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신용
(Shin-Yong Youn)
†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KIEE)
Key words
Industrial textile printer, Electrical noise reduction, Separation distance of power and communication cable, Electromagnetic wave noise, Conductibility noise, Earth Ground wire, Shield ground of communication cable
1. 서 론
최근 스마트 정보 IT 융합기술의 발달에 따라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제품이 OA 및 FA 분야 다양한 분야로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산업용 로봇,
스마트 팩토리, 친환경 신재생에너지, 자동화 기술과 더불어 섬유, 의류의 날염 기술도 기존 전통 아날로그 스크린 도판방식에서 친환경 디지털 텍스타일(textile)
날염기로 생산공정을 대치할 수 있도록 많은 변화가 가속화하고 있다.
산업용 잉크젯 디지털 텍스타일(textile) 프린터 기술은 2010년 기존 광고시장 프린터에서 응용하여 전통적인 텍스타일 날염 설비를 대체할 수
있는 속도와 품질로 까지 발전하고 있다. 이는 섬유패션 선진국인 이태리, 미국, 일본을 중심으로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후발국인 중국의 추격이
매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이에 대한 세계시장 선도 및 확대를 위해 중고속, 고해상도, 고품질의 국내기술개발 축적이 더욱 필요한 시기이다(1),(2).
그 동안 섬유(의류) 날염기술은 스크린 인쇄공정을 적용하므로 다양한 칼라 도판에 잉크를 묻혀 인쇄하므로 도판 보관, 잉크과다 소비, 도판의 잉크세척에
의한 오폐수 발생, 다양한 스크린 도판공정에 의한 많은 공간필요, 다양 칼라 대응 시 도판제작에 의한 15∼21일 소요 등으로 바이어 샘플 대응에
많은 시간이 소요 및 인건비 상승 등으로 비경제적면의 한계를 지니고 있다.
디지털 잉크젯 방식의 기술 적용 시는 필요한 이미지 색상부분 잉크분사로 잉크 절감, 도판이 없으므로 오폐수의 발생이 없어 도시 아파트형 공장에서 생산
가능, 바이어 요청 시 PC에 의한 칼라이미지 인쇄로 신속한 고객 대응 가능, 인건비 절약 등의 장점을 지니고 있다.
잉크젯 텍스타일 기술적용은 2008년 이후 적용되기 시작하였으며 이후 관련 프린터, 잉크 및 소재산업의 사업화 기술 발전에 의해 기존 날염기술을 대치
할 수 있는 생산성 기술을 축적하여 세계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전체 날염시장 중 기존 아날로그날염 92%, 디지털날염 8%를 점하고 있으며 앞으로
40% 이상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터는 섬유 및 의류원단에 칼라잉크를 압전 세라믹 잉크젯 헤드의 펄스전압제어에 의한 잉크를 토출을 통하여 다양한 색상 이미지를 원단에
직접 인쇄하는 직사방식과 전사지에 칼라 이미지를 출력 후 폴리원단을 겹쳐 열전사기에 의한 기화 승화하는 전사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사방식 프린터를 개발하였으며 용도는 아웃도어(수영복), 홈텍스타일(커텐, 침구류), 스카프, 티셔츠, 텐트 및 의류제품에 사용된다(3),(4).
이러한 고속 디지털화 제품이 신뢰성 품질 안정을 위해서는 제어시스템의 노이즈 저감 개선이 매우 중요하다. 노이즈에 시스템 정지, 에러는 인쇄출력물
불량시 고객의 많은 사업 손실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PC에서 잉크젯헤드를 제어하는 데이터 송수신 메인보드에 대한 노이즈 영향을
저감하도록 케이블 베어 내의 통신 케이블 보호 및 접지를 통하여 저감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날염 장비의 인쇄 중 노이즈에 의한 제어시스템
에러 및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노이즈저감 기술을 분석하여 제어시스템의 설계 및 제작 개선하고자 한다.
