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School of Electronic and Electrical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Korea.)



Repetitive controller, Microinverter, Coupled inductor, single-phase inverter

1. 서 론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 변화에 대응하고 고품질의 안정적인 전력 공급하기 위해 분산 전원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태양광, 수소 연료 전지 및 열전 에너지와 같은 신재생에너지 모듈로부터 직류 전원을 교류전원으로 전력을 변환시켜 계통으로 전달시키는 모듈장착형인버터(Module Integrated Inverter: MII 혹은 Microinverter)대두되고 있다(1-3). 이러한 모듈장착형인버터는 모듈마다 개별 인버터가 설치되기 때문에 중앙집중식 인버터에 비해 모듈별 최대 이용 가능한 에너지를 전력으로 생산 가능할 뿐만 아니라, 안정성 향상, 유지 보수면에서도 효과적인 인버터 방식이라 할 수 있다(1). 모듈장착형인버터는 최종적으로 출력단에 계통과 연계되기 때문에 출력 전류의 총 고조파 왜율 (THD: total harmonic distortion)과 관련한 계통 연계 기준에 만족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크기 소형화, 저비용 및 높은 전력 변환 효율을 지니는 인버터로 설계되어야 한다. 이러한 모듈장착형인버터의 요구조건에 만족하기 위해 여러 회로 토폴로지가 제안되었다(2-3).

모듈장착형인버터의 초창기에는 기본적인 인버터 방식인 2단계 인버터 방식이 널리 이용되었다(2-3). 2단계 인버터 방식은 DC/DC 승압형 컨버터와 DC/AC 인버터로 이루어져 있어, 구조 단순하고 제어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큰 출력단 필터 크기와 많은 소자 수, 그리고 높은 스위칭 주파수를 지니는 능동 소자가 많기 때문에 저비용, 높은 전력변환효율을 달성하기가 어렵다. 최근 이를 해결하기 위해 언폴딩 타입(unfolding-type) 인버터가 모듈장착형인버터 방식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4)-(8). 언폴딩 타입 인버터는 앞단의 컨버터 단에서 직류전압을 전파정류된 전압으로 변환시키고 마지막단의 언폴딩 브릿지에서 저주파 스위칭으로 최종 교류전압으로 출력시킨다. 첫번째 컨버터 단에서 적은 수의 고주파 능동소자로 한번에 전파정류된 교류성 전압을 변환시킨다는 점과 저주파 능동소자로 작동하는 언폴딩 브릿지가 저가의 MOSFET 및 사이리스터로 사용가능하다는 점에서 높은 효율과 동시에 저비용 달성이 가능하다. 언폴딩 타입 인버터에 적용 가능한 토폴로지로는 대표적으로 플라이백(flyback) 컨버터가 있다(4-5). 플라이백 기반의 인버터는 넓은 입력전압 범위, 고효율, 적은 소자 수에 따른 저비용, 그리고 변압기에 의한 승압 용이하다는 특징으로 모듈장착형인버터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4-5). 하지만, 변압기의 단방향 여자로 인한 포화가 쉽게 된다는 점과 1차측 스위치의 과도 전압 등의 이유로 전력을 올리는데 한계점을 지닌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Ćuk 토폴로지 회로를 모듈장착형인버터에 적용할 수 있다(6-8). 기존의 플라이백 기반 인버터와 마찬가지로 넓은 입력전압 범위와 고효율 달성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변압기를 추가하여 높은 승압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입력 및 출력 측의 인덕터 덕분으로 입출력 전류 리플을 줄일 수 있고 그로인해 출력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필터 설계 또한 최소화 할 수 있다. 그리고 단방향 여자 특성을 지니는 플라이백 토폴로지와 달리 Ćuk 토폴로지는 변압기의 양방향 여자로 인해 전력 증가에도 용이하다(6). 이러한 특성으로 태양광 및 열전 발전을 위한 모듈장착형 인버터에 적용되었으며(7-8), 언폴딩 타입 인버터의 무효전력 능력을 보완하고자 무효 전력 시에는 2단계 인버터 방식으로 전환되는 하이브리드 모드 Ćuk 인버터가 제안되었다(9). 하지만 Ćuk 토폴로지는 2개의 인덕터로 인해 비용과 크기가 증가할 수 있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이를 보완하고자 인덕터의 소자 크기를 줄여 계통 전압의 한 주기 동안 CCM(Continuous conduction mode)과 DCM(Discontinuous conduction mode) 동작 모두를 가지는 듀얼모드 Ćuk 인버터가 제안되었으나(10), 스위치 소자의 손실 증가 등의 이유로 인덕터 소자 크기를 줄이는데 한계점을 지닌다.

본 논문에서는 커플드 인덕터(coupled-inductor) 기반의 계통연계형 Ćuk CCM 인버터를 제안하고, 해당 인버터의 모델링을 수행하여 이를 토대로 반복학습제어기 기반의 제어 설계 방법에 대해 제시한다. 제안된 인버터는 입출력단측에 위치한 2개의 인덕터를 커플드 인덕터로 구성하여 회로 소자수를 줄였을 뿐만 아니라 상호 인덕턴스 효과를 이용하여 적은 와인딩 수로 더 큰 유효 인덕턴스 효과를 얻어 낼 수 있다. 제안된 인버터는 전파정류된 사인파형(rectified sinusoidal waveform)을 출력하는 컨버터부와 저주파 스위칭 동작을 취하는 언폴딩 회로부로 구성된 단일단 인버터(single power conversion inverter) 방식을 채택하였으며, 첫 번째 컨버터 역할을 Ćuk CCM 토폴로지가 담당하게 된다. 그래서 이러한 계통 연계형 단일단 인버터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전파정류된 전류파형을 추적하도록 컨버터의 제어기를 설계하면 된다. 하지만, 커플드 인덕터 기반의 Ćuk CCM 토폴로지는 전달함수에 우반면 영점을 지니고 있어 기존의 선형 제어기로 좋은 성능의 출력 전류 제어기를 설계하는데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먼저 제시된 해당 인버터 모델링을 토대로 우반면 영점 위치를 확인해보도록 한다. 그리고 반복학습제어기 기반의 제어시스템을 구성하여 안정성 검증 조건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전체 시스템의 안정성을 고려한 제어 파라미터를 도출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200W급 계통 연계형 인버터 시작품을 이용한 실험을 통해 제안된 제어기 설계 및 성능을 검증하고자 한다.

