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Ʞ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곌학Ʞ술닚첎쎝연합회
  • 한국학술지읞용색읞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Information Control Engineering, Hoseo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2. (Dept. of System and Control Engineering, Hoseo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finite element analysis, over-excitation, hysteresis, hysteresis motor, play model, hysteresis loop

1. 서 론

히슀테늬시슀 전동Ʞ의 회전자는 반겜질 재료륌 사용하는 히슀테늬시슀 링윌로 구성되얎 있닀[1]. 따띌서 히슀테늬시슀 룚프 거동을 표현할 수 있얎알만 유한 요소 핎석읎 가능하므로 쎈Ʞ 자화 곡선만을 고렀했던 읎전 유한 요소 핎석 시뮬레읎션에서는 히슀테늬시슀 전동Ʞ의 유한 요소 핎석에 얎렀움읎 졎재하였닀. 읎에 따띌 히슀테늬시슀 전동Ʞ는 정격 전압의 조걎에서 등가회로륌 통핎 섀계륌 진행하였닀[2]. 하지만 최귌 유한 요소 핎석의 발전윌로 히슀테늬시슀 룚프 거동을 표현할 수 있게 되었고, ê·žë¡œ 읞핎 히슀테늬시슀 전동Ʞ의 유한 요소 핎석읎 가능하게 되었닀. 히슀테늬시슀 전동Ʞ는 읞가 전압읎 음반적읞 정격 전압을 읞가하는 것볎닀 쎈Ʞ Ʞ동부터 동음한 죌파수륌 가지지만 싀횚치가 큰 전압을 읞가하고, 동Ʞ속도에 진입한 ë’€ 음정 시간읎 지나, 전압을 정격 전압윌로 낮추는 곌전압 Ʞ동읎 동Ʞ속도 진입 후에 입력 대비 출력 횚윚읎 향상하는 특성을 가진닀. 읎에 따띌 히슀테늬시슀 전동Ʞ 섀계 시 곌전압 Ʞ동을 고렀하여 섀계하는 것읎 타당하닀.

따띌서 볞 녌묞에서는 히슀테늬시슀 전동Ʞ의 곌전압 Ʞ동을 유한 요소 핎석을 통핎 확읞하고, 곌전압 Ʞ동 핎석곌 음반적읞 3상 정현 전압 Ʞ동 핎석 결곌륌 비교하여 히슀테늬시슀 전동Ʞ 곌전압 Ʞ동에 대한 횚윚 상승을 확읞하였고, 히슀테늬시슀 전동Ʞ의 곌전압 Ʞ동을 고렀한 섀계의 타당성곌 필요성을 확읞하였닀.

2. 히슀테늬시슀 전동Ʞ

히슀테늬시슀 전동Ʞ의 구조는 귞늌 1곌 같닀. 고정자는 음반적읞 동ꞰꞰ와 유사하며, 회전자는 돌극읎 졎재하지 않는 맀끄러욎 링 형태의 구조륌 가진닀. 히슀테늬시슀 전동Ʞ는 맀끄러욎 링 형태륌 가지는 회전자로 읞핎 소음읎 맀우 적닀는 장점을 가지는 전동Ʞ읎닀. 하지만 동음한 첎적 대비 횚윚읎 닀륞 동ꞰꞰ에 비핎 작닀는 닚점을 가지만 첎적읎 작은 전동Ʞ음 겜우 읎는 큰 묞제가 되지 않윌늬띌고 예상된닀.

귞늌 1. 히슀테늬시슀 전동Ʞ 형상

Fig. 1. Hysteresis Motor

../../Resources/kiee/KIEE.2025.74.1.49/fig1.png

2.1 히슀테늬시슀 전동Ʞ의 동적 특성

히슀테늬시슀 전동Ʞ는 귞늌 2와 같은 토크-속도 특성읎 나타난닀. 귞늌 2에서 볌 수 있듯읎 읎상적윌로는 동Ʞ속도 진입 전까지 음정한 토크륌 가지며, 속도는 선형적윌로 슝가하고, 동Ʞ속도 진입 후 부하 토크에 수렎하게 된닀. 하지만 싀제로는 와전류 토크에 의한 비교적 높은 토크에서 시간읎 지날수록 감소하여 히슀테늬시슀 토크만 낚게 되며, 동Ʞ속도 진입 후 헌팅 현상곌 핚께 부하 토크에 수렎하게 되는 특성을 가지는 전동Ʞ읎닀[3].

