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SO Journal TitleKorean J. Air-Cond. Refrig. Eng.
  • Open Access, Monthly
Open Access Monthly
  • ISSN : 1229-6422 (Print)
  • ISSN : 2465-7611 (Online)

  1. ㈜아이비티 전무 (Head Director of Division, International Battery Technology Co., Ltd., 15609, Ansan, Korea)
  2. ㈜아이비티 부장 (Director, International Battery Technology Co., Ltd., 15609, Ansan, Korea)
  3. 금오공과대학교 기계시스템공학과 조교수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Mechanical System Engineering,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Gumi, 39177, Korea)



전자기기 냉각(Cooling display), 베이퍼 챔버(Vapor chamber), 열전도도(Thermal conductivity)

기호설명

R:열저항 [K/m2]
A:열전달 면적 [m2]
T:온도 [℃]
L:열전달 길이 [m]
Q:열전달률 [W]
k:열전도도 [W/m·K]

1. 서론

현재 대부분의 디스플레이가 큰 화면과 얇은 두께를 목표로 개발되고 생산된다. 그에 따라 좁은 곳에서 열 방출량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전자장비 냉각방식은 heat sink를 사용하여 열전달 면적을 넓히고 펜을 사용하여 강제대류 방식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방법들은 큰 화면의 얇은 디스플레이에는 적용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팬이 없고 매우 얇은 heat sink가 사용되어야 한다. 진공을 유지하고, 내부에 wick 구조물과 모세관 현상을 이용한 vapor chamber는 이러한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도록 개발되었다.(1) Vapor chamber는 hot spot으로부터 넓은 응축부로 열을 빠르게 퍼지게 해준다. 또한 높은 열전도도를 가지고 있어서 적은 온도차에서도 열전달을 가능하게 해주어 디스플레이의 작동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다.(2) Heat pipe는 1차원으로 열을 전달해주는 반면 vapor chamber는 2차원으로 열을 전달해 방열 성능이 더 우수하다.

Patankar et al.(1)은 매우 얇은 vapor chamber를 설계하여 응축부에서 균일한 온도를 얻어냈다. 또한, vapor chamber에서 3차원 수치해석을 통하여 wick의 설계를 평가하였다. Tsai et al.(2)은 vapor chamber 시제품을 제작하여 5개의 다른 방향으로 설치 후 각각의 열 성능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열원의 배치와 중력의 영향이 vapor chamber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 하였다. Mizuta et al.(3)은 평판형태의 vapor chamber를 개발하였다. 그들은 vapor hamber의 열저항을 측정하고 다른 다양한 형태의 vapor chamber의 저항과 비교하였다. Chang et al.(4)은 channel 높이 0.5 mm를 가진 loop type vapor chamber의 열성능을 실험하였다. Vapor chamber 내부에서 액체와 기체의 순환, 열전달 성질과 열저항을 밝혀내었다. 또한, 국부 열전도도를 이용하여 등가 열전도도를 구하고 그 값을 구리와 비교 하였다. Wong et al.(5)은 새로운 형태의 vapor chmaber를 제안하고 성능을 평가하였다. 그들은 vapor chamber 내부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wick 구조물 대신 내부 표면에 평행한 홈들을 만들었다. 다른 형태의 홈에 대한 열저항을 측정하여 열전달 성능을 평가하였다. Yong et al.(6)은 두 가지 형태의 wick 구조물을 설계하고 만들었다. 그리고 작동유체의 용량, 구리 분말의 크기, 가열부 면적 등을 변화시켜 가면서 열전달 성능을 알아보았다.

이와 같이 vapor chamber는 최근 들어 방열 목적으로 많은 관심을 끌고 활발히 연구가 진행 중이다. 기존 연구에서 가열부의 가열량 변화에 따른 vapor chamber 내의 온도 변화를 측정하고 열저항을 구하여 vapor chamber의 열성능을 알아보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도 다양한 가열량에 따른 온도 분포를 측정하였다. 반면에 열저항 대신 vapor chamber의 국부 및 등가 열전도도를 구함으로써 직관적으로 다른 물질의 열전도도와 비교할 수 있는 자료를 마련하였다. 또한 본 논문은 vapor chamber를 구성하고 있는 stainless steel을 통한 열전달을 고려하지 않고 작동유체만의 열전도도를 구하여 고성능 vapor chamber 설계에 도움이 될 것이다.

2. 실 험

실험에 사용된 stainless steel vapor chamber의 개략도가 Fig. 1(a)에 나타내었다. Vapor chamber의 아래쪽 100 mm에는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유체를 순환시키기 위한 wick 구조가 stainless steel로부터 가운데 쪽으로 설치되어 있고 가운데 부분은 비어있고 나머지 위쪽 부분은 엠보싱 형태를 만들어 주어 유체가 이동 할 수 있게 하였다. Fig. 1(b)는 실험을 위하여 vapor chamber에 부착되어진 가열부와 냉각부의 개략도이다. Vapor chamber의 형상은 두께 1.5 mm, 높이 397 mm, 너비 740 mm이다. 제작에 사용된 stainless steel의 두께는 0.3 mm 이다. 실제 LED 디스플레이 냉각 시 vapor chamber의 설치 방향과 같게 수직으로 세워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냉각부와 가열부를 제외한 다른 곳으로의 열 손실을 막기 위하여 vapor chamber 주변을 20 mm의 유리섬유를 사용하여 단열을 하였다.

