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P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The Transactions P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SO Journal TitleTrans. P of KIEE
  • Indexed by
    Korea Citation Index(KCI)

  1. (Dept. of Energy & Electrical Engineering, Korea Polytechnic University, Korea)
  2. (Wintech Automation, Korea)



Microgrid, Matlab, Optimization, Power reduction, EMS

1. 서 론

분산전원과 ESS(Energy Storage System)를 구비한 마이크로그리드(Microgrid)는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와 결합하여 분산전원의 발전출력을 관리하며 전력계통에 적용 시 분산전원의 신뢰성 향상과 수요관리를 통한 피크전력의 저감 및 환경문제 개선 효과를 기할 수 있다.

한편, 산업용 전력수요의 경우 국내 전력소비의 약 53 [%]의 비중을 차지하는 가장 중요한 부하이므로, 산업용 전력 수요에 대한 피크수요 및 전력 소비량 저감은 국가 에너지 정책에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국내 산업용 수용가의 전력 요금 체계는 한국전력공사의 전기요금 정책에 따라 계약전력 300 [kW]을 기준으로 산업용전력(갑)Ⅰ, Ⅱ, (을)로 구분되며, 적용 전압에 따라 저압 및 고압A, B, C로 구분된다. 또한 사용자의 전력사용 패턴에 따라 선택(Ⅰ), (Ⅱ), (Ⅲ)으로 선택할 수 있고 적용 전기요금에 따라 기본요금과 전력량 요금으로 나누어 부과된다(1).

이러한 요금정책에 따라, 산업용 수용가에 ESS 등의 에너지 저장장치를 적용한 소규모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을 적용하여, 경부하 시간대에 전력을 충전하고, 중부하 및 최대부하 시간대에 전력을 방전하도록 효율적으로 운용함으로써 수용가 측의 소비전력량 저감과 전력 이용효율향상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전력 공급자 측면에서도 전력예비율 확보, 이산화탄소 배출량 저감, 발전출력의 안정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 전력다소비 산업분야에 속하는 금속열처리 공정을 갖는 수용가를 대상으로 하고, 분산전원의 출력제어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24시간 3교대 작업공정을 운용하는 중소기업을 선정하여, 1일 동안의 실제 전력 수요데이터와 청정일 기준 수용가에서 계측한 일사량 데이터를 바탕으로 마이크로그리드의 최적운용을 위한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마이크로그리드의 ESS 충․방전 제어를 통한 전력량 저감과 운용효과 검증을 위해 Matlab/Simulink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전력네트워크를 구현하고 데이터 최적화 기능(Optimization Toolbox)을 모델에 적용하여 분산전원 적용 시 최적 운용계획을 도출하였다.

2.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2.1 시스템 구성

그림 1은 Simulink Library Browser 중 블록 기반 모델 구현을 위한 환경을 제공하는 기본 Simulink와 전력 네트워크 구현을 위한 Simscape 및 하위 툴을 이용하여 구성한 시뮬레이션 모델 구성을 나타낸다. 전체 시스템은 SpecializedPowerSystems 블록들의 시뮬레이션을 위한 환경설정을 위해 powergui 블록의 시뮬레이션 타입을 Phasor로 설정하였고 주파수는 60 [Hz]로 설정하였다.

시스템은 크게 22.9 [kV]의 산업용 배전계통과 실제 산업용 수용가의 최대수요발생 일의 부하 데이터를 적용한 Industrial Load 블록, ESS 블록, PV Array 블록 및 전력의 충․방전 및 계통의 전력사용을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Measurement 블록으로 구분되며 각 블록은 배전계통을 제외하고 Subsystem 기능을 사용하여 하나의 블록으로 표현하였다(2-3).

그림. 1.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구성

Fig. 1. Microgrid System Configuration

../../Resources/kiee/KIEEP.2020.69.1.40/fig1.png

2.2 대상 수용가의 전력수요 패턴

그림 2는 Industrial Load 블록에 적용된 전력 수요데이터로 산업단지 내 소재한 에너지 다소비 업종 중 열처리 전문 업체의 수요시한(15분)을 기준으로 한 1일 간의 실제 전력수요 데이터를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해당 수용가의 주요 운용 부하는 보온로이며 24시간 운용함으로 전력수요가 비교적 평탄하므로 피크전력 제어, 피크시프트(Peak-Shift) 및 피크시간대의 ESS 운용을 통한 전력수요저감을 기대하기 어려운 특징을 갖는다.