2. 텍스타일 프린터 전기설비의 노이즈 저감
2.1 디지털 텍스타일 전사 프린터 구조
그림 1은 섬유(의류)에 날염 색상 이미지를 전사지에 출력하는 승화전사 고속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터 구조를 나타낸다. AC 동기형 리니어 모터에 의해 헤드베이스(Inkjet
headbase) 가동부는 좌우로 이동하면서 칼라잉크를 분사하며 인쇄 후 전사지는 AC서보모터에 의해 풀어주고 감겨주는 피딩(feeding)구조이다.
출력된 전사지는 날염 대상 원단에 밀착 겹친 후 열전사기 기화 승화과정에 의해 전사지 이미지가 원단에 고착 전이되어 원하는 발색을 가능하게 된다.
다양한 칼라 이미지를 출력하는 잉크젯 멀티 헤드 가동 케리지부(carriage)는 8칼라 16헤드 헤드베이스가 헤드베이스 폭 만큼 좌로 인쇄 폭 1.9m
이동 후 전사지를 헤드베이스 폭 만큼 앞으로 이동(feeding) 시키며 전사지가 김겨진다. 이러한 동작을 반복하며 원하는 칼라 이미지를 선정된 길이만큼
인쇄하는 프린팅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 1.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터 구조
Fig. 1. Structure of Digital Textile Printer
표 1은 그림 1의 프린터 시작기에 대한 출력 사양을 나타내며, 폴리에스터, 나일론 등에 인쇄된 날염 원단은 아웃도어, 수영복, 스포츠복, 침장류, 홈텍스타일 등에
적용된다.
표 1. 텍스타일 프린터 사양
Table 1. Textile Printer Specification
|
최대 인쇄 속도[m2/h]
|
400
|
|
인쇄 해상도 [dpi]
|
600 x 1200
|
|
인쇄 색상 [N]
|
8
|
|
인쇄 헤드 수[N]
|
16
|
|
인쇄 폭 [mm]
|
1,900
|
|
전사지 중량 [g/m2]
|
50 이상
|
|
원단(의류)
|
폴리,나일론(아웃도어) 등
|
2.2 노이즈 발생 및 접지 기술
전기전자설비의 노이즈가 발생하는 부분은 전압과 전류가 변화하는 부분, 즉 dv/dt와 di/dt가 발생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부분은 적용부품
특성상 없을 수 없고 노이즈는 필연적으로 발생되므로 어떻게 하면 노이즈를 줄이거나 영향을 최소화 하는 기술이 중요하다. 노이즈 침입 경로는 도체전도,
공간전도, 처음은 도체전도 중간에서 공간전도, 처음 공간전도 중간 도체전도로 분류된다. 그림 2는 신호 전송시 포인트 1과 2 사이 중간에 노이즈 생성에 의한 수신부 신호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 2. 노이즈 발생
Fig. 2. Noise occurrence
2.2.1 노이즈 신호 결합 특성
가) 정전 결합 : 전압이 안가된 도체 1과 2와의 사이에 콘덴서에 의한 정전결합이 발행된 도체 2에 노이즈가 인가되어 신호가 발생되는 것을 나타낸다,
식(1)은 도체와 접지사이의 정전 노이즈 전압을 나타낸다.
여기서 V1 간섭원 전압, Vn 도체2와 접지의 노이즈, R 접지와의 회로접속저항, C12 두도체 사이의 캐패시턴스,
C1g 도체1과 접지의 캐패시턴스, C2g 도체2와 접지의 캐패시턴스
나) 전자유도 결합 : 도체 회로내에 전류가 흐를 때 자속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다른 회로에 기전력이 발생하여 신호가 흐름을 나타내며 식(2)는 유도노이즈 전압을 나타낸다.
여기서 V1 간섭원 전압, Vn 유도 노이즈 전압, i1 간섭원 전류, R,R1,R2접지와의 회로
접속저항, M 상호인덕턴스
다) 공통 임피던스 결합은 하나의 임피던스 회로를 공유하는 두 회로에서 발생하는 다른 신호 특성에 의한 각각 다른 크기의 전압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전압차가 발생하여 순환유도전류가 흐르게 되어 노이즈가 발생한다. 그림 3(c)는 공통 임피던스 결합을 나타타내며 그림 3(a),(b),(c)는 노이즈 신호결합 특성을 나타낸다.