2. 인버터 원리 및 동적 모델링

그림. 1. 커플드 인덕터 기반의 Ćuk CCM 인버터 회로도

Fig. 1. Circuit diagram of the Ćuk CCM inverter with coupled–inductor

../../Resources/kiee/KIEE.2022.71.1.079/fig1.png

그림. 2. 커플드 인덕터 기반의 Ćuk CCM 인버터 등가 회로

Fig. 2. Equivalent circuit of the Ćuk CCM inverter with coupled-inductor

../../Resources/kiee/KIEE.2022.71.1.079/fig2.png

2.1 동작원리

그림 1은 커플드 인덕터를 이용한 Ćuk CCM 인버터를 나타낸 회로이다. 해당 인버터는 언폴딩 브릿지(Unfolding–bridge)가 연계된 계통 연계형 단일단 인버터(Single power conversion inverter)로서 Ćuk CCM 컨버터단에서 직류 입력 전원을 전파정류된 교류 전력으로 출력하고, 언폴딩 브릿지 회로에서 이를 정현파형을 지니는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계통으로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단일단 인버터 방식은 승압형 컨버터와 H-bridge 인버터로 구성된 기존의 두단계 인버터(two-stage inverter) 방식과 달리 고주파수 스위칭 소자가 Ćuk CCM 컨버터 단에만 존재하여 고효율 달성이 용이하며, DC-link단 제거로 큰 커패시터를 제거할 수 있어 고전력밀도 달성에도 용이한 인버터 방식이다(4)-(7).

첫번째 Ćuk CCM 컨버터단은 1개의 전력 스위치 $S_{1}$와 1개의 다이오드 $D_{1}$, 3개의 캐패시터 $C_{1}$, $C_{2}$, $C_{3}$, 절연 및 승압을 위한 이상적 변압기 T, 그리고 $L_{1}$, $L_{2}$의 인덕턴스와 M의 상호 인덕턴스를 가지는 커플드 인덕터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커플드 인덕터의 커플링 계수(coupling coefficient)는 아래와 같이 정의된다.

(1)
$k=\dfrac{M}{\sqrt{L_{1}L_{2}}}$

그림. 3. 커플드 인덕터 기반의 Ćuk CCM 컨버터의 핵심 파형

Fig. 3. Key waveforms of the Ćuk CCM inverter with coupled–inductor

../../Resources/kiee/KIEE.2022.71.1.079/fig3.png

그림. 4. 커플드 인덕터 기반의 Ćuk CCM 인버터 동작 모드

Fig. 4. Operating phases of the Ćuk CCM inverter with coupled–inductor

../../Resources/kiee/KIEE.2022.71.1.079/fig4.png

두 번째 언폴딩 브릿지 회로는 4개의 전력 스위치를 가지는 H-brdige로 구성되어 있으며, 출력단에는 필터 인덕터 $L_{f}$와 연결된다. 여기서 $R_{C3}$와 $R_{Lf}$는 각각 $C_{3}$와 $L_{f}$의 기생 저항성분이며, 계통은 계통 인덕턴스 성분 $L_{g}$와 전압원 $v_{g}$로 표현할 수 있다. 인덕터 $L_{1}$, $L_{2}$에 흐르는 전류는 각각 $i_{L1}$과 $i_{L2}$로 정의하고 캐패시터 $C_{1}$, $C_{2}$, $C_{3}$에 걸리는 전압은 각각 $v_{C1}$, $v_{C2}$, $v_{C3}$로 정의한다. 언폴딩 브릿지는 계통 전압 주파수에 맞게 스위칭 동작하기에 커플드 인덕터 기반의 Ćuk CCM 컨버터단의 출력 측에서는 전파정류된 교류전력을 출력하게 된다. 그러므로 그림 2와 같이 교류 전원공급원을 전파 정류된 전원공급원 $\left | v_{g}\right |$으로 수정한 등가회로로 사용가능하다.

Ćuk CCM 컨버터는 스위치 $S_{1}$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두가지 모드로 나누어 해석할 수 있다. 주요동작 파형은 그림 3으로 나타내었으며, 컨버터의 출력 전압이 전파정류된 사인파형으로 출력점이 변화하기에 이에 따라 컨버터의 동작점과 변동하지만 스위칭 한주기 동안의 스위치가 ON되는 시간 외엔 동작 모드 양상은 동일하다. 따라서 특정 동작점에서의 한주기 동안의 동작 모드 해석은 아래와 같다.

Mode I(0 ~ $DT_{s}$): $S_{1}$ ON상태 시, $D_{1}$는 OFF되며 인덕터 $L_{1}$, $L_{2}$에 흐르는 전류는 상승한다. 동시에 $C_{1}$에 저장된 에너지가 변압기 T를 통해 2차측으로 전달되며, 결국 $C_{2}$에 저장된 에너지와 함께 최종 출력단으로 전달된다.

