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환
(Seung-Hwan Lee)
1iD
이태규
(Tae-Kyu Lee)
2iD
최성현
(Sung-Hyeon Choi)
1iD
김정욱
(Jeong-Uk Kim)
†iD
-
(Dept. of Energygrid, Graduate School, Sangmyung University, Korea.)
-
(Green energy lab, Sangmyung University, Korea.)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KIEE)
Key words
Flywheel energy storage system, QFT, Wind power system, Diesel system, Robust controller
1. 서 론
화석연료의 부족 및 환경문제로 인하여 태양광, 풍력, 연료전지와 같은 신재생에너지가 에너지 자원으로써 전력망에 연계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풍력발전의 경우 풍량이 많은 섬 지역이나 전력계통에 연계되지 않은 지역에 특히 효용가치가 높다. 따라서 주 전력계통으로부터 전력수급이 어려운 독립된
지역이나 섬 지역에서 풍력-디젤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에 대한 설치방안에 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1)~(6).
그러나 풍력발전의 경우 발전 출력이 불규칙하여 주파수와 전압변동이 심하게 변하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주파수의 진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디젤계통에
대한 제어와 풍력발전시스템에 대한 제어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풍력발전에 대한 피치제어와 디젤발전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풍력-디젤계통의
주파수 제어에 대한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어 왔다. 특히 PI제어(7)와 변화구조제어(VSC :Variable Structure Control)(5), 퍼지제어(9)(10), $H_{\infty}$제어(6)와 같은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어 풍력-디젤계통의 주파수제어를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이와 같은 제어 방법은 비록 디젤 전력 시스템의 조속기제어와
풍력발전시스템의 피치제어에 적용을 통하여 주파수 제어를 수행해 왔지만 이와 같은 제어 방법은 조속기의 느린 응답특성으로 인하여 제어에 한계가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울릉도 지역에 풍력발전기와 디젤발전기가 연계되어 시험 운전한 경험이 있으나 풍력발전의 심한 출력변동으로 인하여 디젤 발전기의 조속기가
불안정해 지면서 20일 만에 가동 중단된 사례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도입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다양한
종류의 에너지 저장장치가 있지만 주파수 제어를 위해서는 입출력 응답속도가 빠른 에너지 저장장치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기존에는 초전도 코일에 DC
전류를 흘려 이에 의한 자기에너지를 저장하는 방식인 SMES(Superconducting Magnetic Energy Storage)를 적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1)~(3). 설계된 SMES를 이용한 제어 방법은 다양한 동작점 변화를 고려하지 않은 제어 설계방법이며, 저장할 수 있는 자기에너지의 용량이 적어 전력시스템의
적용에는 한계가 있다.
특히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장치는 유효전력의 입출력 응답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에 갑작스런 부하변동과 풍력발전의 불규칙한 출력에 대응하여 신속하게 주파수제어가
가능하다(11)~(13).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풍력-디젤 시스템의 신속한 주파수 제어를 위하여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 장치(Flywheel Energy Storage System
: FESS)의 적용을 제안하였으며 이를 제어하기 위해서 강인제어 이론인 QFT(Quantitative Feedback Theory)(14)(15)를 이용하여 계통의 모델링 오차와(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외란에도 불구하고 제어성능을 나타낼 수 있도록 (제어기를) 설계 하였다. QFT 설계의 장점은
제어기 설계단계에서 계통의 모델링 오차를 파라미터 불확실성의 범위를 설정하여 다양한 영역에서 안정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강인한 제어기가 설계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제안한 방법에 의해 설계된 제어기의 강인한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시간영역의 동특성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다양한 외란이 발생한 경우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제안한 제어기의 도입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하여 제안한 제어기는 기존의 다른 제어 방법을 이용한 경우보다 다양한 외란에도
불구하고 에너지 저장장치의 빠른 입출력 특성을 통하여 조속기의 변화량을 최소화 함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제어 성능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2. 풍력-디젤 전력 시스템 모델
Fig. 1은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장치를 포함한 풍력-디젤 전력시스템의 배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풍력발전과 디젤발전 및 플라이휠에너지 저장장치가 하나의 모선에
접속이 되어 부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구조로 배치하였다. 이때 풍력 발전기는 기본적으로 피치제어를 수행 하고 있으며 주파수 제어를 위해 플라이휠에너지
저장장치의 유효전력만을 제어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그림. 1.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갖춘 풍력 발전 시스템 구조
Fig. 1. Wind-Diesel power system with flywheel energy storage system
2.1 풍력발전 시스템 모델
풍력 터빈의 블레이드 피치 제어를 포함한 풍력발전시스템의 동특성 모델은 다음 식(1)~(4)과 같다(2)(5).
