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우
(Jin-Woo Lim)
1iD
이희진
(Hee-Jin Lee)
†iD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KIEE)
Key words
Charge/Discharge characteristic, Li-polymer, Secondary battery, Torpedo
1. Introduction
유도탄의 경우 추진제를 연소시켜 발생하는 고압의 분사압력을 이용하여 추진력을 얻는다면 어뢰는 기본적으로 수중에서 프로펠러를 고속으로 회전시켜 추진력을
얻는다. 수중을 항주하는 어뢰는 느린 속도와 짧은 공격거리의 한계를 극복하고 더 빠르게 더 멀리 보내기 위해 추진 체계를 발전 시켜 왔다. 추진 체계의
발전 경향은 목표물을 공격할 수 있는 충분한 기동력, 자체 소음 발생의 최소화로 공격 능력 극대화, 충분한 항주거리, 연소생성물에 의한 항적을 남기지
않을 것 및 심도와 무관한 추진능력 등이 필요하다. 그리고 물은 공기에 비해 약 1천배 정도 밀도가 크기 때문에 추진저항력이 높아 물속에서 고속으로
주행하기 위해서는 엄청난 에너지가 필요함으로 고효율, 고출력이 요구되며 동시에 저소음 특성을 갖도록 설계 되어야 한다(1)-(17).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프로펠러의 회전력을 얻는 기술은 에너지원에 따라 기관 추진식과 전기 추진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기관추진방식은 고속 추진원이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배기가스 처리문제, 심도에 따른 출력 저하 및 소음 등의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에 반해 전기 추진 방식은 기관 추진방식 보다
상대적으로 에너지 밀도가 낮고 추진원의 수명으로 인한 비용 문제가 있으나, 소음이 적고 취급이 용이하다는 장점 때문에 오늘날 대부분 어뢰의 추진 방식으로
채택 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향후 어뢰의 공격 방식을 더욱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더 멀리 더 빠르게 어뢰를 운용할 수 있는 성능 개발이 필요하다.
현재 사용중인 리튬폴리머 전지의 고밀도화와 BLDC 모터의 효율 개선 등이 이뤄진다면 가능 할 것이다. 그리고 앞으로 이들을 대체할 고성능의 부품이
개발된 다면 어뢰의 공격력은 더욱 강화 될 것이라 생각한다. 본 논문에서는 오늘날 가장 대표되는 전기식 추진방식의 기능과 에너지원인 배터리의 특성에
관하여 기술하였다(18)-(19).
2. 어뢰의 전기 추진 방식
어뢰의 추진 체계는 열에너지 추진, 전기에너지 추진 및 전자에너지 추진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현재 주로 운용되고 있는 방식은 전기에너지를 이용한
추진 체계가 대부분이다. 전기식 추진방식은 전지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로 추진전동기를 회전시키고, 이 회전력을 이용하여 필요한 추진력을 얻는다. 전체
전지용량에 80~90% 정도는 추진부의 전동기 및 구동기를 작동 시키는 전력으로 사용되고 나머지 10~20%의 전력은 각 구성부들의 동작전원 및 빔
송신 전원으로 사용된다. 적용되는 전지는 주로 아연 산화은과 알루미늄 산화은 등을 모듈화 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지는 고성능
전지이다. 고율방전이 우수하고 방전전압 특성이 우수 할 뿐 아니라, 수중에서의 추진 및 제어에 필요한 전력공급에 적합한 전지이다. 최근에는 안전성
및 에너지 효율 면에서 우수한 리튬폴리머, 리튬이온 전지가 사용되고 있다(20)-(22).
그림. 1. 어뢰의 구성부별 전력소비 (1)
Fig. 1. Power consumption by torpedo section (1)
표 1. 추진원별 적용 어뢰 (23)
Table 1. Application torpedo by propellant (23)
추진원
|
속도범위(Knot)
|
항주거리(Km)
|
중어뢰
|
경어뢰
|
비 고
|
연축전지
(Pb/PbO2)
|
10~30
|
-
|
G7 (독일)
|
-
|
1940~
1950년대
|
니켈 카드뮴 전지
(Ni/Cbf)
|
-
|
-
|
L3, E-12
(프랑스)
|
-
|
아연 산화은 전지
(Zn/AgO)
|
30~40
|
15~30
|
SUT (독일)
Mk37 (미국)
A184 (이탈리아)
F17 (프랑스)
Tigerfish (영국)
|
-
|
1960년대 이후
|
마그네슘 염화은 전지
(Mg/AgCl)
|
30~45
|
5~8
|
-
|
MK46 (미국)
A244 (이탈리아)
|
열기관
|
40~60
|
40
|
MK48 (미국)
Spearfish (영국)
TP61 (스웨덴)
|
-
|
1990년대 이후
|
40~50 이상
|
10
|
-
|
MK46 (미국)
MK50 (미국)
|
알루미늄 산화은 전지
(Al/AgO)
|
50 이상
|
10
|
-
|
Murene (프랑스)
A290 (이탈리아)
Eurotrop
(프랑스, 이탈리아)
|
1990년대 이후
|
리듐 염화디오닐 전지
(Li/SOCl2)
|
60 이상
|
10 이상 (경어뢰)
|
차기 세대 어뢰
|
2000년 이후
|
40 이상 (중어뢰)
|
초기의 전지는 연축전지를 사용하였으나 에너지 손실이 많고 에너지 밀도가 200Wh/kg 이하 수준이어서 고성능 추진 원으로서는 적합하지가 않았다.
1960년대에 들어서, 보다 더 빠르고, 보다 더 긴 항주 거리의 요구에 따라 아연 산화은 알칼리(Zn/AgO) 전지 개발이 이루어져 지금 까지도
백상어의 대표적인 동력원으로써 자리 잡고 있다. 백상어의 최고속도는 35노트이다. 이후 어뢰용 전지의 고밀도 알루미늄 산화은(Al/AgO) 전지를
적용한 청상어가 개발되어 최고 45노트 이상의 속도로 주행 할 수 있었다.
하지만 알루미늄 산화은 전지는 수상함이나 항공기에서 운용하는 청상어에서는 문제가 없었지만, 청상어 기반의 대잠로켓 어뢰인 홍상어 에서는 충격 입수
과정에서 입수각도 차이로 인한 공기 유입 때문에 해수를 전해액으로 사용하는 알루미늄 산화은 전지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운용상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홍상어 전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해수면과의 입수 충격으로 부터 내 충격 강화와 충 방전이 가능한 2차전지인 리튬폴리머 전지의 개발이 이루어졌다.