Mode II($DT_{s}$ ~ $T_{s}$): $S_{1}$ OFF상태 시, $D_{1}$는 ON되며 인덕터 $L_{1}$, $L_{2}$에 흐르는 전류는 하강하는 동시에 커패시터 $C_{1}$, $C_{2}$를 충전시킨다. 이러한 인덕터와 커패시터의 전압, 전류 파형은 그림 3과 같다.

Ćuk CCM 컨버터를 전파 정류된 교류 전력으로 출력시키기 위해서는 한 스위칭 주기 동안의 $S_{1}$의 온 상태 시간 조절, 즉 스위치 $S_{1}$의 듀티 사이클 d 조절을 통해 가능하다. 그리고 언폴딩 브릿지에서 전파 정류된 교류 전력을 정현파인 교류전력으로 변환시키기 위해서는 반주기 동안은 스위치 $S_{2}$, $S_{5}$가 도통되고 나머지 반주기 동안은 스위치 $S_{3}$, $S_{4}$가 켜진 상태로 유지된다.

2.2 동적 모델링

커플드 인덕터 기반의 Ćuk CCM 인버터는 한 스위칭 주기동안 스위치 온오프 상태에 따라 2가지 모드를 가진다. 그림 4의 등가 회로로부터 첫 번째 모드구간($S_{1}$ ‘ON’상태)과 두 번째 모드구간($S_{1}$ ‘OFF’상태)에서의 상태 공간 방정식은 아래와 같다.

(2)
../../Resources/kiee/KIEE.2022.71.1.079/equ2.png

(3)
../../Resources/kiee/KIEE.2022.71.1.079/equ3.png

여기서 상수 Mk는 $M_{k}=L_{1}L_{2}-M^{2}$로 커패시턴스 $C_{12}$는 $C_{12}=(C_{1}C_{2})/(C_{1}+n^{2}C_{2})$로 정의한다. 위 두 모드에서의 상태공간 방정식을 스위칭 주기 $T_{s}$에 대해 평균화한 모델은 아래와 같다.

(4)
../../Resources/kiee/KIEE.2022.71.1.079/equ4.png

여기서 상태변수는 $x(t)=\left[i_{L1}(t),\: i_{L2}(t),\: v_{C12}(t),\: v_{C3}(t),\: i_{o}(t)\right]$로 정의한다. 위 비선형적인 방정식을 특정 동작 점에서의 선형화를 통해 아래 소신호 모델을 얻을 수 있다.

(5)
../../Resources/kiee/KIEE.2022.71.1.079/equ5.png

(6)
$\hat{y}(t)=\left[\begin{array}{lllll}0 & 0 & 0 & 0 & 1\end{array}\right] \hat{\mathrm{x}}(t)$

위 대문자 상태 변수 $X=\left[I_{L1},\: I_{L2},\: V_{C12},\: V_{C3},\: I_{o}\right]$, D는 특정 동작 점에서의 $x(t)=\left[i_{L1}(t),\: i_{L2}(t),\: v_{C12}(t),\: v_{C3}(t),\: i_{o}(t)\right]$값으로 정의되며, 상태 변수 $\hat x(t)$, $\hat y(t)$는 상태변수 x(t), y(t)의 특정 동작 점에서의 미소 변화량을 나타낸다.

위 소신호 모델을 이용하여 특정 동작 점의 전달 함수를 얻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인버터의 동특성 및 안정도를 분석할 수 있다. 듀티 입력에 대한 출력 전류의 전달함수를 구하면 아래와 같다.

(7)
$G_{id}(s)=\dfrac{\hat i_{f}(s)}{\hat d(s)}=\dfrac{a_{1}s^{3}+a_{2}s^{2}+a_{3}s+a_{4}}{b_{1}s^{5}+b_{2}s^{4}+b_{3}s^{3}+b_{4}s^{2}+b_{5}s+b_{6}}$

위 파라미터 $a_{i}(i=1,\:...,\:4)$, $b_{j}(j=1,\:...,\:6)$의 값은 부록을 참조 바란다. 기존의 Ćuk CCM 토폴로지의 전달함수의 경우 전달 함수에 2개의 우반면 영점(Right-half-plane zero: RHPZ)을 지니고 있어 위상 처짐(phase-lag)이 발생하고 그로인해 충분한 위상 여유를 가지지 못한다. 마찬가지로 식(4)에서 얻어진 제안된 회로의 전달 함수 또한 1개의 좌반면 영점(Left-half-plane zero: LHPZ)과 2개의 우반면 영점(Right-half-plane zero: RHPZ)를 지니고 있어 위상 처짐이 발생하게 된다. 그래서 기존의 PI(Proportional-Integral) 제어기로는 충분한 명령 추종 성능을 가지기 위한 큰 제어 이득 값을 가지는데 한계를 지니게 된다.

디지털 제어 환경에서 제어기를 설계하기 위해서 연속 시간 전달 함수 모델을 샘플링 시간 $T_{s}$에 대한 이산 시간 전달 함수로 아래와 같이 변환이 필요하다.

(8)
$G_{id}(z)=\dfrac{\hat i_{f}(z)}{\hat d(z)}=\dfrac{l_{1}z^{4}+l_{2}z^{3}+l_{3}z^{2}+l_{4}z+l_{5}}{m_{1}z^{5}+m_{2}z^{4}+m_{3}z^{3}+m_{4}z^{2}+m_{5}z+m_{6}}$

위 파라미터 $l_{i}(i=1,\:...,\:5)$, $m_{j}(j=1,\:...,\:6)$의 값은 생략한다.

