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학주
(Hak-Ju Lee)
†iD
황성욱
(Sung-Wook Hwang)
1iD
김욱원
(Wook-Won Kim)
1iD
오찬혁
(Chan-Hyeok Oh)
2iD
홍지송
(Ji-Song Hong)
2iD
-
(Smart Distribution Laboratory, KEPCO Research Institute, Daejeon, Korea)
-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KIEE)
Key words
Campus microgrid, Energy management system, Energy prosumer, Multi-microgrid, Energy transaction
1. 서 론
최근 분산전원 중 신재생에너지의 경우 국내 전체 발전설비용량의 약 11\%를 차지할 만큼 그 확산속도가 가파른 실정이다 (1)
. 이러한 신재생에너지원 증대에 의한 계통영향과 그 수용성(hosting capacity) 증대를 위한 많은 검토들이 진행되고 있다 (2-4). 전체 전력망 입장에서는 그 출력의 간헐적 성질에 의한 계통 전체의 관성력 저하와 이로 인한 예비력 자원의 필요성을 증대시키며(5),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 중 하나는 마이크로그리드(Microgrid, MG)이다. MG는 도서 및 오지지역의 전력공급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상시 독립형 MG와, 신재생에너지 수용성 증대 및 에너지 요금절감 등을 목적으로 하는 상시 연계형 MG로 구분할 수 있다 (6). 상시 연계형 MG의 경우, 단일 건물 등에 구성되는 상업용 MG와 다수개의 건물을 묶어서 1개의 MG로 구성하는 커뮤니티 MG로 구분할 수 있으며
상시 운전상황에서는 전력회사의 망(utility grid)과 연결하여 운전하고 전력회사 망의 고장 등의 외란이 발생하면 분리하여 독립적으로 운전한다
(7). 연계형 MG의 운전 목적은 전력회사 계통의 외란발생시 독립운전 전환을 통한 영속성(resiliency) 확보와 내부 신재생에너지를 비롯한 분산에너지자원(Distributed
Energy Resources, DER) 및 조정가능한 부하자원 등을 활용한 전력요금의 감소이다. 또한, 최근에는 소규모 분산자원 거래시장의 참여와
전력회사 배전계통 운영을 위한 자원 활용 측면이 고려되며, 이를 통해 신재생에너지 수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연계형 MG의 연구동향은 크게 두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계통 외란시의 신뢰도 향상을 위해 독립운전 전환과 외란 해소 시 연계운전의 전환을
위한 운영 방식 및 관련기기의 개발과 관련된 것들이다 (8-10). 둘째, 개별 MG의 운영목적에 따라 내부 제어자원의 스케쥴 운전에 관한 것들이다 (11-12). 그러나, 이러한 선행연구들은 다음의 몇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개별 MG의 운전을 위한 스케쥴 운전 방식은 MG 계통의 정상운전 상태만을
고려한다. 계통 내부에 외란 발생에 의한 비상상황에 대한 대처방식이 기술되어 있지 않으므로 실제 운영상의 효용성이 크게 떨어진다. 둘째, 다중의 MG의
운전에 의한 MG 간 전력의 융통에 관한 부분이 언급되어 있지 않다. 참고문헌 (13)에 대학 캠퍼스에 구축된 다중 MG 간 에너지 융통에 관해 언급하고 있으나 이것은 직접 토폴로지적인 연결이 있는 MG간 전력 및 열에너지의 융통에
관한 내용으로 역시 실제 적용시에는 그 범위가 매우 제한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MG의 비상상황에 대한 대응능력과 직접 전기적 연결이 없는 MG들
간의 전력 융통을 위한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대학 캠퍼스 구내의 다수의 건물들을 대상으로 수행된 다중 MG 구축 및 운영에 관한 실증적인 연구 내용에 대해 다루었다. 구축된 실증
캠퍼스의 경우 다수의 MG를 구축하여 개별 MG가 실제 다양한 수용가 형태에 구성되는 에너지 프로슈머의 역할을 담당하고 이들간의 가상 전력거래를 통한
이득의 극대화를 통해 MG 확대를 위한 에너지신산업 기술 실증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개별 프로슈머의 스케쥴 운영 및 비상시 자율적 대처를
위한 운영시스템과 다수의 프로슈머형 MG 간 전력거래를 위한 운영시스템을 제안하였고, 실증시험을 수행하여 제안한 운영시스템의 효용성을 입증하였다.
