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혁
(Jae-Hyuk Kim)
1iD
박범도
(Beom-Do Park)
2iD
권용재
(Yong-Jae Kwon)
2iD
김태형
(Tae-Hyeong Kim)
3iD
강동우
(Dong-Woo Kang)
†iD
-
(Dept. of Daedong Movel System Corporation, Korea.)
-
(Dept. of Electronic and Electrical Engineering, Keimyung University, Korea.)
-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Korea.)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KIEE)
Key words
Multi-degree-of-freedom, Spherical motor, Induction motor, Permanent magnet, Vector control
1. 서 론
본 논문은 저자의 학위논문의 내용을 일부 사용했습니다[1]. 4차 산업혁명 기술의 발전으로 인공지능, 자율주행, 로봇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급속한 성장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중에서 자율주행, 로봇 분야는
기존 산업의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의 신기술을 적용, 전자상거래의 활성화로 물류, 농업, 국방 등 다양한 전문 서비스 로봇 시장을 발전시키고
있다.
이러한 전문 서비스 로봇은 전동기를 사용하여 주행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며 조향을 위해 추가적인 스티어링 기어와 전동기가 필요하다. 그러나 다자유도
방식의 구 형태의 스페리컬 전동기를 사용하게 되면 추가적인 부품 없이 고정자 쌍에서 발생하는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자가 구동과 기동전환이 가능하며 기존
전동기의 형태보다 조향의 자유도를 확대할 수 있어 로봇 산업 분야에서 트랙션용 전동기로 적합하다고 판단된다[2]. 이러한 다자유도를 가지는 트랙션용 스페리컬 전동기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단방향으로 회전 시 회전축을 고정할 수 없는 구조로 일정한 방향으로
주행 시 어려움이 존재하였다[3,4]. 따라서 이를 해결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조향 보조용 영구자석을 사용한 유도형 스페리컬 전동기에 대한 제어 기법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2. 유도형 스페리컬 전동기 구조
조향 보조용 영구자석을 장착한 유도형 스페리컬 전동기는 Fig. 1과 같이 360˚를 기준으로 8개의 고정자가 45˚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속이 스틸 코어로 되어있으며 그 바깥면을 알루미늄 쉘로 감싸진 구조로 되어있다.
조향 보조용 영구자석이 회전자의 축 방향 중심부에 180˚간격으로 부착되어 있으며 유도형 스페리컬 전동기가 한 쌍의 고정자 회전자계로 인해 회전할
시 90˚간격에 있는 다른 한 쌍의 고정자를 이용하여 조향 된 회전자 회전축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유도형 스페리컬 전동기는 고정자의 회전자계가
회전자에 유도되어 동작하는 유도 전동기의 회전 원리를 기반으로 구동이 되므로 이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유도 전동기의 수학적 모델링이 필요로 한다[5].
표 1 유도형 스페리컬 전동기 설계 제원
Table 1 Induction type spherical motor design specifications
Category
|
[Unit]
|
Value
|
고정자 직경 (외경/내경)
|
mm
|
220 / 150
|
회전자 직경(외경/내경)
|
mm
|
150 / 135
|
회전자 두께 (알루미늄/스틸)
|
mm
|
2.5 / 5
|
극 / 슬롯 수
|
-
|
3 / 12
|
DC Link Voltage
|
V
|
30
|
정격속도
|
rpm
|
500
|
정격토크
|
Nm
|
0.889
|
정격출력
|
W
|
46.5
|
그림 1. 영구자석을 사용한 유도형 스페리컬 전동기 구조
Fig. 1. Induction type spherical motor structure using permanent magnet
2.1 유도 전동기의 전압방정식
3상 유도 전동기의 전압방정식을 구하기에 앞서 본 논문에서 유도되는 전압방정식 및 시뮬레이션은 Radial 방향의 자속 벡터를 갖는 유도 전동기를
기반으로 작성되었다. 또한 철심의 투자율은 무한하지만, 자기포화 현상은 없으며 공극은 일정하고, 슬롯 효과 등의 비이상적인 현상은 없으며 고정자와
회전자의 권선비는 1:1이라는 조건을 가정한다. Fig. 2의 2극 3상 유도 전동기의 고정자 측으로 환산된 고정자와 회전자의 전압방정식은 식 (1), (2)와 같다.
여기서 $V_{abcs}$는 고정자 전압 벡터, $R_{s}$는 고정자 권선 저항, $I_{abcs}$는 회전자 전류 벡터, $p$는 $\dfrac{t}{dt}$의
시간 미분연산자, $\lambda_{abcs}$는 고정자 쇄교자속 벡터이다.