3. 제어기 설계

3.1 피드포워드 제어기 및 PI 제어기

계통연계형 Ćuk CCM 인버터의 최종 제어 목표는 출력 전류를 계통 전압과 같은 위상을 가지는 정현파형을 지니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커플드 기반의 Ćuk CCM 인버터단의 출력 전류는 전파 정류된 정현파형으로 제어되어야 한다. 이러한 출력 전류 제어기 설계를 위해 우선, 폐루프 제어시스템이 안정화되도록 PI 제어기 설계하고 피드백 제어기 부담을 줄여주기 위한 피드포워드 제어기를 아래와 같이 설계하도록 한다.

(9)
$C_{"\pi "}(z)=k_{p}+k_{i}\dfrac{T_{s}}{1-z^{-1}}$

(10)
$D_{ff}(k)=\dfrac{\left | V_{g}\left(k T_{s}\right)\right |}{\left | V_{g}\left(k T_{s}\right)\right | +n V_{i}\left(k T_{s}\right)}$

여기서, $k_{p}$와 $k_{i}$는 각각 P 제어기 이득과 I 제어기 이득 값을 나타낸다. 그리고 위의 피드포워드 제어기는 인덕터 $L_{1}$, $L_{2}$, $L_{f}$의 volt–second balance law를 적용하여 유도된 듀티 사이클 값이다.

하지만, 위 피드포워드 및 PI 제어기로는 해당 인버터 시스템 전달함수에 우반면 제로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충분하지 않은 위상 여유로 만족할만한 제어 성능을 얻어 내기 힘들다. 제어 성능 향상을 위해 그림 5와 같이 반복 학습 제어기(Repetitive controller, RC)를 추가적으로 설계하도록 한다.

그림. 5. 제안 제어 시스템 블록선도

Fig. 5. Block diagram of the proposed control system

../../Resources/kiee/KIEE.2022.71.1.079/fig5.png

3.2 반복 학습 제어기

반복 학습 제어기는 이전 주기에서 발생한 오차를 다음 주기 제어에서 이용하는 방식으로 반복된 학습된 제어 입력에 의해 오차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제어 방식이다(11). 이러한 특성으로 반복 학습 제어기는 주기적인 외란을 지니는 커플드 인덕터 기반의 계통 연계형 Ćuk CCM 인버터에 적용하기 효과적인 제어기이다. 반복 학습 제어기의 개루프 전달함수는 아래와 같다.

(11)
$C_{rc}(z)=k_{r}\dfrac{z^{-N}Q(z)}{1-z^{-N}Q(z)}G_{pl}(z)$

여기서 $k_{r}$는 반복학습제어기 이득 값이며, 정수 N은 지령 주파수 $f_{g}$에 대한 샘플링 주파수 $f_{s}$의 비율(N = $f_{s}$/$f_{g}$)로 정의된다. 위 전달함수를 분석해 보면 기본 주파수 및 그 배수의 주파수 지점에 극점을 가지고 있어 해당 주파수 지점의 고조파 성분을 효과적으로 보상할 수 있다. Q(z)는 시스템 강인성을 위한 저역 통과 필터이며, $G_{pl}$(z)는 위상 앞섬 보상기(Phase-lead com- pensator)를 나타낸다. 해당 인버터 전달함수의 우반면 영점에 의한 위상 처짐을 보상하기 위해 위상 앞섬 보상기 $G_{pl}$(z)를 설계하며 구현 편의성을 위해 선형 타입의 위상 앞섬 보상기(Linear-type phase-lead compensator)를 사용하도록 한다.

(12)
$G_{pl}(z)=z^{m}$

여기서 m은 prediction index값이다.

최종적으로 제안 제어 시스템은 피드포워드 제어기와 PI 제어기, 반복 학습 제어기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PI제어기 이득 값은 위상 여유를 고려하여 폐루프 시스템이 안정성을 유지하는 선에서 적절히 설계되어야 한다. 또한 반복 학습 제어기의 이득 값, 저역 통과 필터 Q(z) 및 위상 앞섬 보상기 $G_{pl}$(z) 파라미터 값들도 시스템의 안정성과 제어 성능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되어야 한다. 이러한 제어 파라미터 설계를 위해 다음절에서는 전체 제어시스템의 안정성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그림. 6. 제안된 제어 시스템의 수정

Fig. 6. Modification of the proposed control system

../../Resources/kiee/KIEE.2022.71.1.079/fig6.png

3.3 안정성 분석

앞에서 제안된 제어 시스템의 안정성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우선, 그림 5로부터 출력 지령 y*(z)에 대한 에러 e(z)의 전달 함수를 도출하면 아래와 같다.

(13)
$\dfrac{e(z)}{y^{*}(z)}=\dfrac{\left(1-Q(z)z^{-N}\right)\left(1-G_{cl}(z)\right)}{1-Q(z)z^{-N}\left(1-k_{r}z^{m}G_{cl}(z)\right)}$

여기서 $G_{cl}$(z)는 PI 제어기만을 고려한 폐루프 전달함수

(14)
$G_{cl}(z)=\dfrac{C_{pi}(z)G_{id}(z)}{1+C_{pi}(z)G_{id}(z)}$

이다.

위 전달함수를 수정 재분석하면 그림 6와 같이 정궤환 폐루프(Positive feedback closed-loop system)를 가지는 시스템으로 표현 가능하다. 특히, 정궤환 부분의 안정성 분석을 위해 소이득 이론(small-gain theorem)을 사용하면 최종 제어 시스템의 안정성을 가지기 위한 조건은 아래와 같다(4).

그림. 7. 극점 배치도

Fig. 7. Pole placement map

../../Resources/kiee/KIEE.2022.71.1.079/fig7.png

그림. 8. 전달함수 $z^m G_{cl}$(z)의 위상 그래프

Fig. 8. Phase plot of $z^m G_{cl}$(z)

../../Resources/kiee/KIEE.2022.71.1.079/fig8.png

(a) 폐루프 전달함수 $G_{cl}$(z)은 안정적이다.

