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훈
(Hoon Lim)
1iD
서명국
(Myoung-Kook Seo)
1
주영훈
(Young Hoon Joo)
†iD
윤병운
(Byong-Un Yun)
2
방병주
(Byoung-Ju Bang)
2
-
(Korea Construction Equipment Technology Institute (KOCETI))
-
(Shinheung Industry Company)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KIEE)
Key words
Underground Crop Harvester, Collecting Harvester, Agricultural Machine, Upland Farming Machine
1. 서 론
산업계 전반에 IoT & ICT, 자동화 및 지능화, Big Data 등 신기술들이 다양하게 적용되면서 농업 분야에서도 이러한 새로운 기술들이 전통적인
농사 방식과 접목되며 생산성과 편의성, 안전성 등을 향상시키고 있다.
그림 1에서와 같이 농림축산식품부의 주요 통계 자료에 따르면 현재 국내 논농사의 기계화율은 95% 이상이지만, 밭농사는 아직 60% 이하로 머물러 있어,
밭농업 기계화율을 높이려는 다양한 정책과 지원이 추진되고 있다[1].
그림. 1. 농업 형태별 기계화율 분석
Fig. 1. Analysis of mechanization rate by agricultural type
논농사에 비해 밭농사에서 기계화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이유는 밭의 지형적 환경과 소량 다품종을 생산하는 국내 밭농사의 특성 때문이다.
또한 기존 기계식 농기계의 경우 여성과 고령층이 사용하고 조작하기에 적합하지 않아 보급이 활성화되지 않고 있다.
농촌 인구에서 점차적으로 여성과 고령 인구 비율이 증가하면서 작업 편의성과 안전성이 향상된 자동화 및 지능화 장비에 대한 요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밭농사에서 가장 빈번하게 사용하는 감자와 양파 같은 구근류 수확기 중에서도 트랙터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굴취형 땅속작물 수확기의
지능형 제어 시스템을 개발한다.
이러한 지능형 제어 시스템이 적용된 개발 장비는 기능별 자동 제어와 개별 제어 및 알림용 편의 장치 등의 다양한 기능으로 기존 기계식 제품 대비 생산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2. 관련 연구 조사
최근 농기계 분야에 전자제어 및 다양한 센서 기술 등을 장비와 융합하여 지능화, 무인화 하는 연구들이 국내외에서 진행되고 있다.
본 장에서는 밭작물 수확용 농기계의 종류와 국내외 최신 기술 동향에 대해 다룬다.
2.1 밭작물 수확용 농기계
밭작물의 수확용 농기계는 농촌진흥청의 자료를 기초로 그림 2와 같이 예취형 수확기, 굴취형 수확기, 콤바인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2].
그림. 2. 밭작물 수확용 농기계 장비 종류
Fig. 2. Agricultural machinery equipment type for harvesting crops
예취형 수확기는 두류나 참깨 등의 농작물을 베어 수확하는 자주식 기계 또는 관리기로 예취 장치 등을 갖추고 있는 장비이고, 굴취형 수확기는 감자 및
마늘 등 땅속작물이나 약초류를 굴취하거나 뽑는 방법으로 수확하는 자주식 기계나 농업용 트랙터 뒤에 부착 가능한 장비이다.
콤바인은 잡곡, 고추 등의 농작물을 수확하는 자주식 기계로 예취나 탈과, 탈곡장치 및 정선장치 등을 갖추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트랙터에 부착하여 감자와 양파 등을 수확하는 굴취형 수확기 장비를 개발 대상으로 한다.
2.2 국외 기술 동향
최근 해외에서 개발한 대표적인 지능형 구근류 수확기들은 그림 3과 같다.
폴란드 Agribot社에서 개발한 밭농업용 자율작업 농기계 Agribot은 경사지, 비정형 포장 조건에서 적용 가능한 무인 농용 로봇 장비로 감자,
무, 배추 등 다양한 구근류 밭작물에 적용할 수 있고, 농작업 환경에 적합한 심플한 구조 설계와 분산통신 전자제어 장치들로 이뤄져 있다.