본 논문에서 부하 주파수 제어 목적 달성을 위하여 풍력에너지 변환시스템을 고려하지 않고 모든 비선형성을 무시하여 모델링하였다(2)(5). 이를 위하여 풍력측 주파수와 디젤측 주파수의 차이를 선형화된 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도록 커플링게인 $K_{fc}$ 를 이용하여 모델링 하였다.
여기서, 풍력시스템의 유압 피치 액추에이터의 전달 함수는 2개의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Delta H$는 유압 피치 액추에이터 변수, $\Delta
H_{1}$은 더미변수, $\Delta P_{m}$은 풍력 전력 편차, $\Delta P_{w}$는 풍력전력입력의 변화량을 나타낸다. $\Delta
w_{1}$은 풍력 주파수편차, $T_{p1}$과 $T_{p2}$는 유압 피치 액추에이터의 시정수이며, $K_{p2}$는 유압 액추에이터의 게인,
$K_{pc}$는 블레이드 특성 게인, $K_{p3}$는 데이터 피팅 피치 응답게인, $K_{fc}$는 커플링 게인, $H_{w}$는 풍력 터빈의
관성정수를 나타낸다.
2.2 디젤 발전 시스템 모델
조속기를 포함하는 디젤 발전 시스템의 동특성 모델은 다음 식 (5)~(7)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2)(5).
디젤 조속기의 전달함수는 두 개의 블록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Delta w_{2}$는 디젤 시스템 주파수편차, $\Delta P_{f}$는 디젤
조속기의 출력 전력 변수이며, $\Delta P_{f1}$은 더미 변수를 나타낸다. $\Delta P_{load}$는 부하 변동, $H_{d}$는
디젤 엔진의 관성정수, $K_{d}$는 디젤 조속기 게인, $T_{1}$은 디젤 조속기의 시정수를 나타낸다.
2.3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장치 모델
전력전자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장치는 시스템 외란에 대해 몇 사이클 이내에 전력 입출력이 가능하여, 부하변동에 의해 주파수가 변하면
불평형 전력을 순간적으로 저장하거나 다시 회생하여 신속한 전력조류제어가 가능하며,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을 독립적으로 제어가 가능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주파수 제어를 위하여 유효전력만을 신속하게 제어 하도록 하였으며 이는 Fig. 2와 같은 1차 전달함수 블록선도로 나타낼 수 있다.
그림. 2.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블록 다이어그램
Fig. 2. Block diagram of flywheel energy storage system
Fig. 2와 같이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장치의 출력은 다음 식 (8)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Delta P_{fess}$는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장치의 출력변화량을 나타내고 $T_{fess}$는 시정수를 나타낸다.
그림. 3. 피치 컨트롤러와 FESS를 갖는 풍력 발전 시스템의 블록 다이어그램
Fig. 3. A block diagram for the wind diesel power generation system with the pitch
controller and FESS
2.4 시스템 선형화 모델
Fig. 3은 식(1)~(8)로 표현된 풍력-디젤 발전시스템의 블록선도를 나타내고 있으며(1)~(6), 풍력 시스템 모델, 디젤 시스템모델, 블레이드 피치 제어와 발전기모델을 구성되어 있다. Fig. 3을 이용하여 풍력-디젤계통의 선형화 모델은 다음 식 (9)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Delta x$, $\Delta u$, $\Delta p$는 각각 상태벡터, 제어벡터 및 외란 벡터를 나타내며 $\Delta x$=[$\Delta
H_{1}$,$\Delta H$,$\Delta P_{m}$,$\Delta w_{1}$,$\Delta w_{2}$,$\Delta P_{f1}$,$\Delta
P_{f}$,$\Delta P_{fess}$]이고, A, B ,$\Gamma
$는 각각 시스템파라미터와 동작점에서의 상수 매트릭스를 나타낸다.
