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P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The Transactions P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SO Journal TitleTrans. P of KIEE
  • Indexed by
    Korea Citation Index(KCI)

  1. (Dept. of Electronic and Electrical Engineering, Keimyung University, Korea)
  2. (Dept. of Electrical Energy Engineering, Keimyung University, Korea)



Cogging torque, coreless, eddy current loss, SPMSM, torque ripple

1. 서 론

최근 전동화 시장이 급격히 성장함에 따라 특수 기기용 고속기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적용 분야 확장을 위해서는 초고속 운전용 모터의 고출력 및 고효율화 그리고 구동 시 안전성 개선에 대한 연구가 확보되어야 한다. 기존의 초고속기 모터의 경우 초고속 운전 시 소음 및 진동 문제를 개선하고자 코깅 토크를 저감할 수 있는 표면 부착형 동기 모터(SPMSM, Surface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를 많이 사용하였다. 하지만 모터는 운전 속도가 증가할수록 소음과 진동에 큰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 이러한 문제가 있으므로 고속기 설계 시에는 소음 및 진동에 큰 영향을 주는 토크 리플과 코깅 토크 저감할 수 있는 연구가 중요시된다. 또한 고속기의 경우 인가되는 전류의 높은 주파수에 의해 전기적인 손실 중 철손의 비중이 가장 크다. 이러한 특성은 모터의 발열뿐만 아니라 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는 문제로 이어진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고속기 모터의 초고속 운전 시 발생할 수 있는 소음과 손실을 개선하고자 SPMSM 모델의 고정자 개선설계를 수행하였으며, 부하가 크지 않은 초고속기의 경우 토크 리플과 코깅 토크가 공극 릴럭턴스 차에 의해 크게 증가될 수 있으므로, 공극의 고조파성분을 개선하기 위하여 치를 제거한 코어리스 모델을 설계하였다. 코어리스 모델의 경우 공극 자속 밀도의 고조파 성분을 최소화할 수 있어 영구자석과 회전자 비산방지용 Sleeve에서 발생되는 와전류 손실과 치에서 발생되는 철손을 최소화 할 수 있으므로 개선된 코어모델과 비교하여 초고속기에 적합한 구조에 대해서 분석을 진행하였다.

2. 고속기 모터 모델 제원

2.1 회전자 비산 방지를 위한 Sleeve 구조

본 논문에서는 고속기 모터의 코깅 토크 저감을 위하여 모터 타입을 SPMSM으로 선정하였다. SPMSM은 영구자석이 회전자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형태이기 때문에 매입형 영구자석 동기 모터(IPMSM, Interior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보다 영구자석이 비산 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고자 SPMSM 회전자에 고강성 Inconel 재질의 Sleeve를 설계하여 회전자 영구자석의 비산에 대한 문제를 방지하였다[1]. 그림 1은 SPMSM의 영구자석에 적용된 Sleeve 구조를 나타낸다.

그림 1. 회전자 Sleeve 형상

Fig. 1. Sleeve shape of rotor

../../Resources/kiee/KIEEP.2022.71.3.149/fig1.png

2.2 모델 제원

그림 2는 코어 모델의 단면도를 나타내며 고정자에 백요크(back yoke)와 치(teeth)구조가 있는 코어 모델의 단면도를 보여주고 있다. 이후 개선 모델의 경우 적층 길이와 회전자 구조는 모두 동일하게 설계한다.

그림 2. 코어 모델의 단면도

Fig. 2. Figure of the core model

../../Resources/kiee/KIEEP.2022.71.3.149/fig2.png

표 1 코어 모델 제원

Table 1 Specifications of the core model

Category

Unit

코어 모델

Pole/Slot

-

2/12

Max Torque

Nm

1.85

Max Speed

kr/min

100

DC Link Voltage

V

400

Stacking Length

mm

68.7

Stator Diameter

mm

188

Rotor Diameter

mm

25.5

3. 코깅 토크 및 토크 리플 특성 개선

3.1 코깅 토크 및 토크 리플

코깅 토크와 토크 리플은 회전자의 영구자석과 고정자의 슬롯 사이에 발생하는 인력에 의한 토크의 변동분으로 소음 발생의 원인이 된다. 공극에서 발생되는 힘은 자기에너지에 영향을 받고 자기에너지 $W_{c}$에 대한 수식은 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3].

