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PSCAD에 의한 신호주입방식
그림. 4는 비접지 단극형 LVDC 배전망에서의 신호주입방식의 개략도를 나타내고,
그림. 5는 주입된 펄스 신호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PSCAD를 이용하여 신호주입방식을 모델링하고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그림. 4의 신호주입발생기(Signal Injection Generator)는 10[Hz]인 tvar 신호와 1[Hz] tcons 신호를 합성한 최종 펄스
신호 sum을 이 비접지 단극형 LVDC 배전망에 주입하게 된다. 즉,
그림. 5와 같이, 비접지 LVDC 배전망에 두 펄스 파형의 합성 펄스가 주입되는데, 이를 통하여 주입되는 극-접지 전압의 진동을 일으키며, 측정되는 전압과
전류를 통하여 지락고장 검출을 위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시뮬레이션에 사용된 합성 펄스의 크기는 50[V], 주파수는 10[Hz](주기는 0.1[s],)
로 설정하였다
(13-15,20-22).
그림. 4. 비접지 단극형 LVDC 배전망에서의 신호 주입 방식
Fig. 4. Signal injection method in ungrounded unipolar LVDC distribution network
그림. 5. 주입된 펄스 신호
Fig. 5. Injected pulse signal
그림. 6은 지락고장(pole to ground fault)이 2.5[s]에 발생하였을 경우, 측정된 극-접지 전압(Um)과 극-접지전류(Im)를 나타낸다.
그림. 6과 같이, 정상상태일 경우, 전압은 330∼430[V]를 나타내며, 전류는 –0.1∼0.1[mA]가 나타내고 있다. 지락고장이 발생한 경우, 전압은
약 5[V]로 감소하며, 전류는 0.61∼0.81[mA]로 증가하는 데, 지락고장 시에도 전류 변화가 미미하여 지락고장을 확실하게 검출하기 어렵다.
그림. 6. 측정된 극-접지 전압과 극-접지 전류
Fig. 6. Measured pole to ground voltage and pole to ground current
3.2 MRA을 통한 DWT의 상세 계수 분석
신호주입방식을 거치지 않은 전류 및 전압 신호는 DWT에 의한 해석을 통하여도 고장 발생을 알 수 없었다. 그런데 본 연구에서는 신호주입된 전류신호를
기술적인 연산 언어인 MATLAB를 활용하여 MRA을 통한 DWT의 상세 계수를 분석하였다. 모 함수는 Daubechies(db)를 사용하였고, 차수는
1∼8까지 가변하였고, 레벨은 1∼8까지 가변하면서 측정전류의 신호를 다양하게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에서 선택한 신호의 주기당 샘플링은 128[s/c]로
샘플링 주파수는 7,680[Hz]가 된다.
그림. 7은 db1에 의해 전체분해 된 측정 전류(Im)를 나타낸다. 여기서, x축은 2[s]부터 3[s]까지 1[s] 동안의 데이터 개수 15,360를 의미한다.
그림. 7과 같이, 레벨 1에서 db1의 분해 결과, 원 신호 측정 전류 S(I
m) = a
1 + d
1이 되고, a
1은 LPF를 통과한 근사 계수이며, d
1은 HPF를 통과한 상세 계수를 나타낸다. MRA를 반복하다가 레벨 8에서 db1의 분해 결과, 원 신호 측정 전류 S(I
m) = a
8 + d
8 + d
7 + d
6 + d
5 + d
4 + d
3 + d
2 + d
1이 되는데, a
8은 LPF를 통과한 근사 계수이며, d
1∼d
8은 HPF를 통과한 상세 계수들을 나타낸다.
그림. 7에서와 같이, DWT 변환 결과 신호는 고장 전과 후가 명확히 다르게 나타났는데, 고장 전에는 각 펄스 파형과 같은 주기로 신호의 크기가 변하지만,
고장 후에는 아무런 변화가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림. 7. db1에 의해 분해된 측정 전류
Fig. 7. Measured current decomposed by db1
그림. 8은 극-접지사이에 신호를 주입한 후, db6에 의해 전체분해 된 측정 전류를 나타낸다.
