향하며 주행하는 방식이다.

자주식 감자수확기의 조향 제어 시스템에는 크게 2종류의 포텐셔미터 센서가 사용된다.

첫 번째로 굴취부 전방 좌/우에 장착되어 두둑을 감지하며 변위차를 도출하는 센서로 COSMOS TOKYO社의 RV30YN 20S 포텐셔미터 2개를 철재 더듬이부와 스프링으로 연결하고 사다리꼴 형태로 부착하여 두둑의 측상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배치하였으며, 센서가 부착된 기구부의 굴취 폭을 벗어나지 않는 한 모든 두둑에 적용 가능하다(26).

두 번째로 전륜축의 우측 앞바퀴 실린더 밑에는 CALT社의 CWP-S1000A 와이어 포텐셔미터 1개를 부착하여 앞바퀴의 조향 각도를 측정할 수 있게 하였다(27).

이 두 종류의 포텐셔미터 센서를 통하여 타겟 조향 각도와 실제 조향 각도를 확인할 수 있고 제어기를 통해 두 가지 조향 각도 사이의 각도 에러를 보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조향 제어 시스템의 제어기에 사용된 MCU는 STM社의 STM32F4 모델을 사용하여 10ms의 속도로 굴취부 센서들에서 데이터를 받아 제어 연산을 하고, 유압 밸브로 명령을 전달하여 전륜 바퀴의 조향을 가능하게 하였다(28).

또한 유압 회로에는 ON/OFF 밸브로 양방향 솔레노이드 밸브를 사용하였고, 저속제어 밸브로 3way 유량제어 솔레노이드 밸브를 사용하여 조향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3.2 센서 변위차를 활용한 조향 각도 생성 알고리즘

본 연구에서 두둑의 중앙을 따라가기 위한 조향 각도를 어떻게 계산하여 두둑을 이탈하지 않고 추종할 수 있게 하느냐가 가장 중요한 제어 부분 중 하나이다.

이를 위해서는 두 가지의 조향 각도를 알아야만 하는데, 장비 앞단의 굴취부에 장착된 좌/우 센서 값의 차이를 나타내는 두둑의 위치 편차 상태와 전륜 바퀴부에 장착된 센서를 통해 측정된 바퀴의 조향 각도 값을 확인하면 실제로 본 장비가 두둑을 추종하며 조향 제어가 잘 되고 있는지 검증한다.

두둑의 위치 편차, 즉 변위차가 조향각 변환 제어기를 거치게 되면 타겟 조향 각도(TA)가 나오게 된다.

그리고 바퀴의 조향 각도 값을 통해 실제 조향 각도(RA)를 알 수 있게 된다.

이에 타겟 조향 각도와 실제 조향 각도를 생성하는 조향 각도 생성 알고리즘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먼저 타겟 조향 각도를 도출하기 위해 받아들이는 조향 제어 시스템의 입력 값인 굴취부의 좌/우 센서가 두둑의 측상부를 감지할 때 값을 받아들이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① 포텐셔미터 센서 저항 값 생성

② 저항 값이 전압(V)값으로 변환

③ 전압 값은 12bit AD 컨버터에서 변환

④ AD 컨버터 내에서 Median Filter를 거침

⑤ Median Filter를 거친 Data 값이 센서 값으로 나옴

이 때, Median Filter를 거치는 이유는 자주식 감자수확기가 주행하는 밭 환경은 오프로드 노면이므로 돌, 이물질, 움푹 패인 곳 등 다양한 노이즈들이 센서에 전달될 수 있으므로 이 때 발생될 수 있는 최대값과 최소값 등의 노이즈를 제거하고 안정적인 중간값만을 도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렇게 나온 좌/우 두둑 감지 센서 값은 연산을 거쳐 두둑의 위치 편차 값으로 도출되고 조향각 변환 제어기에서 최적의 Gain 값과 결합하여 타겟 조향 각도(TA)로 나오게 된다.

이를 수식으로 정리하면 아래 식 (13)과 같다.