3. QFT를 이용한 플라이휠 저장장치 제어기 설계
3.1 QFT 제어이론
QFT 제어이론은 정의된 플랜트에 존재하는 불확실성 및 외란에 대하여 강인한 제어 성능을 보장하기 위해 니콜스 챠트(Nichols Chart)를 이용한
주파수 영역에서의 강인제어기를 설계하는 방법이며, QFT의 주목적은 외부외란과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플랜트에 대하여 주어진 성능 사양을 만족하고 동시에
최소 대역폭을 가지는 제어기를 설계하는 것이다. 기본적인 설계 방법은 폐루프 시스템의 설계사양과 플랜트 불확실성의 설계 사양이 주어지면 이를 공칭
시스템의 개루프 전달 함수의 강인 안정도 경계와 강인 성능 경계로 변환하여 경계조건을 설정한 뒤, Fig. 4와 같이 경계조건을 만족하도록 루프 정형(Loop Shaping) 방법을 이용하여 제어기를 설계하는 것이다.
그림. 4. 최악의 QFT 경계 조건에서 최적의 설계 결과
Fig. 4. Optimal design result with worst QFT boundary conditions
설계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① 플랜트 템플레이트 발생 : 불확실성을 포함한 제어대상 모델에 대하여 일련의 주파수영역을 선정하고 복소평면상 선정한 주파수에 대하여 모델 집합 $P(jw_{i})$를
계산한다. 이 모델 집합을 템플레이트라고 한다.
② QFT 경계계산 : 모델 집합 중에 임의의 모델을 선택하여 공칭모델을 선정하고, 각각의 주파수에 대하여 템플레이트에 대한 강인안정도 사양과 성능사양을
결합하여 공칭 모델에 대한 안정도 여유와 성능경계를 계산하고 각각의 주파수별 가장 최악의 경계를 QFT경계로 선정한다.
③ QFT 제어기 루프 정형 : 선정한 모든 주파수에서 QFT 경계조건이 만족되고 폐루프 공칭 시스템이 안정할 때 까지 루프정형방법을 이용하여 니콜스
선도상에 QFT 제어기 $K(s)$를 설계한다. 이때 공칭 개루프 전달함수 $L(s)= K(s)P(s)$는 선정한 각각의 모든 주파수에서 Fig. 4와 같이 가장 최악의 QFT경계를 만족하면 최적의 QFT 설계가 달성 된다.
3.2 QFT를 이용한 플라이휠 저장장치 제어기 설계
본 장에서는 풍력-디젤계통의 선형화 모델을 이용하여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장치의 QFT 제어기 $K(s)$를 설계한다. QFT 제어기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먼저 플라이휠을 포함한 시스템의 입력과 출력에 대한 시스템의 전달함수를 선정해야 하는데 시스템 피드백 출력은 제어기 입력이 되는 디젤주파수 출력 $\Delta
w_{2}$를 선정하였으며 구해진 전달 함수는 $P(s)$라고 정의한다.
풍력-디젤 시스템의 전달함수 $P(s)$는 디젤 시스템 및 풍력 시스템의 불확실 파라미터에 따라 변하게 되는데 본 논문에서는 풍력시스템의 관성계수
$H_{w}$, 디젤 시스템의 관성계수 $H_{d}$ 및 조속기 시정수 $T_{1}$을 불확실한 요소로 가정하고 각각의 파라미터는 공칭값에서 $+-$
30% 변동한다고 가정 하면 다음 식 (10)~(12)와 같은 범위에서 다양한 값을 가지게 된다.
식 (10)~(12)와 같이 선정된 범위를 이용하면 시스템 전달함수 $P(s)$의 불확실성을 포함한 전달함수 집합을 이루게 된다.