그림. 8에서와 같이, 주입된 펄스 신호의 영향에 따라 고장 발생점에서 크기의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d1∼d4의 경우 고장 전과 후에는 각 펄스 파형과 같은
주기로 신호의 크기가 미세하게 변동되었다. d5∼d8의 경우 고장 전과 후의 신호가 확실하게 구별되었고, 고장 전에는 미세하게 변동하며 고장 후에는
크게 변동이 나타났으며, 고장 발생점에서 크기는 약 0.8[mA]를 보였다. Daubechies의 차수와 레벨을 가변하면서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결과
측정전류의 db6의 d5값의 크기가 지락고장을 검출하는데 적절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8. db6에 의해 분해된 측정 전류
Fig. 8. Measured current decomposed by db6
부하변동과 고장저항 변동에서의 제시한 분석에 따른 지락고장 검출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부하가변과 1[kΩ] ∼ 500[kΩ]까지 고장저항값을
가변하면서 시험을 수행하였다. 그림 9는 고장저항이 1[kΩ]인 경우 제시한 신호주입방식을 통한 측정전류의 db6의 d5값을 나타낸다.
그림. 9와 같이, 고장발생직후 신호의 최대 크기는 0.2[mA]가 나타났으며, 펄스 파형과 같은 주기로 신호의 크기가 미세하게 변동되었다.
그림. 9. db6의 d5 값 (고장저항 : 1[kΩ])
Fig. 9. d5 value of db6 (fault resistance : 1[kΩ])
그림. 10은 고장저항이 500[kΩ]인 경우 제시한 신호주입방식을 통한 측정전류의 db6의 d5값을 나타낸다.
그림. 10과 같이, 고장발생직후 신호의 최대 크기는 0.089[mA]가 나타났으며, 펄스 파형과 같은 주기로 신호의 크기가 미세하게 변동되었다.
그림. 10. db6의 d5 값 (고장저항 : 500[kΩ])
Fig. 10. d5 value of db6 (fault resistance : 500[kΩ])
그림. 11은 2.5[s]에서 부하변동이 발생하였을 경우, 제시한 신호주입방식을 통한 측정전류의 db6의 d5값을 나타낸다.
그림. 11과 같이, 부하변동직후 신호의 최대 크기는 0.01[mA]가 나타났으며, 펄스 파형과 같은 주기로 신호의 크기가 미세하게 변동된다. 부하변동이 일어난
지점에서는 신호의 변화가 없었다.
그림. 11. db6의 d5 값 (부하변동)
Fig. 11. d5 value of db6 (load variation)
표 1은 제시한 신호주입방식을 통한 측정전류의 db6의 d5값의 분석을 나타낸다.
표 1과 같이, 부하변동과 고장저항을 1[kΩ]에서 500[kΩ]까지 가변하면서 분석한 db6의 d5값을 통해, 고장발생 시 신호값과 고장 후 미세변동되는
신호값의 최대값을 통해, 고장저항의 최대값과 미세변동의 한계값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지락고장을 판단을 할 수 있는 고장저항의 최대 임계치는,
상기 분석을 통해 1[kΩ]부터 최대 500[kΩ]까지 지락고장을 검출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정상상태에서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측정된 전류의 db6의 d5 신호값을 0.05[mA]정도로 설정하면 좋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표 1. db6의 d5 값의 분석
Table 1. Analysis of d5 value of db6
|
Standard*
|
Sunny Subjects
(N = 5)
|
Cloudy Subjects
(N = 5)
|
Subjects
|
Age
|
Twenty
|
26.0
±2.55
|
25.4
±3.05
|
25.56
±2.79
|
Height
|
175.8
±5.38
|
173.6
±2.30
|
173.6
±5.86
|
174.0
±4.24
|
Weight
|
75.6
±10.78
|
67.4
±5.55
|
69.2
±6.10
|
69.0
±5.43
|
BMI
|
18.5
~22.9
|
17.54
±2.42
|
20.04
±4.31
|
19.04
±3.66
|
Pulse
|
50
~100
|
68.0
±7.35
|
73.4
±8.32
|
69.67
±7.66
|
Blood
pressure
|
120/80
|
119.4
/75.0
(±7.23
/8.06)
|
126.2
/73.4
(±10.06
/7.67)
|
123
/74.22
(±9.53
/7.9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