(13)
$(L-R)\times K_{P}=TA$

여기서,

$L$ : 굴취부 포텐셔미터 좌측 센서 값

$R$ : 굴취부 포텐셔미터 우측 센서 값

$K_{P}$ : 조향 각도로 변환하기 위한 P Gain 값

$TA$ : 타겟 조향 각도( ˚ )

그리고 수확기의 앞바퀴 조향 각도 값인 실제 조향 각도는 전륜부의 최대 조향 각도인 좌/우 10˚ 내에서 결정이 된다.

이는 전륜부에 장착해놓은 와이어 포텐셔미터(WPS)를 통해 측정하여 확인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내용들을 바탕으로 설계한 자주식 감자수확기의 조향 제어 시스템 블럭도는 아래 그림 8과 같다.

그림 8 조향 제어 시스템 블럭도

Fig. 8 Steering control system block diagram

../../Resources/kiee/KIEE.2021.70.1.213/fig8.png

4. 실험 및 결과 고찰

본 장에서는 자주식 감자수확기의 조향 제어 시스템에 대한 성능을 검증하기 위한 실험 방법을 정리하고 실험 결과를 나타내었다.

경기도 화성시에 위치한 평지 조건의 밭 환경에서 그림 9와 같이 길이 22m의 직선형 두둑들과 고랑들을 만들어 두둑 포장 실험을 진행하였다.

참고로 두둑과 고랑의 사이즈는 2.1.2장에서 설명한 치수와 형상으로 구성하였다.

그림 9 두둑 포장 실험 환경

Fig. 9 Ridge pavement experiment environment

../../Resources/kiee/KIEE.2021.70.1.213/fig9.png

실험 방법으로는 평지 노면의 직선 경로에서 자주식 감자수확기의 일반적인 작업 진행 속도인 1km/h를 실험 기준 속도로 정하였고, 센서들의 데이터를 전송 받을 제어 주기는 100ms의 속도로 설정하였으며, 조향각 변환 제어기의 Gain 값을 1부터 10까지 변환하면서 최적의 Gain 값을 찾기 위해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는 Gain 값에 따른 직선 주행 시 좌/우 두둑 센서의 두둑 위치 편차가 0에 최대한 수렴하고 허용된 조향 각도 값 내에서 안정적으로 두둑의 센터를 따라 주행하는지를 확인 및 검증하였다.

4.1 Gain값 변화에 따른 조향 제어 성능 그래프

본 실험은 두둑 감지 센서의 변위차를 활용하여 밭두둑을 가장 잘 추종하며 주행할 수 있는 최적의 Gain 값을 찾기 위하여 진행되었으며, 아래 그림 10부터 그림 14까지 직선 두둑에서의 주요 Gain 값의 조향 성능 및 결과들이 그래프로 나와 있다.

그래프는 총 3개의 결과 값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첫 번째 칸은 조향 제어 데이터, 두 번째 칸은 변위차(두둑의 위치편차), 세 번째 칸은 조향 각도(˚)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다.

여기서 모든 그래프들의 x축은 시간축(100msec)으로 정의되며, 조향 제어 데이터와 변위차의 y축은 센서 변위량(%)을, 조향 각도의 y축은 Degree(˚)로 정의된다.

그림 10 Gain 1일 때의 조향 제어 성능 그래프

Fig. 10 Steering control performance graph at Gain 1

../../Resources/kiee/KIEE.2021.70.1.213/fig10.png

그림 11 Gain 4일 때의 조향 제어 성능 그래프

Fig. 11 Steering control performance graph at Gain 4

../../Resources/kiee/KIEE.2021.70.1.213/fig11.png

그림 12 Gain 5일 때의 조향 제어 성능 그래프

Fig. 12 Steering control performance graph at Gain 5

../../Resources/kiee/KIEE.2021.70.1.213/fig12.png

그림 13 Gain 6일 때의 조향 제어 성능 그래프

Fig. 13 Steering control performance graph at Gain 6

../../Resources/kiee/KIEE.2021.70.1.213/fig13.png

그림 14 Gain 10일 때의 조향 제어 성능 그래프

Fig. 14 Steering control performance graph at Gain 10

../../Resources/kiee/KIEE.2021.70.1.213/fig14.png

4.2 조향 제어 성능 분석

지금까지의 실험들을 통해 나온 그래프들로 조향 제어 성능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두둑의 위치 편차 상태와 조향 각도 형태를 분석하여야 한다.