그림. 3. 노이즈 신호 결합 특성
Fig. 3. Characteristics of noise signal combination
여기서 V1: i1의 전압, V2: i2의 전압, i1 회로1의 접지전류, i2 회로2의 접지전류,
Z 공통임피던스
라) 노이즈 전력
신호에서 매 비트 마다 측정된 에너지
여기서 S 신호전력(W), Tb 1비트를 보내는데 걸리는 시간(sec)
R=1/Tb 이므로
노이즈 전력밀도(어떤 전송선로의 1Hz 대역폭에서 열 노이즈 레벨)
여기서 k 볼츠만 상수, 1.3803×10−23JK−1, T 캘빈온도
여기서 C 정보전송률, W 선로/채널의 대역폭(Hz), S 평균 신호전력(W), N 임의 노이즈 전력(W)
수신된 신호의 노이즈 전력(N)은 다음 식(9) 같다.
2.2.2 노이즈 저감 접지 기술
접지방법은 저주파수시의 일점접지(직렬접지, 병렬접지)와 1MHz이상 고주파수시의 다점접지가 있으며 용도에 따라 적합하게 구성되어야 한다. 전기전자
설비에서는 안전과 제어시스템 오동작을 방지를 위해 접지를 적용이 필요하다.
그림 4(a)는 노이즈 저감을 위해 기기접지만을 한 경우와 기기접지와 기준접지를 같이 병행한 경우의 임피던스 감소효과 비교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 4(b)는 제어시스템 내부 기기접지와 외부 기준접지를 함께한 구성을 나타내며 본 제어시스템에서는 이를 적용하였다.
2.3 전기설비 제어시스템 구성
그림 5는 프린터를 구성하는 전기설비, 전장 제어시스템의 블록선도를 나타내며, 주요블록은 AC 전원부, DC전원부, 서보모터제어부, 제어보드부로 구성하였다.
주전원 공급은 분전
그림. 4. 접지 효과 및 방법
Fig. 4. Effect and method of earth ground
반의 배선용차단기 50A MCCB에서 설비 전용으로 분기하여 3상 220V 열건조기와 단상 220V 출력설비 및 언와인더에 공급된다. 출력설비의 전원
인입부에는 전기안전을 위해 회로 내 단락, 과부하전류 및 누전으로부터 설비를 보호할 수 있도록 정격차단전류 1.5kA의 30A 누전차단기를 설치하였다.
누전차단기, 노이즈필터, MC마그네트, 릴레이, SMPS, 단자대 순으로 연결되어 각 보드의 DC 전원으로 공급되며, 캐리지 리니어 모터 및 피드
모터의 AC 전원은 차단기, 단자대를 통해 공급되도록 구성하였다. 여기서 노이즈 저감을 위해 SMPS와 모터 드라이버 장치는 분리 배치하여 상호 영향을
최소화하였으며, AC 접지와 DC접지를 분리하여 판넬에 1점 접지 (녹색선 접지바)하고 정전기 및 서지 이상전압이 배출되도록 외부에 접지선(녹색)을
연결하였다.
그림. 5. 전기 설비의 구성도
Fig. 5. Composition of electrical facilities
그림 6(a)는 전원공급장치 판넬부(강전), 그림 6(b)는 모터 및 제어용 보드 판넬을 나타낸다. 전원판넬부 설계는 밑에 우측에서 AC 전원이 입력되며 전원 차단기, 노이즈필터, MC 마그네트 전자접촉기,
릴레이, SMPS, 단자대 순으로 연결되어 각 보드의 DC 전원으로 공급된다. AC 서보전원은 차단기, 단자대를 통하여 공급되도록 구성하였다.