리튬폴리머 전지의 개발로 일회성의 사용만 가능했던 1차전지의 단점을 보완하였을 뿐 아니라, 폭발 및 입수 충격으로 부터의 전지 오작동을 방지 할 수
있었다.
그림. 2. 어뢰용 전지 (2)
Fig. 2. Topedo battery (2)
해군에서는 어뢰의 운용 강화를 위하여 청상어에 적용된 알루미늄 산화은 전지를 전수 리튬폴리머 전지로 교체하여 운용 중 에 있다. 현재 개발 중인 범상어(차기
중어뢰)도 리튬폴리머 전지를 적용하여 최대 55~60노트(약 100km)의 속도로 주행 할 수 있게 되었다(24)-(27).
3. 어뢰용 리튬폴리머 전지의 기능 및 특징
3.1 전지의 구분
그림. 3. 전지의 분류
Fig. 3. Classification of batteries
전지는 그림 3과 같이 크게 화학전지와 물리전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화학전지는 1차전지와 2차전지로 분류 할 수 있다. 1차 전지는 한번 사용 후 버리는 전지를
말하고, 2차전지는 충전을 통해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는 전지를 말한다. 최근의 전지기술은 고출력화, 고성능화, 경량화, 소형화, 신뢰성 향상 등의 기술적인
진보를 바탕으로 2차전지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2차전지는 종래의 니켈카드뮴전지에서 니켈수소전지와 리튬이온전지로 대체되기 시작하였으며, 최근에는 리튬이온전지에 전해질만 폴리머(고분자)로 바꾼 리튬폴리머
전지도 새로운 대체 에너지원으로 각광 받고 있다(28)-(33).
리튬폴리머 배터리는 리튬이온 배터리와 달리 견고한 금속 외장을 사용할 필요가 없고, 용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모양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3mm이하
두께로 제작이 가능하고, 무게도 30%이상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리튬폴리머 전지는 원통형, 각형 및 파우치형 3종류가 사용된다. 모양은 각기 다르지만
그 세부 구성은 동일하다. 차이점은 원통형 및 각형 셀은 별도의 가스배출을 위한 벤트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파우치는 봉투 형상에서 배가 불러지는 특성이
있으며 압력이 초과되면 터지는 특성이 있다(34)-(38).
그림. 4. 2차 전지의 중량/체적 에너지 밀도 비교 (3)
Fig. 4. Comparison of weight/volume energy density of secondary batteries
그림. 5. 2차전지의 단위 셀 전압 비교 (3)
Fig. 5. Secondary battery unit cell voltage comparison
3.2 리튬 2차전지의 구조 및 원리
리튬이차 전지는 화학전지 중 2차전지에 속한다. 리튬 2차전지의 하나인 리튬폴리머전지는 액체 전해질을 사용 하는 리튬이온전지(LIB)의 안전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진 전지이다.
리튬폴리머 전지는 이온 전도도가 우수한 고체 전해질을 사용하며,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던 전지의 단점인 누액 가능성과 폭발 위험성이 없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그리고 동일 용량의 다른 배터리 보다 무게와 부피의 소형화가 가능하며 카드뮴, 납, 수은 등 환경 규제 물질을 포함하지 않는다. 타
2차전지와 에너지 밀도 비교 시 납축전지의 4배, 니켈금속합금전지의 2배 이상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질 뿐 아니라 충전 가능 용량이 줄어드는 메모리
효과가 없다. 이러한 이점들 때문에 여러 악조건 및 환경에서 동작해야하는 어뢰의 에너지원으로 우수한 전지이다(39)-(42).
그림. 6. 리튬이온전지의 구조 및 원리
Fig. 6. Structure and principle of lithium ion battery
그림 6은 리튬이온전지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며, 양극(Cathode), 음극(Anode), 전해질(Electrolyte), 분리막(Separator)으로
크게 4가지로 구성되었다. 리튬산화물로 양(+)극을 만들고 탄소화합물로 음(-)극을 만든다. 그리고 양극과 음극에서 리튬 이온이 이동할 수 있는 매개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전해액을 놓고, 분리막은 양극과 음극이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주요 구성품과 원재료는 그림 7에 나타나 있다.
그림. 7. 리튬이온 전지의 주요 구성품과 원재료
Fig. 7. Main components and raw materials of lithium ion batteries
기본 원리로는 전기 화학적 산화-환원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이온의 이동으로 전기를 발생시키고 그 반대 과정으로 충전되는 원리이다. 이온의 물질 상태가
양극과 음극에서 서로 달라 이때 발생되는 물질의 고유에너지 차이로 인한 전압차를 이용하는데 리튬이온전지의 경우 양극에 있던 리튬이온이 빠져 나와 전해질을
통해 음극의 가는 충전과 그 반대 현상으로 방전이 일어난다.
리튬 2차전지는 가역적으로 리튬이온의 삽입 및 탈거가 가능한 물질을 양극 및 음극으로 사용하고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유기 전해액 또는 고분자 전해액을
넣어 리튬이온의 원활한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43)-(45).
양극에는 리튬코발트산화물이 겹겹이 쌓인 구조를 이루고 있다. 여기서 나온 리튬이온이 전해질을 통해 음극 물질인 흑연에 쌓이면, 충전 상태가 된다.
이때 검은색의 음극 전극은 점차 금빛으로 변하고 반응성이 매우 높아진다. 반대로 방전 시에는 리튬이온이 흑연에서 리튬코발트산화물(양극)로 이동한다.
그리고 분리막은 양극과 음극의 접촉을 막아 내부 단락을 방지하고 충/방전 과정에서 리튬이온의 이동 통로를 제공하는 리튬 2차전지의 핵심 소재 중의
하나로 전지의 안전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올레핀계 분리막은 우수한 기계적 강도와 화학적 안정성 등의 장점으로
가장 많이 이용된다(46)-(49).
