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Transportation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Korea.)
  2. (Smart Electrical & Signaling Division,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Korea.)
  3. (System Management Dept Electric Team, Incheon Transit Corporation, Korea.)
  4. (Renewable Energy Division, G-philos Co., Ltd, Korea.)



DC railway system, Power quality analysis, Railway distribution power network connection, Regenerative inverter

1. 서 론

직류 전기철도에서는 전동차 제동 또는 하구배 운전 시 회생에너지가 발생하고 있으며, 발생한 회생에너지는 인근 운행하는 전동차에서 활용되지만 활용되지 못한 회생에너지는 직류 급전 계통의 가선 전압을 상승시키고 일정 이상의 전압상승이 발생하는 경우 차량 또는 지상에 설치된 저항으로 소비하여 직류 급전 계통의 가선 전압의 안정화를 유지한다.

저항으로 소비되는 회생에너지를 최소화하고 가선 전압의 안정화를 위해 회생에너지를 유효하게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회생에너지 활용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회생에너지 활용시스템으로는 지상 또는 차량에 에너지저장장치를 설치하고 회생 시 발생한 회생에너지를 충전하였다가 에너지가 필요한 경우 방전하는 방식이다. 에너지저장장치를 활용하는 방식은 회생에너지를 직접 전동차에서 활용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회생에너지를 활용 측면에서 우수하나 에너지 저장매체가 고가이며, 저장장치 매체에 따라 화재 안전성 등의 우려가 있다(1,2).

단방향인 다이오드 정류기를 대체하여 싸이리스터, IGBT 등의 전력 변환소자를 활용한 양방향 정류기를 활용하고 방식도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존의 정류기를 양방향으로 활용하여 별도의 추가적인 설비 없이 회생에너지를 활용할 수 있으나 정류기를 대체해야 하므로 기존 운영되고 있는 변전소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기존에 운영되는 직류 변전소에는 회생인버터를 활용하는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회생인버터를 활용하여 회생 시 발생하는 회생에너지를 철도배전계통과 연계하여 철도 역사 내 전력설비에서 활용하는 방식이다. 회생인버터 방식의 경우 대체적으로 지하 공간에서의 설치되는 특성상 안전성이 우수하며, 기존 변전소의 여유 공간 및 회생에너지 발생량을 고려한 회생인버터의 유연한 용량 설계가 가능하며, 상대적으로 다른 방식과 비교하여 경제적으로 유리하다(3,4).

회생인버터를 이용하는 방식의 경우 철도배전계통과 연계하는 경우 짧은 시간에 매우 큰 회생에너지가 철도 역사 내 철도배전계통에 공급되기 때문에 계통연계 시 전기적 고려사항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특히, 경전철 도입에 따라 직류 750V 급전 계통의 도입 및 철도 배전계통도 기존의 6.6kV 배전망에서 22.9kV 배전망으로 설치되고 있어 회생인버터 시스템 적용 시 설치 운영의 최적화를 위해 다양한 연계 방식이 채택되고 있다(5).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회생인버터 시스템이 적용되는 대표적인 사례 중심으로 회생에너지 발생 특성에 따른 철도 배전계통 연계 시 전력품질 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력 해석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대표적인 회생인버터 시스템 모델을 포함한 직류 급전 계통을 모델링하고 실제 운영 시 발생하는 회생에너지 특성을 반영한 전력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회생에너지 발생에 따른 전력 흐름, 연계점에서의 전압변동과 전력품질 특성을 분석하고 회생인버터 연계 기준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였다.

2. 회생인버터 계통연계

2.1 회생인버터 시스템 및 계통연계

회생인버터 시스템은 전동차에 전력을 공급하는 직류 급전 계통 직류에서 회생인버터를 연결하여 철도 배전계통으로 회생에너지를 공급해 주는 방식이다. 직류 급전 계통의 경우 노선에 운행하는 전동차의 규모에 따라 중전철(직류 1,500V 정격)과 경전철(직류 750V 정격)로 운행되고 있다. 철도 배전계통의 경우에는 교류 6,600V, 22,900V의 철도 배전계통을 독립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나 경전철 도입에 따라 교류 22,900V로 직류 급전 계통 및 배전계통에 통합한 전력 계통이 운영되고 있다. 그림 1은 일반적인 회생인버터 시스템의 계통연계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 1 회생인버터 시스템 저압 계통연계 구성

Fig. 1 Configuration of regenerative inverter connected to low voltage grid

../../Resources/kiee/KIEE.2023.72.9.1107/fig1.png

그림 1에서 회생인버터의 입력부인 직류 급전계통 연계 부분은 직류 급전계통 가선 전압 정격에 따라 결정 난다. 일반적으로 중전철의 경우 직류 1,500V 정격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경전철의 경우 직류 750V로 운영되고 있다. 회생인버터의 경우 직류 정격전압에 따라 인버터 입력부를 구성하는 전력변환소자의 구성 및 수량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6).