본 논문의 2장에서는 전체적인 다중 캠퍼스 MG 시스템의 구조를 제안하고, 3장에서는 개별 MG의 최적운영을 위한 시스템 개발에 대해 설명한다. 4장에서는
다수개의 MG 간 전력거래를 위한 시스템 개발을 요약하였으며 5장에서는 실증사이트에 대한 그 시험결과를 제시하였다.
2. 다중 캠퍼스 MG 시스템 구조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다중 MG는 그림 1과 같이 3개의 계층으로 구성되어있다. 개별 MG의 운영을 담당하는 EP(Energy Prosumer) MG EMS(Energy Management
System), 다중 EP MG간 통합 운영 이득 최대화를 위해 거래를 중계하며 상위 시스템인 전력거래 통합 시장(EP Market Integrator)의
요구에 대응하는 전력거래 중계 시스템 (EP Agent EMS), 상위의 전력시장 또는 전력회사에 해당하는 EPMI로 구성된다. EP MG EMS는
신재생 발전 및 수요 예측, 에너지저장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ESS)의 최적 스케줄 수립 및 비상대응 등을 수행한다. EP
Agent EMS는 MG간 전력거래 중계, MG와 EPMI와의 거래 중계, 전력 거래 정산 등을 수행한다.
그림. 1. 본 논문의 다중 MG 개념도
Fig. 1. Conceptual diagram of multiple MGs in this study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다중 MG간 전력 거래는 추가적인 전력망을 구축하지 않고 MG가 기존에 연계되어 있는 전력회사가 운영하는 전력망을 통해 거래를
수행한다. 이는 실제 거래가 이루어지는 MG간 직접적인 연결 없이 본 논문에서 제안한 전력거래 중계 시스템인 EP Agent EMS와 전력회사가 운영하는
전력시장 EPMI를 통해 거래가 이루어지는 가상거래 방식이다. 또한, 개별 MG 공통접속점의 계측치(유/무효전력 및 전류 등)를 토대로 실제 거래
이행에 대한 증빙 및 정산을 수행하는 방식을 활용하였다.
3. EP MG EMS 개발
개별 MG의 최적 운영을 위한 EP MG EMS는 발전용량과 부하가 작은 소규모의 MG의 운영에 최적화된 형태로 개발 되었다. 다양한 하드웨어를 연계함에
있어 서버프로그램을 수정하지 않고 데이터베이스의 추가만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하나의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안에 공통으로 사용하는 테이블을 포함하여 이력데이터,
계통도 관련 데이터, 기상데이터 연계, 응용프로그램 관련 데이터 및 사용자 정보 관련사항을 모두 포함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림 2는 제안한 EP MG EMS의 전체적인 응용프로그램의 구조를 흐름도 형태로 나타낸 것이다. 상시 운전중에는 매 시간마다 발전량 및 부하량 예측을 기반으로
향후 24시간의 ESS 충방전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MG내 비상상황이 발생하면 비상제어 프로그램을 통해 비상상황을 인지하고, 비상상황의 종류 및 위치를
식별하며 자율대처 운전을 수행한다. 비상제어 프로그램은 비주기적으로 발생한 알람(Alarm)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행된다.