(1)
$W_{c}=\dfrac{1}{2}Li^{2}+\dfrac{1}{2}(R+R_{m})\Phi_{m}^{2}+N i\Phi_{m}$

$R$은 공극 자기저항, $R_{m}$은 영구자석 자기저항이다. 자기에너지에 의해 생성되는 토크는 식 (2)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2)
$T=\dfrac{\partial W_{c}}{\partial\theta}$

(1)과 식 (2)를 통해 토크는 식 (3)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3)
$T=\dfrac{1}{2}i^{2}\dfrac{d L}{d\theta}-\dfrac{1}{2}\Phi_{m}^{2}\dfrac{d R}{d\theta}+N i\dfrac{d\Phi_{m}}{d\theta}$

무부하 상태에선 전류 $i$가 0이기 때문에 식(3)에서 1번 항과3번 항은 0이 된다.

(4)
$T=\dfrac{1}{2}\Phi_{m}^{2}\dfrac{d R}{d\theta}$

이때 식 (4)는 부하가 없을 경우의 코깅 토크에 대한 수식이며, 코깅 토크는 공극 자속 밀도 제곱 $\Phi_{m}^{2}$과 회전자 각도 변화에 따른 공극 자기저항 변화량 $d R$/$d\theta$에 비례한다. 즉, 회전자가 회전할 때 발생하는 각도 변화에 따른 공극 자기저항 값의 변화가 클수록 높은 코깅 토크가 발생하게 된다[3]. 식 (3)은 부하 상태를 고려한 토크 리플에 대한 수식이며, 토크 리플의 경우 전기자 부하에 의한 치의 포화가 발생할 경우 무부하 시 공극 자기저항의 변화량보다 더 극적으로 커지며 높은 토크 리플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코깅 토크와 토크 리플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부하와 무부하 조건에서 공극 자속 밀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고정자 치 또는 회전자 형상에 대한 설계가 고려되어야 한다.

3.2 치 형상에 따른 코깅 토크 및 토크 리플 개선

그림 3의 슬롯 개구폭은 고정자 권선이 감기는 슬롯의 입구를 의미한다. 그리고 슈는 그림 3의 고정자 치 끝단에 돌출된 형상을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고정자의 슬롯 오프닝 크기에 따른 코깅 토크와 토크 리플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림 3의 (a)는 슬롯 개구폭이 0.3[mm]일 때 고정자 형상이고 그림 (b)는 슬롯 개구폭이 1.2[mm]일 때 고정자 형상이다. 그림 4는 슬롯 개구폭 크기에 따른 코깅 토크와 토크 리플에 대한 FEM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그림 4에서 볼 수 있듯이 슬롯 개구폭의 너비에 따라 코깅 토크와 토크 리플의 증감 경향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그림 3에 나타낸 슈의 자속 포화도가 높아지지 않을 경우 자기저항의 차이가 크게 저감되어 코깅 토크가 감소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부하 시 전류에 의해 슈가 포화되어 토크 리플은 악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코깅 토크와 토크 리플을 최적화한 슬롯 개구폭의 크기는 1.2[mm]로 선정하였다. 표 2는 기존의 코어 모델과 슬롯 개구폭을 개선한 코어 모델의 분석 결과를 보여주며, 코깅 토크는 0.26%, 토크 리플은 0.16% 개선되었다. 이를 통해 공극 자기저항의 변동을 최소화할 경우 소음을 개선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그림 3. 코어 모델 슬롯 개구폭에 따른 슈 형상 (a) 슬롯 개구폭 0.3[mm] (b) 슬롯 개구폭 1.2[mm]

