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Ajou University, Korea.)
  2. (Korea Aerospace Industries, Ltd., Korea.)



Integral sliding mode controller, robust control, Stribeck friction, friction force

1. 서 론

4차 산업혁명에서 주목받는 스마트 팩토리의 자동화 시스템은 다양한 생산 과정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모션 움직임이 필요하다. 스마트 팩토리의 자동화를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의 예시로는 직렬 로봇(manipulator)과 병렬 로봇(delta robot)이 있다. 모션 시스템의 응답은 시스템의 구동기로부터 기인한다. 따라서 구동기인 모터를 정확하게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다. 비선형 제어기를 이용하여 시스템을 제어하면 모션 응답 시에 발생하는 시스템의 비선형성을 고려하므로 모터를 정밀하게 제어 가능하다. 하지만 비선형 제어기를 설계하려면 먼저 시스템의 동역학 모델을 정확히 알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모터 제어 시 선형 모델을 이용하여 제어기를 설계한다. 선형 제어기는 시스템의 비선형성을 고려하지 않으므로 실제 시스템과 차이를 보인다. 마찰력은 점성 마찰, 정지 마찰 등 여러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해 비선형성을 띄는데, 고려되지 않은 마찰의 비선형성은 저속에서 모터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원인이며 데드존을 발생시킨다(1). 이에 제어기의 성능 저하의 원인이 되는 마찰력을 보상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었다(2). 따라서 실제 모터와 유사한 모델을 얻기 위해서는 비선형 마찰 모델을 고려하여야 한다. 비선형 마찰 모델 중 하나인 Stribeck 마찰 모델은 저속 구간에서 마찰을 가장 정확히 묘사한다(1). 본 논문에서는 Stribeck 마찰 모델을 이용하여 모터의 마찰력을 표현한다. 비선형성을 고려하여도 추정모델은 여전히 실제 모델과 파라미터의 불확실성, 외란 등의 영향으로 인해 완벽히 일치할 수 없으므로 이러한 영향을 보상하는 강인 제어가 필요하다.

슬라이딩 모드 제어기는 불확실한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해 유용한 전략으로 오랫동안 알려졌으며 외란에 대한 강인하다는 장점이 존재하지만, 슬라이딩 모드 제어기의 불변성은 도달 단계에선 보장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존재한다(3-5).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달 단계를 제거하여 전체 시스템 응답에서 안정적인 적분 슬라이딩 모드 제어기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6-8). 한편 적분 슬라이딩 모드 제어기를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선형 마찰 모델을 사용하여 설계하면, 실제 환경에 사용되는 모터와 모델 사이에 차이가 존재하므로 제어 성능이 저하되거나 시스템 제어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정확한 모델을 사용하여 적분 슬라이딩 제어기를 설계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어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먼저 비선형 마찰 모델을 이용하여 마찰력을 표현한 모터의 모델을 정의한다. 정의한 모델을 이용하여 파라미터의 불확실성과 외란에 강인하고 도달 단계를 제거함으로써 보다 강인한 적분 슬라이딩 모드 제어기를 설계한다. 설계한 제어기의 안정성은 리아푸노프 함수를 정의하여 증명하고, 설계한 제어기의 성능은 추정모델을 이용한 모의실험과 BLDC 모터를 이용해 실험한 결과를 통해 검증한다.

2. BLDC 모터의 동역학과 비선형 마찰 모델

이 장에서는 비선형 마찰 모델을 이용하여 표현한 brushless direct current (BLDC) 모터의 동역학 모델을 구하고 파라미터를 식별한다. 모터의 마찰력을 나타내는 모델 중 하나인 Strib- eck 마찰 모델은 비선형 마찰 모델로 많은 파라미터 값을 포함하므로 Levenberg-Marquardt (LM)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값이 주어지지 않은 파라미터 값을 식별한다. 비선형 마찰 모델을 이용하여 나타낸 모터의 동역학 모델은 실제 모터를 잘 모사하는 동역학 모델이다.