그림. 8. 어뢰용 리튬폴리머 전지셀의 형상과 구성 (3)
Fig. 8. Shape and configuration of lithium polymer battery cell for torpedo (3)
3.3 리튬 2차전지의 충 방전 특성
2차전지는 충전과 방전을 반복해서 상당히 여러 번 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충/방전 횟수에 따라 수명이 줄어들며 사용 가능한 용량이 줄어들게
된다. 2차전지의 종류에 따라 충전 및 방전의 특성 그래프라 다르며, 최고의 성능을 발휘하고 수명연장을 가능하게 하려면 리튬 2차전지의 각 유형별
특성 및 심지어 제조사별로 충/방전 방식을 최적화해야 한다(50)-(52).
리튬 2차전지에 충전전류가 흐르면 양극의 복합 리튬 금속 산화물에서 리튬이온이 빠져나와 음극에 흡착됨으로서 전지의 전압이 상승하기 시작하고 충전이
어느 정도 진행되면 양극에서 빠져나오는 리튬이온의 양이 감소하면서 전지의 단자 전압이 고정되고 결과적으로 충전 전류가 자연적으로 감소하다. 이러한
2차전지의 특성에 따라 정전류 - 정전압 (CC - CV)방식으로 충전하며 그림 9와 같은 충전 특성 그래프를 볼 수 있다. 각각의 충전조건(0.5C, 1.0C, 2.0C)에서의 충전전류와 전압 곡선은 충전시간이 충전전류에 반비례함을
알 수 있다. 충전 특성은 정전류 충전을 시작하고 일정시간 후 4.2V에 달하게 되면, 전압이 유지된 가운데 0.1C의 충전전류에서 종료됨을 보이고
있다.
그림. 9. 리튬 2차 전지 충전특성 (53)
Fig. 9. Lithium secondary battery charging characteristics (53)
그림. 10. 리튬 2차 전지 방전특성 (53)
Fig. 10.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lithium secondary battery (53)
리튬 2차전지의 방전 특성은 방전 전류와 방전 종료 전압 그리고 방전 온도에 따라 결정된다. 그림 10은 방전전류의 크기(1C, 3C, 5C, 8C)에 따른 전지의 단자전압을 보여 주고 있다. 그래프에서 보듯이 방전 전류가 작을수록 전지의 단자 전압과
전지의 방전 용량은 증가하며, 방전 전류가 클수록 단자전압과 전지의 방전용량이 감소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방전 기간 중 대부분의 시간에서 방전
전압이 3.6V가 되기 때문에 리튬 2차전지의 공칭전압은 3.6V가 된다(54)-(58).
3.4 어뢰용 리튬폴리머 2차전지
그림. 11. 전지셀 모듈과 어뢰용 추진 전지 (3)
Fig. 11. Battery cell module and propulsion battery for torpedo (3)
어뢰의 전지부는 크게 어뢰의 동력전원으로 사용되는 추진전지, 각 구성부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제어전지, 그리고각 구성부와 추진전지, 제어전지를 연동시켜
전원분배를 담당하는 전원제어장치로 구성 된다.
그림 11은 어뢰용 전지의 형상과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추진전지는 14개의 전지셀로 이루어진 모듈팩과 각각의 모듈팩으로 이루어진 서브팩으로 구성된다. 공급전압을
만들기 위해 서브팩을 직렬 연결하여 전지를 구성한다. 그림 11의 왼쪽은 추진전지와 제어전지에 적용되는 전지모듈이다. 전지모듈들의 양극탭과 음극탭을 지그재그 교차하여 회로를 형성하고 메인 버스바를 통하여 최종
출력단자에 전압을 형성시켜준다.
추진전지의 각각의 셀들은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 Battery Management System)을 통해 배터리의 실측값 정보를 수집하는 기능과
수집된 정보를 이용, 과 충전 및 과 방전 등과 같은 배터리에 손상을 줄 수 있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는 보호기능, 그리고 축전지 각 Cell 전압을
균등하게 유지시켜 배터리 수명을 연장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수진된 정보를 이용 배터리의 에너지 잔존용량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치이다(59)- (65).
그림. 12. BMS의 기능 (66)
Fig. 12. BMS features (66)
4. 전기 추진 방식의 어뢰 전동기 기능 및 특징
현재 전 세계 적으로 운용되고 있는 어뢰의 대부분은 전기 추진 체계이다. 이러한 전기 추진 방식은 동력원인 전지와 추진전동기 및 전력전자기술의 발달과
함께 이루어 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어뢰의 전기추진 방식은 전기모터의 힘으로 추진되는 방식을 말한다. 배터리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로 추진전동기를
회전시키고, 이 회전력을 감속기 및 축계를 통하여 전달하여 주행에 필요한 추진력을 얻는 것이다. 전기모터-감속기어-축계-추진기로 구성되는 동력계통은
어뢰 추진 시스템의 일반적인 구성으로 모터의 최대 회전수에서 발생하는 토크가 추진기에 유기되는 토크를 넘어서는 범위에서만 추진기가 회전하게 되고 추진기의
토크가 커지는 한계점 부근에서 그 회전수 이하로 회전을 계속하게 되므로 이때의 전진 속도가 어뢰의 최대속도가 된다.
종래 전기 추진전동기는 제어가 쉽고 기동 토크가 큰 DC모터를 이용하였다. 그러나 DC모터의 문제점, 예컨대 주기적 정비 점검의 필요성, 사용 환경의
제약성, 출력 대비 대용적, 고중량 등의 문제점이 대두 되었다. 또한, 군사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전동기는 많은 것이 고려되지만 그 중 가장 기본적인
설계 개념이 경량화와 고출력이 요구되고 있으므로, 효율과 출력 측면에서 유리한 영구자석형 BLDC (Brushless DC) 전동기를 적용하는 추세이다(67)-(71).