그림. 2. 전력 수요데이터(2019.12.06)

Fig. 2. Power Demand Data (2019.12.06.)

../../Resources/kiee/KIEEP.2020.69.1.40/fig2.png

대상 수용가는 계약전력이 300 [kW] 이상이고 3,300 [V]이상 66,000 [V]이하의 전압을 사용하여 ‘산업용(을) 고압A 선택 II’의 전기요금을 적용받는다. 표 1그림 3에서는 해당수용가의 요금정보와 수요데이터에 적용된 시간대별 전력량 요금을 나타낸다.

표 1. 전력요금 표(고압 A-II)

Table 1. Table of Electricity Rates(High voltage A-II)

High Voltage A-Ⅱ

Base rate

(원/kW)

Charge per Power (원/kWh)

8,320

Time

summer

spring

fall

winter

Light

56.1

56.1

63.1

Heavy

109.0

78.6

109.2

Max

191.1

109.3

166.7

그림. 3. 시간별 전력요금(겨울철)

Fig. 3. Electricity Charge over time (winter season)

../../Resources/kiee/KIEEP.2020.69.1.40/fig3.png

2.3 태양광발전출력

그림. 4. 태양광 어레이 출력 데이터

Fig. 4. Output data of Solar array

../../Resources/kiee/KIEEP.2020.69.1.40/fig4.png

그림 4는 시스템에 적용된 태양광 어레이의 발전량을 나타낸다. 모델에 적용된 발전량은 맑은 날을 기준으로 수용가에서 계측한 일사량 데이터를 바탕으로 수용가의 가용 부지면적과 400 [W] 기준 태양광 패널의 크기를 고려할 때 80 [kW] 용량의 태양광 어레이의 적용이 가능하므로 이를 기준으로 출력을 산출하였으며 산출 식은 다음과 같다.

(1)
\begin{align*} P_{PV}=\dfrac{P_{"\top o"}\times D\times P_{o}}{I_{L}}\times(1-L_{temp})\\ \times(1-L_{\in v})\times(1-L_{dex}) \end{align*}

여기서, $P_{t opo}$는 경사면 일사량 [kWh/m$^{2}$], $D$는 일 수 [day], $P_{o}$는 태양광 모듈의 정격출력, $I_{L}$은 표준 일사강도 [kW/m$^{2}$], $L_{temp}$는 태양광 패널의 온도상승으로 인한 손실률, $L_{\in v}$는 PCS의 손실률, $L_{dex}$는 먼지 등의 기타 손실률을 의미한다(4).

그림 4는 최종 출력된 태양광 어레이의 발전량으로 일사량 측정 시간동안의 데이터를 나타낸다. 태양광 어레이에서 최대 일사 시 발전 전력은 약 79 [kW]이며, 총 발전 전력량은 비선형 데이터의 면적을 구할 수 있도록 구분구적법을 적용한 Matlab 함수 중 'trapz'함수를 이용하여 약 665 [kWh]로 산출하였으며 적용된 식은 식(2)와 같다.

(2)
$\int_{a}^{b}f(x)dx\approx\dfrac{1}{2}\sum_{n=1}^{N}(x_{n+1}-x_{n})[(f(x_{n})+f(x_{n+1})]$

여기서, $N$은 선형근사화를 위해 적용된 데이터들의 총 개수를 의미하며, $f(x)$는 각 데이터들의 면적을 사다리꼴로 분할한 면적을 모두 합산한 값에 해당한다(5).

2.4 태양광발전출력

ESS설비 중 배터리 블록은 Three-Phase Source 블록을 통해 리튬이온배터리(Li-ion)를 기준으로 구성하였으며, 배터리의 정격출력은 태양광 어레이의 용량과 피크전력의 급격한 증가에 대비하여 80 [kW]로 설정하였다(6). 초기 SOC는 전일 축적을 50 [%]로 가정하여 설정하고, C-rate는 배터리의 충․방전 효율과 수명을 고려하여 0.25로 설정하였으며, 적용된 에너지저장장치 특성을 정리하면 표 2와 같다.