2.1 BLDC 모터 모델링

BLDC 모터는 동기 모터와 구조가 같고 고정자는 3상이며, 회전자가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졌다(9). 기계적인 접촉 구조인 정류 장치 대신 센서와 반도체 소자를 사용한 모터로 고효율, 고출력 밀도, 간단한 구동 방식 등의 장점이 있다(10). 모터가 회전함에 따라서 렌츠의 법칙이 적용되어 각 권선에 주 전압과 반대되는 역기전력이 발생하며, 회전자의 각속도, 자기장, 코일 수는 역기전력에 영향을 준다. BLDC 모터의 전압 방정식은 권선 저항의 전압 강하와 권선의 자속 변동으로 인해 유기된 전압의 합으로

(1)
$$ \left[\begin{array}{l} v_{a m} \\ v_{b m} \\ v_{c m} \end{array}\right]=\left[\begin{array}{lll} R & 0 & 0 \\ 0 & R & 0 \\ 0 & 0 & R \end{array}\right]\left[\begin{array}{c} i_{a} \\ i_{b} \\ i_{c} \end{array}\right]+\frac{d}{d t}\left[\begin{array}{ccc} L_{o}-M & 0 & 0 \\ 0 & L_{s}-M & 0 \\ 0 & 0 & L_{o}-M \end{array}\right]\left[\begin{array}{l} i_{a} \\ i_{b} \\ i_{c} \end{array}\right]+\left[\begin{array}{l} e_{a} \\ e_{b} \\ e_{c} \end{array}\right] $$

와 같다(10). 여기서 $v$는 각 상의 전압, $R$은 각 상의 고정자 저항, $i$는 각 상의 전류, $e$는 각 상의 역기전력, $L_{s}$는 자기 인덕턴스, $M$은 상호 인덕턴스이다. 각 상의 자기 인덕턴스와 상호 인덕턴스는 같으므로 $L_{s}-M$을 $L$로 간단하게 표현하면, 각 상의 식 구성이 같으므로 모터의 전압 방정식은 $v=Ri+L\dfrac{di}{dt}+$$e$와 같이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다. BLDC 모터 전압 방정식의 역기전력을 이용하여 정의한 모터의 출력 전력은 $P_{e}=e_{a}i_{a}$$+e_{b}i_{b}+e_{c}i_{c}$이다. BLDC 모터의 토크 $T_{e}$는 출력 전력 $P_{e}$과 모터의 회전 각속도 $\omega_{n}$으로부터

(2)
$$ T_{e}=\frac{P_{e}}{w_{n}}=\frac{e_{a}^{i} a+e_{b} i_{b}+e_{c^{i} c}}{w_{n}} $$

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식 (2)를 이용하면 BLDC 모터의 운동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3)
$$ T_{e}=K_{t} I=J \frac{d w}{d t}+B w $$

여기서 $K_{t}$는 토크 상수, $J$는 관성 모멘트, $B$는 마찰 계수, $\omega$는 각속도이다.

2.2 비선형 마찰 모델을 고려한 모터 모델링

마찰력은 높은 정확도 및 저속 주행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요소이다(11). BLDC 모터의 모델링에서 식 (3)과 같이 BLDC 모터의 운동방정식은 속도가 마찰력에 비례하는 모델인 viscous 마찰 모델을 사용하며 식은 $F(\omega)=F_{v}\omega$이다. Coulomb 마찰 모델은 viscous 마찰 모델과 같이 간단하게 마찰력을 나타내는 모델로 정지 마찰력을 고려하며 식은 $F(\omega)=F_{c}sgn(\omega$$)$이다. 두 모델은 마찰력을 간단하게 표현하지만 정확하게 마찰력을 표현하지 못한다. 비선형 제어기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모델이 필수적이다. 또한 정확하지 않은 마찰 모델은 마찰의 비선형성을 고려하지 않으므로 저속에서 모터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원인이며 데드존을 발생시킨다(1).

위의 두 모델이 마찰력을 표현할 때 지니는 특징을 포함하면서 저속 구간에서는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마찰력이 감소하는 특징을 갖는 Stribeck 마찰 모델은

(4)
$$ F(w)=\left(F_{C}+\left(F_{S}-F_{C}\right) e^{-\left(\frac{\omega}{v_{a}}\right)^{2}}\right) \operatorname{sgn}(w)+F_{v} w $$

이다. 여기서 $sgn(\bullet)$는 부호함수이고, $F_{C}$는 Coulomb friction, $F_{S}$는 static friction, $v_{S}$는 critical Stribeck 속도, $F_{v}$는 viscous friction 계수, $\omega$는 각속도이다. Stribeck 마찰 모델은 저속 구간에서 마찰을 가장 정확히 묘사하므로(1), 앞선 두 마찰 모델과 비교하였을 때 보다 정확하게 마찰력을 나타낼 수 있다.