위 수식에서는 $V_{abcr}$는 회전자 전압 벡터, $R_{r}$는 회전자 회로의 고정자 환산 등가 저항이며 $I_{abcr}$는 회전자 전류
벡터, $\lambda_{abcr}$는 회전자 쇄교자속 벡터이다.
그림 2. 2극 / 3상 유도 전동기 모델
Fig. 2. 2-pole / 3-phase induction motor
2.2 유도 전동기의 d-q축 전압방정식 및 쇄교자속식
위에서 정의한 유도 전동기의 전압방정식은 고정자와 회전자의 상호 결합 성분으로 인해 시변계수를 가지는 비선형적인 미분방정식으로 최종적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시변계수는 비선형적인 특징으로 인해 해석이 매우 어려우며 이에 따라 제어성 또한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시변계수를 제거해주기 위해 d-q축
좌표변환을 통해 전압방정식 및 쇄교자속식을 정의 해주는 것이 필요하다[6]. 식(3), (4)는 2.1절에서의 수식을 임의의 $\omega$의 속도로 회전하고 있는 d-q축 동기 좌표계의 형태로 좌표 변환이 이루어진 전압방정식이며 식(5), (6)은 쇄교자속식이다.
$v_{ds}^{\omega}$, $v_{qs}^{\omega}$는 동기 좌표계에서의 고정자 d-q축 전압 벡터, $i_{ds}^{\omega}$,
$i_{qs}^{\omega}$는 동기 좌표계에서의 고정자 d-q축 전류 벡터, $\lambda_{ds}^{\omega}$, $\lambda_{qs}^{\omega}$는
동기좌표계 d-q축에서의 고정자 쇄교 자속이다.
위의 수식에서 $\lambda_{dr}^{\omega}$, $\lambda_{qr}^{\omega}$은 동기좌표계 d-q축에서의 회전자 쇄교자속이며
$L_{r}$은 회전자 권선들 간의 인덕턴스, $i_{dr}^{\omega}$, $i_{qr}^{\omega}$은
동기 좌표계에서의 회전자 d-q축 전류 벡터, $L_{m}$은 자화 인덕턴스이다. 또한 위의 전압방정식과 쇄교자속식을 이용하여 유도 전동기의 토크
식을 정리하면 수식(7)과 같다[7].
$T_{e}$는 유도 전동기의 토크, $P$는 유도 전동기의 극 수이다.
3. 다자유도 스페리컬 전동기의 벡터 제어
유도형 스페리컬 전동기의 정밀한 속도 및 토크 제어 성능과 빠른 가감속을 위해 순시 토크 제어가 필수적이다. 따라서d-q축으로 정의한 전압방정식과
쇄교자속식에서의 d-q축 전류로 토크 제어가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d축 성분의 전류를 자속 성분의 전류, q축 성분의 전류를 토크 성분의 전류로 명칭한다.
따라서 회전자의 자속 벡터를 d-q축 동기 좌표계 d축에 정렬하여 q축의 회전자 쇄교자속을 0으로 만든다. 이에 따라 d축 전류에 의해 d축 회전자
자속 벡터값을 일정하게 제어하여 동기좌표계 q축 고정자 전류를 이용하여 토크를 제어할 수 있다[8].
3.1 유도 전동기의 d-q축 전압방정식 및 쇄교자속식
유도형 스페리컬 전동기의 구동성 향상 및 토크 및 속도지령 추종을 위해 유도 전동기의 벡터 제어 기법 중 하나인 간접 벡터 제어를 적용하였다. 간접
벡터 제어는 고정자 회전자계와
회전자의 기계적 속도의 차이인 슬립의 각속도를 제어하여 간접적으로 자속 크기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토크 성분의 전류인 q축 전류를 제어하는 방법이다.
이를 위해 유도형 스페리컬 전동기의 회전자 속도 측정이 필요하다. Fig. 3은 유도형 스페리컬 전동기의 구동을 위한 간접 벡터 제어 블록도이며 이를 Matlab Simulink를 사용하여 모델링을 진행하였다. Table. 2와 같이 간접 벡터 제어 시뮬레이션을 위한 파라미터 및 제어 상수를 입력하였다. 유도 전동기의 회전 좌표계 d-q축 전압방정식 및 쇄교자속식을 통해
모델링 된 d-q축 동기 좌표계는 Fig. 4과 같다. 또한 Fig. 5와 같이 전동기의 토크 및 회전자의 기계적인 속도를 표현하고자 적분 수식을 이용해 유도형 스페리컬 전동기의 기계 방정식을 Simulink 블록도로
구현하였다. 회전자의 기계 방정식에서 회전자의 기계적인 각속도인 $\omega_{m}$은 회전자의 관성 모멘트, 부하토크, 전동기의 마찰 계수 수식에
의해 정의된다. Fig. 6에서는 유도형 스페리컬 전동기의 벡터 제어를 위해 회전자 자속각을 측정하는 블록도이다. 간접 벡터 제어 시 회전자의 기계 각속도 $\omega_{m}$는
광센서인 Optical 센서를 통해 측정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시뮬레이션에서 계산된 기계 각속도를 받는다고 가정하고 극 수를 고려하여 회전자의 전기
각속도 $\omega_{r m}$값을 입력받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슬립 각속도는 동기 좌표계 d-q축 고정자 전류 지령과 회전자 시정수의 관계로 계산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회전자 자속각을 계산할 수 있다.