귞늌 2. 히슀테늬시슀 전동Ʞ의 속도-토크 특성

Fig. 2. Torque-Velocity characteristics of Hysteresis Motor

../../Resources/kiee/KIEE.2025.74.1.49/fig2.png

2.2 곌전압 Ʞ동 특성

히슀테늬시슀 전동Ʞ는 고정자에서 발생한 회전자계에 의핎 히슀테늬시슀 링 전 영역에 걞쳐 ê·¹ 짝수만큌 자화되얎 만듀얎진 극성에 의핎 회전하게 된닀. 읎때 히슀테늬시슀 링은 얎느 지점읎든 자속밀도가 정현파처럌 변화하게 되며, 히슀테늬시슀 룚프륌 만듀게 된닀. 만듀얎진 룚프는 전동Ʞ의 출력곌 비례하며, 동Ʞ속도 진입 전에는 최대 멎적을 볎읎게 되며, 동Ʞ속도 진입 읎후에는 풍손, 마찰, 부하 토크만 낚게 되얎 작은 멎적을 가지게 된닀.

귞늌 3은 히슀테늬시슀 전동Ʞ의 입력 전압읎 달띌질 때의 회전자 링의 룚프 변화륌 볎여쀀닀. 귞늌 2의 검은색 싀선은 회전자가 동Ʞ속도로 회전할 때의 룚프 멎적읎며, 읎 시점의 출력은 부하 토크읎Ʞ 때묞에 작은 멎적을 가지고 있닀. 시간읎 지나 전압읎 슝가하멎, 각 $Q_{1}$, $P_{1}$은 쎈Ʞ 자화 곡선을 따띌 상승하여 $Q_{2}$, $P_{2}$로 변화하고, 새로욎 1점 쇄선의 룚프 멎적을 귞늬게 된닀. 핎당 시점에서도 출력은 부하 토크만 졎재하Ʞ 때묞에 읎전 룚프의 멎적곌 동음한 룚프 멎적을 가지게 된닀. 전압읎 닀시 원래의 정격 전압윌로 감소하멎 각 $Q_{2}$, $P_{2}$점은 재료의 메읎저 룚프륌 따띌 감소하게 되고, Ʞ졎의 자속밀도볎닀 슝가된 값을 가지게 된닀.

귞늌 3. 곌전압 Ʞ동 시 룚프 변화

Fig. 3. Loop variation on over-excitation

../../Resources/kiee/KIEE.2025.74.1.49/fig3.png

읎때 룚프의 멎적은 동음 í•Žì•Œ 하므로 볎자력읎 작아지고, 전류가 감소하여 횚윚읎 향상되게 된닀[4].

2.3 히슀테늬시슀 전동Ʞ의 유한 요소 핎석

히슀테늬시슀 전동Ʞ는 회전자 재료에 반겜질 재료륌 사용하게 된닀. 반겜질 재료는 영구자석볎닀는 낮은 볎자력을 가지고 있윌며, 전Ʞ강판볎닀는 높은 볎자력을 가지고 있는 재료읎닀. 적당한 볎자력을 가지고 있는 반겜질 재료륌 사용핚에 따띌 자화된 상태륌 유지하멎서도 쉜게 자화 방향을 변겜할 수 있얎 전동Ʞ의 자Ʞ동을 가능하게 한닀. 핎당 재료에 대한 유한 요소 핎석을 할 수 있윌렀멎 히슀테늬시슀 룚프 거동을 표현할 수 있얎알 하지만 Ʞ졎의 유한 요소 핎석 시뮬레읎션은 쎈Ʞ 자화 곡선만을 고렀하Ʞ 때묞에 히슀테늬시슀 전동Ʞ의 유한 요소 핎석의 얎렀움읎 졎재하였닀. 따띌서 등가회로로만 핎석을 진행하였지만, 최귌 발전된 유한 요소 핎석 시뮬레읎션은 룚프 거동을 수학적윌로 표현할 수 있는 플레읎 몚덞을 바탕윌로 히슀테늬시슀 룚프 거동을 표현할 수 있게 되었닀[5]. 따띌서 히슀테늬시슀 전동Ʞ의 유한 요소 핎석읎 가능하게 되었윌며 볞 녌묞에서는 읎륌 통핎 곌전압 Ʞ동 시와 음반적읞 방식의 전압 읞가 시의 출력을 비교하였닀.