BLDC 모터의 운동방정식인 식 (3)의 마찰력을 Stribeck 마찰 모델을 이용하여 나타내면

(5)
$$ \begin{aligned} K_{t} I &=J \frac{d w}{d t}+F(w) \\ &=J \frac{d w}{d t}+\left(F_{C}+\left(F_{S}-F_{C}\right) e^{-\left(\frac{\omega}{v_{s}}\right)^{2}}\right) \operatorname{sgn}(w)+F w \end{aligned} $$

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식 (5)를 보면 Stribeck 마찰 모델에는 많은 파라미터 값이 포함되므로 이 값을 식별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2.3 LM 알고리즘을 이용한 파라미터 식별

Stribeck 마찰 모델을 이용하여 마찰력을 나타낸 BLDC 모터의 추정모델이 실제 모터와 유사한지 검증하고 제어기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파라미터 값을 식별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최소자승법을 이용하면 파라미터 값의 근사값을 얻을 수 있다. 최소자승법은 측정값과 추정값의 오차를 제곱한 합을 최소화하는 모델의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방법이다. Stribeck 마찰 모델을 사용하여 마찰력을 나타낸 BLDC 모터 모델의 최소자승법은 다음과 같다.

(6)
$$ \begin{aligned} &p=\operatorname{argmin} \sum_{i=1}^{n} r_{i}^{2}=\operatorname{argmin} \sum_{i=1}^{n}\left(w_{i}-f\left(I_{i}, p\right)\right)^{2}, \\ &p^{T}=\left[J F_{C} F_{S} v_{o} F_{v}\right] \end{aligned} $$

여기서 $p$는 식별할 모터의 파라미터 행렬, $I_{i}$는 측정한 전류, $\omega_{i}$는 측정한 각속도, $f(I_{i},\:p)$는 추정 각속도로서 $p$에 비선형이므로 위 방법은 비선형 최소자승법에 해당한다.

비선형 최소자승법은 gradient descent 알고리즘, Gauss-Newton 알고리즘, LM 알고리즘 등을 적용하여 푼다. 그중에서 LM 알고리즘은 자코비안 행렬이 특이행렬일 때 step의 크기가 크면 발생하는 어려움을 극복한 알고리즘이다(12). 현재 해와 최솟값이 멀면 gradient descent 알고리즘 방식으로 느리지만 안정적으로 해를 찾고, 가까울 경우에는 Gauss-Newton 알고리즘 방식으로 빠르게 해를 찾는다(13). LM 알고리즘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조건은

(7)
$$ \begin{aligned} &p_{k+1}=p_{k}-\left(A_{r}^{T} A_{r}+\mu_{k} \operatorname{diag}\left(A_{r}^{T} A_{r}\right)\right)^{-1} A_{r}^{T} r\left(p_{k}\right), \\ &A_{r}(p)=\left[\begin{array}{ccc} \frac{\partial r_{1}(p)}{\partial p_{1}} & \cdots & \frac{\partial r_{1}(p)}{\partial p_{m}} \\ \vdots & \ddots & \vdots \\ \frac{\partial r_{n}(p)}{\partial p_{m}} & \cdots & \frac{\partial r_{n}(p)}{\partial p_{m}} \end{array}\right], r(p)=\left[\begin{array}{c} r_{1}(p) \\ r_{2}(p) \\ \vdots \\ r_{n}(p) \end{array}\right]=\left[\begin{array}{c} \omega_{1}-f\left(I_{1}, p\right) \\ \omega_{2}-f\left(I_{2}, p\right) \\ \vdots \\ \omega_{n}-f\left(I_{n}, p\right) \end{array}\right] \end{aligned} $$

이다. 여기서 $A_{r}$은 오차의 자코비안 행렬, $\mu_{k}$는 댐핑 파라미터이다. $\mu_{k}$가 크면 gradient descent 알고리즘과 같이 경사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의 크기에 비례하게 해를 찾으며, $\mu_{k}$가 작으면 Gauss-Newton 알고리즘과 같이 경사와 곡률을 고려하여 비선형 함수를 지역적으로 선형 함수로 근사하여 해를 찾는다(13). LM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식별한 파라미터 값은 표. 1과 같다.