그림. 6. 전원 및 제어보드 판넬의 분리 구성
Fig. 6. Separation of power and control board panel
노이즈 저감을 위해 피딩용 서보모터 구동드라이버는 좌측에 배치하며, 보드류는 우측에 배치하여 상대적으로 노이즈가 많은 서보드라이버의 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배치하였다. 배선경로 덕트도 드라이버 배선과 보드 통신선 배선 덕트를 분리하여 전자파 영향에 의한 노이즈를 저감 시키도록 하였다(3).
2.4 전장판넬 제어시스템의 노이즈 분석
그림 7은 그림 6(a)의 전원공급장치 판넬부(강전)로 제어보드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부하 SMPS 출력전류의 노이즈 측정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그림 7(a)는 DC Power 보드 전원용 SMPS 150W, 24V, 0.24A. 그림 7(b)는 메인보드 및 헤드온도제어 전원용 SMPS 750W, 24V, 0.5A. 그림 7(c)는 DC Power 보드 전원용 SMPS 320W, 24V, 0.4A. 그림 7(d)는 메인보드 전원용 SMPS 75W, 5V, 6.4A의 출력전류에서 노이즈 발생은 거의 없는 안정된 출력전류(동작부하전류) 크기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림 8은 그림 6(b)의 제어용 보드판넬(약전)의 노이즈 측정 전압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그림 8(a)는 그림 6(a)의 SMPS 출력 단자로부터 덕트배선을 통하여 연결된 메인보드 전원단자 DC5V, 노이즈 전압 0.24V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 7. SMPS 출력전류의 노이즈 측정
Fig. 7. Noise measurement of SMPS output current
그림 8(b)는 서브보드 전원단자 DC5V, 노이즈 전압 0.43V. 그림 8(c)는 서브보드 24V 전원단자 노이즈 0.7V. 그림 8(d) 헤드전원단자 DC26V, 노이즈 1.1V의 측정결과로 노이즈 발생이 0.4∼8.6% 이하의 미약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기준 10%이하).
그림. 8. 보드별 노이즈 측정파형
Fig. 8. Nose measurement waveform each board
그림 9는 리니어 엔코더 배선 및 리니어 서보드라이버 코아(magnetic core) 추가 구조를 나타낸다. 그림 9(a)는 리니어 모터 직선운동 검출신호를 리니어 엔코더를 통하여 드라이버 및 메인보드로 전달되는 신호선 케이블에 코아 추가 모습이며, 그림 9(b)는 동기형 리니어 모터를 구동하는 서보드라이버를 나타낸다.
서보드라이버는 내부 IGBT 스위칭 주파수에 의해 고정자 자력에 의해 상대적인 자극 배치에 의해 가동자가 여자전류로 구동되므로 노이즈가 가장 많이
발생되는 구동장치로 코아를 추가하였다.
그림. 9. 리니어엔코더 및 서보드라이버의 자석코아 추가
Fig. 9. Magnetic core addition of linear encoder and servo drive
그림 10은 그림 9의 코아 추가 전, 후 메인보드 전원 DC 24V 단자의 노이즈전압 측정파형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 10. 메인보드 DC24V 전원의 노이즈개선 측정파형
Fig. 10. Noise improve measurement waveform of main board DC24V power
여기서는 그림 9의 엔코더 및 드라이버 노이즈에 의해 메인보드 전원 단에 노이즈가 유입됨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적합한 자석코아(1∼3개)를 추가하여 노이즈 파형 감소
크기를 저감하였다. 그림 10(a)에 비해 그림 10(b)는 노이즈 전압이 약 47%, 1.7V 감소되어 메인보드 전원 노이즈 전압에 의한 보드의 오동작 영향을 개선할 수 있었다.
2.5 케이블 베어의 케이블 배열 구조
그림 11은 그림 1 텍스타일 전사 프린터의 잉크젯 멀티 헤드 프린팅 케리지 이송부를 나타낸다. 여기서 케이블베어 구조는 양측으로 분류하였으며 케이블베어 내에는 전원선,
서보모터제어선, 통신선, 잉크공급선이 함께 배열되어 있다.