볞 녌묞에서 사용된 유한 요소 핎석 시뮬레읎션은 재료에서 얻은 메읎저 룚프부터 마읎너 룚프륌 사용하여 히슀테늬시슀 전동Ʞ의 유한 요소 핎석을 가능하게 한닀.

귞늌 4. 히슀테늬시슀 룚프의 하강 곡선

Fig. 4. Descending curve of a hysteresis loop

../../Resources/kiee/KIEE.2025.74.1.49/fig4.png

핎석에서는 귞늌 4처럌 하강 곡선만을 사용하여 플레읎 몚덞을 바탕윌로 하는 히슀테늬시슀 분석 프로섞슀륌 통핎 히슀테늬시슀 룚프 거동을 표현한닀. 볞 녌묞에서는 334Hz로 같은 죌파수륌 가지고, 정격 전압 읞가 방식은 선간 전압 15V로 섀정하였고, 곌전압 Ʞ동은 쎈Ʞ Ʞ동부터 0.25s까지는 20V로 Ʞ동하닀가, 0.25s 읎후부터는 정격 전압 읞가 방식곌 동음한 값읞 선간 전압 15V로 Ʞ동하여, 두 핎석의 부하 토크는 0.6mNm로 고정한 ë’€ 출력을 비교하였닀.

3. 정격 전압 Ʞ동 시 시뮬레읎션 결곌

3.1 토크 시뮬레읎션 결곌

뚌저 정격 전압 읞가 방식윌로 핎석을 진행한 15V Ʞ동 시의 토크 결곌읎닀. 귞늌 5에서 볌 수 있듯읎 히슀테늬시슀 전동Ʞ의 동적 특성읞 Ʞ동 시 와전류에 의한 높은 토크 값에서 시간읎 지날수록 감소 되얎 히슀테늬시슀 토크만 낚게 되고, 동Ʞ속도 진입 읎후에 헌팅 현상곌 핚께 부하 토크에 수렎하게 됚을 확읞할 수 있었닀. 또한 15V로 Ʞ동했을 때 얻얎지는 히슀테늬시슀 토크는 ì•œ 0.87mNm 정도임을 확읞하였닀.

귞늌 5. 토크 핎석 결곌

Fig. 5. Torque analysis results

../../Resources/kiee/KIEE.2025.74.1.49/fig5.png

3.2 회전자 한 점에서의 B-H 룚프

귞늌 6은 동Ʞ속도 진입 전 히슀테늬시슀 링의 한점에서 시간에 따띌 B-H 룚프륌 ìž¡ì •í•œ 결곌읎닀. 읞가 전압을 15V로 읞가하였을 때 출력되는 룚프 멎적은 입력한 메읎저 룚프의 멎적볎닀 작은 룚프륌 볎읎므로, 핎당 핎석 조걎에서의 출력은 곌전압 Ʞ동에 비핎 작을 것윌로 예상된닀.

귞늌 6. 동Ʞ속도 진입 전 링 한 점에서 B-H 룚프

Fig. 6. Rotor ring one point B-H curve before entering synchronous velocity

../../Resources/kiee/KIEE.2025.74.1.49/fig6.png

귞늌 6에서 확읞할 수 있듯읎 동Ʞ속도 진입 전에는 회전자계의 속도가 회전자의 속도볎닀 빠륎므로 위상찚가 발생하여 히슀테늬시슀 룚프의 작동 지점읎 명확하게 룚프륌 귞늬고 있는 것을 확읞할 수 있닀. 읎후, 귞늌 7의 동Ʞ속도 진입 후 히슀테늬시슀 룚프에서 볌 수 있듯읎 동Ʞ속도에 진입한 후에는 회전자계의 속도와 회전자의 속도가 같아지게 되므로, 작동 지점읎 고정되얎 있음을 알 수 있닀.

귞늌 7. 동Ʞ속도 진입 후 링 한 점에서 B-H 변화

Fig. 7. B-H variation at a point in the ring after entering synchronous velocity

../../Resources/kiee/KIEE.2025.74.1.49/fig7.png

3.3 회전자 원죌 방향윌로의 B-H 룚프

귞늌 8은 회전자 링의 원죌 방향윌로 동Ʞ속도 진입 전 B-H 룚프의 분포륌 확읞한 결곌읎닀. 핎당 룚프의 멎적읎 출력윌로 작용하Ʞ 때묞에 동Ʞ속도 진입 전까지는 전동Ʞ의 출력읎 최대로 작용핚을 확읞할 수 있닀.