파라미터 불확실성을 포함한 $P(s)$전달함수 집합에 대하여 시스템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 관심 주파수 영역을 설정하는데 본 논문에서의 동요모드는 0.4∼1
rad/sec에 존재하므로 선정한 주파수 영역의 집합은 다음 식 (13)과 같이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식에서 선정된 관심 주파수에 대하여 플랜트 템플레이트를 구하고 공칭 플랜트를 선정하는데 본 논문에서는 시스템의 기본 동작값을 공칭플랜트로
선정하였다. 공칭 플랜트 선정 후 QFT설계를 위해 강인 성능 사양과 외란 억제 성능 사양에 대한 경계를 계산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강인
안정 사양과 외란 억제 성능 사양은 각각 다음 식 (14)~(15)와 같이 선정하였다.
여기서, $L(jw)$=$K(jw)P(jw)$와 같은 개루프 전달함수 이며, $K(jw)$는 설계되는 제어기 전달함수이다.
다음으로 QFT 경계를 계산해야 하는 과정으로 QFT 경계는 니콜스 선도상의 수동적인 계산이 아니라 이차 부등식 형태의 수치적인 알고리즘(15)을 이용하여 QFT 경계를 계산하였으며 이 경계를 이용하여 니콜스 선도상에 나타내고 루프 정형 방법을 이용하여 경계를 만족하도록 하는 $L(s)$를
구하여 이 전달함수가 모든 선택된 주파수에서 QFT 경계를 만족하도록 설계하면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장치 제어기 $K(s)$를 구하여 설계가 완료된다.
설계 결과는 다음 장에 나타내었다.
4. Title
본 논문에서는 풍력-디젤 시스템에 외란과 지속적으로 변하는 풍력출력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장치를 적용하였으며, 시스템의
다양한 외란에 대해서 강인한 대처를 위하여 QFT를 이용하여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장치의 강인제어기를 설계하였다. 설계의 강인성을 검증하기 위해 다양한
외란이 발생한 경우 기존의 제어 방식(3)과 비교하여 시간영역에서 동특성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 사용한 디젤시스템, 풍력 시스템의 파라미터는 Table. 1 (3)과 같으며,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장치의 출력은 $-0.01\le \Delta P_{fess}\le 0.01$ pu로 제한하였다.
표 1. 시스템 파라미터
Table 1. System Parameters
Wind
system
parameters
|
$H_{w}$=3.5s, $T_{p1}$=0.6s, $T_{p2}$=0.041s, $K_{p2}$=1.25,
$K_{pc}$=0.08, $K_{p3}$=1.4, $K_{fc}$=16.2 pu
Area capacity : 350kW
|
Diesel
system
parameters
|
$H_{d}$=8.5s, $T_{1}$=0.025, $K_{p2}$=0.041, $K_{d}$=16.5,
|
Flywheel
energy
storage
system
parameters
|
$T_{fess}$=0.1, $K_{fess}$=1
|
앞 절에서 설계된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장치의 제어기 $K(s)$는 다음 식 (16)과 같다.
Fig. 5는 선정된 주파수 $w_{i}$에 따른 시스템의 템플레이트에 대해 계산된 경계와 공칭 개루프 시스템 전달함수 $L(jw)$를 나타내었다. 그림에서
보여지듯이 모든 선택된 주파수 $w_{i}$에서 공칭 개루프 시스템 $L(jw)$는 모든 QFT 경계조건을 만족함을 알 수 있다.
그림. 5. QFT 경계 및 루프 시스템의 그래프 형성 결과
Fig. 5. The QFT bounds and designed loop shaping results
설계된 제어기의 강인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전력 시스템에 0.01 p.u의 $\Delta P_{load}$ 스텝부하 변동이 발생할 경우와 $\Delta
P_{load}$의 랜덤부하 변동이 발생한 경우 및 풍력시스템의 입력외란 $\Delta P_{w}$이 랜덤하게 변하는 세 가지의 경우에 대해 동특성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Fig. 6은 디젤계통에 갑작스런 부하외란으로 $\Delta P_{load}$가 0.01 pu의 스텝변동 하였을 경우 기존의 제어방식인 PI 피치제어, SMES
제어(3)와 제안한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장치의 QFT 제어기를 각각 적용하였을 경우에 대하여 풍력계통과 디젤 계통의 주파수 변화량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Fig. 6(a), 6(b)와 같이 주파수 변화량을 살펴보면 제안한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장치의 제어기를 적용하였을 경우의 주파수가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알 수 있고, 주파수
변화량의 최대 편차량 또한 기존의 제어기 보다 매우 적음을 알 수 있다.