표 2. ESS 특성

Table 2. ESS Characteristics

Nominal Frequency [Hz]

60

Rated Output [kW]

80

Rated Capacity [kWh]

320

Efficiency [%]

96

SOC Range [%]

80 ~ 20

C-rate

0.25

Initial SOC [%]

50

배터리 및 분산전원의 제어와 수요전력의 비용최적화를 위해 Matlab 최적화 기능인 Optimization toolbox의 함수를 적용하였다. 기능 적용을 위해 Matlab 코드를 블록화하여 Simulink의 블록과 연동되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그림 5와 같은 fcn 블록을 적용하였다. fcn 블록은 시간별 수요전력, 태양광 발전량, kWh당 전력비용, 시간, 배터리 용량, SOC의 데이터를 받아 fcn 내 입력된 최적화 함수에 따라 태양광 발전량 및 배터리의 충․방전 여부를 제어하며 최종 결정된 데이터는 OUTPUT 단자를 통해 Three-Phase Source 블록에 전달되며 부하와 계통에 연결된다.

그림. 5. 배터리 최적화 블록

Fig. 5. Battery Optimization block

../../Resources/kiee/KIEEP.2020.69.1.40/fig5.png

3. 최적화 시뮬레이션

이상 구성한 시뮬레이션 모델을 기반으로 태양광발전량 및 ESS 충․방전량 제어를 통한 요금 최적화 구현을 위해 데이터 최적화 방법을 기술한다. 본 모델에 적용된 전력 수요데이터의 경우 비교적 일정한 수요 패턴을 나타내므로 최대수요전력과 같은 일정한 목표 값에 대한 제어를 통해 분산전원을 제어할 경우 운용효과가 미미하며, 시간별 전력 데이터에 대한 소비비용과 분산전원으로 얻을 수 있는 공급비용을 1:1 대응 방식으로 배치하고 데이터 별 비교를 통한 최적값을 도출할 수 있는 선형계획법(Linear Programming)을 적용한다.

3.1 선형 계획법

시뮬레이션에서는 fcn블록 내 최적화 함수를 적용하여 선형 계획법을 기반으로 경제적 배터리 운용의 최적화를 구현하였다. 적용된 Matlab 내 최적화 함수의 기본 구성은 다음과 같다(7).

(3)
$\min f^{T}x\begin{cases} x &\\ \begin{aligned}A\times x\le b\\ Aeq\times x = beq\\ ib\le x\le ub\end{aligned}& \end{cases}$

x = intlinprog(f, intcon, A, b, Aeq, beq, lb, ub, x0, options)

본 모델에서는 최적화 문제 생성을 위한 ‘optimproblem()’, 연산에 사용될 데이터의 모든 경우의 수를 계산할 수 있도록 행렬의 형태로 데이터를 재조합하여 선언하고 함수 적용 범위를 설정할 수 있는 ‘optimvar()’, 비용 최소화를 위한 목적함수를 선언할 수 있는 “objective()’, 제약조건 지정을 위한 ‘constraints()’, 기본 옵션 외의 옵션 지정이 가능한 ‘optimoptions()’를 적용하여 변수 및 제약조건과 목적함수를 선언하고 전력수요데이터와 분선전원들 간 비용 최적해를 찾는다.

3.2 구성요소 및 제약조건

해당 모델의 경제적 배터리 최적화 운용을 위해 전력수요 데이터, 태양광 발전량 데이터, 배터리 충․방전량, 전력요금을 적용하여 전기요금 최소화를 목적함수로 선형 계획법(Linear Programming)을 적용한 후 다음과 같이 공식화 하였다.

(4)
$\min\sum_{t=1}^{T}P_{t}L_{t}- E_{\cos t}-P_{\cos t}$

여기서 $P_{t}$는 전력요금, $L_{t}$는 전력 수요데이터, $E_{\cos t}$와 $P_{\cos t}$는 ESS 및 태양광 발전량 적용 시 저감되는 전력량 요금을 의미한다. 목적함수는 1일 전력수요 데이터에 대한 전력량 요금과 ESS 및 태양광 발전량 적용으로 저감되는 비용을 제외한 후 최소화하는 형태로 구성되었으며 이에 따른 제약조건은 다음과 같다.