그림. 2. EP MG EMS 응용프로그램의 구성
Fig. 2. Structure of application programs for EP MG EMS
3.1 EP MG EMS 개발
태양광 발전의 출력은 날씨, 온도 및 태양의 위치와 같은 여러 요인들에 영향을 크게 받으며, 특히 MG는 부하의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아 태양광 발전의
출력량 변동에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그 예측이 중요하다. 태양광 발전의 예측 방법은 태양광 발전의 설치정보 및 일기 예보, 기상 관측 정보, 인버터에
의해 측정된 이전 출력량 값을 이용하여 발전량 예측을 수행한다. 예측을 수행한 후, 이전 시간의 실제 출력과 관측 날씨를 이용하여 날씨 계수 및 온도계수를
갱신하고 태양광 예측값을 출력한 후 종료된다. 부하 예측은 과거의 이력데이터와 시계열 모델 중 하나인 자기회귀누적이동평균(Auto- 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 ARIMA)모델을 사용하여 부하를 예측한다. ARIMA 모델은 시계열 데이터 기반 분석 기법으로 과거의
계측 값과 오차를 이용하여 현재 시계열의 값을 설명하는 자기회귀이동평균(Autoregressive Moving Average, ARMA)모델에 과거의
데이터가 지니고 있는 추세를 반영한 것으로, ARMA모델이 정상 시계열에만 적용 가능한 것에 비해, 계절성이 존재하는 비정상 시계열에도 적용이 가능한
모델이다. 부하 데이터는 주중과 주말 및 계절에 따른 패턴 변동이 존재하는 계설정 패턴으로 이에 적합한 계절별 ARIMA(p, D, q)모델을 적용하였고
각 파라미터의 범위는 참고 문헌 (14)에 따라 적용하였다. ARIMA 모델 기반 예측의 경우 최근 부하데이터에 크게 영향을 받는 특징이 있어 최근 부하의 급격한 변동이 있는 경우 예측
정확도가 크게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ARIMA모델의 결과로써 얻어진 현재시간의 부하 예측데이터를 포함한 12시간 동안 예측된
부하값의 가중평균을 이용한 예측값의 보정을 거침으로써 해소하였다. 부하 수요 예측의 흐름도는 그림 3과 같다.
그림. 3. 부하 수요 예측 프로그램 흐름도
Fig. 3. Flow chart of Load demand forecasting program
3.2 ESS 충방전 스케쥴링
ESS 충방전 스케줄러는 개별 EP MG의 운영요금 최소화를 위해 MILP를 활용하여 ESS의 24시간 최적 운영 스케줄을 도출한다 (15). ESS의 감가상각 비용은 방전심도와 충방전 주기에 따른 관계로 비선형적인 관계를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감가상각 비용의 계산을 위해, 방전심도를
n개의 선형 관계로 변환한 모델과 Rainflow 알고리즘을 이용한 방전심도 계산 모델을 각각 적용하였다. Rain flow 알고리즘은 ESS의 충방전
사이클 중에서 수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충방전 사이클을 추출하여 수명비용에 적용하기 위한 방전심도를 얻기위해 사용되는 모델이다 (16,17)
. 제안한 ESS 충방전 스케줄러는, MILP알고리즘에 n개의 선형 방전심도 수식을 적용한 ESS 충방전 스케줄들 중에서 감가상각 비용이 Rain
flow 모델과 가장 유사한 값을 가지는 ESS의 충방전 스케줄을 최종 스케줄로 선택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ESS 충방전 스케쥴 프로그램의 흐름도를
그림 4에 도시하였다.
그림. 4. ESS의 스케줄링 프로그램 흐름도
Fig. 4. Flowchart of ESS scheduling program
3.3 비상시 자율제어
그림. 5. 비상시 자율제어
Fig. 5. Emergency control program flow chart
비상제어 프로그램은 MG의 비 주기적 비상상황을 자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MG에 발생한 비상상황을 인지, 판단, 대처하는 프로그램이다(18). 비상제어 프로그램의 흐름도는 그림 5에 나타내었다. MG EMS에 알람이 발생하게 되면 데이터 클러스터링을 통해 알람 데이터의 사전 처리를 수행한다. 이를 통해 비상제어 프로그램은 비상상황의
유형과 위치를 일시적으로 식별한다. 비상 분류 모듈에서 일시적으로 결정된 유형 및 위치에 대한 확신도를 퍼지 알고리즘을 통해 계산하여 일시적으로 식별된
비상상황을 최종 확정 또는 비상제어 프로그램의 재수행 여부를 결정하고 이벤트 데이터에 대한 불량 데이터 필터링을 수행한다. 비상상황이 최종 확정되고
퍼지알고리즘을 통해 여러개의 비상상황 결과가 생성되었을 때, 부하의 복원에 초점을 맞춘 룰베이스에 따라 각 비상상황에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마지막으로
최종판단된 비상상황과 비상상황들의 우선순위에 따른 기기 제어 및 유지보수원에게 메시지 전달과 같은 실질적인 대처를 수행한다.
3.4 EP MG EMS의 운영 플랫폼 개발
EP MG EMS는 초단위 데이터 계측이 가능한 다기능 단말장치 RTU(Remote Terminal Unit) 및 PMU(Phasor Measurement
Unit)와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부하제어기 등의 하드웨어 연계를 통해 계측된 로우 데이터에
대한 신뢰성을 보장한다.