회생인버터의 출력부인 철도 배전계통 연계의 경우 고압 연계 방식과 저압 연계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회생에너지의 특성상 짧은 시간에 매우 큰 에너지를 발생하고 있어 일반적으로 철도 배전계통 연계 시 인버터 2차측에 승압변압기를 두고 철도 고압 배전계통 모선(교류 6,600V 또는 22,900V)에 연계하여 방식을 적용 중이다. 다만 이러한 고압 배전계통 연계의 경우 회생에너지의 안정적인 활용 측면에서는 우수하나 고압용 승압변압기 및 보호 설비(고압용 차단기, 보호계전기 등)가 추가되어야 한다(7). 이에 반해 소용량의 회생인버터 도입을 확대하기 위해 승압변압기를 생략하고 직접 철도 저압배전계통(AC 380V 또는 AC 220V)에 연계하는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이와 같이 철도 저압 배전계통으로 연계하는 경우 직류 급전 계통의 모선에서 직류 고속도차단기를 통해 회생인버터를 연결하고 저압 배전계통과는 기존의 철도 고압 배전계통 연계 시 필요한 승압변압기 및 고압 교류차단기를 대신하여 저압용 MCCB를 설치하여 설비를 간략하게 구성할 수 있다. 다만, 철도 고압 배전계통에 연계하는 것에 비해 회생에너지를 소비하기 위한 부하용량, 전기적 영향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2.2 철도 배전계통 연계 시 전기적 고려사항

차량에서 발생되는 회생에너지는 차량의 운동방정식에 의한 제동력에 의해 계산될 수 있으며, 식 (1)은 관성질량과 감속도에 따른 필요 제동력을 나타낸다.

(1)
$F_{br}= m_{dy}a_{decel.}-R_{tot}$

여기서, $m_{dy}$는 관성질량, $a_{decel.}$은 감속도, 그리고 $R_{tot}$는 차량의 전체 주행저항을 나타낸다. 실제 변전소에 전달되는 전력량은 필요 제동력에서 인버터, 모터, 기어 등의 효율인 $B_{eff}$를 곱하여 나타낼 수 있고 이는 식 (2)와 같다.

(2)
$P_{br}= -F_{br}\times\dfrac{(v_{2}+v_{1})}{2\times 1,\:000}\times B_{eff}$

이처럼 회생인버터 시스템을 철도 배전계통과 연계 시 중요한 고려사항은 철도 배전계통에 연결된 부하 설비에서 발생한 회생에너지를 모두 소비할 수 있는지와 일시적으로 대용량으로 발생한 회생에너지가 공급되는 경우 연계점에서의 전압변동을 검토해야 한다. 또한 일시적으로 발생한 회생에너지로 인해 계통 연계점의 전력품질 악화로 인해 부하 설비에 영향을 주는지를 고려해야 한다.

전력품질의 경우 회생인버터와 관련된 규정이 없어 표 12와 같이 분산전원이 계통에 연계되는 경우에 적용하고 있는 IEEE-519 기준에 따라 전력품질의 만족 여부를 검토해야 한다(8). 또한 계통연계로 인한 계통 투입 및 분리 기준, 단독운전 방지 및 전력 공급사업자로 역조류 발생 여부, 누설전류로 인한 보호 설비의 오동작 등을 고려해야 한다.

표 1 IEEE-519 전류 고조파 기준

Table 1 IEEE-519 current distortion limits

Maximum Harmonic Current Distortion in Percent of $I_{L}$

Individual Harmonic Order (Odd Harmonics)

$I_{SC}/I_{L}$

<11

11≤h<17

17≤h<23

13≤h<35

35≤h

TDD

<20

4.0

2.0

1.5

0.6

0.3

5.0

20<50

7.0

3.5

2.5

1.0

0.5

8.0

50<100

10.0

4.5

4.0

1.5

0.7

12.0

100<1000

12.0

5.5

5.0

2.0

1.0

15.0

>1000

15.0

7.0

6.0

2.5

1.4

20.0

표 2 IEEE-519 전압 고조파 기준

Table 2 IEEE-519 Voltage distortion limits

Bus voltage at PCC

Individual Harmonic (%)