그림. 11. 케이블 베어의 분할 구조
Fig. 11. Division structure of cable bare
그림 12(a), (b)는 케이블베어 내부 개선 전, 후의 전원, 통신케이블에 대한 구조를 나타낸다. 강전 전원선, 서보모터제어선과 약전 통신선이 가까이 근접할 경우에는
전자기파에 의한 영향을 받아 노이즈가 발생되어 적합한 이격, 차폐 및 접지가 필요하다.
그림. 12. 케이블 배열 개선 전, 후 구조
Fig. 12. Improvement before and after of cable array
그림 12(a)는 좌측 케이블베어 내의의 전원 케이블, 접지, 잉크튜브 배열과 우측 케이블베어의 USB통신, RS422 통신케이블, 리니어모터 케이블 통신 및 엔코더
케이블이 배열되어 있다. 그림 12(b)는 우측 케이블베어 내의 리니어 모터 케이블로부터 좌측으로 USB 및 RS422 통신 케이블이 분리된 개선 구조를 나타낸다. 동일 케이블베어 내에
분리 시는 케이블베어 폭이 2배 이상 넓어 케리지 부분 폭이 증가 되므로 본 연구에서는 좌, 우 양측으로 케이블베어 분리 적용하였다.
2.6 시험 결과
그림. 13. USB 통신 노이즈 개선 전, 후 측정 파형
Fig. 13. Improvement before and after of USB communication
그림 13(a),(b)는 그림 12(a),(b) 배열 개선 전, 후 구조에 대한 측정파형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그림 13(a)는 그림 12(a)와 같이 우측 동일 케이블베어 내 리니어모터 케이블과 USB 통신케이블 근접거리 배열시 접지선에서 노이즈 파형을 측정한 것이다. 그림 13(b)는 그림 12(b)와 같이 USB 케이블 좌측 및 리니어모터 케이블 우측 케이블베어 분리구조 시 접지선에서의 노이즈 개선 측정파형을 나타낸다.
그림 14(a)는 그림 12(a)와 같이 우측 케이블베어에 리니어모터 케이블과 RS422 통신케이블이 함께 1cm 근거리 배열시 신호선의 노이즈 측정파형을 나타낸다. 그림 14(b)는 그림 12(b)와 같이 RS422 통신케이블과 리니어모터 케이블 분리 시 노이즈 저감된 측정파형을 나타낸다.
그림. 14. RS422 통신 개선 전, 후 측정 파형
Fig. 14. Improvement before and after of RS422 communication
그림 15(a)는 RS422 통신케이블의 쉴드(shield) 접지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 15(b)는 그림 15(a)의 RS422 통신케이블 접지구조에서 RS422 통신케이블의 리니어모터케이블과 분리 및 추가 쉴드 접지 후 신호선의 노이즈가 더욱 감소된 측정파형을
확인하였다.
그림. 15. RS422 통신케이블 접지 및 노이즈 개선 파형
Fig. 15. Earth ground and noise improvement waveform of RS422 communication cable
그림 16(a),(b)는 리니어모터 엔코더(encoder) 접지 개선 전, 후의 노이즈 측정 파형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 16(a)는 엔코더 접지 개선 전 노이즈 측정 피크-피그(peak to peak) 전압 9V 이지만 그림 16(b) 노이즈 개선 후 피크-피그 전압은 1.58V를 측정하였다.
이러한 시험을 통하여 노이즈 개선은 그림 13(b)와 같이 USB통신선 접지 노이즈 레벨은 0.8V 감소(1.2V→0.4V)하고, 그림 14(b)는 RS422 통신선 노이즈 레벨 7.6V 감소(10.3V→2.7V)하며, 그림 15(b)는 RS422 통신선 쉴드접지 노이즈 레벨 2.2V 감소(2.7V→0.5V)하며, 그림 16(b)는 리니어 모터 엔코더선의 접지 개선 후 7.42V 감소(9V→1.58V)하였다.