Fig. 3. Shoe shape according to the core model slot opening width (a) Slot opening width is 0.3[mm] (b) Slot opening width is 1.2[mm]

../../Resources/kiee/KIEEP.2022.71.3.149/fig3.png

그림 4. 코어 모델 슬롯 개구폭에 따른 FEM 분석 결과

Fig. 4. FEM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the slot opening width of the model

../../Resources/kiee/KIEEP.2022.71.3.149/fig4.png

표 2 코어 모델과 개선된 코어 모델의 FEM 분석 결과

Table 2 FEM analysis results of core model and improved core model

Category

Unit

코어 모델

개선된 코어 모델

공극 토크

Nm

1.85

1.85

코깅 토크 율

%

1.61

1.35

토크 리플 율

%

5.83

5.67

3.3 코어리스 모델 코깅 토크 및 토크 리플 특성 분석

앞서 고정자의 형상에 따라 자기저항의 변화를 최소화할 경우 코깅 토크와 토크 리플이 개선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근거로 만약 고정자 치를 제거할 경우 기존의 치와 슬롯 사이의 자기저항 차이가 크게 줄어들 것이고 이는 코깅 토크와 토크 리플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일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치를 제거한 코어리스 모델을 설계하였고 그림 5표 3은 코어리스 모델의 단면도와 제원을 나타낸다. 그림 6은 개선된 코어 모델과 코어리스 모델의 자속 밀도 포화도를 나타낸다. 코어 모델의 경우 치의 포화로 투자율이 공극에 가깝게 포화되지는 않았기에 치와 슬롯사이의 자기저항 차이가 크게 된다.

반면에 코어리스 모델의 경우 슬롯 내부의 투자율이 비교적 동일하게 분포되어 있으므로 자기저항 차이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고속기용 코어리스 모델은 코어 모델과 비교하여 코깅 토크와 토크 리플 개선에 유리할 것이다. 그림 7은 개선된 코어 모델과 코어리스 모델의 FEM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그림 5. 코어리스 모델의 단면도

Fig. 5. Figure of the coreless model

../../Resources/kiee/KIEEP.2022.71.3.149/fig5.png

그림 6. 자속 밀도 포화도 (a) 개선된 코어 모델 (b) 코어리스 모델

Fig. 6. Flux density saturation (a) improved core model (b) Coreless model

../../Resources/kiee/KIEEP.2022.71.3.149/fig6.png

그림 7. 모델별 FEM 분석 결과 (a) 무부하 시 코깅 토크 파형 (b) 부하 시 토크 리플 파형

Fig. 7. FEM analysis results of models (a) Cogging torque waveform at no load (b) Torque ripple waveform at load

../../Resources/kiee/KIEEP.2022.71.3.149/fig7.png

표 3 코어리스 모델 제원

Table 3 Specifications of the coreless model

Category

Unit

코어 모델

Pole/Slot

-

2/12

Max Torque

Nm

1.8

Max Speed

kr/min

100

DC Link Voltage

V

400

Stacking Length

mm

68.7

Stator Diameter

mm

140

Rotor Diameter

mm

25.5

표 4 코깅 토크 및 토크 리플 분석표

Table 4 Analysis results of Torque ripple

Category

Unit

코어 모델

코어리스 모델

공극 토크

Nm

1.85

1.80

코깅 토크 율

%

1.35

0.016

토크 리플 율

%

5.67

0.38

코깅 토크 율은 무부하 시 공극 토크에 대한 토크의 최대값과 최소값 차이의 비율을 나타낸 것이고 토크 리플 율은 부하 시 공극 토크에 대한 토크의 최대값과 최소값 차이의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 7표 4를 통해서 알 수 있듯이 코어리스 모델과 비교할 경우 치를 통한 공극 자속 밀도가 감소하였기에 공극 토크는 코어 모델에 비하여 약 2.7% 감소하였으나, 코깅 토크와 토크 리플은 각각 약 87.93%, 93.30% 개선되었다.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고속기용 구동모터를 설계 시에 소음 개선을 위해 코어리스 모델이 적합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4. 손실 특성 개선

4.1 와전류 손실

회전자의 영구자석 비산 방지를 위해 사용된 Sleeve는 전도성 물질이기 때문에 전기자 전류에 의한 전기자 자속과 주파수가 높을수록 높은 와전류 손실이 발생 된다[2].