또한, 안정적인 응용프로그램 및 기상정보시스템 연계를 통해 각종 응용프로그램에 기상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응용프로그램이 보다 신뢰성 있는 예측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상용 데이터베이스(PostgreSQL) 및 시스템 구조의 단순화(서버, HMI의 All-in-One)를 통해 시스템을 고도화 및 구축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EP MG EMS의 구성은 그림 6과 같이 Server, 전단 처리기 (Front End Processor, FEP), 데이터베이스, 응용프로그램, 외부시스템, 웹 기반 화면 인터페이스(Human
Machine Interface, HMI) 모듈로 구성이 되어 있다. 서버는 EP MG EMS 운영에 필요한 데이터를 생성하여, 원활한 분석을 위해
데이터를 처리하며, FEP는 설비단의 RTU, Inverter manager, PMS, BMS 등과 통신하여 전력 정보를 실시간으로 데이터베이스와
서버에 업데이트 한다. 응용프로그램은 EP MG EMS에서 최적화된 전력 사용을 위해 발전 및 부하를 예측하고, 그에 따라 ESS의 스케줄링 값을
생성 및 제어하며 비상제어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MG 내의 비상상황을 인지하고 자율적으로 대응한다. Web HMI는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통해 EP MG EMS 모니터링 및 운영제어를 할 수 있도록 기능을 제공하며 외부 시스템은 응용프로그램에 필요한 기상정보를
기상청으로부터 수신 받는다.
그림. 6. EP MG EMS의 운영 플랫폼 구조
Fig. 6. Architecture of operation platform of EP MG EMS
4. MG간 전력거래 시스템
4.1 다중 MG간 전력거래 절차 정의
여러 대상이 수행하는 모든 거래에서는 참여하는 주체들의 절차를 설정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전력거래에 참여하는 거래 주체들을 실제
전력 판매를 수행하는 EP MG EMS, 참여하는 MG 그룹들을 관리하는 EP Agent EMS, 전력회사 단위의 전력 시장을 운영하는 EPMI로
구성되어 있다고 정의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전체적인 전력거래 절차는 그림 7과 같다. EP Agent EMS에서는 관할하는 EP MG EMS의 거래 스케줄을 판단하기 위해서 개별 MG 의 상태 정보(24시간 MG의 수요 및
발전 예측 정보)를 제공받는다. 이를 활용하여 EP Agent EMS는 소속된 개별 MG의 운영비용의 합이 최소가 되는 MG간 전력거래 스케줄을 도출하게
된다. MG의 경우 부하 및 분산전원의 출력 변동성이 크므로 전력거래 스케줄은 매 6시간 을 주기적으로 변경하여 제공한다. 또한, EP MG EMS가
거래스케줄에 의해 이행하는 거래 정보를 토대로 각 EP MG EMS의 정산 내역을 산정하게 된다. 전력회사가 운영하는 전력시장을 관리하는 EPMI에서는
거래 스케쥴이 산정되는 향후 6시간 동안 전력회사의 발전단가 등을 고려하여 운영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전력구매량을 산정하여 EP Agent
EMS에 전송한다. 하지만, 전력회사는 MG의 수요 및 발전량이 계통 운영상 영향을 줄 수 있는지 판단하며, 이를 위반할 경우 MG에 발전 감축 지시를
통해 계통 운영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거래 스케쥴을 조정해야 한다.
그림. 7. 다중 MG간 전력거래 전략
Fig. 7. Power trading strategy for multiple MGs
4.2 MG간 전력거래 정산 및 증빙 방안
정산 및 증빙은 전력 거래 및 일반적인 거래에 있어서 중요한 기능 중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의 전력거래 및 증빙에 대한 절차를 그림 8과 같이 나타내었다. 거래 정산 및 증빙 기능은 거래에 참여한 개별 MG의 수익과 거래 금액 및 산정 용량을 정산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EP
Agent EMS는 개별 EP MG EMS로부터 매시간 거래 이행정보를 받아 저장한다. 이 정보를 토대로 거래 이행을 수행한 EP MG EMS의 발전량과
거래 기준 단가의 곱하여 각 MG의 정산금을 배분한다. 거래 정산은 전일의 거래 이행 현황에 기반하며, 거래를 이행하지 못한 MG의 경우 패널티를
부여하여 거래의 신뢰성을 향상시켰다. 전력거래 시장의 발전 요청에 따른 납부 금액은 구매 확정량과 구매 기준 단가를 곱하여 정산하며, 감축 지시의
경우 지시량에 대한 보상으로 처리한다.