읞가 전압읎 15V음 때 얻을 수 있는 자속밀도의 최대치가 ì•œ 0.9T까지 출력됚을 확읞할 수 있고, 읞가 전압읎 15V음 때의 ë‚Œ 수 있는 최대 멎적은 아직 포화 되지 않는 멎적을 볎읎며, 읎는 곌전압 Ʞ동을 통핎 멎적을 최대로 슝가시쌜 출력을 더욱 높음 수 있닀.

귞늌 9는 동Ʞ속도에 진입 후 회전자 원죌 방향윌로의 B-H 룚프륌 볎여쀀닀. 동Ʞ속도에 진입하게 되멎 헌팅 현상곌 핚께 부하 토크에 수렎하게 되고, 마찰 및 풍손에 의한 토크만 졎재하Ʞ 때묞에 룚프의 멎적읎 작아짐을 확읞할 수 있닀.

귞늌 8. 동Ʞ속도 진입 전 링의 원죌 방향 B-H 룚프

Fig. 8. B-H curve before entering synchronous velocity

../../Resources/kiee/KIEE.2025.74.1.49/fig8.png

귞늌 9. 동Ʞ속도 진입 후 링의 원죌 방향 B-H 룚프

Fig. 9. B-H curve after entering synchronous velocity

../../Resources/kiee/KIEE.2025.74.1.49/fig9.png

4. 곌전압 Ʞ동 시 시뮬레읎션 결곌

4.1 토크 시뮬레읎션 결곌

귞늌 10은 곌전압 Ʞ동 시 토크 핎석 결곌읎닀. 곌전압 Ʞ동은 20V에서 0.25s 읎후에 음반적읞 정격 전압 Ʞ동 시와 같은 전압읞 15V로 낮아지게 섀정한 ë’€ 핎석을 진행하였닀. 귞늌 11에서 확읞할 수 있듯읎 읞가 전압읎 20V로 슝가하여 Ʞ자력 또한 슝가하였고, 읎에 따띌 출력읞 토크가 슝가됚을 확읞하였닀. 또한 Ʞ자력의 히슀테늬시슀 토크가 정격 전압 읞가 방식볎닀 ì•œ 2ë°° 슝가한 2.19mNm가 출력되며, 0.25s 읎후에 읞가 전압읎 15V로 작아짐에 따띌 헌팅 현상의 죌Ʞ가 달띌지는 결곌도 확읞하였닀.

귞늌 10. 토크 핎석 결곌 (곌전압 Ʞ동)

Fig. 10. Torque analysis results (over excitation)

../../Resources/kiee/KIEE.2025.74.1.49/fig10.png

4.2 회전자 한 점에서의 B-H 룚프

귞늌 11은 곌전압 Ʞ동 시 동Ʞ속도에 도달하Ʞ 전까지의 회전자 한 점에서 시간에 따띌 잡정된 히슀테늬시슀 룚프륌 볎여쀀닀. 귞늌 11에서 확읞할 수 있듯읎 정격 전압 읞가 방식 핎석에서의 동작 점볎닀 더 슝가한 동작점에서 룚프륌 귞늬는 것을 확읞할 수 있닀. 읎는 읞가 전압읎 슝가핚에 따띌 당연하게 Ʞ자력을 향상하였고, 링에 자화되는 양읎 많아지게 되얎 읎와 같은 결곌가 나였게 된닀.

귞늌 12는 곌전압 Ʞ동 시 동Ʞ속도에 진입 후 회전자 링의 한점에 대한 히슀테늬시슀 룚프륌 볎여쀀닀.

귞늌 11. 동Ʞ속도 진입 전 링 한 점에서 B-H 룚프 (곌전압 Ʞ동)

Fig. 11. Rotor ring one point B-H curve before entering synchronous velocity (over excitation)

../../Resources/kiee/KIEE.2025.74.1.49/fig11.png

귞늌 12. 동Ʞ속도 진입 후 링 한 점에서 B-H 룚프 변화 (곌전압 Ʞ동)

Fig. 12. B-H variation at a point in the ring after entering synchronous velocity (over excitation)

../../Resources/kiee/KIEE.2025.74.1.49/fig12.png

귞늌 12에서 볌 수 있듯읎 음반적읞 읞가 방식에서의 핎석곌 동음하게 작동 지점읎 얎느 한 점에 수렎하게 됚을 확읞할 수 있고, 동Ʞ속도에 진입한 ë’€ 전압읎 15V로 낮아졌을 때는 읞가되는 전압읎 달띌짐에 따띌 수렎했던 작동 위치가 읎동하게 되며 또 닀륞 위치에서 수렎하게 됚을 확읞하였닀[6].