(b) |Q(z)| < 1, ∀$z=e^{j\omega T_{s}}$, $0<\omega <\pi /T_{s}$

(c) $\left | 1-k_{r}G_{pl}(z)G_{cl}(z)\right | <1$, ∀$z=e^{j\omega T_{s}}$, $0<\omega <\pi /T_{s}$

위 안정성 조건 (a)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폐루프 전달함수 $G_{cl}$(z)의 극점이 z평면 원점을 중심으로 둔 단위원 내부에 위치하도록 PI 제어기 이득 값 $k_{p}$, $k_{i}$를 도출하면 된다. 안정성 조건 (b)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저역통과필터 Q(z)를 다음과 같이 2차 FIR(Finite impulse response)필터(4)로 설계하도록 한다.

(15)
$Q(z)=\alpha_{0}+\alpha_{1}z+\alpha_{1}z^{-1}$

여기서 위 필터가 안정성 조건 (b)을 만족하기 위해 파라미터 는 및 양수로 설정한다.

주파수 영역 디자인 방법(4)을 이용하여 안정성 조건 (c)를 아래와 같이 도출할 수 있다.

(16)
$0<k_{r}<\dfrac{2\cos\left(\theta_{g}\left(e^{j\omega}\right)+\theta_{m}\left(e^{j\omega}\right)\right)}{N_{g}\left(e^{j\omega}\right)}$

(17)
$\left |\theta_{g}\left(e^{j\omega}\right)+\theta_{m}\left(e^{j\omega}\right)\right | <\pi /2$

안정성 조건 (c)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위의 조건 (12), (13)이 저역 통과 필터 Q(z)의 차단 주파수 범위 내에서 만족해야 한다. 여기서, $N_{g}\left(e^{j\omega}\right)$는 $\left | G_{cl}\left(e^{j\omega}\right)\right |$, $\theta_{g}\left(e^{j\omega}\right)$는 $\angle G_{cl}\left(e^{j\omega}\right)$, $\theta_{m}\left(e^{j\omega}\right)$는 $\angle z^{m}$이다.

위상 앞섬 변수 값 m을 조절하여 최대한 넓은 주파수 영역에서 (17)식을 만족할 수 있으며, 이는 해당 주파수 범위에서의 고조파 성분을 감쇄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여기서 그 이후 주파수 영역 범위는 (17)식을 만족시키지 못하므로 저역통과필터 Q(z)의 차단 주파수(cut-off frequency) 조절을 통해 시스템의 안정성을 보장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17)식에서 도출된 m값을 (16)식 적용하여 최종 반복학습제어기 이득 값 $k_{r}$의 범위를 도출할 수 있다.

3.4 제어 파라미터 설정

앞 절에서는 제안된 제어 시스템의 안정성을 고려한 제어기 파라미터 설정 기준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 기준을 토대로 실제 제어기 파라미터를 도출해 보도록 한다. 먼저, 커플드 인덕터 기반의 Ćuk CCM 인버터 회로 규격(표 1)을 토대로 전달함수를 도출할 수 있다. 하지만, 인버터 동작의 경우 출력 전압이 정현파형을 지니는 교류이므로 여러 동작점이 존재한다. 제어 시스템의 안정성을 위해서는 여러 동작점에서 도출된 전달함수를 이용하여 안정성 검증 절차를 진행해야 하지만, 설계 편의성을 위해 우반면 영점 영향이 가장 클 때인, 최대 순시 전력지점에서의 전달함수를 이용하며, 이를 샘플링 시간에 대한 이산 시간 모델로 변환하면 아래와 같다.

(18)
$G_{id}(z)=\dfrac{3.608z^{4}+3.212z^{3}+16.28z^{2}+10.8z+10.96}{z^{5}+0.4513z^{4}+1.037z^{3}-1.037z^{2}-0.4514z-0.999}$

앞 절에서 소개한 안정선 조건 (a)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전달함수 $G_{cl}$(z) (18)의 극점들이 모두 안정한 영역 내에 위치해야 한다. 그림 7의 제어 이득 값 $k_{p}$, $k_{i}$에 따른 극점 위치를 살펴보면 $k_{p}$는 0.01에서 0.15까지 $k_{i}$는 0.01에서 0.5까지일 때 극점이 단위원 내부에 위치함을 확인 할 수 있다. 여기서 적절한 이득 값 $k_{p}$ = 0.1, $k_{i}$ = 0.2를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표 1. 커플드 인덕터 기반의 Ćuk CCM 인버터 회로 규격

Table 1. Specification of the Ćuk CCM inverter with coupled-inductor

파라미터

기호

Input voltage

$v_{in}$

60Vdc

Grid voltage

$v_{g}$

220Vrms

Rated output power

$P_{o}$

200W

Switching frequency

$f_{g}$

60Hz

Transformer turns ratio

$N_{p}$:$N_{s}$

11:28

Switching frequency

$f_{s}$

40kHz

Input capacitance

$C_{in}$

2 mF

First capacitance

$C_{1}$

4.4μF

Second capacitance

$C_{2}$

100nF

Third capacitance

$C_{3}$

470nF

First inductance

$L_{1}$

162μH

Second inductance

$L_{2}$

428μH

Mutual inductance

M

122μH

Coupling coefficient

k

0.463

Filter inductance

$L_{f}$

300μH

소 자

기호

부품번호

Switch

$S_{1}$

IPP200N25N3G

Transformer core

T

PQ3535

Diode

$D_{1}$

C2D05120A

Unfolding bridge switch

$S_{2}$-$S_{5}$

IPP60R074C6

안정성 조건 (c)에서 도출된 조건 (17)을 최대한 넓은 영역에서 만족시키기 위해 앞섬 변수 값 m에 따른 전달함수 $z^m G_{cl}$(z)의 위상 값 변화를 살펴보도록 한다. 그림 8의 위상 그래프를 보듯이 앞섬 변수 값이 m = 3일 때 최대 주파수 영역에서 위상이 90도 이내 범위를 만족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고주파수 영역에서의 노이즈 영향에 대응하기 위해 차단주파수 82k rad/s를 가지는 저역통과필터 Q(z) (19)을 설계하도록 한다.