표 1 LM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식별한 파라미터

Table 1 Parameters identified using the LM algorithm

$J$ 0.0011 [$kgm^{2}$]
$F_{C}$ 0.0057 [$Nm$]
$F_{S}$ 0.0036 [$Nm$]
$v_{s}$ 0.7704 [$rad/\sec$]
$F_{v}$ 0.0022 [$Nms/rad$]

3. 적분 슬라이딩 모드 제어기 설계

이 장에서는 Stribeck 마찰 모델을 이용하여 마찰력을 나타내는 BLDC 모터 모델의 속도 제어를 위한 적분 슬라이딩 모드 제어기를 설계한다. 설계 목적은 실제 모터의 각속도 값과 명령값의 오차를 정의하여 오차가 0으로 수렴하도록 하는 것이다. 적분 슬라이딩 모드 제어기는 슬라이딩 모드 제어기에 비해 외란에 강인하도록 부호함수를 추가한다.

비선형 제어 기법 중 하나인 슬라이딩 모드 제어기는 파라미터 변동과 불확실성에 강인한 비선형 제어 기법이다(3). 슬라이딩 모드 제어기의 불변성은 도달 단계에선 보장되지 않으므로, 도달 단계를 제거하여 전체 시스템 응답에서 강인한 적분 슬라이딩 제어기를 설계한다(6).

시스템의 제어오차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8)
$$ e=w-w_{r} $$

여기서 $\omega_{r}$는 명령 각속도이다. 각속도를 시간에 대하여 미분한 것을 모터의 운동방정식을 이용하여 정리하고, 제어기를 외란에 강인하게 설계하기 위하여 외란을 의미하는 $\delta$ 항을 추가한다. BLDC 모터에서 발생하는 외란의 크기가 유한하므로(3), 외란 $\delta$가 $vert\delta vert <\delta_{\max}$를 만족한다고 가정한다.

(9)
$$ \dot{w}=\frac{k_{T}}{J} i-\frac{F}{J}+\delta $$

제어오차를 0으로 보내기 위한 적분 슬라이딩 모드 평면을

(10)
$$ s=e+e(0)+k \int_{0}^{t} e(\tau) d \tau $$

와 같이 설정한다. 식 (10)을 시간에 대하여 미분하고 식 (9)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11)
$$ \begin{aligned} \dot{s} &=\dot{e}+k e \\ &=w-w_{r}+k e \\ &=\frac{k_{T}}{J} i-\frac{F(w)}{J}-\dot{w}_{r}+k e+\delta \end{aligned} $$

이때 제어 입력인 전류는

(12)
$$ i=\frac{J}{k_{T}}\left(\frac{F(w)}{J}+\dot{w}_{r}-k_{e}-k_{1} s-k_{2} \operatorname{sgn}(s)\right) $$

와 같이 설계한다. 여기서 제어기 설계 파라미터는 조건 $k>$$0$, $k_{1}>0$, $k_{2}>\delta_{\max}+\varepsilon$을 만족하는 상수이다. 제안한 제어기의 안정성을 증명하기 위해 리아푸노프 함수를

(13)
$$ V=\frac{1}{2} s^{2} $$

와 같이 정의한다. 식 (13)을 시간에 대해 미분한 뒤, 식 (11)식 (12)를 대입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4)
$$ \begin{aligned} V &=s s \\ &=s\left(\frac{k_{T}}{J} i-\frac{F(w)}{J}-\dot{w}_{r}+k_{e}+\delta\right) \\ &=s\left(-k_{1} s-k_{2} s g n(s)+\delta\right) \\ &=-k_{1} s^{2}-k_{2}|s|+\delta s \\ & \leq-k_{1} s^{2}-\varepsilon|s| \end{aligned} $$

식 (13)에 의해 리아푸노프 함수 $V$가 항상 양의 값을 가지고, 식 (14)에 의해 리아푸노프 함수를 시간에 대해 미분한 함수 $\dot V$가 항상 음의 값을 가지므로 안정화되는 조건을 만족한다. 따라서 $e$가 슬라이딩 평면에 유지되며 점근적으로 0으로 수렴한다.

4. 모의실험 및 실험

이 장에서는 Stribeck 마찰 모델을 이용하여 마찰력을 표현한 추정 모델과 모터의 유사성을 검증한 뒤, 제안한 적분 슬라이딩 모드 제어기를 검증하기 위해 모의실험과 실험을 진행한다. 모의실험으로 제안한 제어기의 타당성과 안정성을 검증한 후 실제 실험을 진행하여 제어기를 검증한다.