두둑의 위치 편차 값이 0에 수렴하는지의 여부를 통해 두둑의 추종 성능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전륜부에 부착된 와이어 포텐셔미터 센서(WPS)에서 감지된 허용 조향 각도 값을 통하여 조향 시 옆 두둑으로의 침범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각 그래프들이 나타내는 raw data들의 상세 의미는 다음과 같다.

Gain 값에 따른 조향 제어 그래프를 살펴보면, 그림 10의 Gain 1부터 그림 11의 Gain 4까지는 언더슈트 현상으로 인하여 초기에 좌측 센서와 우측 센서의 폭이 넓다가 서서히 좁아지며 수렴하는 형태로 나타난다.

또한 두 번째 칸에 녹색으로 표시된 두둑의 위치 편차 역시 0에 수렴하는 속도가 느린 것이 확인된다.

다만 세 번째 칸에 파란색으로 표시된 허용 조향각도 값은 ±5˚를 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다.

즉, 타겟 조향 각도에 비해 실제 조향 각도 값이 둔감하게 작동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림 12의 Gain 5는 좌측 센서와 우측 센서의 폭이 거의 일치하며 수렴하는 형태로 나타난다.

또한 두 번째 칸에 녹색으로 표시된 두둑의 위치 편차 역시 거의 0에 수렴하는 형태로 나타나며 안정적으로 두둑의 센터를 추종하며 주행한 것으로 확인된다.

그리고 세 번째 칸에 파란색으로 표시된 허용 조향각도 값도 ±5˚를 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다.

즉, 타겟 조향 각도 대비 실제 조향 각도 값이 거의 일치하며 두둑을 안정적으로 추종하며 작동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림 13의 Gain 6부터 그림 14의 Gain 10까지는 오버슈트 현상으로 인하여 좌측 센서와 우측 센서의 값이 서로 역전되며 좌우로 심하게 움직이고 조향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형태로 나타난다.

또한 두 번째 칸에 녹색으로 표시된 두둑의 위치 편차 역시 0에 수렴하지 못하며 두둑의 센터를 안정적으로 추종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그리고 세 번째 칸에 파란색으로 표시된 허용 조향각도 값도 ±5˚를 넘어서며 옆 두둑을 침범하는 사례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즉, 타겟 조향 각도에 비해 실제 조향 각도 값이 민감하게 작동하였다고 볼 수 있다.

지금까지 분석한 작업 속도에 따른 5가지 Gain 값에 대한 두둑의 위치 편차, 즉 변위차에 대한 표준편차 그래프는 아래 그림 15와 같다.

또한 이론적 수식으로 구하였던 작업 속도 1km/h에서 고랑 내 허용 가능한 조향 각도인 0˚~5˚의 범위는 실제 실험 결과들을 근거로 아래 표 7에서처럼 비교 및 검증되었다.

그림 15 Gain 별 변위차에 따른 표준편차

Fig. 15 Standard deviation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difference by gain

../../Resources/kiee/KIEE.2021.70.1.213/fig15.png

표 7 이론값과 실험값을 통한 조향각도 비교 검증

Table 7 Steering angle comparison verification through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values

1km/h

실험값

이론값

검증

결과

최소 조향

각도(˚)

최대 조향

각도(˚)

허용 조향

각도(˚)

Gain 1

0.03

1.80

0.00˚~5.00˚

허용

Gain 4

0.08

6.67

침범

Gain 5

0.08

3.67

허용

Gain 6

0.08

9.58

침범

Gain 10

0.08

17.33

침범

표 7의 결과를 통하여 Gain 1과 Gain 5일 때 허용 조향 각도 범위 내에서 조향이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Gain 1은 변위차 그래프 결과를 통해 언더슈트 현상으로 인해 두둑의 센터를 추종하는 반응 속도가 매우 느리고 둔감하게 작동함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지금까지 비교 정리한 그림 15의 변위차 데이터와 표 7의 조향 각도 데이터 결과를 통하여 자주식 감자 수확기의 작업 속도인 1km/h에서 Gain 5일 때, 가장 안정적이고 정밀하게 두둑의 센터를 추종하며 최적의 조향 제어 성능을 구현할 수 있음을 확인 및 검증하였다.