(5)

$P_{e}=\int\rho(\dfrac{x}{\rho}\bullet\dfrac{d B}{dt})^{2}hldx$

$=\dfrac{c^{3}hl}{12\rho}(\dfrac{d B}{dt})^{2}$

(5)은 회전자와 Sleeve에서 발생하는 와전류 손실$P_{e}$의 수식이다. $\rho$는 도체의 고유저항, $c$는 도체의 적층 방향 길이, $h$는 도체의 높이, $l$은 도체의 길이를 의미한다. 식 (5)를 통하여 회전자의 영구자석과 Sleeve에서 발생하는 와전류 손실은 도체의 부피와 시간에 따른 자속 밀도의 변화분에 비례함을 알 수 있다. 코어 모델과 코어리스 모델 모두 전도성이 높은 Nd 계열의 영구자석과 Sleeve가 존재하기 때문에 고속 구동 시 주파수에 의한 와전류 손실이 크게 발생할 수 있다[1]. 이러한 이유로 구동 속도가 높은 모터는 와전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자속 밀도 변화량$(d B/dt)^{2}$을 최소화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4.2 와전류 손실 비교 분석

그림 8은 모델별 회전자 자속 밀도 포화도를 나타낸 그림이고 그림 9는 모델별 시간 변화에 따른 자속 밀도 변화를 나타낸 그림이다. 표 5그림 8에서 나타낸 최대 및 최소 자속 밀도 지점의 자속 밀도 값을 표로 나타낸 것이다. 표 5그림 8과 보면 알 수 있듯이 코어리스 모델이 개선된 코어 모델 대비 회전자에 자속 밀도 분포가 균일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그림 9를 통해 시간 변화에 따른 공극 자속 밀도 파형 변화도 코어리스 모델이 개선된 코어 모델 대비 균일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식 (5)에 근거하여 코어리스 모델이 코어 모델보다 시간 변화에 따른 자속 밀도 변화량 제곱$(d B/dt)^{2}$ 값이 낮음을 확인가능하다. 그림 10은 개선된 코어 모델과 코어리스 모델의 구동속대에 따른 와전류 손실을 나타내며, 이를 통해 코어리스 구조를 적용할 경우 Sleeve와 영구자석의 와전류를 크게 저감 될 수 있음을 FEM 결과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그림 8. 회전자 자속 밀도 포화도 (a) 개선된 코어 모델 (b) 코어리스 모델

Fig. 8. Magnetic flux density saturation for rotor (a) improved core model (b) coreless model

../../Resources/kiee/KIEEP.2022.71.3.149/fig8.png

그림 9. 시간 변화에 따른 공극 자속 밀도 분포 그래프 (a) 개선된 코어 모델 (b) 코어리스 모델

Fig. 9. Air flux density distribution graph according to time change (a) improved core model (b) coreless model

../../Resources/kiee/KIEEP.2022.71.3.149/fig9.png

그림 10. 구동속도별 와전류 손실 비교 그래프

Fig. 10. Eddy current loss comparison graph by operating speed

../../Resources/kiee/KIEEP.2022.71.3.149/fig10.png

표 5 코깅 토크 및 토크 리플 분석표

Table 5 Analysis results of Torque ripple

Category

Unit

개선된 코어 모델

코어리스 모델

a

T

0.031

0.27

b

T

0.88

0.46

4.3 철손

철손은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공극 자기저항에 의해서 발생하는 손실로 모터의 히스테리시스 손실과 와전류 손실로 이루어진다. 철손 $P_{c}$는 히스테리시스 손실 $P_{h}$와 와전류 손실 $P_{e}$로 이루어지고 식(6)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k_{h}$는 히스테리시스 손실 계수, $k_{e}$은 와전류 손실 계수, $f$는 인가전류에 의한 주파수, $B$은 자속 밀도이다. 히스테리시스 손실 식에서 $n$은 스타인메츠 지수로 보통 1.5~2.5의 값을 가진다[4].