4.1 실험 환경

Fig. 1과 같은 실험 환경하에서 추정모델의 유사성과 적분 슬라이딩 모드 제어기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유사성 확인을 위해 Stribeck 마찰 모델을 이용한 추정모델을 Matlab/Simulink로 구현하고, 제안한 적분 슬라이딩 모드 제어기를 검증하기 위해 Matlab/Simulink로 제안된 속도 제어기를 구현한다. PCIe -6351과 Terminal board는 Matlab/Simulink에서 받은 제어입력을 실험 모델로 전달하고 모터의 센서에서 출력되는 각속도 정보를 Matlab/Simulink로 전송하는 data acquisition 역할을 한다. ESCON은 통신 변환 장치로 입력된 전압을 전류로 바꾸어 BLDC 모터에 전송하고 모터의 각속도를 읽어 전압으로 변화시켜 출력한다.

실험에서 사용된 BLDC 모터(Maxon 사의 EC 45 Ø45 mm, 브러시리스, 250 Watt, 홀센서 버전)의 토크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기어헤드(Maxon사의 플래너터리 기어 GP 42 C Ø42 mm, 3 - 15 Nm)를 부착하여 43:1의 기어비를 갖도록 하였다. 모터의 각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센서(HEDL 9140 엔코더, 500 CPT, 3 채널, 라인드라이버 RS 422)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그림. 1 BLDC 모터 실험 환경

Fig. 1 Experimental environment for BLDC motor

../../Resources/kiee/KIEE.2022.71.1.140/fig1.png

4.2 추정모델과 모터의 유사성 검증

이 절에서는 논문에서 추정한 모델과 Fig. 1의 실험 환경에서 사용된 모터의 유사성을 검증한다. Matlab/Simulink를 사용하여 추정모델을 구현한다. 추정모델에 사용된 파라미터 값은 표1의 값을 사용한다. 추정모델의 전류 입력에 따른 각속도 출력과 실제 모터의 전류 입력에 따른 각속도 출력을 비교하여 유사성을 검증한다. 이때 9가지 시나리오를 전류 입력으로 주어 다양한 입력에도 유사한지 확인한다. 각각의 시나리오는 표 2에서와 같이 서로 다른 진폭과 주파수를 갖는 3개의 정현파의 합이다.

표 2 각 시나리오의 기준 입력

Table 2 Reference for each scenario

시나리오 1.1 $0.18\sin(1.8t)+0.13\sin(0.7t)+0.2\sin(2.3t)$
시나리오 1.2 $0.15\sin(1.6t)+0.12\sin(0.4t)+0.22\sin(2.2t)$
시나리오 1.3 $-0.25\sin(1.8t)-0.15\sin(0.3t)+0.1\sin(2.5t)$
시나리오 1.4 $0.19\sin(0.8t)+0.18\sin(4.5t)+0.2\sin(1.5t)$
시나리오 1.5 $0.2\sin(0.5t)+0.2\sin(4.5t)+0.22\sin(1.5t)$
시나리오 1.6 $0.1\sin(3.5t)+0.25\sin(7t)+0.32\sin(1.75t)$
시나리오 1.7 $0.19\sin(2t)+0.08\sin(3t)+0.26\sin(4t)$
시나리오 1.8 $0.22\sin(1t)+0.22\sin(4t)+0.2\sin(1.5t)$
시나리오 1.9 $0.19\sin(3t)+0.25\sin(2t)+0.2\sin(6t)$

입출력 최댓값을 고려해 정현파의 진폭은 0.1에서 0.32 사이의 값 중에서 임의의 값을 정하였으며, 주파수는 0.3에서 7 사이에서 임의의 값을 선정하였다. 이에 Fig. 2와 3과 같이 시나리오에 진폭과 주파수의 변화를 주었다. 추정모델의 각속도 값과 실제 모터의 각속도 값을 수치로 비교하기 위하여 nor- malizes root mean square error(NRMSE)를 사용하며 식은

(15)
$$ f i t(i)[\%]=\left(1-\frac{\|v-\hat{v}\|}{\|v-\operatorname{mean}(v)\|}\right) \times 100 $$

와 같다. 9가지 시나리오에 대한 실제 값과 추정모델 값의 평균 유사도는 94.47\%이다. Fig. 2Fig. 3에서 실제 값과 추정모델 값의 각속도 출력 값이 거의 일치한다. 따라서 추정모델이 BLDC 모터와 유사하다는 것을 검증할 수 있다.