그림. 16. 엔코더 접지 개선 전, 후 측정 파형
Fig. 16. Improvement before and after of encoder earth ground
그림 17(a),(b)는 메인보드의 전기회로 PCB 기판 도선패턴에 대한 개선 전, 후 그림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 17. 보드 PCB의 패턴 개선 전, 후 구조
Fig. 17. Pattern improvement before and after of board PCB
그림 18(a),(b)는 메인보드의 PCB 전기회로패턴의 개선 전, 후 클록파형을 측정한 것이다.
그림. 18. 보드 도선패턴의 개선 전, 후 클록신호 측정파형
Fig. 18. Improvement before and after clock signal of board
3. 결 론
논문에서는 산업용 잉크젯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터의 고속 인쇄시 장비의 오동작을 차단하기 위해서 노이즈 영향을 고려하여 전기설비 제어시스템의 전원부,
보드부, 리니어모터 드라이버(엔코더)부의 전장부품 적합 배치 설계 및 제작하였다.
노이즈시험 분석결과 SMPS DC출력전압 및 전류측정을 통하여 기준 노이즈 10% 대비 약 3% 이하의 노이즈감소 를 얻을 수 있었다. 특히 노이즈가
가장 많은 리니어 드라이버 부분은 판넬에서 분리 배치하였으며, 배선 및 신호선 케이블에 적합한 추가 코아를 부착하여 메인보드 전원의 노이즈를 약 47%
저감시켰다. 양측 케이블베어 분리구조에 의한 전원 및 리니어모터 구동케이블로부터 USB 통신 및 RS422 통신케이블의 이격거리로 전자파 영향을 차단하였으며
추가 통신케이블 쉴드접지를 통하여 더욱 노이즈를 저감 개선하였다.
케이블베어의 통신선 분리 개선 전, 후 노이즈 시험 측정 결과 노이즈 레벨 크기는 그림 13(b)와 같이 USB통신선 접지 노이즈 레벨은 66% 감소, 그림 14(b)는 RS422 통신선 노이즈 레벨 73% 감소, 그림 15(b)는 RS422 통신선 쉴드접지 노이즈 레벨 81% 감소, 그림 16(b)는 리니어 모터 엔코더선의 접지 개선 후 99% 감소 및 메인보드의 전기패턴 경로를 개선하여 안정된 정형클록 신호파형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 통신선의 노이즈를 제거하여 인쇄물 장출력 시 에러에 의한 칼라이미지 이상출력 및 헤드부 이송 제어 시 멈칫 현상을 제거함으로서 제어시스템의
안정된 신뢰성 확보하였다. 앞으로 본 디지털 텍스타일 전사프린터 프린터는 물 없는 친환경 섬유 및 의류용 디지털 날염 세계시장을 선도하는 제품으로
기대된다.
References
Shin-Yong Yoon, 2016, Process Improvement of PCB Electric Circuit Pattern by Ink Drop
Jetting Control and Characteristics Analysis of Industrial Inkjet Piezoelectric Print
Head, KIEE, Vol. 65p, No. 1, pp. 57-65

Shin-Yong Yoon, 2004, Electrostatics Analysis and Prevention according to each position
of a Large Type Inkjet Plotter, KIEE, Vol. 4, No. 10, pp. 116-119

Allen-Bradeley, June 2009, System Design for Electrical Noise Control, GMC-RM001-KO-P

Shin-Yong Yoon, December 2018, Noise Reduce Technology of Industrial Inkjet Textile
Printer, KIEE Industrial Electrical Committee, Estimation Conf., pp. 67-69

저자소개
1994. 02 Dongguk University Master Graduation
1999. 02 Dongguk University Doctor Graduation
1995–1997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Part 4 Team Researcher
1997.3–2005.6 Dong seoul University, Dept. of Electrical Information Control, Additional
Post Professor
2005.7–2020.3 Now, Head of Researcher/Institute of Technology Research, Digital Graphics
Incorporation
E-mail : syyoon@dgi-net.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