5. 결 론

본 논문에서는 오프로드 형태의 밭두둑이라는 평지 노면에서 저속으로 작업 및 주행을 하는 자주식 감자 수확기에 적용 가능한 센서 기반의 조향 제어 시스템을 설계하고 실험하여 최적의 조향 제어 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Gain 값을 도출하였다.

이번에 연구 개발한 변위차 두둑 추종 방식의 센서 기반 조향 제어 시스템은 기존의 GPS나 Lidar 또는 3D 카메라 등의 시스템보다 단순하고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영상 정보나 대용량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매우 복잡한 알고리즘 생성 및 고가의 MCU 등이 필요하지 않다.

또한 굴취부 전방에 사다리꼴 형태로 배치한 좌/우 포텐셔미터 센서 값의 변위차를 이용하여 균일하지 못한 두둑의 높이나 폭에 상관없이 두둑의 중앙 부위를 정밀하게 추종하며 주행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조향 각도 생성 알고리즘에 따라 최적의 조향 각도를 얻기 위해 두둑 포장 실험을 진행하였고, 가장 안정적으로 두둑을 추종할 수 있는 최적의 Gain 값을 찾아내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기존 논농사용 및 실내용 조향 시스템 및 알고리즘 대비 차별화되며 단순하고 저렴한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는 실외 밭 환경인 두둑에서도 안정적이고 정밀하게 작업 경로를 추종하며 주행할 수 있는 자주식 감자 수확기용 조향 제어 시스템을 개발하였음을 확인하였다.

향후에는 비례제어밸브로 유압 회로를 변경하고, 일반적인 평지 외에 경사지 노면과 일부 곡선으로 이루어진 밭두둑에 대한 이론적 검토와 현장 실증을 거친 뒤 이러한 악조건의 두둑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기준 두둑을 추종하며 주행할 수 있는 한층 더 강인한 조향 제어 시스템 개발 및 농기계용 자동화・무인화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계속하고자 한다.

Acknowledgements

본 결과물은 농림축산식품부의 재원으로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의 첨단생산기술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319042-03)

This work was supported by Korea Institute of Planning and Evaluation for Technology in Food, Agriculture, Forestry(IPET) through Advanced Production Technology Development Program, funded by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319042-03)