그림. 2 시나리오 1.1에 대한 실험 데이터와 추정모델의 각속도 비교(빨강 실선: 실험 데이터, 파랑 파선: 추정모델)

Fig. 2 Comparison of angular velocity between experimental data and estimated model for scenario 1.1 (red solid: experimental data, blue dashed: estimated model)

../../Resources/kiee/KIEE.2022.71.1.140/fig2.png

그림. 3 시나리오 1.2에 대한 실험 데이터와 추정모델의 각속도 비교(빨강 실선: 실험 데이터, 파랑 파선: 추정모델)

Fig. 3 Comparison of angular velocity between experimental data and estimated model for scenario 1.2 (red solid: experimental data, blue dashed: estimated model)

../../Resources/kiee/KIEE.2022.71.1.140/fig3.png

4.3 모의실험

본 논문에서 제안한 제어기를 실제 시스템에 적용하기 전에 Matlab/Simulink를 사용한 모의실험으로 제안한 제어기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비선형 마찰 모델을 이용하여 마찰력을 표현한 모터의 운동방정식을 추정모델로 사용한다. 제어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viscous 마찰모델을 이용하여 설계한 제어기를 비교군으로 사용한다. 모의실험에 사용된 파라미터는 표 1에 나타낸 LM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식별한 값과 표 3에 나타낸 Maxon 사에서 제공한 파라미터 값을 이용하며 제어기 설계 파라미터는 표 4의 값을 사용하였다. 제안한 제어기가 다양한 명령값을 따르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두 시나리오에 대해 모의실험을 진행하였다. Fig. 4은 시나리오 2.1에 대한 속도 추종 성능을, Fig. 5은 시나리오 2.2에 대한 속도 추종 성능을 보여준다. 두 시나리오 모두 Stribeck 마찰을 이용한 결과가 visco- us 마찰을 이용한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성능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어 결과값이 명령값을 잘 따르므로 성능이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두 시나리오 모두 제안한 제어기가 비교군의 제어기보다 제어오차가 0으로 빠르게 수렴하는 것을 Fig. 6Fig. 7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표 3 추정모델에 사용된 모터 파라미터

Table 3 Motor parameter used in estimation model

$k_{T}$

0.0427 [$Nm/A$]

표 4 제어기 설계 파라미터

Table 4 Controller design parameters

$k$ 3
$k_{1}$ 2
$k_{2}$ 2

그림. 4 모의실험에서 시나리오 2.1의 추종 성능(검정 실선: 명령값, 파랑 파선: viscous 마찰 모델을 이용한 ISMC, 빨강 파선: Stribeck 마찰 모델을 이용한 ISMC)

Fig. 4 Tracking performance of scenario 2.1 in simulation results (black solid: reference, blue dashed: ISMC using viscous friction model, red dashed: ISMC using Stribeck friction model)

../../Resources/kiee/KIEE.2022.71.1.140/fig4.png

그림. 5 모의실험에서 시나리오 2.2의 추종 성능(검정 실선: 명령값, 파랑 파선: viscous 마찰 모델을 이용한 ISMC, 빨강 파선: Stribeck 마찰 모델을 이용한 ISMC)

Fig. 5 Tracking performance of scenario 2.2 in simulation results (black solid: reference, blue dashed: ISMC using viscous friction model, red dashed: ISMC using Stribeck friction model)

../../Resources/kiee/KIEE.2022.71.1.140/fig5.png

그림. 6 모의실험에서 시나리오 2.1의 오차(파랑: viscous 마찰 모델을 이용한 제어기의 추종오차, 빨강: Stribeck 마찰 모델을 이용한 제어기의 추종오차)

Fig. 6 Tracking errors of scenario 2.1 in simulation results (blue: tracking error of ISMC using viscous friction model, red: tracking error of ISMC using Stribeck friction model)

../../Resources/kiee/KIEE.2022.71.1.140/fig6.png

그림. 7 모의실험에서 시나리오 2.2의 오차(파랑: viscous 마찰 모델을 이용한 제어기의 추종오차, 빨강: Stribeck 마찰 모델을 이용한 제어기의 추종오차)

Fig. 7 Tracking errors of scenario 2.2 in simulation results (blue: tracking error of ISMC using viscous friction model, red: tracking error of ISMC using Stribeck friction model)

../../Resources/kiee/KIEE.2022.71.1.140/fig7.png

4.4 실험

본 절에서는 논문에서 제안한 제어기를 검증하기 위하여 4.1절에서 구축한 실험환경에서 실험을 진행한다. 제어기 설계에 사용된 파라미터는 모의실험에서 사용된 표 1, 표 3, 표 4의 파라미터와 같은 값을 사용하였고, 모의실험에서 실험을 진행한 두 시나리오와 같은 시나리오를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모터의 각속도 출력에서 발생하는 잡음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한 1차 저역 통과 필터는 다음과 같다.