THD (%)

V$\le$1.0kV

5.0

8.0

1kV $<$ V $\le$69kV

3.0

5.0

69kV $<$ V $\le$161kV

1.5

2.5

161kV $<$ V

1.0

1.5

3. 계통연계 시 전력품질 분석

3.1 철도 배전계통 연계모델

회생인버터의 계통연계 시의 전기적 특성 분석을 위해 그림 2와 같은 고압 계통 연계모델과 그림 3과 같은 저압 계통연계 모델을 전력해석 프로그램은 PSCAD/EMTDC로 모델링하였다.

그림 2는 철도 고압계통 연계모델로 직류 1,500V 급전 계통에서 회생인버터를 연결하고 철도 고압 계통 연계를 위해 인버터 출력단에 회생인버터용 고압 승압변압기와 차단기를 통해 교류 6,600V 고압 배전계통에 연결하였다. 회생인버터는 사양은 표 3과 같이 정격용량 1MW로 설계하였다.

그림 2 고압 계통연계 회생인버터 시뮬레이션 모델

Fig. 2 High voltage grid-connected regenerative inverter simulation model

../../Resources/kiee/KIEE.2023.72.9.1107/fig2.png

표 3 철도 고압계통 연계용 회생인버터 사양

Table 3 Specification of regenerative inverter for railway high voltage system

Parameters

Values

Notes

Rated DC input Power (kW)

1,000

System Max. Capacity

Rated DC input Voltage (V)

1,500~1,800

Max = 990V

Threshold Voltage (V)

1,750

-

Rated AC output Power (kVA)

1,000

System Max. Output

Rated AC output Voltage (V)

3Ø 6.6

AC RMS

Current THD (%)

5% >

3% under for each order

Frequency (Hz)

60

System connection criteria

Power Factor

0.99

-

Efficiency (%)

0.9 >

Active Power

그림 3은 철도 저압 계통연계 모델로 직류 750V 급전 계통에서 회생인버터를 연결하고 철도 저압 계통연계를 위해 인버터 출력단에서 저압용 차단기(MCCB)를 통해 380V 저압 배전계통에 연결하였다. 회생인버터는 사양은 표 4와 같이 정격용량 500kW로 설계하였다.

그림 3 저압 계통연계 회생인버터 시뮬레이션 모델

Fig. 3 Low voltage grid-connected regenerative inverter simulation model

../../Resources/kiee/KIEE.2023.72.9.1107/fig3.png

표 4 철도 저압계통 연계용 회생인버터 사양

Table 4 Specification of regenerative inverter for railway low voltage system

Parameters

Values

Notes

Rated DC input Power (kW)

500

System Max. Capacity

Rated DC input Voltage (V)

750~900

Max = 990V

Threshold Voltage (V)

850

-

Rated AC output Power (kVA)

500

System Max. Output

Rated AC output Voltage (V)

3Ø 380

AC RMS

Current THD (%)

5% >

3% under for each order

Frequency (Hz)

60

System connection criteria

Power Factor

0.99

-

Efficiency (%)

0.9 <

Active Power

3.2 회생인버터 동작 시뮬레이션 및 분석

회생인버터의 계통연계 시의 전기적 특성 분석을 위해 그림 2그림 3의 시뮬레이션 모델에 적용 가능한 차량 운행에 따라 발생하는 회생에너지를 입력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차량 부하 데이터는 실제 운영노선에서 운행되는 차량의 TCMS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각각의 운행 노선에서 발생되는 가장 높은 회생 에너지 발생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그림 4는 시뮬레이션에서 사용된 고압 차량 회생에너지 발생량(PHV)와 저압 회생에너지 발생량(PLV)을 나타낸다.

도출된 회생 에너지 입력 파형을 토대로 특성 분석을 수행하고, 계통에서의 요구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하였다. 기술된 시뮬레이션 방식은 그림 5와 같이 도식화하였다.