(6)
$P_{c}=P_{h}+P_{e}=k_{h}f B^{n}+k_{e}f^{2}B^{2}$

모터의 히스테리시스 손실은 주파수에 비례하고 와전류 손실은 주파수 제곱에 비례한다. 따라서 히스테리시스 손실과 와전류 손실로 이루어진 철손은 모터가 고속 운전으로 하여 주파수가 증가할수록 같이 증가하는 특성을 가진다[2], [4]. 따라서 증가하는 주파수에 의해 높아지는 철손을 저감시키기 위해선 공극 자속 밀도 분포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손실 저감이 중요하다. 하지만 코어 모델의 경우 치에 자속이 집중되기에 높은 자속 밀도로 철손이 크게 발생하게 된다.

4.4 철손 비교 분석

그림 11은 코어 모델과 코어리스 모델의 초고속 운전 영역에서의 철손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철손은 히스테리시스 손실과 와전류 손실로 구성되어 있고 주파수와 자속 밀도에 비례하는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자속이 집중되어 높은 자속 밀도를 가지는 치 구조를 가진 코어 모델의 경우 높은 철손이 발생될 수밖에 없으나, 코어리스 모델의 경우 대부분의 철손이 발생되는 치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철손 개선에 유리함을 그림 11을 통해서 확인 할 수 있다. 표 6을 통하여 코어리스 모델은 개선된 코어 모델보다 와전류 손실과 철손은 각각 약 99.5%, 약 88.43% 개선되었으나 동손의 경우 113% 정도 증가되었다. 하지만 전기적인 손실을 모두 합하였을 때 철손이 크게 저감된 코어리스 모델의 효율이 2.71% 개선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표 6을 통해 초고속 운전속도를 가지는 모터를 설계할 경우 코어리스 구조 적용을 통하여 효율 개선을 기대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1. 구동속도별 철손 비교 그래프

Fig. 11. Core loss comparison graph for each model

../../Resources/kiee/KIEEP.2022.71.3.149/fig11.png

표 6 최대 구동속도에서의 손실 및 효율 비교

Table 6 Comparison of losses and efficiency at maximum operating speed

Category

Unit

개선된 코어 모델

코어리스 모델

와전류손실

W

56.2

0.28

철손

W

652.99

75.58

동손

W

128.71

274.15

효율

%

95.58

98.17

5. 운전 속도별 효율 맵 비교

5.1 중저속 및 고속 운전 영역 효율 비교

그림 12의 (a)는 개선된 코어 모델의 운전 영역별 효율 맵이고 (b)는 코어리스 모델의 운전 영역별 효율 맵이다. 그림 12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중저속 운전영역에서는 상대적으로 동손이 낮은 코어 모델의 운전 효율이 좋지만 고속 운전영역으로 갈수록 기계 손실이 증가될 것을 고려하면 철손과 와전류 손실이 크게 증가되지 않는 코어리스 모델의 운전 효율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표 7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중저속 영역인 10,000[r/min]에서는 코어 모델의 운전 효율이 높지만 주 운전 영역인 50,000[r/min]부터 100,000[r/min]에서는 코어리스 모델의 운전효율이 크게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2. 운전 특성에 따른 효율 분포 (a) 개선된 코어 모델 (b) 코어리스 모델

Fig. 12. Efficiency distribution according to load (a) Improved core model (b) Coreless model