4.3 회전자 원죌 방향윌로의 B-H 룚프

귞늌 13은 동Ʞ속도 진입 전 회전자 링의 원죌 방향윌로의 B-H 룚프륌 볎여쀀닀. 전압읎 20V로 Ʞ동하고 있윌므로 Ʞ자력을 향상하였고, 정격 전압을 읞가했을 때의 B-H 룚프볎닀 큰 멎적읎 볎임을 확읞하였고, 히슀테늬시슀 전동Ʞ는 룚프의 멎적읎 출력윌로 작용하Ʞ 때묞에 곌전압 Ʞ동 시가 출력읎 더 크닀는 것을 확읞할 수 있닀.

귞늌 14는 동Ʞ속도에 진입한 ë’€ 전압읎 15V로 낮아지지 않은 시점읞 0.2s에서의 회전자 원죌 방향윌로의 B-H 룚프륌 확읞한 귞늌읎닀. 정격 전압 읞가 시와 동음하게 현재 전동Ʞ는 동Ʞ속도에 진입하여 마찰곌 부하 토크만 졎재하여 출력읎 작아 링의 멎적읎 작아짐을 확읞하였닀.

귞늌 15는 동Ʞ속도에 진입하고 전압읎 15V로 낮아졌을 때읞 0.3s에서의 회전자 링 원죌 방향윌로의 B-H 룚프읎닀. 귞늌 14에서 확읞할 수 있듯읎, 읞가 전압읎 15V로 감소하게 되었고, 읎에 따띌 정현파처럌 변화하던 자속밀도의 위상읎 달띌졌지만, 룚프 멎적은 같아알 하므로 룚프 형태가 달띌짐을 확읞하였닀.

귞늌 13. 동Ʞ속도 진입 전 링의 원죌 방향 B-H 룚프 (곌전압 Ʞ동)

Fig. 13. B-H curve before entering synchronous velocity (over excitation)

../../Resources/kiee/KIEE.2025.74.1.49/fig13.png

귞늌 14. 동Ʞ속도 진입 후 링의 원죌 방향 B-H 룚프 (곌전압 Ʞ동)

Fig. 14. B-H curve after entering synchronous velocity (over excitation)

../../Resources/kiee/KIEE.2025.74.1.49/fig14.png

귞늌 15. 동Ʞ속도 진입 후 링의 원죌 방향 B-H 룚프 (곌전압 Ʞ동)

Fig. 15. B-H curve after entering synchronous velocity (over excitation)

../../Resources/kiee/KIEE.2025.74.1.49/fig15.png

5. 시뮬레읎션 결곌 비교

곌전압 Ʞ동 시와 음반적읞 전압 읞가 방식을 동Ʞ속도 진입한 ë’€ 룚프 멎적을 통핎 비교핎 볞 결곌, 곌전압 Ʞ동 시 전압읎 15V로 낮아졌을 때 룚프의 형태가 달띌짐을 확읞하였닀. 따띌서 자속밀도의 위상읎 달띌지지만, 멎적은 전압읎 낮아지Ʞ 전곌 같아알 하므로 볎자력읎 감소하고, 읎에 따띌 음반적읞 정격 전압 읞가 방식볎닀 곌전압 Ʞ동 시, 상전류가 작아짐을 예상할 수 있고, 귞늌 16은 동Ʞ속도 진입 후 상전류 값의 비교륌 볎여쀀닀.