(16)
$$ F(s)=\frac{1}{0.001 s+1} $$

Fig. 8Fig. 9은 두 시나리오에 대한 제어기의 추종 성능을 보여준다. 두 시나리오 모두 각속도 제어 결과값이 명령값을 잘 따르고 비교군보다 논문에서 제안한 제어기의 성능이 더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Fig. 10Fig. 11를 통해 두 시나리오에서 Stribeck 마찰 모델을 고려해 적분 슬라이딩 모드 제어기를 설계한 것이 viscous 마찰 모델을 고려해 적분 슬라이딩 모드 제어기를 설계한 것보다 오차가 0에 빠르게 수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8 실험에서 시나리오 2.1의 추종 성능(검정 실선: 명령값, 파랑 파선: viscous 마찰 모델을 이용한 ISMC, 빨강 파선: Stribeck 마찰 모델을 이용한 ISMC)

Fig. 8 Tracking performance of scenario 2.1 in experimental results (black solid: reference, blue dashed: ISMC using viscous friction model, red dashed: ISMC using Stribeck friction model)

../../Resources/kiee/KIEE.2022.71.1.140/fig8.png

그림. 9 실험에서 시나리오 2.2의 추종 성능(검정 실선: 명령값, 파랑 파선: viscous 마찰 모델을 이용한 ISMC, 빨강 파선: Stribeck 마찰 모델을 이용한 ISMC)

Fig. 9 Tracking performance of scenario 2.2 in experimental results (black solid: reference, blue dashed: ISMC using viscous friction model, red dashed: ISMC using Stribeck friction model)

../../Resources/kiee/KIEE.2022.71.1.140/fig9.png

그림. 10 실험에서 시나리오 2.1의 오차(파랑: viscous 마찰 모델을 이용한 제어기의 추종오차, 빨강: Stribeck 마찰 모델을 이용한 제어기의 추종오차)

Fig. 10 Tracking errors of scenario 2.1 in experimental results (blue: tracking error of ISMC using viscous friction model, red: tracking error of ISMC using Stribeck friction model)

../../Resources/kiee/KIEE.2022.71.1.140/fig10.png

그림. 11 실험에서 시나리오 2.2의 오차(파랑: viscous 마찰 모델을 이용한 제어기의 추종오차, 빨강: Stribeck 마찰 모델을 이용한 제어기의 추종오차)

Fig. 11 Tracking errors of scenario 2.2 in experimental results (blue: tracking error of ISMC using viscous friction model, red: tracking error of ISMC using Stribeck friction model)

../../Resources/kiee/KIEE.2022.71.1.140/fig11.png

5. 결 론

본 논문에서는 비선형 마찰 모델을 고려한 BLDC 모터의 속도 제어기를 제안하였다. Stribeck 마찰 모델을 이용하여 마찰력을 표현한 모터 모델은 일반적인 모터 모델보다 실제 모터와 유사성이 높다. 하지만 제안된 모델 또한 불확실성이 존재하므로 강인한 제어 성능을 지니는 적분 슬라이딩 제어기를 사용하였다. 제어기를 설계하기 위해 필요한 파라미터는 LM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식별하였고, 제어기의 안정성은 리아푸노프 함수를 이용하여 증명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제어기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두 시나리오에 대하여 viscous 마찰 모델과 제어 성능을 비교하는 모의실험과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서 본 논문에서 제안한 제어기가 파라미터의 불확실성에도 강인한 추종성능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실험 결과의 노이즈를 제거하고 위치 제어에도 적용하는 연구를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RF) grant funded by the Korea government(MSIT) (2020R1A2C101226111).

