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Automotive ICT Engineering, Hoseo University, Korea)



Internal combustion engine, Development factors of Military vehicles, Characteristics of Hybrid vehicle, HEV

1. 서 론

연구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방법은 전략, 전술적 요인과 하이브리드 차량의 종류에 따른 기술, 경제, 환경적 요소를 관계형으로 정립해보고 군용 하이브리드 차량 최적합도록 접목하여 하이브리드 차량의 각종 종류별 효율, 특성을 선행논문과 다양한 학술적 자료로부터 충분하게 논의한 다음 획득한 자료를 정량화 또는 관계형 변수로 도입하고 하이브리드 차량의 특성과 효율을 분석한 결과를 <Fig. 1>과 같이 관계형으로 구축하여 분석하였다.

Fig, 1 Building relational

../../Resources/kiee/KIEE.2023.72.7.872/fig1.png

현재 군 차량의 전략적 상황, 전투의 시나리오, 군수물자의 흐름, 군 수송체계의 체계 등 군 체제의 극비에 대한 사항들에 대해서는 되도록 다루지 않는다.

2. 이론적 배경 및 관련 연구

2.1 차량 수송에너지 기술 및 측정

우선 차량 수송에너지 기술과 측정 기술에서 거론되는 에너지원과 수송에너지 기술에서 End point 기술의 공통적 특징은 상당한 기술적, 조직적, 재정적 도전, 에너지 생성에 대한 대규모 기반 시설 체계가 필요하며 각 기술들은 상호 배타적이지 않다.

다음으로 자동차 성능측정의 기준은 자동차 성능측정의 요소로 운행 속도, 최고속도, 최고 등반 능력, 최대 가속도 등에 필요한 동력의 정도이다. 즉 견인력과 속도와의 관계는 견인력PTR, 공기밀도ρ, 차량 정면에서의 단면적AF, 공기저항계수CD, 차량속도V, 차량구름 저항 Cρ 이라면 식(1)과 같다.

(1)

$P_{TR}= 0.5\rho A_{F}V^{3}+mg VC_{\rho}$

(차량 중량 m, 중력가속도 g )

<Table 1>는 차량의 구동에너지를 통한 수송시스템의 에너지 앤드포인트 기술에 대한 발전과정이다.

Table 1 Endpoint technology for transport systems

End point

명칭

내용

End point 1

Battery-전기

재충전 까지 전력으로 달리는 차량으로 공급되는 무탄소전력

End point 2

수소

재 충전까지 수소로 달리는 차량에 공급되는 무탄소수소

End point 3

지속 가능한 탄화수소

생물학적 과정을 사용하여 만든 석유 제품과 비슷한 탄화 수소연료 또는 독립된 과정에 의해 제거되는 공기중으로 방출되는 이산화탄소

End point 4

대체 가능한 차량내 에너지 저장소

재충전까지차량에 동력을 공급하는 데 사용되는 플라이휠이나압축된 공기와 같은 대체 가능한 시스템 들

End point 5

무궤도, 기계화된 차량 제거

모든 기계화된 차량은 전선을 통해 전력망에 연결, 무궤도 차량은 인력으로 작동

한편 군에서는 차량 개발 및 운용 시험 평가를 실시한다. 자체 테스트결과 조립된 소형전술차량 LTV의 성능은 엔진출력, 연비, 항속거리, 자동변속기, 등판능력 및 접근각, 가속능력, 독립현가장치, 방수사양, ABS장치, 냉난방시스템, 전자파 차폐, 차동잠금장치, 최저 지상고, 최소회전반경, 차량사이즈, 차종간 공용화, 방호력, 방탄발열유리, 런플랫 시스템, 전자식 4륜구동장치, 전시 후진경보음과 라이트 off 기능, 후방카메라, 공중수송성, 도섭능력, 계열화 확장성 등 전술 차량이 갖춰야 할 기능과 성능을 대부분 갖추어야 한다.

2.2 Hybrid 구동형식의 3가지 개념

Hybrid 자동차는 승용자동차 영역에서는 소형, 중형, 대형의 각 부문으로 시장이 분화되어 있다. Hybrid화는 자동차의 크기와 상관없이 하나의 ‘부가 에너지 이용(add-on energy utilization) 방법이다. Hybrid 기술은 승용자동차에서의 적합성은 물론이고, 화물자동차용과 버스용으로도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Hybrid 자동차는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형식에 따라 직렬, 병렬, 복합으로 나뉜다.