(5)
$E_{\min}\ge 0.2$

(6)
$E_{\max}\le 0.8$

(7)
$P_{\min}\le E_{t}\le P_{\max}$

(8)
$E_{t+1}\le E_{t}+ E_{D}$

(9)
$E_{1}= E_{0}$

(10)
$C_{p}$ / $C_{t}$ $\le$ 0.25

(11)
$SOC_{24}$ $\le$ 0.2

(12)
$c_{t}+ d_{t}\le 1$

여기서 $E_{t}$는 배터리 충․방전량, $E_{D}$는 배터리 잔량, $E_{\min}$과 $E_{\max}$는 배터리의 최소, 최대 SOC, $P_{\min}$과 $P_{\max}$는 배터리 최소, 최대 방전량, $E_{0}$는 배터리 초기값, $E_{1}$은 첫 번째 배터리 충․방전량, $C_{p}$는 정격출력, $C_{t}$는 정격용량, $SOC_{24}$는 최종 SOC 데이터, $c_{t}$와 $d_{t}$는 시간별 충전 및 방전신호(0, 1)를 의미한다. 식(5)(6)은 배터리 SOC의 하한과 상한의 제약을 의미하며 식(7)은 배터리 방전량을 제한한다. 식(8)은 ESS 충․방전 시 다음 시간대의 ESS 잔량에 대한 제한값이며, 식(9)는 초기값 설정, 식(10)은 C-rate 제한값, 식(11)은 최적운전을 위한 SOC 최종설정값, 식(12)는 같은 시간간격에서 충․방전의 동시 진행이 불가능 하도록 제약조건들을 적용하였다(8-11).

3.3 시뮬레이션 결과

제약조건과 목적함수를 적용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그림 6에 나타내었다. 전체 시뮬레이션 시간은 1일 기준 24시간이며 적용한 수요전력, 태양광 발전량, 전력요금 데이터는 분 당 데이터로 각 1,441개의 데이터가 적용되었다. 데이터는 실제 최적화 함수에 적용 시 모든 조건에 대해 판별하기 위해 288 × 241의 행렬 형태로 적용된다.

그림. 6. 시뮬레이션 결과

Fig. 6. Simulation Results

../../Resources/kiee/KIEEP.2020.69.1.40/fig6.png

시뮬레이션 결과에서 청색선은 태양광 발전량, 자색선은 제어 전 수요데이터, 황색선은 제어 후 수요데이터, 적색선은 배터리 충․방전량(+ 방전, - 충전)을 의미한다. 시뮬레이션 모델은 배터리 용량과 SOC, 전력수요데이터, 태양광 발전량 및 전력요금 데이터를 분석한 후 전력량 요금의 최대 저감 시간대를 계산하여 방전과 충전을 수행한다. 방전 후 중부하와 최대부하시간대의 요금을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전력량 요금이 낮은 중부하 시간대에 충전과 최대부하 시간대에 방전을 반복하며 이때 배터리 충․방전에 따른 SOC 변화는 그림 7과 같다.

그림. 7. 배터리 SOC - 충․방전

Fig. 7. The SOC of Battery Charge / Discharge

../../Resources/kiee/KIEEP.2020.69.1.40/fig7.png

시뮬레이션을 통한 마이크로그리드 적용 전․후 운용결과를 표 3에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배터리 및 태양광 발전량은 식(2)를 적용하여 태양광 발전량의 경우 경부하 121.5 [kWh], 중부하 359.9 [kWh], 최대부하 180.2 [kWh]로 총 661.6 [kWh]의 발전량이 적용되었으며, 배터리의 충․방전에 의한 전력량은 방전 시 경부하 151.8 [kWh], 중부하 85.5 [kWh], 최대부하 504 [kWh]로 총 741.3 [kWh]의 방전을 수행하였고, 충전 시 경부하 313.2 [kWh], 중부하 328.1 [kWh]로 총 641.5 [kWh]이 충전된 것으로 산출된다.

표 3. 시뮬레이션 결과

Table 3. Simulation Results

Before

after

Solar Array Capacity [kWh]

80

Solar Power [kWh]

-

661.6

ESS Rated Power [kW]

80

SOC Range [%]

20 ~ 80

Initial ESS Charge [kWh]

151.8

Total ESS Discharge [kWh]

-

741.3

Total ESS Charge [kWh]

-

641.5

Daily Power Consumption [kWh]

30,343.9

29,582.5

Daily electricity fee [원]

3,161,729

3,032,459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전력수요가 비교적 평탄하여 분산전원 및 피크시프트 등을 통한 최대수요전력 저감이 불가능한 수용가의 전력수요데이터와 시간별 전력요금 데이터의 적용을 가정하여 일정한 용량의 분산전원(PV, ESS) 적용 시 배터리 충․방전의 최적화를 통한 운용계획을 도출하였다.