캐나다 UNIVERCO 社의 트랙터 부착용 양파 수확기는 전자식 컨트롤 장치가 부착된 장비로 트랙터에 부착된 컨트롤러를 통해 굴취 높이와 속도를 제어
가능하며, 스프레더 암이 있는 16개의 롤러 테이블을 통해 시간당 32톤을 수확 가능하다.
그림. 3. 국외 업체의 밭작업용 장비
Fig. 3. Equipment for harvesting of fields from foreign companies
프랑스 SIMON 社의 양파 수확기는 전자 유압식 컨트롤러를 통해 컨베이어 이동 속도와 높이를 조절 가능하다.
이처럼 국외의 밭작물 수확기들은 무인화와 자동화에 초점을 맞춰 개발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국외 굴취형 수확기는 수확물 저장과 이송을 위한 트레일러가
병행되어 작업이 이뤄지는 형태로, 주로 대규모 밭작물 수확에 적합한 장비이다.
2.3 국내 기술 동향
국내 밭작업용 구근류 수확 장비인 땅속작물 수확기는 그림 4와 같이 수확 방식이 일반형과 수집형으로 나뉘고, 구동 방식이 트랙터에 부착되는 비자주식과 자체 구동이 가능한 자주식 타입으로 나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4. 국내 땅속작물 수확기 분류 방식
Fig. 4. Classification of the domestic underground crop harvester
현재 국내 대다수의 땅속작물 수확기는 트랙터에 부착되는 비자주식 타입이며, 기계적 방식으로 수확 작물과 토질에 따른 작업별 조정 작업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어렵다.
그리고 전체 동력을 트랙터 PTO 동력에만 의존하여 작동하는 일체형 시스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개별 제어 및 독자적인 구동이 불가능하다.
최근 콤바인 농기계에서는 분산제어방식을 적용하여 시스템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센서와 부품들을 농기계에 적용하여 작업 안전성 등을 향상시키고
있다[3-6].
이처럼 땅속작물 수확기도 국내 밭 환경에 적합한 지능형 장비가 필요하다.
국내 밭은 흙, 자갈, 돌멩이, 나무 조각 등 다양한 이물질들이 혼재되어 있어 땅속작물 수확 작업 시 굴취, 선별, 수집 등 복합 작업이 필요하며,
밭 환경에 따라 능동적으로 작업별 기능 조정을 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기계식 장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밭의 환경적 차이점과 수확 작물별 종류에 따라 전자 제어로 굴취 깊이, 선별 속도를 제어하고
수집부 하중 인지와 경고 알람, 연속 박스 교체 등과 같은 다양한 편의/안전 기능을 제공하는 땅속작물 수확기의 지능형 제어 시스템을 개발한다.
3. 지능형 제어 시스템 개발
본 연구에서 최종 목표는 밭의 환경과 수확 작물에 따라 여러 가지 기능을 사용자가 손쉽게 제어하며 밭작물의 수확 작업을 능동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지능형 땅속작물 수집형 수확기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지능형 수확기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크게 제어부, 전장부, 구조부의 3가지 부분으로 나뉘는데 전장부와 구조부는 장비의 구조적 디자인과 기구 프레임
설계 등이 위주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컨트롤러를 통해 다양한 기능을 제어하고 구현할 수 있는 제어부 개발에 집중한다.
3.1 제어 시스템의 레이아웃 및 작동 방식 소개
기존 땅속작물 수확기 장비 대비 제어 방식이 개선된 지능형 시스템의 전체적인 레이아웃을 그림 5에서 보여주고 있다[6].
개발한 지능형 제어 시스템은 유압 모터와 유압 실린더 그리고 전자 제어 모듈과 컨트롤러를 통해 각 기능별 개별 제어와 순차 제어가 가능하다.
본 시스템의 전원부는 메인 전원부와 보조 전원부로 나뉘는데, 메인 전원부는 PTO 동력부를 제너레이터와 연결하여 구동 시 발생되는 회전력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제어부에 공급하고 배터리에 충전시키는 방식이고, 보조 전원부는 트랙터에서 나오는 12V 전원을 케이블 하네스(Harness)로 연결하여 제어부에
추가 공급하는 방식이다[6].