(19)
$Q(z)=0.8+0.1z+0.1z^{-1}$

최종 도출된 앞섬 변수 m = 3 값을 안정성 조건 (c)에서 도출된 또 다른 조건 (16)에 적용하여 얻어진 $k_{r}$의 범위는 0 < $k_{r}$ < 0.635이며, 적절한 이득 값 $k_{r}$ = 0.4를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기존의 Ćuk CCM 인버터(6)와 제어기 설계 관점에서 비교해보면 두 회로의 전달함수 모두 2개의 우반면 영점을 지니고 있기에 두 회로의 제어기 모두 위상 앞섬 보상기 기반의 반복학습제어기를 채택하였다. 하지만, 모델링 차이로 우반면 영점의 위치가 달라지므로 각 회로 시스템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위상 앞섬 보상기(12)의 파라미터, prediction index 값은 달리 설계되었다.

4. 시뮬레이션 및 실험 결과

제안된 커플드 인덕터 기반의 Ćuk CCM 인버터를 검증하기 위해 시뮬레이션 및 실험을 수행하였다. 표 1의 회로 규격을 기반으로 PSIM 2020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이 수행되었고, 또한 실험을 위해 그림 9과 같이 200W급 인버터 시작품이 제작되었다. 그리고 제작된 인버터는 계통 연계를 위해 출력단에 실제 계통을 연결하였고, 입력단에는 직류 전원 공급을 위해 PWX1500MH를 연결하였다. 제안된 반복학습제어기 기반의 제어 알고리즘은 TI사의 F28377D를 이용하여 구현되었고, 계통 전압을 센싱받아 Notch 필터 기반의 PLL(Phase- locked loop)알고리즘을 통해 전파 정류된 정현파형의 출력 전류 지령을 생성하였다.

그림. 9. 커플드 인덕터 기반의 Ćuk CCM 인버터 시작품

Fig. 9. Prototype of Ćuk CCM inverter with coupled-inductor

../../Resources/kiee/KIEE.2022.71.1.079/fig9.png

먼저 제안된 제어기 성능 비교를 위해 피드포워드 제어기 및 PI 제어기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이 수행되었다. 그림 10(a)와 같이 앞 절에서 설계된 이득 값 $k_{p}$ = 0.1, $k_{i}$ = 0.2로는 시스템의 안정성은 얻을 수 있으나, 명령 추종 성능을 가지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다. 추종 성능 향상을 위해 그림 10(b)과 같이 이득 값을 올리게 되면 파형이 심하게 왜곡되며, 심지어 시스템이 불안정해 짐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최적 설계된 반복학습제어기(m = 3)를 추가하면 그림 10(c)과 같이 안정적인 정현파형을 지니는 전류가 출력된다. 여기서 반복학습제어기의 위상 앞섬 보상기를 제외(m = 0)하면 그림 10(d)와 같이 출력 전류 파형이 불안정해 진다. 반복학습제어기의 위상 앞섬 변수 m 에따른 출력 전류의 전고조파왜율(THD: Total harmonic distortion)을 확인해 보면 표 2로부터 m = 3일 때 출력 전류의 THD값이 최소가 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안된 제어기의 동적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출력 전력을 순간 변화시켜 출력 전류의 추종 성능을 확인해 보았다. 그림 11(a)과 같이 목표 출력 전력을 200W에서 100W로 변환시켰을 때 혹은 반대로 변환 시, 출력 전류는 3개 사이클 이내로 목표 전류 파형을 추종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그림 11(b)를 보면 기존 PI 제어기 적용 상황에서 반복학습제어기를 추가시키면 출력 전류는 4개 사이클 이내로 목표 파형을 추종함을 확인할 수 있다. 표 3은 반복학습제어기 이득 값 $k_{r}$ 에 따른 출력 전류 추종 성능을 나타낸 것이며, 이득 값이 클수록 추종성능이 좋아지나, 0.6 보다 커지는 시점부터는 출력 파형이 불안정해 짐을 알 수 있다.

그림. 10. 정상상태 시뮬레이션 출력 파형

Fig. 10. Simulated waveform in the steady-state

../../Resources/kiee/KIEE.2022.71.1.079/fig10.png

그림. 11. 과도상태 시뮬레이션 출력 파형

Fig. 11. Simulated waveform in the transient state

../../Resources/kiee/KIEE.2022.71.1.079/fig11.png

그림. 12. 정상상태 실험 출력 파형: (a) 100W, (b) 200W

Fig. 12. Experimental waveform in the steady-state: (a) 100W, (b) 200W

../../Resources/kiee/KIEE.2022.71.1.079/fig12.png

그림. 13. 인덕터 $L_{1}$, $L_{2}$ 에 흐르는 전류 실험 파형

Fig. 13. Experimental waveform of currents flowing through inductor $L_{1}$, $L_{2}$