그림. 13. MK-48 어뢰 추진부 (4)
Fig. 13. MK-48 torpedo promotion section (4)
그림. 14. 전기 추진용 영구자석 전동기 (5)
Fig. 14. Permanent magnet motor for electric propulsion (5)
4.1 중어뢰용 전동기
직류 전동기는 속도 및 위치 제어가 쉽고 기동 토크가 매우 크기 때문에 산업용 및 군사용 무기체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과거 중어뢰의
전동기는 전기-기계적 에너지변환을 하는데 효과적 구동시스템인 직류전동기를 채택했다. 그 당시 직류전동기는 에너지 변환율이 우수하므로 고밀도 에너지
변환이 가능했었다. 더욱이 단시간 정격의 정 동력 기구에서 기구내의 전자적인 특성을 극대화하기가 용이 했다. 고 에너지 밀도화에 대한 설계로서 Ampere-
Conductor의 극대화가 되도록 하며, 더불어 전기자권선, 계자권선, 브러시, 정류자등의 허용전류밀도를 순시개념으로 높게 설계하며, 온도상승에
대비하여 권선 등의 절연지등을 내열성을 갖춘 F종 이상의 절연지를 채택하며, 국부적인 온도 상승을 방지하도록 설계했다. 또한 자속 밀도를 최대한 높게
설계하기 위해 전기자, 전기자 계철, 주자극 계철, 주자극, 공극 등의 자속밀도를 가능한 높게 설계했다.
하지만 브러시와 정류자를 통해 기계적 정류 작용을 하는 직류전동기의 특성상 브러시의 마모가 발생하여 정기적으로 브러시교체가 필요하며, 정류 과정에서
브러시 아크현상이 있으며, 소음이 심하다는 단점이 있다(72)-(75).
전기 추진방식의 구동원인 전동기는 단일 방향 및 반전 방향 전동기로 크게 두 가지로 나뉘어져 있다. 중어뢰용은 반전 전동기 형태로 경어뢰용은 고속
단일 전동기 형태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림. 15. 중어뢰 백상어 추진부 (6)
Fig. 15. Heavy torpedo white shark propulsion section (6)
그림. 16. 중어뢰 백상어 직류직권 전동기 (5)
Fig. 16. Heavy torpedo white shark DC series motor (5)
중어뢰용은 반전 전동기 형태로 내 외부 전기자 및 계자세트가 서로 반전하는 직류직권 전동기로서 어뢰의 프로펠러를 양방향으로 회전시켜 Rolling
moment를 없애 명중률을 높이는 특징이 있다. 어뢰 후미부에는 추진기(프로펠러) 두 개가 붙어 있지만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있다.
추진기 한 개만 회전하면 어뢰가 롤 방향으로 돌며 앞으로 나가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두 개의, 즉 이중 추진기를
필요로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추진기를 돌리는 전동기도 한 방향 또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해야 한다는 조건이 따라 붙는다.
반전 추진기는 전동기와 추진기 축 사이에 기어 박스를 설치하고 1개의 바깥 축과, 같은 축 중심을 갖고 내부에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안축 등 2개의
축을 통해 추진기와 연결시킨다. 이 경우 두 추진기의 회전수는 일정하므로 추진기 날개 중 하나라도 손상을 받으면 어뢰 몸체가 경사 또는 회전을 하여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최근의 중어뢰 에는 구동원으로 로터(Rotor)와 스테이터(Stator)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반전 전동기가 사용되어,
기어박스가 필요 없게 됨으로써 소음이 감소하게 되었다. 또한 추진기 날개가 부분적으로 손상을 받더라도 손상된 추진기의 회전수가 자동적으로 증가하여
어뢰의 추진 기능이 큰 무리 없이 유지되도록 되어있다(76)-(79).
중 어뢰의 반전직류전동기(CRM: counter rotating dc motor)는 그림 17과 그림 18과 같이 Radial gap 방식과 Axial gap 방식이 있다. Radial gap 모터는 원통형이며 Axial gap 모터는 팬케이크 모양이다.
중어뢰인 백상어의 경우는 Radial gap 방식을 적용하여 운용 중에 있다.
일반적인 직류전동기의 경우에는 회전하는 전기자세트와 고정된 계자세트가 존재하여 전기-기계에너지 변환과정에서 서로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려는 힘이 작용하게
되어 회전을 하게 된다. 하지만 반전직류전동기는 프레임부분인 계자세트를 고정시키지 않기 때문에 내부회전자와 외부회전자가 같은 크기의 토크로 서로 반전하여
회전을 하게 된다. 내부회전자인 전기자세트에는 정류자가, 외부회전자인 계자세트에는 정류장치인 브러쉬홀더, 브러쉬와 브러쉬압을 조정해 주는 스프링역으로
브러쉬 원심력 보상기가 있다(80)-(81).
그림. 17. 방사형 갭 CRM (80)
Fig. 17. Radial gap CRM (80)
그림. 18. 축 갭 CRM (80)
Fig. 18. Axial gap CRM (80)
4.2 경어뢰용 전동기
군사용 전동기는 고속, 고출력, 고신뢰성, 저소음의 특징을 가져야 한다. 특히, 어뢰 추진용 전동기의 경우 기본적으로 직경, 부피, 무게, 출력,
속도 변화, 효율 소음 특성에 대한 제약 조건이 많다. 따라서 중어뢰에 적용된 기존의 기계적인 접촉 구조를 가진 직류직권전동기로는 이러한 많은 제약조건을
이행하기 어렵다.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 영구자석 브러시리스 직류전동기인 BLDC모터가 현재 모든 어뢰에 적용되어 운용 중에
있다. BLDC 모터는 DC 모터와 전기적인 특성은 유사하지만 기계적인 접촉을 가지는 정류장치인 브러쉬를 제거하고 외부에서 전기적인 정류장치인 인버터를
이용하는 모터이다. 고효율, 비 관성에 의한 큰 토크, 제어의 단순성, 가벼운 중량, 소형 디자인, 유지보수가 쉬운 점 등 여러 이유로 산업용 및
군사와 같은 응용 분야에 널리 사용된다. 구동 원리는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자가 회전하도록 자속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센서로 검출된 회전자의 위치에
따라 각각 다른 전류를 권선에 흘려 연속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국내의 경우 경어뢰 청상어에 7상 6극의 다상 BLDC모터가 적용되어
있고, 현재 개발 중인 차기 중어뢰인 범상어도 7상 6극의 BLDC모터가 적용되었다. 7상 6극의 전동기의 경우 3상 전동기보다 토크 리플을 줄이고,
효율을 증가 시키며, 상당 전압 증가 없이 철손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전류에 대해 3상 전동기 보다 높은 출력을 얻을 수 있어 동일 출력의 3상
제어반에 비해 적은 용량의 전력소자를 분산 시킬 수 있으므로 조립이 용이하다(82)-(91).