Fig. 6(c)는 기존의 제어기와 제안한 제어기를 포함한 경우 디젤 출력전력을 나타내었다. 부하외란이 0.01pu 변동하였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디젤 출력은 0.01pu
증가하여 출력되지만 제안한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장치 제어기를 적용 하였을 경우 디젤의 출력 변화가 최소로 변동하여 디젤 조속기의 불안정을 예방 할
수 있다.
그림. 6. $\Delta P_{load}$의 0.01 pu 단계 변화 주파수 응답
Fig. 6. Frequency responses under 0.01 pu step variation of $\Delta P_{load}$
Fig. 6(d)는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장치의 출력 전력을 나타내었다. 그림을 보면 부하외란이 갑자기 발생하였을 경우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장치는 외란에 반응하여 매우
신속하게 출력을 보내어 불평형을 신속하게 제어함을 알 수 있다.
Fig. 7은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외란에 대처하기 위한 강인제어능력을 확인하기 위한 랜덤 부하변화량 $\Delta P_{load}$를 나타내었다. Fig. 8은 디젤계통에 Fig. 7과 같이 $\Delta P_{load}$가 시간적으로 랜덤하게 부하가 변동하였을 경우에 대하여 기존의 제어방식인 PI 피치제어, SMES 제어(3)와 제안한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장치의 QFT 제어기를 각각 적용하였을 경우에 대하여 풍력계통과 디젤 계통의 주파수 변화량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Fig. 8(a), 8(b)를 보면 제안한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장치의 제어기를 적용하였을 경우의 주파수가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알 수 있고, 제어성능이 더욱 강인함을 알
수 있다.
그림. 7. $\Delta P_{load}$의 랜덤 부하 변동
Fig. 7. Random load variation of $\Delta P_{load}$
그림. 8. $\Delta P_{load}$의 랜덤 부하 변동 하의 주파수 응답
Fig. 8. Frequency responses under random load variation of $\Delta P_{load}$
Fig. 9는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외란에 대처하기 위한 강인제어능력을 확인하기 위한 풍력입력 전력이 랜덤하게 변화하는 풍력 입력변화량 $\Delta P_{w}$를
나타내었다.
Fig. 10은 풍력 입력 $\Delta P_{w}$가 Fig. 9와 같이 랜덤하게 변동하는 경우에 대하여 기존 제어방식인 PI 피치제어, SMES 제어(3)와 제안한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장치의 QFT 제어기를 각각 적용하였을 경우에 대하여 풍력계통과 디젤 계통의 주파수 변화량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제안한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장치의 제어기를 적용하였을 경우의 주파수가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알 수 있고, 기존의 제어기 보다 제어성능이 더욱 강인함을
알 수 있다.