References

1 
Junnan Yin, Dequan Zhu, Juan Liao, Guangyue Zhu, Yao Wang, Shun Zhang, 2019, Automatic Steering Control Algorithm Based on Compound Fuzzy PID for Rice Trans- planter, Journal of the MDPI(applsci), Vol. 9, No. 13, 2666, pp. 1-14DOI
2 
C. H. Choi, W. J. Yang, M. J. NahmGung, Y. J. Kim, 2002, Performance of Automatic Guidance System for Combine at Turning and Curved Paths, The korean Society of the Agricultural Machinery Conf., pp. 494-500Google Search
3 
S. I. Cho, Y. S. Park, C. H. Choi, H. Hwang, M. L. Kim, 2001, Development of Autonomous Combine Using DGPS and Machine Vision,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Vol. 26, No. 1, pp. 29-38Google Search
4 
Byung Ho Yoon, Young Kook Kim, Jeong Do Ahn, Jong Won Park, Jin Yi Lee, Soo Hyun Kim, 2013, Wheel Design for Paddy Weeder Robot,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Conf., pp. 525-526Google Search
5 
Kyoung Chul Kim, Beom Sahng Ryuh, Chang Wan Yang, Kyo Gun Chang, 2010, Development of Semi-Autonomous Pesticide Spray Robot for Glass House Rose Farm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Vol. 27, No. 9, pp. 34-42Google Search
6 
Dong Hyun Seo, IL Hwan Seo, Sun Ok Chung, Ki Dae Kim, 2010, Development of Steering Control System based on CAN for Autonomous Tractor System,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Vol. 37, No. 1, pp. 123-130DOI
7 
IL-Hwan Seo, Dong-Hyun Seo, Man-Soo Kim, Sun-Ok Chung, Ki-Dae Kim, 2011, Development of Recognition System of Field Shape and Tillage Characteristics for Autonomous Tractor,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Vol. 38, No. 2, pp. 343-347DOI
8 
Hoon Lim, Myoung-Kook Seo, Young Hun Joo, Byong-Un Yun, Byoung-Ju Bang, 2019, Development of An Intelligent Control System for a Underground Crop Harvester, Journal of the KIEE P, Vol. 68p, No. 3, pp. 173-179Google Search
9 
http://www.sh-ind.co.kr/xe/index.php?mid=page_selfGoogle Search
10 
http://tiron.kr/html/KOR/ebrochure/2018_ENG_AGR/AGR-ENG-2018.pdfGoogle Search
11 
Hoon Lim, 2019, A Preliminary Analysis of the Work Environ- ment of Potato Producing Areas Nationwide for the Development of Self-Propelled Potato Harvesters in 2019Google Search
12 
YAO Kai, WANG Youjun, HOU Zhongming, ZHAO Xiaowen, 2008, Optimum Design and Calculation of Ackerman Steering Trapezium, IEEE, 2008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lligent Computation Technology and Automation (ICICTA), pp. 1248-1252DOI
13 
Min Wan Choi, Jun Seok Park, Bong Soo Lee, Man Hyung Lee, 2008, The Performance of Independent Wheels Steering Vehicle(4WS) applied Ackerman Geometry, Control, Automation and Systems 2008 International Conf., pp. 197-202Google Search
14 
Mi Ok Kim, Jung Han Lee, Wan Suk Yoo, 2009, A Study on the Optimum Velocity of a Four Wheel Steering Autonomous Robot, Transaction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Vol. 17, No. 4, pp. 86-92Google Search
15 
Ranbir Singh, Sandeep Phogat, Kanwarpal, 2017, Analytical Evaluation of Steering Errors in a Front Wheel Steered Vehicle, International Journal of Mechanics and Solids, Vol. 12, No. 1, pp. 53-59Google Search
16 
Matthew D. Berkemeier, 2013, Optimal, Stable Switching between Arcs during Low-Speed Ackerman Path Tracking with Rate-Limited Steering, 52nd IEEE Conference on Decision and Control, pp. 2208-2213DOI
17 
Guangzhao Tian, Baoxing Gu, Kai Chen, Yufeng Liu, Jianshen Wei, 2019, Method of Automatic Steering System Design and Parameter Optimisation for Small Tractors, Journal of Engineering (The Institution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IET)), Vol. 2019, No. 22, pp. 8353-8358Google Search
18 
Kyoung Chul Kim, Chang Wan Yang, Kyoung Ju Kim, Beom Sahng Ryuh, 2011, Development of Four-Wheel Independent Steering Driving Platform for Agricultural Robo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 neering, Vol. 28, No. 8, pp. 942-950Google Search
19 
Myeong-Jun Kim, Sun-Woo Baek, Jung-Ha Kim, 2018, A Study on Lead-Follow Algorithm using Sensor Fusion of The Autonomous Caterpillar Tractor, The Institute of Elec- 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Conf., pp. 892-894Google Search
20 
Paul Ritzen, Erik Roebroek, Nathan van de Wouw, Zhong- Ping Jiang, Henk Nijmeijer, 2016, Trailer Steering Control of a Tractor-Trailer Robot, IEEE Transactions on Control Systems Technology, Vol. 24, No. 4, pp. 1240-1252DOI
21 
Luca Bascetta, Davide A. Cucci, Matteo Matteucci, 2016, Kinematic Trajectory Tracking Controller for an All- Terrain Ackermann Steering Vehicle, IFAC-PapersOnLine, Vol. 49, No. 15, pp. 13-18DOI
22 
H. S. Son, S. H. Yang, J. W. Ha, G. W. Park, H. K. In, 2018, Development of Ridges Detection System using 2D-Lidar for Autonomous Navigation Assistance of Sowing Robots,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Conf., pp. 55-55Google Search
23 
Chang Ho Yun, Hak-Jin Kim, Chan-Woo Jeon, 2017, Furrow Detection and Real-time Path Planning Algorithm for Using Stereo Camera, The Korean Society of the Agricultural Machinery Conf., Vol. 22, No. 2, pp. 70-70Google Search
24 
Sang-Woo Yun, Chan-Woo Jeon, Chang-Ho Yun, Hak- Jin Kim, 2017, Study on Driving Baseline Generation Algorithm for an Upland Unmanned Vehicle Using Machine Vision, The Korean Society of the Agricultural Machinery Conf., Vol. 22, No. 2, pp. 127-127Google Search
25 
Renzo Fabrizio Carpio, Ciro Potena, Jacopo Maiolini, Giovanni Ulivi, Nicolas Bono Rossello, Emanuele Garone, Andrea Gasparri, 2020, A Navigation Architecture for Acker- mann Vehicles in Precision Farming, IEEE Robotics and Automation Letters, Vol. 5, No. 2, pp. 1103-1110DOI
26 
https://tocos.com/uploads/media/products/0001/01/c02510b8fee48392b56f662597101a9760a499ec.pdfGoogle Search
27 
https://ko.aliexpress.com/i/32952599423.htmlGoogle Search
28 
https://www.st.com/en/microcontrollers-microprocessors/stm32f4-series.htmlGoogle Search