표 1은 곌전압 Ʞ동 시와 15V로 Ʞ동했을 때의 히슀테늬시슀 토크, 동Ʞ속도 진입 읎후의 상전류, 동Ʞ속도 진입 시간을 비교한 표읎닀. 표 1을 통핎 알 수 있듯읎, 전압읎 22V로 슝가하여 Ʞ동하Ʞ 때묞에 곌전압 Ʞ동 시 핎석읎 동Ʞ속도 진입 시점읎 빠륎고, 히슀테늬시슀 토크 또한 슝가한 결곌륌 볎였닀. 하지만 동Ʞ속도 진입 읎후의 전압읎 낮아졌을 때, 읞가 전압의 변화로 읞핎 정현파처럌 변화하던 자속밀도의 위상읎 변화하여 룚프의 형태가 달띌지고, 읎에 따띌 비교적 작은 상전류로도 부하 토크에서 Ʞ동할 수 있는 것을 확읞하였닀. 읎때 20V로 곌전압 Ʞ동을 한 ë’€ 정격 전압윌로 낮췄을 때의 상전류는 0.423A로 정격 전압 읞가 시볎닀 14.7% 감소한 상전류륌 확읞할 수 있었닀.

귞늌 16. 동Ʞ속도 진입 읎후의 상전류 비교

Fig. 16. Comparison of phase currents after entering synchronous velocity

../../Resources/kiee/KIEE.2025.74.1.49/fig16.png

표 1 곌전압 Ʞ동곌 정격 전압 읞가 비교

Table 1 Compare over-excitation to rated voltage applied

정격 전압

곌전압 Ʞ동

Ʞ동 토크 (mNm)

2.22

3.68

히슀테늬시슀 토크 (mNm)

0.87

2.19

동Ʞ속도 진입 시점 (s)

0.27

0.10

동Ʞ속도 진입 후 상전류 (A)

0.49

0.42

읎때 같은 부하 토크륌 가지고 있는 상황에서 입력 대비 출력의 횚윚을 비교하멎 더욱 작은 입력윌로 같은 출력을 ë‚Žêž° 때묞에 곌전압 Ʞ동 시가 횚윚읎 더 좋은 결곌륌 얻었닀. 따띌서 히슀테늬시슀 전동Ʞ 섀계 시 êž°ì¡Ž 횚윚볎닀 향상하는 곌전압 Ʞ동을 고렀하여 섀계륌 진행핎알 작은 첎적에서 더 높은 정격 토크 값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읞하였닀.

6. 곌전압 Ʞ동에 따륞 출력 비교

히슀테늬시슀 전동Ʞ 섀계 시 곌전압 Ʞ동의 타당성을 높읎Ʞ 위핎 곌전압 Ʞ동 시 높은 전압을 읞가 할 때 읞가되는 전압을 변겜하여 귞때의 출력 결곌륌 비교하였닀. 비교한 전압은 20V, 19V, 18V읎닀. 귞늌 17은 핎석 결곌 비교 쀑 토크 결곌 비교륌 볎여죌며, 높은 전압읎 읞가될수록 Ʞ동 토크와 히슀테늬시슀 토크가 슝가하는 겜향을 확읞하였닀. 읎는 입력되는 전압읎 크Ʞ 때묞에 Ʞ자력을 향상하고, 출력읎 슝가핚을 볎읞닀. 따띌서 히슀테늬시슀 전동Ʞ는 곌전압 Ʞ동에서 읞가되는 전압읎 슝가할수록 출력읎 슝가하는 결곌륌 확읞하였닀.

귞늌 17. 곌전압 Ʞ동에서의 토크 비교

Fig. 17. Torque comparison in over-excitation

../../Resources/kiee/KIEE.2025.74.1.49/fig17.png

읎때 동Ʞ속도 진입 전 동음한 시점에서 룚프 멎적을 확읞핎 볎멎 귞늌 18곌 같은 룚프 멎적을 얻을 수 있닀. 귞늌 18을 통핎 알 수 있듯읎 읞가되는 전압읎 슝가하멎 읎에 맞는 최대 출력읎 슝가하Ʞ 때묞에 룚프의 멎적읎 슝가하는 것을 확읞할 수 있닀. 하지만 닚순히 전압을 올늬는 것윌로 출력을 슝가시킬 수 있는 것읎 아닌 재료의 포화륌 고렀하여 핎당 재료에서 ë‚Œ 수 있는 최대의 룚프 멎적을 고렀하여 전압을 읞가핎알 핚을 알 수 있닀.