그림. 8. MG간 전력거래에 대한 정산 방안
Fig. 8. Settlement process for the power trading
4.3 MG간 전력거래를 위한 EP Agent EMS 플랫폼 개발
위에서 언급한 EP Agent EMS는 EP EMS와 EPMI간의 중개 역할을 수행하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기존의 MG EMS의 운전(PV 예측,
부하예측) 등의 기능이 아닌 프로슈머간 전력거래 기능을 탑재한 플랫폼이며, 이 플랫폼의 참여주체는 소규모 분산자원을 소유하고 있는 MG 사업자가 대상이다.
그림 9는 본 논문에서 제안한 EP Agent의 플랫폼에 대한 전체 아키텍처를 나타내고 있다. 그림 9와 같이 EP Agent는 다수의 MG 사업자들을 상태정보를 통해 EPMI간의 전력거래의 중개역할을 수행한다.
그림. 9. EP Agent EMS 아키텍처
Fig. 9. Architecture for the EP Agent EMS
5. 실증사이트 구축 및 시험 결과
5.1 실증사이트 구축
본 논문에서 제안한 EP MG EMS, EP Agent EMS등을 통한 전력거래 모델에 대한 검증을 위해 국내 대학을 대상으로 구내에 부하 패턴이
상이한 교육형 MG, 사무형 MG, 주거형 MG 및 발전사업자형 MG를 구축하였다. 여기서, 교육형 MG의 경우 일반적인 대학에서 교육 및 연구 등이
주로 수행되는 건물, 사무형 MG의 경우 주로 사무실 형태의 공간이 밀집된 산학협력단 건물, 주거형 MG의 경우 학교 내 기숙사등과 같이 일반적인
주택과 같은 부하형태를 가지는 건물을 대상으로 MG 사이트를 구축하였다. 또한, 발전사업자형의 경우 다른 MG들과 다르게 PV와 같은 신재생 에너지로만
구성된 MG를 의미하며, 이는 도심의 분산전원 설치 특성을 고려하여 한 개소가 아닌 여러 개소를 선택하여 구성하였다. 그림 10은 MG 사이트 내부에 구축된 ESS, PV, 모의 부하로 대학 구내에 구축된 MG 사이트들의 전체 설비 구성도이다. 구축된 실증 사이트들을 활용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한 MG EMS의 자율운전 수행, EP Agent를 통한 다중 MG간 전력거래에 대한 실증시험을 수행하였다.
그림. 10. 다중 MG 실증 사이트 구축
Fig. 10. Demonstration site construction of multiple MGs
5.2 EP MG EMS 자율 운전 시험
본 논문에서 제안한 EP 형태의 MG EMS에 대한 기능을 검증하기 위해 위에서 구축된 MG 사이트 중 발전 사업자형 MG를 제외한 모든 MG 사이트에서
개발된 시스템에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약 2주간 운영원이 없이 장기 실증 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모든 MG의 경우 최소 약 365시간 이상
자율적으로 MG의 운영을 수행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림 12는 실증시험 중 사무형 MG 타입에 대한 HMI을 나타내고 있으며, 실제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그림 11(a)와 같이 시스템이
그림. 11. EP MG EMS에 대한 통합시험
Fig. 11. Integrated tests for EP MG EMS
자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개발된 EP MG EMS의 중요한 기능중 하나인 비상상황시 자율운전 기능을 확인하기 위해
그림 11(b)와 같이 사무형 MG에 시스템 알람을 통해 비상상황을 모의하였다. 그 결과, 비상상황에 대한 종류 및 위치에 대한 최종 결과가 지정된 운영원에게 SMS로
전송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비상상황이 아닌 지역의 알람은 오류데이터로 처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5.3 다중 MG간 전력거래 실증 시험
EP Agent EMS을 활용한 다중 MG간 전력거래에 대한 실증시험 내용을 요약하였다. 서로 상이한 부하패턴을 가지는 MG 간 전력거래를 시험하기
위해 앞서 언급한 실제 MG 중 교육형 및 사무형 MG 2개소와 가상 MG(Virtual Microgrid, VMG) 3개소를 만들어 시험에 활용하였다.