그림. 19. 경어뢰 청상어 추진부 (7)
Fig. 19. Light torpedo blue shark propulsion section (7)
그림. 20. 경어뢰 청상어 BLDC 전동기 (5)
Fig. 20. Light torpedo blue shark BLDC mortor (5)
경어뢰 청상어용 전동기는 그림 21에서 보이는 것처럼 인버터(전력전자부), 전동기부, 감속기로 구성 되어 있다. 전력전자부는 스위칭 소자와 제어용 드라이브로 구성된다. 전동기부의 고정자는
7상으로 구성되고, 회전자는 6극의 영구자석으로 구성된다. 전동기의 동작 방식은 유도제어부로부터 속도 신호를 받아 제어전자부에서 전력전자부로 스위칭
신호를 전달하여 전지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사용하여 전동기에 에너지를 전달한다. 이후 전동기는 전기적 에너지를 사용하여 회전자를 회전시킴으로써 기계적
운동으로 변환시킨다. 이때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자를 감속기를 사용하여 로터에 적절한 속도로 감속 시킨다. (92)-(94)
그림. 21. 추진 시스템 구성 (94)
Fig. 21. Construction of propulsion system (94)
그림 22는 제어전자부의 전체 구성도로 DC-DC 컨버터, 제어기, 파워부, 전류센서 및 엔코더로 구분할 수 있다. 전지로부터 320V를 입력받아 DC-DC컨버터를
통해 제어 전원 5V와 ±15V 및 GDU(gate drive unit)의 전원 +15V를 만들게 된다. 제어기는 지시부로부터 속도 명력을 받아 파워부에
펄스를 인가하게 된다. GDU와 IGBT는 입력된 펄스 신호에 의해 320V를 스위칭하여 전동기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95)-(104).
그림. 22. 제어전자부 구성도 (96)
Fig. 22. Control electronics configuration (96)
그림. 23. 경어뢰용 BLDC전동기 전력전자부의 구성 (105)
Fig. 23. Composition of BLDC motor power electronics for light torpedoes (105)
전동기의 전력전자부는 그림 23과 같이 구성 되어 있다. 7상 6극의 전동기이기 때문에 스위치가 상당 2개씩, 총 14개로 되어 있으며 200A 급이다(105)-(106). 전동기의 용량이 크기 때문에 고전류를 스위칭 할 수 있는 IGBT를 사용한다.
5. Conclusion
표적함의 운용 속력이 높아지면서 추진체계는 어뢰의 다른 구성부와 비교했을 때 가장 많은 비중과 중요도를 차지한다. 특히 전기 추진 방식은 향후 개발되는
모든 어뢰에 적용될 것이며, 앞으로의 과제는 어뢰의 고속화에 따라 추진원인 전지의 고밀도화이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그동안 직류 전동기에서 BLDC
모터로, 알루미늄 산화은 전지에서 리튬폴리머 전지로 개발이 되어 왔다. 해군의 군사력이 발전하고 있는 가운데 어뢰의 공격력을 증대하기 위해서는 현재
보다 발전된 추진체계의 연구 개발이 반드시 필요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에서 운용되고 있는 어뢰의 전기 추진 방식에 대한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내용들에 대하여 기술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어뢰의 추진체계를 이해하고 연구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Acknowledgements
이 연구는 금오공과대학교 학술연구비로 지원되었음.(2019-104-104)
References
https://www.atlas-elektronik.com
http://www.ksbatteries.com
http://kokam.com
https://www.turbosquid.com
https://www.hyosungheavyindustries.com
http://bemil.chosun.com
https://www.yna.co.kr/view/PYH20091021054900051
Joong Lak Choi, Chan Gi Kim, Du Gi Kim, February 2012, Development Trends of Military
Unmanned Submersible UUV, Defense & Technology, Vol. 396, pp. 52-69
Hyeong Sik Choi, Jun Yeong Kim, September 2012, Research & Development Status and
Prospect of Unmanned Submersible,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Vol. 49,
No. 3, pp. 25-30
Joong Lak Choi, September 2013, Underwater Robot Development Trend and Core Technology,
Institute of control Robotics and Systems, Vol. 19, No. 3, pp. 29-41
So Nam Yun, March 2017, Trends of Deep Sea Research- Manned/ Unmanned Submersible,
The Korea Fluid Power Systems Society, Vol. 14, No. 1, pp. 42-47
Ju No Seo, Joong Lak Choi, July 2011, Level of Autonomous Technology and Development
Trend of Autonomous Unmanned Sumersible,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Vol. 38, No. 7, pp. 20-29
Seol Lim, Seung Hwan Cho, Yoon Gon Kim, December 2016, Overview of Supercavitating
Weapon Systems and Their Development Trends,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pp. 629-632
Jun Tae Song, September 2019, Naval and Naval Weapons Research & Development Story(3),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Vol. 56, No. 3, pp. 46-53
Tae Kyoo Kim, June 2014, System Operational Performance Analysis for Wire-Guided Torpedo,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Vol. 23, No. 2, pp. 7-15
J. C. Song, J. K. Kim, M. S. Shin, C. W. Park, H. S. Ahn, November 2011, Resistance
and Propulsion Test of Underwater Vehicle with Pre-twist Angle of Fin,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pp. 2075-2079
Myung Sub Shin, Jae kang Song, Jeong hoon Park, Jong soo Lim, Jong soon Kim, October
2012, Numerical Investigation for Design of Underwater Vehicl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pp. 685-686
Jae Myung Lee, February 2005, Direction of Development of Maritime Weapons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Future Battlefield Environment Change, Korea Defense Industry
Association, Vol. 312, pp. 36-51
Moon Sub Kim, May 2011, Underwater guided weapon development trend, Korea Defense
Industry Association, Vol. 56, No. 67, pp. 56-67
Hee Jang Moon, June 2008, Electric Propuls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Vol. 12, No. 3, pp. 76-86
D. H. Koo, May 2009, Electric Propulsion ship technology trend,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58, No. 5, pp. 36-43
Y. K. Kong, May 1994, The state of the art on propulsion system for Torpedo,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gineering, Vol. 18, No. 2, pp. 142-148
Y. K. Kong, September 1994, Submarine and Torpedo Propulsion Systems(2),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43, No. 9, pp. 24-30
Rafael d`Amore Domenech, Miguel A. Raso, Antonio Villalba Herreros, Oscar Santiago,
Emilio Navarro, Teresa J. Leo, April 2018,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s powered
by fuel cells Design guidelines, Ocean Engineering, Vol. 153, pp. 387-398
In Su Han, Back Kyun Kho, Sung Baek Cho, February 2016, Develop- ment of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stack for an underwater vehicle, Journal of Power Sources,
Vol. 304, pp. 244-254
E. Kelasidi, K. Y. Pettersen, J. T. Gravdahl, 2015, Energy efficiency of underwater
robots, IFAC- PapersOn Line, Vol. 48, No. 16, pp. 152-159
Oistein Hasvold, Nils J.Storkersen, Sissel Forseth, Torlief Lian, November 2006, Power
sources for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s, Journal of Power Sources, Vol. 162, No.