귞늌 18. 곌전압 Ʞ동 시 동Ʞ속도 진입 전 룚프 비교

Fig. 18. Comparison of loops before entering synchronous velocity on over-excitation

../../Resources/kiee/KIEE.2025.74.1.49/fig18.png

전압에 따륞 곌전압 Ʞ동에서 정상상태의 상전류 비교는 귞늌 19와 같닀. 귞늌 19에서 볌 수 있듯읎 곌전압 Ʞ동 시 읞가되는 전압읎 높을수록 상전류가 감소하는 겜향을 확읞할 수 있닀. 하지만 전압읎 높아질수록 상전류가 감소하는 폭은 작아지게 된닀. 핎당 핎석에서는 20V 곌전압 Ʞ동에서의 상전류가 0.423A읎며 19V 곌전압 Ʞ동에서의 상전류읞 0.439A볎닀 3.78% 감소한 상전류륌 볎읞닀. 읎는 정격 전압 읞가 시와 곌전압 Ʞ동 시 상전류 비교에서 얻은 상전류 감소볎닀 작아진 감소윚을 볎읎게 된닀. 읎는 20V 곌전압 Ʞ동에서의 룚프 멎적곌 19V 곌전압 Ʞ동에서의 룚프 멎적은 포화에 가까욎 수쀀을 볎읎Ʞ 때묞에 상전류가 감소하는 비윚읎 낮닀. 읎륌 통핎 재료의 포화가 졎재하Ʞ 때묞에 곌전압 Ʞ동 시 맀우 큰 전압을 읞가한닀고 í•Žì„œ 높은 횚윚 향상을 얻을 수 없음을 확읞하였닀.

귞늌 19. 동Ʞ속도 진입 후 상전류 비교

Fig. 19. Comparison of phase currents after entering synchronous velocity

../../Resources/kiee/KIEE.2025.74.1.49/fig19.png

표 2 전압에 따륞 곌전압 Ʞ동 비교

Table 2 Comparison of over-excitation based on voltage

20V

19V

18V

Ʞ동 토크 (mNm)

3.68

3.57

3.18

히슀테늬시슀 토크 (mNm)

2.19

1.53

1.53

동Ʞ속도 진입 시점 (s)

0.100

0.124

0.151

동Ʞ속도 진입 후 상전류 (A)

0.423

0.439

0.449

표 2는 전압에 따띌 핎석한 곌전압 Ʞ동의 출력곌 상전류륌 비교한 표읎닀. 표 2륌 통핎 곌전압 Ʞ동 시 읞가되는 전압읎 슝가하멎 읎에 따띌 Ʞ동 토크와 히슀테늬시슀 토크가 슝가하고 동Ʞ속도에 진입한 ë’€ 정격 전압윌로 낮췄을 때 상전류가 감소하는 겜향을 확읞하였닀. 하지만 닚순히 전압을 맀우 높은 값을 읞가하는 것은 재료의 포화가 졎재하Ʞ 때묞에 높은 횚윚 향상을 얻을 수 없음을 확읞하였고, 히슀테늬시슀 전동Ʞ륌 곌전압 Ʞ동을 고렀하여 섀계할 때, 곌전압 Ʞ동 시 읞가되는 전압도 같읎 고렀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출력곌 횚윚을 확읞하고 섀계륌 진행하여알 핚을 확읞하였닀.

7. ê²° ë¡ 

êž°ì¡Ž 히슀테늬시슀 전동Ʞ는 유한 요소 핎석의 얎렀움윌로 읞핎 등가회로륌 통핎 음반적읞 정격 전압 읞가 시의 조걎에서만 섀계륌 진행하여 곌전압 Ʞ동윌로 얻을 수 있는 향상된 토크와 횚윚은 간닚하게 계산하여 싀험을 통핎서 확읞할 수 있었닀. 하지만 유한 요소 핎석읎 발전되얎 히슀테늬시슀 전동Ʞ의 유한 요소 핎석을 할 수 있었고, 곌전압 Ʞ동을 고렀한 핎석읎 가능핎졌닀. 따띌서 볞 녌묞에서는 첎적읎 동음한 조걎에서 곌전압 Ʞ동을 고렀한 핎석곌 정격 전압을 읞가한 핎석의 출력곌 횚윚을 비교하여 곌전압 Ʞ동윌로 얻을 수 있는 향상된 토크와 횚윚을 확읞하였닀. 읎륌 통핎 정격 전압 읞가 시볎닀 향상된 토크와 횚윚을 확읞할 수 있었닀. 또한 곌전압 Ʞ동에서 높은 전압읎 읞가될 때 전압을 변겜하여 핎석을 진행하였닀. ê·ž 결곌, 히슀테늬시슀 전동Ʞ륌 곌전압 Ʞ동을 진행할 때 읞가되는 전압읎 슝가할수록 Ʞ동 토크와 히슀테늬시슀 토크는 슝가하는 겜향을 볎읎며, 상전류륌 감소하는 겜향을 볎읞닀. 하지만 닚순히 전압을 슝가하는 것읎 아닌 히슀테늬시슀 링의 포화륌 고렀하여 전압을 선택하여알 핚을 확읞하였닀. 따띌서 히슀테늬시슀 전동Ʞ륌 섀계핚은 곌전압 Ʞ동을 고렀하여 전동Ʞ가 ë‚Œ 수 있는 최대의 횚윚곌 토크륌 확읞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횚윚곌 토크륌 확읞하고 섀계하는 것읎 타당핚을 확읞하였닀.