거래에 참여한 모든 MG의 시간별 전력 요금은 동일하게 적용하였으며, 앞서 언급한 거래 불이행에 대한 패널티 단가는 6,900원으로 가정하였다. 개별
MG의 운영상 필요 정보는 다음 표 1과 같으며, 각 MG에 설치된 ESS의 충방전 효율은 모두 동일하다고 가정하였다.
표 1의 MG들에 대해 제안한 전력거래 방식에 다른 운영 이득을 검증하기 위해 우선 단일 MG의 예측 기반의 스케줄 운전 수행 시, 피크 절감 효과에 대해
표 2와 같이 정리하였다. 표 3에는 표 1의 5개 MG간 전력거래를 수행했을 경우의 피크절감 효과 나타낸다. 그림 12는 MG간 전력거래 산정 및 이행현황을 나타내는 HMI 화면을 나타내고 있으며, 그림 상단은 발전 이행에 계약에 대한 MG의 발전량 및 패널티 라인,
하단은 전력거래에 참여한 MG의 이행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표 3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것처럼, MG간 전력거래를 수행할 경우 가상 MG2와 VMG3의 피크저감 효과가 훨씬 높은 것을 볼 수 있다. G&R Hub의
경우 전력거래 시 판매자 측에 속하므로 피크 절감효과는 음수로 나타난다.
표 1. 거래에 참여한 다중 MG의 정보
Table 1. Multiple MGs participated in power exchange
MG
|
계약 전력
|
ESS
용량
|
PCS 용량
|
SOC 초기치
|
SOC 최대치
|
SOC 최소치
|
VMG 1
|
500kW
|
500kWh
|
1000kW
|
0.6
|
0.95
|
0.05
|
VMG 2
|
200kW
|
50kWh
|
50kW
|
0.75
|
0.8
|
0.2
|
VMG 3
|
200kW
|
50kWh
|
50kW
|
0.75
|
0.8
|
0.2
|
G&R Hub
|
500kW
|
500kWh
|
500kW
|
0.6
|
0.9
|
0.1
|
공대6호관
|
600kW
|
250kWh
|
250kW
|
0.39
|
0.9
|
0.1
|
표 2. 단일 MG 운영 효과
Table 2. Operation benefit of single MG
MG 명칭
|
기존 피크
|
MG EMS 적용시 피크
|
저감률
|
VMG2
|
358 kWh
|
334.3 kWh
|
6.6%
|
VMG3
|
372 kWh
|
348.3 kWh
|
6.4%
|
표 3. 전력거래에 따른 다중 MG의 피크 절감 효과
Table 3. Peak saving effect of multiple MG according to the power trading
MG 명칭
|
기존 피크
|
거래시 피크
|
저감률
|
VMG1
|
206 kWh
|
206 kWh
|
0%
|
VMG2
|
358 kWh
|
200 kWh
|
44.13%
|
VMG3
|
372 kWh
|
200 kWh
|
46.2%
|
G&R Hub
|
205 kWh
|
228.4 kWh
|
-11.4%
|
공대6호관
|
404 kWh
|
404 kWh
|
0%
|
그림. 12. EP MG EMS에 대한 HMI
Fig. 12. HMI for EP Agent EMS
6. 결 론
본 논문에서는 대학 캠퍼스 구내의 다수의 건물을 대상으로 수행된 다중 MG 구축 및 운영에 관한 실증적인 내용에 대해 다루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다중 MG 운영은 각각의 에너지 프로슈머인 EP MG와 각 에너지 프로슈머 간 전력거래를 중계하는 EP Agent로 구분된다. 개발된 EP MG EMS는
상시의 예측 기반의 스케쥴 운영은 물론 비상시 시스템에 의한 자율제어 기능을 탑재하여 실제 활용성을 높였으며, 실제 대학 구내에 구축된 MG를 대상으로
한 통합시험을 통해 그 기능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다수개의 EP MG 간의 전력거래를 위한 EP Agent EMS는 전력거래를 위한 개별 MG의
스케쥴 작성, 거래 결과에 대한 정산 및 패널티 부여 등의 기능으로 구성되며 실제 MG들과 가상 MG들에 대한 실증시험을 통해 개별 MG의 운영시에
비해 추가적인 이득이 가능함을 입증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다중 MG 운영을 위한 기술은 신재생에너지 수용성 증대를 위해 전력회사 및 민간 신재생에너지
사업자 모두에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References
A. Ghoseh, S. Devadas, K. Keutzer, J. White, 1992, Estimation of Average Switching
Activity in Combinational and Sequential Circuits, ACM/IEE Design Automation Conf.,
pp. 253-259
KEPCO, Mar. 2019, Statistics of electric power in Korea, Vol. 88
M. Milligan, Oct 2015, Advancing system flexibility for high penetration renewable
integration (NREL/TP-6A20-64864), 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
M. R. Weimar, April 2016, Integrating renewable generation into grid operations-Four
international experiences, U.S. Dept. of Energy
GTM Research, Feb. 2016, Integrating high levels of renewables into microgrids: Opportunities,
challenges and strategies
H.-T. Kim, S.-S. Jhang, Feb 2018, Key technologies for stabilization of power system
for successful achievement of 3020 renewable energy policy, The Transactions of KIEE,
Vol. 67, No. 2, pp. 149-157
B. Kroposki, May-June 2018, Making microgrids work, IEEE Power and Energy Magazine,
Vol. 6, No. 3, pp. 40-53
Navigant Consulting Inc., 2015, Microgrid multi-client study, Navigant (Burlington,
USA)
Y. I. Mohamed, A. A. Radwan, June 2011, Hierarchical control system for robust microgrid