그림 4 회생 에너지 입력 파형(고압모델/저압모델)

Fig. 4 Regenerative energy input waveform

../../Resources/kiee/KIEE.2023.72.9.1107/fig4.png

그림 5 회생인버터 시뮬레이션 순서도

Fig. 5 Flowchart of regenerative inverter simulation

../../Resources/kiee/KIEE.2023.72.9.1107/fig5.png

그림 6은 회생에너지 투입($P_{"\in verter"}$) 전후의 배전계통 연계점에서의 부하 설비의 소비전력($P_{load}$) 및 수전 계통에서의 전력 공급량($P_{source}$)을 나타낸 것이다. 회생에너지가 발생하지 않은 시점 1.2초까지 모든 저압 설비의 전력공급을 수전 계통으로부터 공급받다가 회생에너지가 발생하는 경우 회생에너지 발생량에 따라 수전 계통으로부터 공급받는 전력량이 감소하게 되고 회생에너지가 저압 설비의 소비전력량을 초과하는 2초 이후에는 발생한 회생에너지가 수전 계통으로 공급되는 전력 흐름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6 계통 연계모델에서의 회생에너지 발생량에 따른 전력 흐름 (a) 고압 (b) 저압

Fig. 6 Power flow according to the generation of regenerative energy in the system connection model (a) High voltage (b) Low voltage

../../Resources/kiee/KIEE.2023.72.9.1107/fig6.png

그림 7 PCC에서의 전압변동 (a) 고압 (b) 저압

Fig. 7 Voltage fluctuation at PCC (a) High voltage (b) Low voltage

../../Resources/kiee/KIEE.2023.72.9.1107/fig7.png

그림 7은 회생에너지 공급에 따른 배전계통 연계점에서의 전압변동을 나타낸 것으로 회생에너지가 일시적으로 공급하는 시점에서 최대 1V 이내로 변동이 발생하여 전체적으로는 기준을 만족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89는 회생에너지 공급에 따른 배전계통 연계점에서의 전압 고조파 및 전류 고조파 발생량을 나타낸 것으로 회생에너지가 일시적으로 공급하는 시점에서 고조파 발생량이 증가하지만, 고압 연계모델의 PCC(Point of Common Coupling) 지점에서는 전류는 최대 4.669%, 저압 연계모델의 경우 4.81%로 IEEE-519에서 제시한 전류 고조파 5% 이내임을 확인하였다. 전압 고조파의 경우에도 고압의 경우 0.707%로 기준에서 제시한 5% 이내 조건을 만족하였고, 저압의 경우 0.423%로 저압 연계도 8% 이내 조건을 만족하였다.

그림 8 고압계통 연계모델에서의 고조파 발생 (a)전류 (b)전압

Fig. 8 High voltage connection THD (a)Current (b)Voltage

../../Resources/kiee/KIEE.2023.72.9.1107/fig8.png

표 56은 회생에너지 발생에 따른 배전계통 연계모델에 대한 전기적 특성을 비교한 것이다. 표와 같이 IEEE 519의 전류 TDD와 전압 THD 기준을 PCC에서 모두 충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평균적인 Harmonic 값의 경우 고압 계통에 연계된 모델이 더 낮은 고조파 영향을 보였으며, 전압의 경우 두 경우 회생에너지 발생으로 인한 고조파 영향이 거의 발생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9 저압계통 연계모델에서의 고조파 발생 (a)전류 (b)전압

Fig. 9 Low voltage connection THD (a)Current (b)Voltage

../../Resources/kiee/KIEE.2023.72.9.1107/fig9.png

표 5 고압계통 전기적 특성 분석결과 비교

Table 5 Characteristic analysis for high voltage connection test results

Items

IEEE Standards

Results

HV Current TDD (%)

5

4.669

Ind. HV current harmonic <11 (%)

4

<4

Ind. HV current harmonic <17 (%)

2

<2

Ind. HV current harmonic <23 (%)

1.5

<1.5

Ind. HV current harmonic <35 (%)

0.6

<0.6

HV Voltage THD (%)

5

0.707

Avg. TDD HV current (%)

-

0.305

표 6 저압계통 전기적 특성 분석결과 비교

Table 6 Characteristic analysis for low voltage connection test results

Items

IEEE Standards

Results

LV Current TDD (%)

5

4.810

Ind. LV current harmonic <11 (%)

4

<4

Ind. LV current harmonic <17 (%)

2

<2

Ind. LV current harmonic <23 (%)

1.5

<1.5

Ind. HLV current harmonic <35 (%)

0.6

<0.6

LV Voltage THD (%)

8

0.423

Avg. TDD LV current (%)