그림. 9. $\Delta P_{w}$의 풍력 입력 랜덤 변동
Fig. 9. Random wind power input change of $\Delta P_{w}$
그림. 10. $\Delta P_{w}$의 풍력 입력 랜덤 변동 하의 주파수 응답
Fig. 10. Frequency responses under random wind power input change of $\Delta P_{w}$
5. 결 론
본 논문에서는 풍력-디젤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장치 적용을 제안하였으며 강인한 제어 성능을 달성 하도록 QFT 강인제어
이론을 도입하여 제어기를 설계하였다. 제안한 제어기의 강인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양한 외란이 발생한 경우 기존의 제어기와 동특성을 비교하여 제어
성능을 검토하였다. 동특성을 비교 검토한 결과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장치의 속응성이 매우 빨라 유효전력 입출력이 매우 빨라 갑작스럽게 변화하는 부하변동에
잘 대처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QFT 강인제어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다양한 외란에도 강인함을 나타내어 기존의 제어 방식보다 풍력-디젤 시스템의
안정도를 향상시키는데 크게 기여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장치의 적용을 통하여 입력전력과 출력전력의 불일치가 발생 하는 경우 신속하게
전력을 제어함으로써 조속기의 변화량을 최소화 함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제어 성능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Human Resources Program in Energy Technology” of the Korea
Institute of Energy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KETEP), granted financial
resource from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 Energy, Republic of Korea. (No. 20164030300230)
References
S. C. Tripathy, M. Kalantar, R. Balasubramanian, 1991, Dynamics and stability of wind
and diesel turbine generators with superconducting magnetic energy strorage unit on
an isolated power system, IEEE Trans. On Energy Conversion, Vol. 6, No. 4, pp. 579-585
S. C. Tripathy, I. P. Mishra, 1996, Dynamic performance of wind-diesel power system
with capacitive energy storage, Energy Convers. Mgmt, Vol. 37, No. 12, pp. 1787-1798
S. C. Tripathy, 1997, Dynamic simulation of hybrid wind-diesel power generation system
with superconductor magnetic energy storage, Energy Convers. Mgmt, Vol. 38, No. 9,
pp. 919-930
T. S. Bhatti, A. A. AL-Ademi, N. K. Bansal, 1997, Load frequency control of isolated
wind diesel hybrid power system, Energy convers. Mgmt, Vol. 38, No. 9, pp. 829-837
D. Das, S. K. Aditya, D. P. Kothari, 1999, Dynamics of diesel and wind turbine generator
on an isolated power system, Electrical power and energy system, Vol. 21, pp. 193-189
V. P. Singh, S. R. Mohanty, N. Kishor, P. K. Ray, 2013, Robust H-infinity load frequency
control in hybrid distributed generation system, Electrical power and energy systems,
Vol. 46, pp. 294-305
C. S. A. Nandar, 2012, Robust PI Control of Smart Controllable Load for Frequency
Stabilization of Microgrid Power System, Elsevier, Renewable Energy, pp. 1-8
R. Goutham Govind Raju, S. Mohamed Ali, 2012, Fuzzy Based Gain Scheduled PI Controller
for an Isolated Wind-Diesel Hybrid Power System, Bulletin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Infomatics, Vol. 1, No. 3, pp. 213-224
L. Leclercq, B. Robyns, J. M. Grave, 2003, Control Based on Fuzzy Logic of a Flywheel
Energy Storage System Assocciated with Wind and Diesel Generator, Mathematics and
Computer in Simulation, Vol. 63, pp. 271-280
M. Md. Thameem Ansari, S. Velusami, 2010, Dual Mode Lingustic Hedge Fuzzy Logic Controller
for ans Isolated Wind-Diesel Hybrid Power System with Superconducting Magnetic Energy
Storage Unit, Energy Conversion and Management, Vol. 51, pp. 169-181
R. G. Lawrence, K. L. Craven, G. D. Nichols, 2003, Flywheel UPS, IEEE Ind. Appl. Mag.,
Vol. 9, No. 3, pp. 44-50
R. R. Cardenas, G. Asher Pena, J. Clare, 2004, Power smoothing in wind generation
systems using a sensorless vector controlled induction Machine driving a flywheel,
IEEE Trans. on Energy Convers, Vol. 19, No. 1, pp. 206-216
M. H. Wang, H. C. Chen, 2005, Transient stability control of multimachine power systems
using flywheel energy injection, IEE Proc.-Gener. Transm. Distrib., Vol. 152, No.
5, pp. 589-596
I. M. Horowitz, 1991, Survey of quantitative feedback theory (QFT), Int. J. Cont.,
Vol. 53, No. 2, pp. 255-291
J. M. Rodrigues, Y. Chait, C. V. Hollot, 1997, An efficient algorithm for computing
QFT bounds, Trans. of the ASME, Vol. 119, pp. 548-552
저자소개
He is a graduate student in Sangmyung University.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Renewable
energy, Energy storage system, energy performance analysis.
He received the B.S and M.S degree from the Sangmyung University. He is currently
a Researcher of Green energy lab.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Zero energy building,
Renewable energy, energy performance analysis.
He received his B.S. degree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angmyung University, Seoul,
Korea, in 2018.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Renewable energy system, Demand response.
He received the M.S and Ph.D. degree from the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He is currently a Professor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a Dean of
the graduate school.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network algorithm, automation
system, energy performance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