Acknowledgements

볞 연구는 정부(곌학Ʞ술정볎통신부)의 재원윌로 한국 연구재닚 믞래국방혁신Ʞ술개발사업의 지원에 의하여 읎룚얎진 연구로서, ꎀ계부처에 감사드늜니닀. (RS-2023-00304959)

References

1 
Hong-Kyu Kim, Hyun-Kyo Jung, and Sun-Ki Hong, “Finite element analysis of hysteresis motor using the vector magnetization-dependent model,” in IEEE Transactions on Magnetics, vol. 34, no. 5, pp. 3495-3498, Sept. 1998. Doi : 10.1109/20.717824DOI
2 
Hyeong-Seop Kim, Ji-Hoon Han, Dong-Jin Choi & SunKi Hong, “A Study of Dynamic Characteristic Analysis for Hysteresis Motor Using Permeability and Load Angle by Inverse Preisach Model,”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8, no. 2, pp. 262-268, 2019. Doi : 10.5370/KIEE.2019.68.2.262DOI
3 
Ji-Hoon Han, Dong-Jin Choi, Sang-Uk Park & Sun-Ki Hong, “B-H Loop Simulation of Hysteresis Motor after Entering Synchronous Speed Using Inverse Preisach Model,”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9, no. 3, pp. 419-426, 2020. Doi : 10.5370/KIEE .2020.69.3.419DOI
4 
Kataoka, T., T. Ishikawa, and T. Takahashi, “Analysis of a hysteresis motor with overexcitation,” IEEE Transactions on Magnetics, vol. 18, Issue 6, pp. 1731-1733, 1982.DOI
5 
Kitao, Junji et al., “Magnetic field analysis of ring core taking account of hysteretic property using play model,” IEEE transactions on magnetics vol. 48, Issue 11, pp. 3375-3378, 2012.DOI
6 
K. Kurihara, N. Kurihara, and T. Kubota, “Torque Analysis of the Hysteresis Motor with Over-excitation Using Play Model,” 2019 2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ical Machines and Systems (ICEMS), Harbin, China, pp. 1-6, 2019. Doi : 10.1109/ICEMS.2019.8921724.DOI

저자소개

박종훈(Jong-Hoon Park)
../../Resources/kiee/KIEE.2025.74.1.49/au1.png

He obtained his B.S in Digital Control Engineering from Hoseo University, Korea in 2024. Currently, he is pursuing the M.S in Information Control Engineering from Hoseo University,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electric motor analysis and design.

한지훈(Ji-Hoon Han)
../../Resources/kiee/KIEE.2025.74.1.49/au2.png

He obtained his B.S and M.S in Digital Control Engineering from Hoseo University, Korea in 2019 and 2021. Currently, he is pursuing the Ph.D in Information Control Engineering from Hoseo University,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deep learning and motor control.

최의진(Eui-Jin Choi)
../../Resources/kiee/KIEE.2025.74.1.49/au3.png

He obtained his B.S in Digital Control Engineering from Hoseo University, Korea in 2023. Currently, he is pursuing the M.S in Information Control Engineering from Hoseo University,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deep learning and IoT system.

홍선Ʞ(Sun-Ki Hong)
../../Resources/kiee/KIEE.2025.74.1.49/au4.png

He received the B.S., M.S. and Ph. D degrees in Electric Engineering from Seoul University, Korea in 1987, 1989 and 1993, respectively. He joined Hoseo University, in 1995, where he is currently a Full Professor with the Department of System and Control Engineering.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hysteresis motor analysis, electric motor analysis and design, motor fault diagnosis, servo motor control, converter and inverter design, deep learning and I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