-

1.005

4. 결 론

본 연구는 도시철도 직류 급전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회생 에너지를 활용하기 위해 회생인버터가 철도 저압 및 고압 배전계통에 연계하는 경우 고려할 사항을 분석하였다. 철도 배전계통 연계 시 회생에너지의 흐름 및 전압변동, 그리고 전력품질 등 여러 고려사항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회생인버터 설치 변전소를 대상으로 전력해석 시뮬레이션을 통해 회생에너지의 흐름 및 전압변동과 전력품질의 만족 여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회생인버터의 제어 방식에 따라 회생에너지 흐름과 전압변동 및 고조파 발생량이 IEEE 519 기준 이하로 만족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도시철도 직류 급전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회생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회생인버터의 제어 방식을 설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Acknowledgements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a grant from R&D Program (Development of smart energy management and performance evaluation technology for railway stations based on virtualization, PK2303E1) of the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References

1 
H. Jung, 2022, An Optimal Charging and Discharging Scheduling Algorithm of Energy Storage System to Save Electricity Pricing Using Reinforcement Learning in Urban Railway System, J. Electr. Eng. Technol. 17, pp. 727-735Google Search
2 
Jaewon Kim, Hwanhee Cho, Joonhyoung Ryu, Hyungchul Kim, 2021, .Development and applicability test of fast charge/ discharge system for DC 1500V railway vehicles,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70, No. 10, pp. 1559-1568Google Search
3 
Han-Su Kim, Oh-Kyu Kwon, 2014, Peak Power Optimization for Metro Railway using by Source Impedance Control,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3, No. 6, pp. 841-849Google Search
4 
C.-M. Yun, G.-J. Cho, H. Kim, H. Jung, 2022, A Study on the Train Brake Position-Based Control Method for Regenerative Inverters, EnergiesDOI
5 
Włodzimierz Jefimowski, Adam Szeląg, 2018, The multi-criteria optimization method for implementation of a regenerative inverter in a 3kV DC traction system, Electric Power Systems Research, Vol. 161, pp. 61-77DOI
6 
Arturo González-Gil, Roberto Palacin, Paul Batty, 2013, Sustainable urban rail systems: Strategies and technologies for optimal management of regenerative braking energy, Energy Conversion and Management, Vol. 75, pp. 374-388DOI
7 
Sheikh Tanzim Meraj, Samson Shenglong Yu, Md. Siddikur Rahman, Kamrul Hasan, M.S. Hossain Lipu, Hieu Trinh, 2023, Energy management schemes, challenges and impacts of emerging inverter technology for renewable energy integration towards grid decarbonization,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Vol. 405DOI
8 
2022, IEEE Standard for Harmonic Control in Electric Power Systems, IEEE Standard 519Google Search

저자소개

윤치명 (Chi-Myeong Yun)
../../Resources/kiee/KIEE.2023.72.9.1107/au1.png

He received a B.S. degrees in 2019, from the College of Electric and Electrical Enginnering, Seoul, Hongik University.

He reveived a M.S. degree from the College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Suwon, South Korea.

At present, he is enrolled in the doctor’s program in the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Republic of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resources and distribution system planning.

김형철 (Hyungchul Kim)
../../Resources/kiee/KIEE.2023.72.9.1107/au2.png

He received his BS and M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in February 1991 and in February 1993 respectively.

He then worked for LG electronics Inc. for 6 years.

He received a Ph.D. degree from TexasA&M University in August 2003.

Currently, he is working for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His research area is traction power system and power system reliability.

김한수 (Hansoo Kim)
../../Resources/kiee/KIEE.2023.72.9.1107/au3.png

He received a B.S and M.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angwon National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in 2000 and 2002, respectively.

He received a Ph.D. degree from the Electrical Engineering from Inha University in 2015.

He is currently a general manager with the System Management Department Electric Team, Incheon Transit Corporation, Incheon, South Korea

김말수 (Malsoo Kim)
../../Resources/kiee/KIEE.2023.72.9.1107/au4.png

He received a Bachelor’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Chung-ang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in 1993, He received a Master degree from the Electrical Engineering from Chung-buk University in 2003.

He is currently a Director with Renewable Energy Division, G-philos co., Ltd, Yongin-si, South Korea.

정호성 (Hosung Jung)
../../Resources/kiee/KIEE.2023.72.9.1107/au5.png

He received a B.S and M.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ungkyunkwan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in 1995 and 1998, respectively.

He received a Ph.D. degree from the Electrical Electronic and Computer Engineering from Sungkyunkwan University in 2002.

He is currently a chief Researcher with the Smart Electrical & Signaling Division,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Uiwang, South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