2, pp. 935-942
Wan Wook Choi, Sung Soo Kim, Sang Min Lee, December 2007, Application of lithium secondary
battery, The Magazine of the IEEE, Vol. 34, No. 12, pp. 78-87
Bum Joo Lee, Gyeong Joo Choi, Sang Ho Lee, Yeon Man Jeong, Young Park, Dong Uk Cho,
April 2017, A Study on Explosion and Fire Risk of Lithium-Ion and Lithium- Polymer
Battery,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Vol. 42, No. 04, pp. 855-863
Heon Tag Kong, Jeong Bong You, Dae Soo Kang, April 2017, Study on the fault detection
of Battery, Information and Control symposium, pp. 306-307
A. B. Philips, M. Haroutunian, A. J. Murphy, S. W. Boyd, J. I. R. Blake, G. Griffiths,
March 2017, Understanding the power requirements of autonomous underwater systems,
PartⅠ:An analytical model for optimum swimming speeds and cost of transport, Ocean
Engineering, Vol. 133, pp. 271-279
Cheng Siong Chin, Junbo Jia, Joel Hay King Chiew, Wei Da Toh, Zuchang Gao, Caizhi
Zhang, John MCC, February 2019, System design of underwater battery power system for
marine and offshore industry, Journal of Energy Storage, Vol. 21, pp. 724-740
Xiaoming Wang, Jianzhong Shang, Zirong Luo, Li Tang, Xiangpo Zhang, Juan Li, May 2012,
Reviews of power systems and environmental energy conversion for unmanned underwater
vehicles,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Vol. 16, No. 4, pp. 1958-1970
Young Kyu Kim, December 2007, Lithium Secondary Battery Electrolyte and Additives,
The Magazine of the IEEE, Vol. 34, No. 12, pp. 57-67
Yu Jin Han, Yeon Ju Kwon, Jea Uk Lee, Ji Sun Im, June 2017, Recent Progress on Carbon
Materials for Lithium-Ion Rechargeable Batteries,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Vol. 28, No. 3, pp. 195-200
Tae Lin Lee, Ye Kyung Kim, Sung Min Kim, Jang Kyun Im, Moon Gi Kim, June 2018, Anode
Active Material Precursor Analysis Technology, Journal of the KSME, Vol. 58, No. 6,
pp. 32-36
Yoo Min Kyu, Ji Il Park, March 2016, Development Trend of Next Generation Secondary
Battery(Na ion battery), Defense & Technology, No. 445, pp. 120-125
Jae Hong Park, Seung Won Lee, Byung Won Cho, Kwang Soo Yoo, May 2001, Charge-discharge
Properties by Cut-off Voltage Changes of Li(Mn1-δMδ)₂O₄ (M=Co, Ni) and LiMn₂O₄ in
Li-ion secondary Batteries,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Vol. 38, No. 5,
pp. 424-430
Dong Joon Lim, August 2000, Current status and Technology trends of Lithium ion secondary
batteries, The Magazine of the IEEE, Vol. 27, No. 8, pp. 16-24
Young Min Jung, Cho Won Il, October 2010, Li-ion secondary battery technology trends
and future prospects, CERAMIST, Vol. 13, No. 5, pp. 7-14
Chang Sam Kim, February 2010, Characteristics and prospects of Lithium ion Secondary
batteries, CERAMIST, Vol. 13, No. 1, pp. 40-46
Dong Won Kim, Jung Ki Park, August 2000, Development trend and Prospect of Lithium
ion polymer battery, The Magazine of the IEEE, Vol. 27, No. 8, pp. 25-36
Seung Won Lee, Su An Choi, October 2010, Development trend of Cathode activ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CERAMIST, Vol. 13, No. 5, pp. 32-38
Jin Young Park, Jae Hyun Kim, Kwang Muk Park, Bae Bang, October 2016, Ignition characteristics
analysis of lithium polymer battery,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pp. 271-272
Jae Kwan Im, Deok Young Lim, Novie Ayub Windarko, Jae Ho Choi, Bum Chung, April 2011,
Electrical Modeling of Lithium-Polymer Battery, The TRANSACTIONS OF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Vol. 16, No. 2, pp. 199-207
Sang Ho Park, Yoon Sung Lee, December 2007, Synthesis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Li[Co1/3Ni1/3Mn1/3]O Cathode Active Material for High Capacity Lithium Secondary
Batteries, The Magazine of the IEEE, Vol. 34, No. 12, pp. 38-48
Tae Hee Han, Sung Hun Lim, Dong Eon Cho, Myung Ho Choi, Hyeong Gon Kang, Byung Sung
Han, July 1997, Charge/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Cathode for Li Rechargeable Batteries,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pp. 1462-1464
C. H. Sung, H. B. Gu, July 1997, Microstructural Analysis of Carbon as a Function
of Charge/Discharge Cycling for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pp. 1600-1602
Jung Soo Sohn, October 2010, Lithium Secondary Battery Recycling Technology Trend,
CERAMIST, Vol. 13, No. 5, pp. 45-53
Yan Feng Wang, Jiang Tao Wu, January 2019, Performance im- provement of thermal management
system of lithium-ion battery module on purely electric AUVs, Applied Thermal Engineering,
Vol. 146, No. , pp. 74-84
Heung Kwan Son, April 2010, Electric Vehicle Charging Infrastructure and Smart Grid,
The Korena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59, No. 4, pp. 47-53
H. R. Choi, B. H. Rang, H. S. Mok, G. H. Choe, W. S. Shin, July 1999, Charge/Discharge
Characteristics Analysis of Li- Polymer battery, Power Electronics Conference, pp.