직렬 Hybrid : 내부 연소 엔진에서 발생하는 기계적 출력을 먼저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한 다음 모터에 전달하여 움직이거나 배터리 시스템에 저장

병렬 Hybrid : 내부 연소 엔진에서 발생한 기계적 출력은 변속기로 전달되어 작동 조건에 따라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해 바퀴를 구동하거나 발전기를 운행하는데 사용됨

병렬 연속 하이 브리드 : 구동부는 변소기한쪽에 엔진+ 모터와 다른 쪽에 피동 바퀴 사이에서 분리된 “전력 분배기”를 도입하여, 바퀴를 구동시키기 위한 분리 모터와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발전기가 있음

병렬 및 병렬 연속 : 구동부는 내부 연소 엔진 차량과 같이 내부 연소 엔진과 바퀴 사이를 직접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직렬 시스템은 다른 구조이다.

Fig. 2 3 Conceptual Diagrams of Hybrid Driving Unit

../../Resources/kiee/KIEE.2023.72.7.872/fig2.png

단순구동 부분에서 Hybrid 구동형식의 분류와 특성 및 3가지 작동 원리는 <Table 2>과 같다.

Table 2 Hybrid vehicle classification and operation principle

Hybrid 차량 분류

(대분류)

특성 및 작동 원리

직렬형 구조

내부 연소 엔진에서 발생하는 기계적 출력을 먼저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한 다음 모터에 전달하여 움직이거나 배터리 시스템에 저장

병렬형 구조

내부 연소 엔진에서 발생한 기계적 출력은 변속기로 전달되어 작동 조건에 따라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해 바퀴를 구동하거나 발전기를 운행하는데 사용됨

병렬 연속 구조

구동부는 변소기한쪽에 엔진+ 모터와 다른 쪽에 피동 바퀴 사이에서 분리된 “전력 분배기”를 도입하여, 바퀴를 구동시키기 위한 분리 모터와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발전기가 있음

2.3 하이브리드 차량 상대 기준및 정의

군용차에 적용할 Hybrid 형태를 탐색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하여 작전 운용성, 군수지원성, 전략적, 경제적 관점에서 <Fig. 3>과 같이 접근하고자 한다. Hybrid 자동차 종류의 특성효율과 경제성 분석을 도출된 변인에 적용하여 군용차량의 효율적 Hybrid 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즉 작전운영성은 (Oo) , 군수 지원성은 (St), 경제성은 (e)로 하고 중분류에서는 야전 운영성을 야전 운용성($o_{1}$), 체계안정성($o_{2}$)으로 정하고 야전 운용성 세부 분류의 사항에서는 운용개념 구현를 $o_{11}$, 야지 주행성을 $o_{12}$, 전천후성을 $o_{13}$ 등으로 일련번호로 일관성 있게 <Table 3>와 같이 변수를 정하였다.

Fig. 3 Elements of the development of military vehicles

../../Resources/kiee/KIEE.2023.72.7.872/fig3.png

Table 3 Classification of vehicle development factors

중분류

용어 정의

야전 운용성($o_{1}$)

군용차량이 야전운용 환경하에서 임무를 달성하기 위해 차량의 가용 능력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개념

체계안정성

($o_{2}$)

군용차량이 임무를 달성하기 위해 차량의 가용능력이 효율적으로 발휘될 수 있도록 체계의 안정화를 위한 개념

정비 및 보급 지원성($s_{1}$)

군용차량이 정상가동 될 수 있도록 관리 유지하고, 고장발생시 정상 복구 가능토록 보살피고 손질하는데 필요한 제반요소에 대한 만반의 준비

기술성($s_{2}$)

군용차량이 임무달성을 위해 최적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잘 다룰 수 있는 방법이나 능력, 관련기술의 발전추세 고려 신기술 적용 노력 필요

생산성($e_{1}$)

군용차량 개발로부터 생산에 소요되는 비용, 개발후 양산단가, 기술발전 추세에 따라 향후 성능개량시 비용효과

운영관리성($e_{2}$)

배치후 정비관리 유지비용, 부품조달 단가, 부품 재생/재활용시 비용절감

전술의 정성적 사항과 자동차의 정량적 사항을 조합하기 위해 정성적 요소의 정량화로 하기로 한다. 이를 위해 군용차량을 개발하기 위한 각 요소들의 특성과 성격, 의미 등을 고려한 개발 요소를 <Table 4>와 같이 분류하였다.