본 제어 시스템의 레이아웃을 통해 제어 및 구동되는 작동 방식 시나리오는 그림 6에서 확인할 수 있다[6].
먼저 굴취 수확 작물의 종류(감자, 양파)를 선택하면 그에 맞게 굴취 깊이가 조절되고, 선별부에서는 선택된 굴취 수확 작물에 따른 해당 속도와 방향으로
구동된다.
그림. 5. 지능형 땅속작물 수확기 시스템 레이아웃
Fig. 5. Intelligent underground crop harvester system Layout diagram
그림. 6. 시스템 제어 및 작동 방식 개념도
Fig. 6. Conceptual diagram of system control and operation
수확물들이 선별부를 거쳐 수확부에 쌓이면 로드셀 센서로 무게를 감지하고, 특정 무게치에 도달하면 알림이 뜨며 수확부 박스를 자동으로 교체한다.
이상의 제어 기능들을 전자 컨트롤러를 통해 사용자가 전체 제어 혹은 개별 제어한다.
3.2 제어 시스템의 세부 주요 기능
지능형 땅속작물 수확기로 밭농사 작업 시 생산성과 작업 효율성 및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그림 6과 그림 7에서처럼 크게 4가지 세부 주요 기능들을 개발 및 적용한다[6].
첫째, 작물과 두둑에 따른 굴취부 깊이 제어 기능으로 트랙터와 연결되는 수확기 유압 실린더의 전/후 제어를 통해 굴취부 상/하 조절을 한다.
그림 8과 같이 작업자가 굴취 작물에 따라 컨트롤러로 유압 실린더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사용한 유압 실린더는 DAEHAN Hydroulic社의 링크실린더-1571 모델로 유압 펌프를 통해 나오는 유압량을 제어함으로써 실린더를 통해 작물별
굴취부의 깊이를 최대 40mm이내로 조절할 수 있다.
그림. 7. 땅속작물 수확기의 4가지 개별 제어 기능
Fig. 7. Four individual control functions of underground crop harvester
그림. 8. 굴취부 깊이 제어 기능
Fig. 8. Excavation depth control function
둘째, 선별부 속도 및 방향 제어 기능으로 수확 작물에 따라 사용자가 선별부 체인의 속도를 제어하고 필요 시 체인의 정/역 회전도 조절 가능한데,
이는 선별부 체인을 구동시키는 유압 모터를 통해 구현된다.
그림. 9. 선별부 속도 및 방향 제어 기능
Fig. 9. Sorting part speed and direction control function
유압 모터는 SINJIN PRECISION社의 OP-H050-GAAO 모델로 용적 50 cc, 정격회전속도 910 rpm, 정격출력토크 8.0 kgf.m의
사양으로 산업용 및 농업용 기계 장치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림 9와 같이 작업자가 선별부의 속도와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선별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셋째, 수집부 하중 측정 및 경고 알람 기능으로 수집부로 하강하는 작물의 하중을 측정하고, 하중에 따라 경광 및 경음 방식으로 작업자에게 수집부 박스의
교체시기를 사전에 알려줄 수 있다.
수확물 하중을 감지하기 위해 로드셀을 사용한 무게 감지 방식, 포텐셔 미터를 활용한 각도 감지 방식,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높이 감지 방식 등 다양한
센싱 방식을 통해 알아낼 수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동적환경에서의 수확물 하중을 측정하기 위하여 가장 안정적인 로드셀 방식을 사용하였다.
로드셀 센서는 YZC-1B 모델과 로드셀 전압 증폭 역할을 하는 앰프 모듈로 HX711 모델을 사용하였고, 발생되는 충격이나 진동의 외란 값을 보정하기
위해 칼만 필터를 적용한다.
그림 10에 나온 것처럼 로드셀과 아두이노 그리고 LCD 모듈을 통해 하중 측정 회로를 테스트해 본 후에 실제 장비에 로드셀을 장착하였다.
넷째, 하역부의 자동 박스 교체 기능으로 수집부를 통해 수확된 작물들이 박스에 가득 차게 되면 빈 박스로 교체하게 된다.