그림 3. 유도형 스페리컬 전동기의 간접 벡터 제어 블록도
Fig. 3. Block diagram of indirect vector control of an induction spherical motor
그림 4. 간접 벡터 제어 Matlab Simulink 블록도
Fig. 4. Indirect Vector Control matlab Simulink Block Diagram
그림 5. 토크 및 기계 방정식 계산 모델
Fig. 5. Torque and mechanical equation calculation model
그림 6. 회전자 자속각 계산 모델
Fig. 6. Rotor flux angle calculation model
표 2 시뮬레이션 파라미터 및 제어 상수
Table 2 Simulation parameters and control constants
Category
|
[Unit]
|
Value
|
Simlation Parameter
|
stop_time(정지 시간)
|
sec
|
1
|
step_size(스탭 시간)
|
sec
|
0.01
|
Inverter Parameter
|
f_sampling_pwm (PWM 샘플링 주파수)
|
Hz
|
20000
|
Vdc(DC링크 전압)
|
V
|
30
|
Motor Parameter
|
P(극 수)
|
-
|
6
|
P_rated(정격출력)
|
W
|
46.5
|
T_rated(정격토크)
|
Nm
|
0.89
|
Lamda_dre_rated (정격쇄교자속)
|
Wb
|
0.0388
|
Wrpm_rated(정격속도)
|
rpm
|
500
|
Rs(고정자 저항)
|
ohm
|
0.037645
|
Rr(고정자 환산 회전자 상저항)
|
ohm
|
0.0152
|
Lls(고정자 권선 누설 인덕턴스)
|
H
|
72u
|
Llr(회전자 권선 누설 인덕턴스)
|
H
|
72u
|
Lm(자화 인덕턴스)
|
H
|
441u
|
Jm(관성 모멘트)
|
kg·$m^{2}$
|
0.0034
|
3.2 비례적분 전류, 속도 제어기 모델링
유도형 스페리컬 전동기의 자속 성분 전류 및 토크 성분 전류를 출력하기 위해 비례적분 전류, 속도 제어기를 모델링 하였다. 동기 좌표계 d-q축 고정자
전류 비례적분 제어기 모델은 적분기 누적으로 인한 포화를 방지하기 위해 Anti-Wind up 기법이 적용되었으며 이를 통해 전류, 속도 제어기를
통해 전류 지령을 출력할 수 있었다.
시뮬레이션에 사용한 인버터 PWM 기법은 공간 변조 벡터 SVPWM(Space Vector Pulse Width Modulation)기법을 사용하였으며
이 기법은 Offset 전압을 이용한 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구현하며 고정자 상전압 지령에 임의의 Offset 전압을 더하여 고정자 극전압을 바꾸는
방법이다. 위의 PWM 기법을 사용하면 상전압 최대값을 $V_{dc}/\sqrt{3}$ 만큼 사용 가능하며 이는 구형파 제어 인버터와 비교해을 때
약 90.7[%]의 전압 이용률을 가진다. 따라서 다른 PWM 기법과 비교하였을 시 인버터 효율 및 성능이 뛰어나 다음과 같은 SVPWM 기법을 사용하였다.
3.3 간접 벡터 제어 시뮬레이션 결과
Fig. 7과 같이 유도형 스페리컬 전동기 간접 벡터 제어 시뮬레이션 모델을 통해 시뮬레이션 해석 결과 Fig. 8(a)에서 회전자 시정수 $T_{r}$에 5배가 되는 시간에 정격속도인 500[rpm]의 지령을 입력하였으며 이에 따라 속도는 지령값에 대해 약 0.2[sec]의
정상상태 도달 응답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b)에서는 토크가 0.876[Nm]로 정격속도 500 [rpm]에서의 토크값 0.89[Nm]와 약 1.6[%]의
오차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정격속도까지 정토크 제어가 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는 파라미터로 입력한 동기 좌표계에서의 쇄교자속값을 나타낸다.