Table 4 Classification of development elements and definition of quantitative variables

개발 요소

중분류

세부 분류

정량 변수

작전 운용성

(Oo)

야전 운용성($o_{1}$)

운용개념 구현

$o_{11}$

기동성

$o_{12}$

야지 주행성

$o_{13}$

전천후성

$o_{14}$

체계안정성

($o_{2}$)

방탄 능력

$o_{21}$

생존/은밀성

$o_{22}$

경험/검증성

$o_{23}$

안전/편의성

$o_{24}$

군수 지원성

($S_{t}$)

정비 및 보급 지원성($s_{1}$)

정비 용이성

$s_{11}$

모듈화

$s_{12}$

부품 호환성

$s_{13}$

부품 신뢰성

$s_{13}$

기술성($s_{2}$)

기술 국산화/혁신성

$s_{21}$

기술 연계/파급성

$s_{22}$

계열차 적용성

$s_{23}$

친환경성

$s_{24}$

경제성(e)

생산성($e_{1}$

개발비

$e_{11}$

양산단가

$e_{12}$

성능개량성

$e_{13}$

운영관리성$e_{2}$

운영유지비

$e_{21}$

부품단가

$e_{22}$

부품 재생/재활용성

$e_{23}$

Hybrid 자동차가 만들어진 배경은 자원고갈, 환경적 문제에 촛점을 두고 있다. 하지만 군에서 운용되기에는 이런 경제적이고 환경문제만을 다룰 수 없다.

그 이유는 전투에서 승리하기에 적합한 차량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다음 부차적으로 결부되어야 할 사항이 경제와 환경 문제를 다루는 것으로 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개발요인의 분석을 위하여 변수를 도입하여 정량화를 해야 함을 알 수 있다. 적용 정도를 상대적인 기준으로 변수의 도입하고 정량화는 개발요인에 대한 합리성, 표준화를 꾀하여야 하며, 가장 근접된 Hybrid의 적합성을 찾아보는 데 유리한 것이기 때문이다. 델파이 기법으로 요소들의 도출 및 우선 순위를 위해 선행 논문 및 군용차량 전문가 집단으로부터 획득된 기준을 도입하였다. 그리고 Hybrid 차량 종류의 장단점과 특성을 개발요인과 접목하기 위한 기술을 <Table 5>과 같이 정의하고 기준에 따라 변수를 구상하여야 한다.

Table 5 Condition Evaluation Criteria and Definitions of Hybrid Vehicles

평가 기준

정의

회생 제동 정도

R$_B$

감속 주행시발전기에서 발생하는 전력의 정도

환경 오염 정도

E$_F$

엔진 가동에 따른 CO2 배출 정도

출력 밀도

P$_D$

엔진과 밧데리기동시출력 토크 정도

제작 가격 정도

P$_P$

차량 제작의 비용 정도

정속 운전 정도

C$_S$

운행시 , 속도 변화시매끄럼게운행하는 정도

스타트/스톱

S$_S$

브레이크를 밟을 경우 엔진의 시동, 가동 여부 정도

전동력 정도

E$_S$

모터의 구동력으로만 가는 정도

엔진 순수작동 정도

O$_S$

엔진의 작동 빈번 정도

연료 소비율 정도

F$_C$

운행시 연료 소비되는 비율

연료 보충 정도

F$_P$

연료 보충의 정도

소음 정도

N$_L$

운행시 엔진 및 기동 소음의 정도

동력 전달 정도

D

발생된 동력이 구동력이 되는 정도

2.4 군용 차량 개발 요소와 Hybrid 차량특성관계

1 . Hybridization이 되려면 군 차량의 개발요소가 우선 Hybrid 차량들의 특성을 선택되도록 개발요소가 분석 되어야 하며 그 분석에 따라 Hybridization 구현