이는 로드셀에서 신호를 보내고 유압 모터가 롤러를 통해 가득 찬 박스를 측면으로 밀어 내어 지면에 떨어지는 방식으로 이 기능은 선별부 속도 제어 방식과
동일하게 유압 모터를 제어함으로써 구현된다.
그림 11에서 설계된 모듈을 확인할 수 있으며, 본 기능은 작업자가 컨트롤러에서 자동과 수동 방식으로 선택할 수 있게 설계하였다.
그림. 10. 수집부 하중 측정 및 알람 기능
Fig. 10. Collecting part weight measurement and alarm function
그림. 11. 하역부 자동 박스 교체 기능
Fig. 11. Automatic box replacement function
4. 제어 시스템 성능 실험
땅속작물 수확기 지능형 제어 시스템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그림 12와 같이 제어부의 각 모듈들과 컨트롤러를 실제 제작한 프로토 타입의 실차 장비에 장착하였다.
그림. 12. 지능형 제어 시스템을 장착한 땅속작물 수확기 프로토타입 모델
Fig. 12. Underground crop harvester prototype model with intelligent control systems
본 성능 실험은 처음 제작한 모듈과 컨트롤러가 실시간으로 그에 해당하는 제어 기능들을 알맞게 구현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성능 검증이 목표였으므로, 땅속작물
수확기 장비의 구동 환경은 무부하 상태에서 진행하였다.
그리고 전원부는 향후 배터리의 스펙이 될 12V/30A에 맞추어 파워 서플라이를 사용하였으며, 유압 공급부는 Hydro-Tek社의 유압 펌프를 사용하였고
유압 컨트롤 밸브로 비례제어밸브 4개를 사용하였다.
그림 13에서와 같이 실제로 땅속작물 수확기 기구부에 모듈과 컨트롤러를 연결하여 장비 실차 성능 실험을 하였다.
그림. 13. 제어 시스템의 성능 검증을 위한 장비 실차 실험
Fig. 13. Equipment experiment for verification of control system performance
그림 13의 (a) 그림은 유압 모터와 유압 실린더 등을 장착한 기구적으로 개선된 땅속작물 수확기 실차와 컨트롤러 및 모듈을 연결한 모습, (b) 그림은 케이스 내부 장착된 컨트롤러 제어 PCBA 실물 모습, (c) 그림은 각각의 기능 검증 가운데 수집부 하중 인지 테스트로 로드셀을 통한 하중 감지로 사인 타워에 경광, 경음이 나타나고 있는 성능 검증 모습이다.
그림. 14. 제어 시스템의 해당 기능별 성능 검증 결과
Fig. 14. Results of performance verification for each function of the control system
본 제어 시스템의 컨트롤러에 내장된 4가지 주요 기능들을 각각의 모듈들을 통해 직접 실시간으로 개별 제어 및 순차 제어로 구현한 성능 검증 결과는
그림 14와 같다.
굴취부, 선별부, 수집부, 하역부로 구성되는 해당 기능들이 그림 14에 나온 것처럼 모두 정상적으로 동작되는 것을 확인하며 성능 검증 실험을 완료하였다.
5. 결 론
본 논문에서 구근류인 땅속작물들을 수확하는 밭농사 시 작업 환경 및 수확 작물에 따라 다양한 기능들을 실시간으로 구현할 수 있는 지능형 땅속작물 수확기의
전체적인 제어부 레이아웃 설계와 제어 시스템 구성과 제작 그리고 제어부의 실차 성능 검증 실험을 다루었다.
실제 설계하고 제작한 제어 시스템을 실차 장비에 장착하여 성능 실험을 진행하며 4가지 주요 기능들이 컨트롤러와 해당 모듈들에 의해 정상적으로 구동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본 지능형 제어 시스템을 장착한 땅속작물 수확기가 기존 기계식 일체형 장비보다 훨씬 더 생산성과 작업 효율성 그리고 편의성 측면에서 향상되었음을
검증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무부하 상태가 아닌 실제 밭작업 현장에서 제어 시스템을 장착한 지능형 땅속작물 수확기를 실험하며, 제어부의 성능 개선과 최적화를 진행하고자
한다.