222-225
Dong Seob Oh, Sung Up Oh, Jong Yun Lee, Min Ho Park, Se Jin Seong, July 2004, Design
of a cycler system for large capacity lithium-polymer battery, Power Electronics Conference,
pp. 82-86
Jae Eon Kim, Dae Seok Rho, 2007, Charging/ Discharging Modeling of Lithium Secondary
Battery for Estimating Cycle Characteristic, Korean Academic Industrial Society, Vol.
8, No. 6, pp. 1343-1354
Ji Woon Ko, Dong Soon Jeon, December 2018, Thermal Characteristics of 3 kW Lithium-ion
Battery according to Charging and Discharging,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pp. 2348-2350
Min Ho Shin, Sung Chon Choi, Do Yun Kim, An Yeol Ko, Mi Ji Kim, Chung Yuen Won, May
2014, Charge and Discharge Control Method for Lithium-ion Battery at Low Temperature,
Proceedings of KIIEE Annual Conference, pp. 272-273
Dong Sung Kim, Min Ho Shin, Young Hun Park, Hyu Bum Kim, Chung Yuen Won, November
2014, Control method of Self-Charging and Discharging for Lithium ion, Proceedings
of KIIEE Annual Conference, pp. 38-38
Jin Kyu Kim, Cheol Woo Lim, Geun Soo Shin, Chi Wook Oh, Kyung In Kang, Won Ho Cha,
Joung Ki Seo, Tae Seong Jang, November 2016, Lithium-Ion Battery Pack Manufacture
and Test for Small Satellite,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ciences, pp.
1044-1045
Young pil Kim, Chul Hyung Choi, Seok Cheol Ko, Si Kyung Kim, April 2017, Flyback Converter
Active Balancing BMS Application Time Analysis of Li-Polymer Secondary Battery,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6, No. 5, pp.
786-791
Jong Hoon Kim, February 2019, Battery and BMS Research Trends in Mobile Vehicles,
KIPE MAGAZINE, Vol. 24, No. 1, pp. 35-39
Young Hee Kim, Hong Zhou Jin, Yoon Gyu Ha, Pan Bong Ha, Ju Won Baek, December 2018,
Design of a gate driver driving active balancing circuit for BMSs,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ics and Communi- cation Technology, Vol. 11, No.
6, pp. 732-741
Eun Min Kim, Mi Ra Son, Chang Yong Kang, August 2018, A Method of Reducing a Tolerance
of a Shunt Resistor for Balance of the Battery Cell to Improve a Precision of BMS,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7, No. 8,
pp. 1055-1061
Hyoung Ik Yoon, Ju Kwang Lee, Dae Seok Rho, Seong Ho kim, Ji Hae Park, Sang Bong Yoo,
November 2016, Design of Hybrid Battery Management System for Lead-Acid Li-ion Battery
and Super Capacitor,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pp. 248-251
J. H. Ahn, M. S. Seo, C. S. Han, May 2012, Battery Test Systems for 30A Class Lithium-Ion
Battery Cells,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pp. 339-340
Min Ki Jang, July 2019, A Study on Improvement of Storage Safety through Quality improvement
of Torpedo Propulsion Battery, Korea Academy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20, No. 7, pp. 291-298
Hyun Joo Shin, Young Cheol Ko, Deak Ho Kim, Eun Seoub Bae, Se Hyun Lee, November 2009,
Development of BMS for High Efficiency Lithium-Polymer Battery, Power Electronics
Conference, pp. 111-113
Chong Moo Lee, Hyun Taek Choi, Il sung moon, Pan mooK Lee, August 2009, An Estimation
Technique for the Thrust Performance of AUVs,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Vol. 23, No. 4, pp. 47-51
Ji Young Lee, Min Byuk Ahn, Dong Jun Kim, Do Kwan Hong, Byung Chul Woo, July 2016,
Analysis and experiment of the propulsion motor in unmanned submarine system,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pp. 839-840
J. T. Park, K. J. Lee, S. Y. Jang, K. J. Lee, J. K. Kim, S. J. Cho, July 2000, A Trend
of the Technical Development of Electric Propulsion Systems for Ships,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pp. 958-960
Hee Jang Moon, June 2008, Electric Propuls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Vol. 12, No. 3, pp. 76-86
Jun Sung Park, June 2011, Method of Free run test in Waterjet AUV,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pp. 876-880
Hyun Chel Kim, Yeong Kyung Kong, Young Moon Hwang, Jong Hyun Song, Jae Kyung Hwang,
November 1993,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a High Speed DC Motor,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pp. 56-58
Duong Thuy Lien, Tran Thanh Vu, Tae Won Chun, Hong Hee Lee, November 2012, Development
of High-Efficiency Drive System of DC Motors for Tracking Small-Size Electric Vehicles,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1, No. 11,
pp. 1634-1640
Seung Gil Sohn, Jung Ho Ko, Young Ho Choi, Tae Young Ahn, January 1989,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Power Control for the High Power DC Moter Driving System having Imput
Power Constraints,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pp. 52-56
Won Seok Han, Byoung soo Ko, Yong Jae Kim, Sang Yong Jung, July 2016, Electromagnetic
Analysis of Permanent Magnet Direct Current Machine Considering Structural Property
of Stator Yoke,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pp. 736-737
Ui Dong Park, March 1993, Submarine and Torpedo Propeller Changes and Pump jets, Defense
& Technology, No. 169, pp. 46-51
Young Yoon Ko, Won Seok Han, Tae Yong Lee, Youg Jae Kim, Sang Yong Jung, October 2017,
Brush Position Angle Analysis according to Coil Pitch and Brush Width of PMDC Motor,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pp. 146-148
J. Lee, H. S. Kim, November 2019, Study of Current DC Motor Controller Which is Able
to Counteract When Load Torque Decreased Abruptly, The Korea Fluid Power Systems Society,
pp. 195-196
Tae Ho Um, Won Yong So, Cheol Han Kim, November 2019, SOS Algorithm Based PID Controller
Design for The DC Motor Speed Control,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Vol. 33, No. 11, pp. 56-62
Hyun Chel Kim, Yeong Kyung Kong, Gwan Sik Kong, November 1994,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 Counter Rotating DC Motor,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pp.