2. 개발요소의 분석을 위하여 변수를 도입하여정량화

3. 변수의 도입과 정량화는개발요소에 대한 표준화로 가장 근접된 Hybrid의적합성을찾아보는데 활용

4. Hybrid 차량종류의 장단점과 특성을 개발요소와 접목하기 위해 <Table 7>과 같이 정량적 가중치를 부여

Table 6 Relationship between Military Vehicle Development Factors and Hybrid Vehicle Characteristics

특성

정도(가중치)

구분

요인 변수

최상

최하

회생 제동 정도

R$_B$

a

(5)

b

(4)

c

(3)

d

(2)

e

(1)

환경 오염 정도

E$_F$

출력 밀도

P$_D$

제작 가격 정도

P$_P$

정속 운전 정도

C$_S$

스타트/스톱

S$_S$

전동력 정도

E$_S$

엔진 순수작동 정도

O$_S$

연료 소비율 정도

F$_C$

연료 보충 정도

F$_P$

소음 정도

N$_L$

동력 전달 정도

D

3. 개발요인과 특성 기준의 관계

Hybrid 유용성과 효율성의 특성을 분석하여 각각 요구되는 사항을 군용차량 개발 요소와의 관계를 통해 각각 정량치를 도입하여 강약의 정도를 파악하였다. 이러한 결과치를 보면 군용차량 Hybridization는 Hybrid 차량의 특성에 따라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군용 차량 개발요인에 의해 Hybrid 차량을 개발해야 함을 알 수 있다. 개발 요소에 따른 Hybrid 차량의 특성 정도에서 작성된 자료를 도식화 모형 표현도를 보면 다음 <Fig. 4>와 같다.

Fig. 4 Hybrid vehicle evaluation model for development factors

../../Resources/kiee/KIEE.2023.72.7.872/fig4.png

Fig. 5 Correlation between development factors and characteristics

../../Resources/kiee/KIEE.2023.72.7.872/fig5.png

또한 요소에 따른 Hybrid 차량의 특성 정도에서 작성된 자료를 정리해 보면 개발요소의 적랍 최대화는 Hybrid 평가기준 들의 총합으로 다음 <Fig. 5>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4. 개발요소와 Hybrid 종류별관계성모색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개발요소 세부분류, 평가기준을 정량적으로 <Table 7, 8> 와 같이 정리하였다.

Table 7 Development Factors and Hybrid Evaluation Criteria

개발요소세부분류

Hybrid 평가기준

점수

(S-Hybrid)

운용 개념 구현

정량

점수

회생제동정도

R$_B$

a (5)

환경 오염 정도

E$_F$

c (3)

출력 밀도

P$_D$

b (4)

차량이 임무 달성을 위해 수행되는 등의 차량의 운용 목적에 부합

- 계열 차량의 기본형, 탑승 전투용, 병력 수송용, 각종 정도 무기/장비 탑재 등

제작 가격 정도

P$_P$

c (3)

정속 운전 정도

C$_S$

b (4)

스타트/스톱

S$_S$

c (3)

전동력 정도

E$_S$

c (3)

Engine 순수 작

O$_S$

b (4)

연료 소비율 정도

F$_C$

c (3)

연료 보충 정도

F$_P$

c (3)

소음 정도

N$_L$

a (5)

동력 전달 정도

D

c (3)

Table 8 Hybrid (S format) evaluation criteria by development element

세부 분류

정량 점수

직렬형 hybrid

(S format)