그리고 실외에서 사용되는 장비인 만큼 제어 시스템의 내구성과 신뢰성 강화 방안 및 소형화 설계 부분도 함께 연구 진행할 예정이다.
Acknowledgements
본 결과물은 농림축산식품부의 재원으로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의 첨단생산기술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118021-2)
References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MAFRA), Korea Agency of Education,
Promotion & Information Service in Food, Agriculture, Forestry & Fisheries(EPIS),
2016, Major Statistics for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in 2016,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Data Office, pp. 240-247
Yong Choi, Young-Geun Kim, Il-Soo Choi, Sang-Hee Lee, Seung-Hwa Yoo, Chang-Ho Kang,
Chan-Ho Kang, In-Suk Lee, Kyu-Hwan Choi, Suk-Joo Kwon, 2019, Agricultural Machinery
for Harvesting Crop,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ng-Soo Yang, Kyoung-Seok Park, Dong-Won Shin, Jae-Shik Yi, 2011, A Development of
Control System for Agricultural Machinery by using Distributed Control,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Manufacturing Process Engineers, Vol. 10, No. 6, pp. 39-45
Yong-Eun Kim, Sun-Ah Hong, Jin-Gyun Chung, 2008, System for Accident Prevention of
Intelligent Farm Machine,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Summer
General Science Conference in 2008, pp. 1165-1166
Ki-Nam Lee, Yong-Jun Lee, Wooram Gil, Susan Park, Young-Jae Ryoo, 2016, Design of
Agricultural Working Machine Connecting Device with Weight Measuring Function, in
Proceedings of KIIS Spring Conference 2016, pp. 73-74
Hoon Lim, Myoung-Kook Seo, Young-Hun Joo, Byong-Un Yun, Byoung-Ju Bang, 2018, Control
System design for Intelligent Crop Harvester development, in Proc of Conference on
Information and Control Systems, pp. 2-3
저자소개
2007년 동의대학교 전자공학과 공학사.
2009년 부산대학교 전자공학과 공학석사.
2010년 LG전자 HA제어연구소 주임연구원.
2014년∼현재 건설기계부품연구원 선임연구원, 건설기계 및 농기계의 임베디드 시스템, 지능화, 자동화 관련 연구개발에 종사.
E-mail : hoon.lim@koceti.re.kr
Tel : 063-447-2578
2006년 한국항공대학교 기계공학과 공학사.
2008년 광주과학기술원 기전공학과 공학석사.
2013년 광주과학기술원 기전공학과 공학박사.
2014년∼현재 건설기계부품연구원 선임연구원, 건설기계의 환경인지 시스템, 영상처리, 3D 모델링&렌더링 관련 연구개발에 종사.
E-mail : seomk@koceti.re.kr
Tel : 063-447-2588
1982년 연세대학교 전기공학과 공학사.
1984년 연세대학교 전기공학과 공학석사.
1995년 연세대학교 전기공학과 공학박사.
1986년 삼성전자 생산기술센터 팀장.
1995년∼현재 군산대학교 IT정보제어공학과 교수.
2009년 한국지능시스템학회 회장.
2016년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부회장.
2016년~현재 교육부선정 중점연구소장(군산대학교 풍력기술연구센터장).
2018년~현재 대한전기학회 회장.
E-mail : yhjoo@kunsan.ac.kr
Tel : 063-469-4706
1995년 아주대학교 생산자동화공학과 공학사.
1997년 아주대학교 기계공학과 공학석사.
1997년 삼성전자 자동화연구소 연구원.
2005년 신흥공업사 근무.
2017년∼현재 신흥공업사 기업부설연구소 연구소장.
E-mail : sh5347@gmail.com
Tel : 031-352-5347
1989년 전북대학교 금속재료공학과 공학사.
1990년 수산중공업 근무.
2003년 지노무역 근무.
2017년∼현재 신흥공업사 수석연구원.
E-mail : roombj@hanmail.net
Tel : 010-7600-79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