operation and seamless mode transfer in active distribution systems, IEEE Trans. on
Smart Grid, Vol. 2, No. 2, pp. 352-362
T. L. Vandoorn, August 2013, Transition from islanded to grid- connected mode of microgrids
with voltage-based droop control, IEEE Trans. on Power Systems, Vol. vol 28, No. 3,
pp. 2545-2553
Y. Chen, May 2016, Seamless transfer control strategy for three- phase inverter in
microgrid, IPEMC-ECCE Asia, hefei (china), pp. 1759-1763
Y.-G. Park, C.-W. Kim, J.-B. Park, Sep 2016, MILP-based dynamic efficiency scheduling
model of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s,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ging and Technology,
Vol. 11, No. 5, pp. 1063-1069
R. Palma-Behnke, Jan 2013, A microgrid energy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 rolling
horizon strategy, IEEE Trans. on Smart Grid, Vol. 4, No. 2, pp. 996-1006
S.-H. Kim, M.-H. Lee, Y.-H. Shin, July 2019, Development and demonstration of IoT
based campus microgrid, KIEE Summer Meeting, pp. 710-712
Summary of Rules for Identifying ARIMA Models, Online documents: https://people.duke.edu/~rnau/arimrule.htm
H. C. Gao, May 2018, Optimal Scheduling and Real-Time Control Schemes of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for Microgrids Considereing Contract Demand and Forecast Uncertainty,
Energies, Vol. 11, pp. 1371-1385
M. Musallam, C. M. Johnson, Dec 2012, An Efficient Implementation of the Rainflow
Counting Algorithm for Life Consumption Estimation, IEEE Trans. Reliability, Vol.
61, pp. 978-986
J. Li, June 2015, Analysis of Battery Lifetime Extension in a SMES-Battery Hybrid
Energy Storage System Using a Novel Battery Lifetime Model, Energy, Vol. 86, pp. 175-185
J.-S. Hong, Dec 2018, An Empirical Study on Autonomous Operation in Emergency Situation
of Microgrids, J. Korean Inst. Illum. Electr. Install. Eng., Vol. 67, No. 12, pp.
1595-1601
저자소개
He received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in 1989, 1991 and 2004, respectively.
He has been working as a principal researcher at KEPCO Research Institute.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micro grid, distribution planning & power quality and
power electronics.
He received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in 1997, 1999 and 2012, respectively.
He has been working as a senior researcher at KEPCO Research Institute.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micro grid, demand response, energy mix and resilience.
He received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in 2008, 2011 and 2015, respectively.
He has been working as a senior researcher at KEPCO Research Institute.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micro grid, power system reliability and resilience.
He received B.S. and M.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in 2015 and 2017, respectively.
He is currently pursuing the Ph.D. degree at the same university.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micro grid and distribution system operation.
He received B.S. degree in electronic engineering from Chosun University, Gwangju,
Korea, in 2015 and M.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in 2018.
He is currently pursuing the Ph.D. degree at the same university.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micro grid and distribution system op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