운용 개념 구현

$o_{11}$

c

기동성

$o_{12}$

b

야지 주행성

$o_{13}$

d

전천후성

$o_{14}$

a

방탄 능력

$o_{21}$

a

생존/은밀성

$o_{22}$

d

경험/검증성

$o_{23}$

c

안전/편의성

$o_{24}$

b

정비 용이성

$s_{11}$

b

모듈화

$s_{12}$

a

부품 호환성

$s_{13}$

b

부품 신뢰성

$s_{14}$

b

기술 국산화/혁신성

$s_{21}$

b

기술 연계/파급성

$s_{22}$

c

계열차 적용성

$s_{23}$

b

환경성

$s_{24}$

d

개발비

$e_{11}$

c

양산단가

$e_{12}$

c

성능개량성

$e_{13}$

b

운영유지비

$e_{21}$

d

부품단가

$e_{22}$

c

부품 재생/재활용성

$e_{23}$

a

5. 결 론

군용 차량 개발요소와 지금까지 개발된 Hybrid 자동차 특성과 효율적인 면을 통해 적합 유무, 접근성, 호환성, 효율성 등의 상호 다양한 관계성을 모색하고, 그 결과를 통해 최적의 군용 차량 Hybridization을 구현하고자 한다. 개발요소를 정량화하기 위해 각각의 개발 요인을 변수화하고 Hybrid 차량의 분석이 신뢰할 수 있고 타당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했다.

이러한 면에서 군용 차량의 개발요소에 대해 치밀한 설계가 필요하고 주요 변수로 삼아야 할 것이며, 그것으로 군용차량의 기준이 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거론되었던 군용 차량 개발요소의 각 분야가 근본이 되는 이유이다.

결론은 전술. 전략 요인을 정량화 또는 변수로 도입하고Hybrid 차량의 특성과 효율을 분석한 결과를 관계형으로 구축하여 분석을 위해

• 개발요소를 정량화하기 위해 각각의 개발요소를 변수화하고 Hybrid 차량의 분석이 신뢰할 수 있고 타당성 있게 측정변수 도입

• 군용 차량에 대한 Hybrid 채용에 있어 최적합 차원으로 접근하기 위해 복합형 변용 Hybrid의 효율은 전투와 비전투 시에 적합해야 할 것으로 고려

• 상용 Hybrid 자동차의 최신기술을 적용하고, 동시에 전투 시에도 효과적 기동력을 보여야 군용 차량 Hybridization가 최상의 메커니즘으로 구현하였다.

따라서 군용 차량에 대한 Hybrid 채용에 있어 최적합 차원으로 접근하기 위해 복합형 변용 Hybrid의 효율은 전투와 비전투시에 적합해야 할 것으로 고려되었다.

References

1 
Francis M.vanek, Louis D., Energy system Engineering, 2014.Google Search
2 
B. G Lee, 2010, Priority Decision based on Users' Requirements for the Development of Military Vehicles, Transaction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Vol. 18, No. 6Google Search
3 
S. S. Moon, 2013, Engine Research Trends in Japan 2013: Alternative Fuel Engines, AUTO JOURNA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Vol. 35, No. 11Google Search
4 
The Electric Drive Stryker(E-Drive Stryker) was driven for the first time on December 23 2009.Google Search
5 
Yunus A. Çengel, Michael A. Boles, Mehmet Kanoğlu, 2019, thermodynamics an engineering approach, 5th edGoogle Search
6 
Army General Logistics School, 2007, Vehicle MaintenanceGoogle Search
7 
Bum Koo Lee, A Selection Model of the Development Factors of Military Vehicles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2010.Google Search

저자소개

백현일 (Hyun-il Beak)
../../Resources/kiee/KIEE.2023.72.7.872/au1.png

Hyun il Baek received his master's degree from Jungbu University in 2017.

He is currently taking a course in qkr in the Department of Automotive ICT Engineering at Hoseo University.

His main research concern is the application of military vehicle hybrids.

한상태 (Sang-Tae Han)
../../Resources/kiee/KIEE.2023.72.7.872/au2.png

Sang-Tae Han graduated from Hanbat University, majored in Department of automotive ICT engineering at Hoseo University graduate school, adjunct professor at Woosong Information University, representative of Nambu Hyundai Service at Hyundai Motor Company, research on automobile engine vibration, specialized research on electric vehicle lithium-ion battery recycling, and automobile fuel system research institute operate.

구경완 (Kyoung-Wan Koo)
../../Resources/kiee/KIEE.2023.72.7.872/au3.png

Kyoung-Wan Koo received the B. S. degree from Chungnam national univesity, Korea in 1983, and the Ph. D. degree from graduate school of Chungnam national univesity, Korea in 1992, all in electronic engineering.

He is currently a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Automotive ICT Engineering at Hoseo university, Korea.

His main research interests include semi- conductor devices and electric automobi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