저자소개

임훈 (Hoon Lim)
../../Resources/kiee/KIEE.2021.70.1.213/au1.png

2007년 동의대학교 전자공학과 공학사.

2009년 부산대학교 전자공학과 공학석사.

2010년 LG전자 HA제어연구소 주임연구원.

2014년~현재 건설기계부품연구원 선임연구원, 농기계 및 건설기계의 임베디드 시스템, 지능화, 자동화 관련 연구개발에 종사.

E-mail : hoon.lim@koceti.re.kr

Tel: 063-447-2578

서명국 (Myoung-Kook Seo)
../../Resources/kiee/KIEE.2021.70.1.213/au2.png

2006년 한국항공대학교 기계공학과 공학사.

2008년 광주과학기술원 기전공학과 공학석사.

2013년 광주과학기술원 기전공학과 공학박사.

2014년~현재 건설기계부품연구원 선임연구원, 건설기계의 환경인지 시스템, 영상처리, 3D 모델링&렌더링 관련 연구개발에 종사.

E-mail : seomk@koceti.re.kr

Tel: 063-447-2588

신희영 (Hee-Young Shin)
../../Resources/kiee/KIEE.2021.70.1.213/au3.png

2012년 한국해양대학교 기계공학과 공학사.

2014년 한국해양대학교 기계공학과 공학석사.

2014년~현재 건설기계부품연구원 선임연구원, 건설기계의 자동화 시스템 개발, 무인화, 지능화 관련 연구개발에 종사.

E-mail : hyshin@koceti.re.kr

Tel: 063-447-2579

윤병운 (Byong-Un Yun)
../../Resources/kiee/KIEE.2021.70.1.213/au4.png

1995년 아주대학교 생산자동화공학과 공학사.

1997년 아주대학교 기계공학과 공학석사.

1997년 삼성전자 자동화연구소 연구원.

2005년 신흥공업사 근무.

2017년~현재 신흥공업사 기업부설연구소 연구소장.

E-mail : sh5347@gmail.com

Tel: 031-352-5347

방병주 (Byoung-Ju Bang)
../../Resources/kiee/KIEE.2021.70.1.213/au5.png

1989년 전북대학교 금속재료공학과 공학사.

1990년 수산중공업 근무.

2003년 지노무역 근무.

2017년~현재 신흥공업사 수석연구원.

E-mail : roombj@hanmail.net

Tel: 010-7600-7955

주영훈 (Young-Hoon Joo)
../../Resources/kiee/KIEE.2021.70.1.213/au6.png

1982년 연세대학교 전기공학과 공학사.

1984년 연세대학교 전기공학과 공학석사.

1995년 연세대학교 전기공학과 공학박사.

1986년 삼성전자 생산기술센터 팀장.

1995년~현재 군산대학교 IT정보제어공학과 교수.

2009년 한국지능시스템학회 회장.

2016년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부회장.

2016년~현재 교육부선정 중점연구소장(군산대학교 풍력기술연구센터장).

2018년~2019년 대한전기학회 회장.

E-mail : yhjoo@kunsan.ac.kr

Tel: 063-469-4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