101-103
Young Kwan Kim, Jin Soo Park, July 1998, High Speed Axial- gap BLDC Mtor Design,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pp. 116-118
Sung Chang Lee, Do Hyun Kang, Seung Gu Kang, Yong Jae Kim, Sang Yong Jung, July 2019,
Comparison of BLDC Motors Back EMF according to Shape of Rotor,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pp. 1113-1114
Hyeung Sik Choi, Myung Ok So, Han Il Park, Warn Gyu Park, Ha Yong Jang, Sung Yul Hong,
November 2010, Development of Underwater Thrusting System Driven by 300W Class BLDC
Mot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gineering, Vol. 34, No. 8, pp. 1128-1134
T. Y. Jeong, S. K. Jeong, February 2010, Efficiency Comparison according to Power
Conversion Method and Performance Estimation for Battery Source BLDC Motor Propulsion
System of Small Ships, Journal of Power System Engineering, Vol. 14, No. 1, pp. 27-33
T. Y. Jeong, J. B. Kim, S. K. Jeong, June 2009, Performance Analysis of Battery Source-BLDC
Motor Driven by a Direct Power Converter, The Korean Society For Power System Engineering,
pp. 219-224
Ji Hoon Choi, Young Taek Seo, Lae Kyeom Kim, Nam Kyu Kim, May 2019, A Development
of the CVVD Actuator with BLDC motor,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pp. 152-157
So Hyun Jang, Da Som Ko, Nam Hoon Jo, July 2015, H- infinity Speed Controller Design
for BLDC Motor using DSP,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pp. 1294-1295
Min Seung Kang, Woong Bin Im, Ho Gyun Ahn, November 2017, Design and Fabrication of
BLDC Motor Driver using SiC MOSFET,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pp. 31-32
Geon Shin, Tae Hun Kim, Woo Cheol Lee, July 2016, High Frequency Switching Inverter
Using SiC MOSFET, Power Electronics Conference, pp. 161-162
Kwang Soo Kim, July 2019, The Study on the Design of High Speed BLDC motor,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pp. 1082-1083
Sung Hyun Woo, Pan Seok Shin, Jin Seok Oh, Yeong Kyung Kong, Jae Goo Bin, May 2010,
A Study on the Optimization Strategy using Permanent Magnet Pole Shape Optimization
of a Large Scale BLDC Motor,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59, No. 5, pp. 897-903
T. I. Choi, Y. K. Kong, H. C. Kim, C. L. Kim, J. W. Song, S. Y. Hong, B. S. Kim, Y.
B. Jung, K. H. Choi, July 1999, The development of BLDC motor with high power density,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pp. 394-396
Jeong ln Lee, Kyung Hun Shin, Tae Kyoung Bang, Jugn Hyo Nah, Jang Young Choi, April
2019,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of BLDC Motors Using Non-Rare-Earth Magnets According
to the Rotor Shape,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 No. , pp.
93-95
J. G. Bin, Y. K. Kong, J. H. Song, B. S. Kim, July 2002, The Development of the Encoder
for 7 phases 6 poles BLDC Motor of High Speed,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pp. 1003-1005
T. I. Choi, Y. K. Kong, H. C. Kim, C. L. Kim, J. H. Song, S. Y. Hong, B. S. Kim, Y.
B. Jung, K. H. Choi, November 1999, The development of BLDC motor with high power
density(Ⅱ),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pp. 67-69
Jun Min Lee, Byeng D. Youn, December 2018, Analysis on Effects of Inverter Failure
on Motor Drive System,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pp. 1590-1592
Hyun Jin Shin, Eui Seong Choi, Myeong Ho Kim, Pyeong Shik Ji, November 2019, A Study
on Selection of Current Sensor for Diagnosis of Electric Motor,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pp. 124-125
In Ho Hwang, Sun Woo Yuk, Mu Seung Mun, Sun Kook Yoo, June 2010, A Study on DC Motor
Control using DSP,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pp. 1391-1393
Won Ki Lee, Jang Myung Lee, December 2006, A Development on AC Servo Drive using DSP,
Institute of Control. Robotics and Systems, pp. 147-150
S. W. Kim, J. I. Park, K. D. Lee, J. H. Jung, G. W. Seo, May 2000, Implementation
of Brushless Linear Motor Driver,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pp. 969-972
Sang Woo Kim, Jung Il Park, Ki Dong Lee, Suk Gyu Lee, Jae Han Jung, August 2002, Implementation
of Brushless Linear Motor Drive using DSP,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Vol. 19, No. 8, pp. 155-160
Seung Uk Yang, Hyung Soo Mok, Gyu Ha Choe, June 2006, New Double-Connected Multi-Step
Inverter for High Power Motor DriveApplications, The Transactions of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Vol. 11, No. 3, pp. 209-215
Tae Hyun Kim, Byong Kuk Kim, Dong Won Hwang, In Jae Lee, Won-Young Jo, Yun-Hyun Cho,
October 2005, Drive Characteristic of a Sensorless BLDC Motor,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pp. 192-194
June Woo Jo, Don Ha Hwang, Young Gi Hwang, Tae Uk Jung, September 2014, A Study on
a Control Method for Small BLDC Motor Sensorless Drive with the Single Phase BEMF
and the Neutral Point,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Vol. 28, No. 9, pp. 1-7
Y. K. Kong, H. C. Kim, C. L. Kim, J. H. Song, S. Y. Hong, B. S. Kim, Y. B. Jung, July
2000, The developement of BLDC motor with high power density(Ⅲ),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pp. 750-753
Jeong Su Cho, Sung Bum Park, Jun Bae Lee, Dae Woong Chung, July 2011, The Intelligent
Power Modules Assembly with Reverse Conduction IGBTs and SOI Driver for Low Power
Motor Drives, Power Electronics Conference, pp. 287-289
저자소개
2011년 금오공과대학교 산업시스템공학과 졸업(학사).
2018년 동 대학교 산업대학원 전자 및 전기 공학과 졸업(석사).
2020년 동 대학교 일반대학원 전자과 수료(박사).
2001년~현재 LIGNEX1 Production team engineer
2008년 연세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졸업.
2013년 동 대학원 졸업(박사).
2013~2015년 현대중공업 선임연구원.
2015년~현재 국립 금오공과대학교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