해당 모델은 경부하 및 중부하 시간대에 배터리의 충전을 진행하고 중부하 및 최대부하 시간대에 방전하는 패턴을 보이며, 태양광발전량과 초기 배터리 충전량 및 충․방전량의 차를 고려할 때 1일 기준 약 4 [%]의 전기요금 저감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1일 절감효과를 기준으로 태양광 및 ESS 설비 용량 대비 투자비용을 고려할 때 투자회수기간은 약 5~6 년으로 예상할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부터 다양한 부하패턴 적용 시 배터리 최적 운용의 모의실험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요금과 더불어 산업용 수용가의 부하 가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1일 생산 계획, 최대수요전력, 날씨, 가용할 수 있는 외부 ESS 용량 등의 데이터를 추가 적용하여 유동적이고 범용적으로 적용 가능한 모델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References

1 
KEPCO, http://cyber.kepco.co.kr/ckepco/front/jsp/CY/E/E/CY EEHP00103.jspGoogle Search
2 
Lasseter, Robert H, 2002, Microgrids, Power Engineering Society Winter Meeting, 2002. IEEE, Vol. 1, pp. 305-308DOI
3 
Dumitru, Cristian Dragos, Adrian Gligor, 2010, Modeling and simulation of renewable hybrid power system using matlab/simulink environment, Scientific Bulletin of the “Petru Maior” University of Targu Mures 7.2: 5Google Search
4 
Nov 2014, Explanation of calculation formula of solar power generation in detail, https://www.solar-partners.jp/pv-eco-informations-34 281.htmlGoogle Search
5 
trapz, Mathworks, https://kr.mathworks.com/help/matlab/ref/ trapz.html?searchHighlight=trapzGoogle Search
6 
H. S. Chang, C. J. Kim, S. W. Park, 2017, The Maximum Demand Power Reduction of Small Industrial Factory based on Microgrid,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6P, No. 1, pp. 7-14DOI
7 
Kenji Iba, 1994, Reactive power optimization by genetic algorithm, IEEE Transactions on Power Systems, Vol. 9, No. 2, pp. 685-692DOI
8 
John Löfberg, 2004, YALMIP: A toolbox for modeling and optimization in MATLAB, in Proceedings of the CACSD Conference, Vol. 3DOI
9 
Guowang Miao, 2011, Distributed interference-aware energy- efficient power optimization, IEEE Transactions on Wireless Communications, Vol. vo. 10, No. 4, pp. 1323-1333DOI
10 
Sundari Ramabhotla, Stephen Bayne, Michael Giesselmann, 2014, Economic dispatch optimization of microgrid in islanded mode, in Proc. of International Energy and Sustainability Conference 2014, IEEEDOI
11 
Subhashree Choudhury, Leesa Mohapatra, Pravat Kumar Rout, 2015, A comprehensive review on modeling, control, protection and future prospects of Microgrid, Electrical, Electronics, Signals, in Proc. of 2015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munication and Optimization (EESCO), IEEE, pp. 1-6Google Search

저자소개

박상원 (Sang-Won Park)
../../Resources/kiee/KIEEP.2020.69.1.40/au1.png

2014년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에너지·전기공학과 학사 졸업

2017년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에너지·전기공학과 졸업(석사)

2020년 현재 전력융합기술센터 재직 중

E-mail : psw3692@kpu.ac.kr
김철진 (Cherl-Jin Kim)
../../Resources/kiee/KIEEP.2020.69.1.40/au2.png

1980년 한양대 전기공학과 졸업(학사)

1983년 동 대학원 전기공학과 졸업(석사)

1991년 동 대학원 전기공학과 졸업(박사)

2020년 현재 한국산업기술대학교 교수

E-mail : kimong@kpu.ac.kr
김응석 (Hong-Soon Chang)
../../Resources/kiee/KIEEP.2020.69.1.40/au3.png

1993년 한양대 전기공학과 졸업, 공학박사

1993년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ost Doc

1994년 삼성종합기술원 전문연구원

2020년 현재 기후변화대응교육연구센터 센터장, ㈜윈텍오토메이션 연구소장

E-mail : kes4ever@naver.com
장홍순 (Hong-Soon Chang)
../../Resources/kiee/KIEEP.2020.69.1.40/au4.png

1978년 한양대 전기공학과 졸업(학사)

1986년 동 대학원 전기․전자공학 졸업(석사)

1991년 미국 Univ. of IOWA MIS 졸업(석사)

2001년 동국대 전기공학과 졸업(박사)

2020년 현재 한국산업기술대학교 교수 재직

E-mail : hschang@kp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