../../Resources/kiee/KIEE.2022.71.1.079/fig13.png

계통 연계된 시작품을 이용하여 커플드 인덕터 기반의 Ćuk CCM 인버터 성능을 검증하였다. 그림 12를 보면 반복학습제어기 기반의 제안된 제어기를 적용 시 200W 및 100W에서의 정상상태 파형은 시뮬레이션 파형과 마찬가지로 안정적인 정현파형을 지니는 전류가 출력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3는 인덕터 $L_{1}$과 $L_{2}$에 흐르는 전류 파형을 나타낸다. 스위치 $S_{1}$가 ON시 스위치 전압은 0 V가 되며 동시에 인덕터 $L_{1}$과 $L_{2}$에 흐르는 전류가 상승한다. 스위치 $S_{1}$가 OFF되면 스위치 전압이 상승하는 동시에 인덕터 $L_{1}$과 $L_{2}$에 흐르는 전류는 하강한다. 이때 각 인덕터 측에서의 자기 인덕턴스 $L_{1}$과 $L_{2}$는 각각 162μH, 428μH이나 122μH의 상호 인덕턴스의 영향(커플링 계수 0.463)으로 유효 인덕턴스는 각각 177.9μH, 1.36mH으로 실제 자기 인덕턴스에 의한 값보다 전류 리플이 더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래서 하나의 커플드 인덕터는 작은 자기인덕턴스 값으로도 더 큰 유효 인덕턴스값을 구현할 수 있기에 2개의 인덕터를 사용하는 기존의 Ćuk CCM 인버터보다 적은 비용과 작은 크기로 Ćuk 토폴로지 기반의 인버터 구현이 가능하다.

그림. 14. 과도상대 실험 출력 파형

Fig. 14. Experimental waveform in the transient state

../../Resources/kiee/KIEE.2022.71.1.079/fig14.png

그림. 15. 정격 전력에서의 출력 전류의 고조파 성분

Fig. 15. Frequency spectrum of the output current under full-load

../../Resources/kiee/KIEE.2022.71.1.079/fig15.png

그림 14을 보면 출력전력이 100W에서 200W로 변하는 과도상태에서도 불과 몇 사이클 내에 출력 전류가 사인파형을 추종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5을 보면 정격 전력에서의 출력 전류의 고조파 성분을 분석해 보면 3, 5, 7차와 같은 기본파의 홀수배를 가지는 고조파 성분이 짝수배 고조파 성분보다 상대적으로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출력전류의 전고조파왜율(THD)은 3.21%으로 고조파 성분의 비중은 미미하다.

그림. 16. 전력대별 전력변환효율 그래프

Fig. 16. Measured efficiency for different load conditions

../../Resources/kiee/KIEE.2022.71.1.079/fig16.png

그림. 17. Half load와 full-load일 때의 전력손실분포

Fig. 17. Power loss distribution at half-load and full-load

../../Resources/kiee/KIEE.2022.71.1.079/fig17.png

파워 미터기(WT330)를 이용하여 제작된 인버터 시작품의 효율이 측정되었다. 그림 16은 제작 인버터의 전력대별 효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최대 효율은 94.7%이며 CEC(California Energy Commission) weighted 효율은 94.0%이다. 그림 17은 half load와 full-load일 때의 전력손실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스위치 $S_{1}$가 가장 큰 손실을 차지하며, 그 중 도통손실은 전력증가에 따라 급격히 증가하지만 다른 소자들의 전력손실의 증가로 전체 손실 대비 스위치 손실 비율은 오히려 조금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나머지 능동소자들의 정격전력 때의 손실을 살펴보면, 다이오드 $D_{1}$는 전체 손실의 10.9%를 차지하며, 언폴딩 스위치 $S_{2}$-$S_{5}$는 저주파 스위칭으로 손실이 전체 손실의 1.3%로 상대적으로 미미함을 확인할 수 있다.

표 2. 앞섬 변수 m에 따른 출력전류 THD 시뮬레이션 값

Table 2. THD values of the output current with different phase lead step m

m

0

1

2

3

4

5

6

7

8

THD [%]

-

4.40

3.91

5.71

-

표 3. 이득 값 $k_{r}$에 따른 추종 성능 비교

Table 3. Comparison of tracking performance with different gains $k_{r}$

$k_{r}$

0.1

0.2

0.3

0.4

0.5

0.6

0.7

0.8

Settling time [cycles]

19

8

5

4

3

3

-

5. 결 론

본 논문에서는 계통 연계형 모듈장착형 인버터 설계를 위해 커플드 인덕터 기반의 Ćuk CCM 인버터를 선정하고, 계통 연계형 인버터에 요구되는 출력 전류의 성능을 만족시키기 위해 해당 인버터의 동적 모델링과 제어기 설계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구현하고 실험 검증하였다. 우선, 해당 인버터의 동적 모델링을 도출하고 이를 통해 전달 함수를 분석한 결과, 2개의 우반면 영점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우반면 영점으로 인한 충분하지 못한 위상 여유를 보상하기 위해 위상 앞섬 보상기를 지니고 있는 반복학습제어기 기반의 제어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제어기를 적용하기 위해 동적 모델을 기반으로 한 안정성 검증을 시행하였고 도출된 조건을 통해 최종 제어 변수의 설계 기준을 제시하였다. 제안된 제어기 검증을 위해 200W급 인버터를 구현하였으며, 실험 검증 결과 출력 전류의 전고조파왜율 4%이내, 제작 회로의 최대 전력 변환 효율 94.7%임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하나의 커플드 인덕터를 지니는 Ćuk CCM 인버터가 기존의 Ćuk CCM 인버터 보다 적은 비용과 작은 크기로 만족스러운 출력 성능을 지니는 모듈장착형 인버터 구현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Appendix

$a_{1}=n C_{12}C_{3}R_{c3}M_{k}V_{C12}\left(n L_{1}-M\right),\:$

$a_{2}=n C_{12}M_{k}V_{C12}\left(n L_{1}-M\right)-C_{3}R_{C3}M_{k}\left(I_{1}+n I_{2}\right)\left(M(1-D)+n L_{1}D\right),\:$