../../Resources/kiee/KIEEP.2022.71.3.149/fig12.png

표 7 운전 속도별 효율 비교

Table 7 Efficiency Comparison by driving speed

Category

Unit

코어 모델

코어리스 모델

10,000 r/min

%

92.19

87.10

50,000 r/min

%

96.12

96.89

75,000 r/min

%

95.95

97.77

100,000 r/min

%

95.58

98.17

6. 결 론

본 논문에서는 고속기 모터의 소음 및 진동 특성 개선과 손실 저감을 통한 효율 개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코어 모델의 토크 리플과 코깅 토크 발생 원인과 경향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 1.2[mm]의 슬롯 개구폭을 가질 때 소음 및 진동 특성이 가장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기본 코어 모델에서 슬롯 개구폭을 1.2[mm]로 바꾼 모델을 개선 모델로 선정하고 코깅 토크와 토크 리플을 개선하고자 코어리스 모델을 설계하여 비교 분석을 진행하였다. 결과적으로 코어리스 모델은 고정자 치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 특성과 손실 특성을 개선할 수 있어 코어 모델에 비해 코깅 토크와 토크 리플을 크게 저감할 수 있었다. 또한 와전류 손실과 철손이 크게 저감되어 주 운전 영역인 50,000~100,000[r/min]의 효율이 크게 개선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고속기와 같은 특수기를 설계 시에는 코어리스 구조를 적용할 경우 소음과 운전 효율 향상에 효과적임을 검증하였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2022년도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에 의하여 이루어 진 연구로서, 관계부처에 감사드립니다. (No. 2020R1F1A1075920)

References

1 
H. -W. Jun, J. Lee, H. -W. Lee, W. -H. Kim, March 2015, Study on the Optimal Rotor Retaining Sleeve Structure for the Reduction of Eddy-Current Loss in High-Speed SPMSM, in IEEE Transactions on Magnetics, Vol. 51, No. 3, pp. 1-4DOI
2 
S. -W. Song, I. -J. Yang, S. -H. Lee, D. -H. Kim, K. S. Kim, W. -H. Kim, Feb. 2021, A Study on New High-Speed Motor That Has Stator Decreased in Weight and Coreloss, in IEEE Transactions on Magnetics, Vol. 57, No. 2, pp. 1-5DOI
3 
Duanek Hanselman, 2012, Brushless Motors: Magnetic Design, Performance, and Control of Brushless Dc and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s.Google Search
4 
C. Kim, M. Koo, J. Kim, J. Ahn, K. Hong, J. Choi, April 2018, Core Loss Analysis of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Generator With Slotless Stator, in IEEE Transactions on Applied Superconductivity, Vol. 28, No. 3, pp. 1-4DOI

저자소개

김현준(Hyun-Joon Kim)
../../Resources/kiee/KIEEP.2022.71.3.149/au1.png

2022년 계명대학교 전기에너지공학과 졸업

2022~현재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전자전기공학과 석사과정

E-mail: ecsl.kimhyunjoon@gmail.com

문주형(Ju-Hyeong Moon)
../../Resources/kiee/KIEEP.2022.71.3.149/au2.png

2020년 계명대학교 전기에너지공학과 졸업

2020~2022 동 대학원 전기전자융합시스템공학과 졸업(공학석사)

2022~현재 동 대학원 전자전기공학과 박사과정

E-mail: moonwngud12@gmail.com

강동우(Dong-Woo Kang)
../../Resources/kiee/KIEEP.2022.71.3.149/au3.png

2006년 한양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졸업

2011년 한양대학교 전기공학과 졸업(공학박사)

2007년 Siemens Automation&Drives 연구원

2011~2014년 삼성전자(주) 책임연구원

2014~현재 계명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부교수

E-mail: dwkang@gmail.com

김태형(Tae-Hyeong Kim)
../../Resources/kiee/KIEEP.2022.71.3.149/au4.png

1993년 한양대학교 전기공학과 학사

1995년 한양대학교 전기공학과 석사

2005년 한양대학교 전기공학과 박사

1995~2002년 LG전자 Research Engineer

2005년~현재 경상국립대학교 전기공학과 교수

E-mail: kthheoung@gn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