또한 Fig. 9에서는 토크 성분 전류인 동기 좌표계 q축 고정자 전류가 지령값에 대해 추종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림 7. 간접 벡터 제어 시뮬레이션 모델
Fig. 7. Indirect vector control simulation model
그림 8. 유도형 스페리컬 전동기의 결과 파형
Fig. 8. Waveforms of an induction spherical motor
그림 9. 고정자 전류 지령의 피드백 파형
Fig. 9. Feedback waveform of stator current command
4. 결 론
조향 보조용 영구자석을 사용한 유도형 스페리컬 전동기의 간접 벡터 제어를 위해 유도 전동기의 수학적 모델링을 기반으로 Matlab Simulink을
이용하여 토크 및 기계 방정식, 비례적분 전류제어기, 속도제어기와 회전자 자속각 측정블록도, 인버터 SVPWM 기법 등을 구성하여, 이에 따라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해석을 통해 정격속도 500[rpm]까지 정토크 제어가 가능한 것을 확인 하였다. 또한 조향 보조용 영구자석을 사용한 유도형 스페리컬
전동기의 유한 요소 해석(FEA)을 통한 모델과 비교하였을 때 정격속도에서 토크가 약 1.6[%]의 오차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구동을 위한 유도형 스페리컬 전동기의 간접 벡터 제어 방식은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하지만 조향을 위한 고정자를 함께 사용하였을 때 회전자의 자속 벡터의
방향은 영구자석에 의해 Axial 방향의 자속벡터도 함께 발생되기 때문에 Radial 방향의 자속벡터만 고려한 시뮬레이션에 비하면 실제 측정 시에는
오차가 많이 발생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구동과 동시에 조향 시 제어 성능 분석이 필요하다. 구동 중 조향이 필요한 상황에서 영구자석의 강한 자력으로
인해 조향 시 필요한 전류가 매우 큰 값으로 발생할 것이다. 이로 인해 인버터의 고장이 발생할 수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시제품 모델 제작을
통해 실제로 Optical 센서를 사용한 유도형 스페리컬 전동기가 구동 시 제어 상수 변화와 속도 측정에 대한 정확도에 따른 구동 특성 확인이 필요하다.
Acknowledgements
이 성과는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 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o. 2020R1F1A1075920)
References
Jae-Hyuk Kim, “A Study on Indirect Vector Control of Spherical Motor for Traction
of Autonomous Driving Robot,”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2022.
Fernandes, J. F. P.; Branco, P. J. C. The Shell-Like Spherical Induction Motor for
Low-Speed Traction: Electromagnetic Design, Analysis, and Experimental Tests. 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Electronics, 63 (7), 4325-4335, 2016.
Bhatia, A.; Kumagai, M.; Hollis, R. Six-stator spherical induction motor for balancing
mobile robots.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obotics and Automation (ICRA), 226-231,
2015.
Kumagai, M.; Hollis, R. L., “Development and control of a three DOF spherical induction
motor,”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obotics and Automation, 1528-1533, 2013.
Park, J.; Kim, M.; Jang, H. G.; Jung, D. Y.; Park, J. M. “Design and control of a
permanent magnet spherical wheel motor,” ETRI Journal, 41 (6), 838-849, 2019.
S. H. Kim, “Electric Motor Control, DC, AC, and BLDC motors,” Elsevier Inc., 2017.
S. K. Sul, “Control of Electric Machine Drive Systems,” Wiley Inc, 2011.
Krause, P. C.; et al. “Analysis of Electric Machinery and Drive System,” 2nd ed.;
Wiley-Interscience: New York, 2002.
저자소개
2019년 계명대학교 전기에너지공학과 졸업
2022년 계명대학교 대학원 전자전기융합시스템공학과 졸업
2022~현재 대동모벨시스템(주) 연구원
E-mail : jh000714@naver.com
2022년 계명대학교 전기에너지공학과 졸업
2022~현재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전자전기공학부 석사과정
E-mail : pbd09044@gmail.com
2022년 계명대학교 전기에너지공학과 졸업
2022~현재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전자전기공학부 석사과정
E-mail : kwonyongjae0528@gmail.com
1993년 한양대학교 전기공학과 학사
1995년 한양대학교 전기공학과 석사
2005년 한양대학교 전기공학과 박사
1995~2002년 LG전자 Research Engineer
2005년~현재 경상국립대학교 전기공학과 교수
E-mail: kthheoung@gnu.ac.kr
2006년 한양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졸업
2011년 한양대학교 전기공학과 졸업(공학박사)
2007년 Siemens Automation&Drives 연구원
2011~2014년 삼성전자(주) 책임연구원
2014~현재 계명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부교수
E-mail: dwkang@km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