$a_{3}=C_{3}R_{C3}V_{12}\left(L_{1}L_{2}-M^{2}\right)(1-D)-M_{k}\left(I_{1}+n I_{2}\right)\left(M(1-D)+n L_{1}D\right),\:$

$a_{4}=-V_{C12}\left(M^{2}-L_{1}L_{2}\right)(1-D),\:$

$b_{1}=n^{2}C_{12}C_{3}L_{f}M_{k}^{2},\:$

$b_{2}=n^{2}C_{12}C_{3}M_{k}\left(M_{k}\left(R_{C3}+R_{f}\right)+L_{1}L_{f}R_{C3}\right),\:$

\begin{align*} b_{3}=n^{2}C_{12}M_{k}\left(M_{k}+L_{1}L_{f}\right)+C_{3}n^{2}L_{1}M_{k}\left(L_{f}D^{2}+C_{12}R_{C3}R_{f}\right)\\ +C_{3}L_{2}L_{f}M_{k}(1-D)^{2}-2n C_{3}MM_{k}L_{f}D(1-D),\: \end{align*}

\begin{align*} b_{4}=C_{3}M_{k}\left(R_{C3}+R_{f}\right)\left(D^{2}\left(n^{2}L_{1}-2n M+L_{2}\right)+2D\left(n M-L_{2}\right)+L_{2}\right)\\ +C_{3}L_{f}R_{C3}(1-D)^{2}\left(L_{1}L_{2}-M^{2}\right)+n^{2}C_{12}L_{1}M_{k}R_{f},\: \end{align*}

\begin{align*} b_{5}=L_{2}M_{k}+M_{k}D\left(2n M(1-D)+n^{2}DL_{1}-L_{2}(2-D)\right)\\ +\left(L_{f}+C_{3}R_{C3}R_{f}\right)(1-D)^{2}\left(L_{1}L_{2}-M^{2}\right),\: \end{align*}

$b_{6}=R_{f}(1-D)^{2}\left(L_{1}L_{2}-M^{2}\right).$

Acknowledgements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Research Fund, 2020

References

1 
D. Kim, S. Park, J. Shon, Jun 2019, Application and verification of differential power processing to improve the efficiency for PV power facility, The Transaction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8, No. vol.6, pp. 819-825DOI
2 
M. Mirjafari, S. Harb, R. S. Balog, Aug 2015, Multi objective optimization and topology selection for a module-integrated inverter, IEEE Trans. on Power Electron., Vol. 30, No. 8, pp. 4219-4231DOI
3 
S. Harb, M. Mirjafari, R. S. Balog, Nov/Dec 2013, Ripple-port module- integrated inverter for grid-connected PV applications, IEEE Trans. on Ind. Appl., Vol. 49, No. 6, pp. 2692-2698DOI
4 
S. Lee, W. Cha, J. Kwon, B. Kwon, Feb 2016, Control strategy of flyback microinverter with hybrid mode for PV AC modules, IEEE Trans. on Ind. Electron., Vol. 63, No. 2, pp. 995-1002DOI
5 
H. Kim, J. Lee, M. Kim, Jan 2018, Downsampled iterative learning controller for flyback CCM inverter, IEEE Trans. on Ind. Electron., Vol. 65, No. 1, pp. 510-520DOI
6 
J. Knight, S. Shirsavar, W. Holderbaum, Jul 2006, An improved reliability Cuk based solar inverter with sliding mode control, IEEE Trans. on Power Electron., Vol. 21, No. 4, pp. 1107-1115DOI
7 
B. Han, J. Lee, M. Kim, Mar 2015, Repetitive controller with phase-lead compensation for Cuk CCM inverter, IEEE Trans. on Power Electron., Vol. 30, No. 3, pp. 1242-1254DOI
8 
S. Mehrnami, S. K. Mazumder, Jan 2018, Discontinuous modu- lation scheme for a differential-mode Cuk inverter, IEEE Trans. on Ind. Electron., Vol. 65, No. 1, pp. 510-520Google Search
9 
B. Han, C. Bai, J. Lai, M. Kim, Dec 2020, Control strategy of single-phase hybrid-mode Cuk inverter for LVRT capability, IEEE J. Emerg. Sel. Top. Power Electron., Vol. 8, No. 4, pp. 3917-3932DOI
10 
B. Han, J. Lai, M. Kim, Oct 2018, Dynamic modeling and controller design of dual-mode Cuk inverter in grid- connected PV/TE applications, IEEE Trans. on Power Electron., Vol. 33, No. 10, pp. 8887-8904DOI
11 
S. Jung, J. Lee, J. Choi, Nov 2018, Reduction of periodic speed ripple of electric machines using resonant controller and repetitive controller,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7, No. 11, pp. 1434-1446DOI

저자소개

김상오(Sang Oh Kim)
../../Resources/kiee/KIEE.2022.71.1.079/au1.png

He received the B.S. degree in electronics engineering in 2020 from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South Korea, where he is currently working toward the M.S. degree in electronics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South Korea..

한병철(Byeongcheol Han)
../../Resources/kiee/KIEE.2022.71.1.079/au2.png

He received the B.S degree in electrical engi- neering from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South Korea, in 2012;

the Ph.D. degree in creative IT engineering (CiTE) from the Poh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POSTECH), Pohang, South Korea, in 2018.

From 2018 to 2020, he was a Postꠓdoctoral Associate with Future Energy Electronics Center, Virginia Tech, Blacksburg, VA, USA.

He is currently an Assistant Professor with the School of Electronics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South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