References

1 
D. Chen, F. Yao, S. Chai, Dec 2014, Sliding Mode Control with Observer for PMSM Based on Stribeck Friction Model, Int. Sym. on Computational Intelligence and Design, Hang- zhou, China, pp. 469-472DOI
2 
D. Lee, J. Ahn, Mar 2008, Dual Speed Control Scheme of Servo Drive System for a Nonlinear Friction Compensation, in IEEE Trans. on Power Electron., Vol. 23, No. 2, pp. 959-965DOI
3 
H. Choi, Y. Park, Y. Cho, M. Lee, Jun 2001, Global sliding- mode control. Improved design for a brushless DC motor, in IEEE Control Syst. Magazine, Vol. 21, No. 3, pp. 27-35DOI
4 
W. Xu, Y. Jiang, C. Mu, Oct 2016, Novel Composite Sliding Mode Control for PMSM Drive System Based on Distur- bance Observer, in IEEE Trans. on Applied Supercon- ductivity, Vol. 26, No. 7, pp. 1-5DOI
5 
A. K. Junejo, W. Xu, C. Mu, M. M. Ismail, Y. Liu, Nov 2020, Adaptive Speed Control of PMSM Drive System Based a New Sliding-Mode Reaching Law, in IEEE Trans. on Power Electron., Vol. 35, No. 11, pp. 12110-12121DOI
6 
Y. Pan, C. Yang, L. Pan, H. Yu, Jul 2018, Integral Sliding Mode Control: Performance, Modification, and Improve- ment, in IEEE Trans. on Ind. Informatics, Vol. 14, No. 7, pp. 3087-3096DOI
7 
G. Zhang et al., April 2018, A Robust Control Scheme Based on ISMC for the Brushless Doubly Fed Induction Machine, in IEEE Trans. on Power Electronics, Vol. 33, No. 4, pp. 3129-3140DOI
8 
Q. Gao, G. Feng, L. Liu, J. Qiu, Y. Wang, Dec 2014, An ISMC Approach to Robust Stabilization of Uncertain Stochastic Time-Delay Systems, in IEEE Trans. on Industrial Elec- tron., Vol. 61, No. 12, pp. 6986-6994DOI
9 
I. Kim, Y. Lee, S. Park, H. Park, M. Lee, Aug 2000, Robust PID Controller Tuning Technique and Application to Speed Controller Design for BLDC Moto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Vol. 17, No. 8, pp. p 126-133Google Search
10 
S. Kim, Feb 2016, Motor Control, Bogdoo, pp. 114-126Google Search
11 
Jiazhong Xu, Ming Qiao, Wei Wang, Yanan Miao, Aug 2011, Fuzzy PID control for AC servo system based on Stribeck friction model, Proceedings of 2011 6th Int. Forum on Strategic Technology, Harbin, Heilongjiang, pp. 706-711DOI
12 
W. Yu, S. Wan, B. Li, L. Zhong, W. Hu, W. Wang, May 2012, The LM Algorithm Research in Brillouin Scattering Spectra Information Based on the Weighted Least Squares, 2012 Sym. on Photonics and Optoelectronics, Shanghai, China, pp. 1-5DOI
13 
Le Duc-Hung, Pham Cong-Kha, Nguyen Thi Thien Trang, Bui Trong Tu, Aug 2012, Parameter extraction and optimization using Levenberg-Marquardt algorithm, 2012 Fourth Int. Conf. on Communications and Electron. (ICCE), Hue, Vietnam, pp. 434-437DOI

저자소개

장지영 (Jiyoung Jang)
../../Resources/kiee/KIEE.2022.71.1.140/au1.png

Jiyoung Jang is currently working toward the B.S. degree in the department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from Ajou University, Suwon, Korea.

Tel: 031-219-2489

Fax: 031-212-9531

E-mail : melody408@ajou.ac.kr

허준서 (Junseo Heo)
../../Resources/kiee/KIEE.2022.71.1.140/au2.png

Junseo Heo received the B.S. and M.S. degrees in the department electrical and computer engi- neering from Ajou University, Suwon, Korea, in 2017 and 2019, respectively, where he is currently pursuing the Ph.D. degree.

Since 2021, he has been with the Korea Aerospace Industries, Ltd., Sacheon, Korea, where he is currently an Engineers.

Tel: 031-219-2489

Fax: 031-212-9531

E-mail : hjs1994@ajou.ac.kr

좌동경 (Dongkyoung Chwa)
../../Resources/kiee/KIEE.2022.71.1.140/au3.png

Dongkyoung Chwa received the B.S. and M.S. degrees in control and instrumentation engi- neering and the Ph.D. degree in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in 1995, 1997, and 2001, respectively.

Since 2005, he has been with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Ajou University, Suwon, Korea, where he is currently a Professor.

Tel: 031-219-1815

Fax: 031-212-9531

E-mail : dkchwa@ajo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