Fig. 1. (a) Schematic diagram of vapor chamber (b) geometry of vapor chamber.
../../Resources/sarek/KJACR.2018.30.12.570/fig1.png

본 연구에서는 가열부에 가해지는 가열량에 따라 vapor chamber의 온도분포를 측정하기 위하여 Fig.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험 장치를 구성하였다. 실험은 상온 25℃로 유지되는 항온항습실에서 실시하였다. 가열부는 power supply를 이용하여 가열량을 조절하였다. 냉각부는 항온수조로 사용하여 냉각수를 순환시켰다. Vapor chamber와 냉각부, 가열부가 접하는 부분의 길이는 28 mm이다. K-type 열전대를 이용하여 vapor chamber 외벽의 온도를 측정하였다. Fig. 2(a)에 열전대를 이용한 온도측정 위치를 나타내었다.

Fig. 2. (a)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setup (b) location of temperature measurement.
../../Resources/sarek/KJACR.2018.30.12.570/fig2.png

서로 다른 가열량 조건하에서 가열이 시작된 후 약 60분 정도 후에 정상상태가 되는 것을 확인하고, 이후 10분 정도의 시간동안에 측정되어진 온도의 평균값을 구하였다. 또한 가로방향 측정 위치 3군데의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가열량은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W를 사용하였다. Fig. 3에 vapor chamber 새로 방향을 기준으로 측정 위치에 따른 온도 변화를 나타내었다.

Fig. 3. Temperature distribution of vapor chamber for different heat transfer rates.
../../Resources/sarek/KJACR.2018.30.12.570/fig3.png

3. 1차원 열저항 해석

Vapor chamber의 국부 열전도도를 구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1차원 열저항 식을 사용하였다.

(1)
R = L k A = T 1 - T 2 Q

R은 열저항, T1과 T2는 인접한 곳의 온도, Q는 가열량, k는 열전도도, L은 온도 측정구간 사이의 거리, A는 열전달 면적이다. 위 식을 정리하여 아래와 같은 vapor chamber 국부 열전도도를 구하는 식을 얻어 낼 수 있다.

(2)
k S V C = Q L ( T 1 - T 2 ) A

Wick 구조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1-3), channel 부분(4-6), 전체 부분(1-6)의 등가 열전도도는 다음과 같이 각각 정의 된다.

(3)
k 1 - 3 = Q L 1 - 3 ( T 1 - T 3 ) A ,   k 4 - 6 = Q L 4 - 6 ( T 4 - T 6 ) A ,   k 1 - 6 = Q L 1 - 6 ( T 1 - T 6 ) A

Vapor chamber의 단열을 위하여 유리섬유를 사용하였으나 완전한 단열은 불가능하므로 유리섬유를 통하여 열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유리섬유를 통한 열손실은 아래의 식을 사용하여 구하였다.

(4)
Q l o s s = k g l a s s   f i b e r A T S V C - T L

실험에 사용된 유리섬유의 열전도도 kglass fiber = 0.03 W/m·K이다. TSVC는 vapor chamber 전체 영역에 대한 평균 온도이다. T∞는 항온항습실 온도인 25℃이다. 실제 가열량에서 유리섬유를 통한 열전달률을 제외한 값을 사용하여 열전도도를 구하였다.

4. 결과

4.1 전체 열전달 면적에 대한 열전도도

수직방향으로 열전달이 발생하는 전체 면적을 고려하였다. Stainless steel과 vapor chamber내의 wick과 channel을 통한 열전달을 모두 고려하여 국부 열전도도를 구하였다. Vapor chamber의 위치에 따른 국부 열전도도와 등가 열전도도를 Fig. 4에 나타내었다.

Fig. 4. (a) Local (b) equivalent thermal conductivity of vapor chamber.
../../Resources/sarek/KJACR.2018.30.12.570/fig4.png

Channel 부분인 측정 위치 4-5에서 국부 열전도도도가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상대적으로 긴 channel에서 거의 일정한 온도분포를 갖고 channel 영역에서는 증기에 의한 빠른 열전달이 발생함으로 낮은 국부 열전도도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응축부에서는 응축 현상에 의하여 낮은 국부 열전도도를 갖는다. Wick 구조가 있는 부분 1-3에서 작동 유체의 상변화에 의하여 등가 열전도도가 가장 높음을 알 수 있다. 전반적으로 봤을 때 가열량이 커질수록 열전도도가 높게 나오는 것은 다른 vapor chamber의 경우와 같음을 알 수 있다. 가열량 450 W에서는 유체가 dry out되므로 vapor chamber의 온도분포가 전반적으로 높아지고 냉각효과가 현저히 낮아짐을 알 수 있다.

4.2 작동유체에 대한 열전도도

Vapor chamber 내에서 작동유체에 의한 열전달 현상만 고려하기 위하여 wick과 channel 부분을 통한 열전도도와 stainless steel을 통한 열전도도를 각각 고려하였다. 수직방향으로 열전달이 발생할 때 작동 유체에 의한 열전달이 발생하는 wick과 channel 부분, 전도에 의한 열전달이 발생하는 stainless steel 부분이 병렬연결된 것으로 가정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stainless steel의 열전도도는 17·5 W/m․K이다. Wick과 channel 부분의 열전도도는 아래의 식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5)
k S V C = Q L ( T 1 - T 2 ) A S V C - k S T S A S T S A S V C

ASVC는 작동유체 이동 단면적, ASTS는 stainless steel의 단면적, kSTS는 stainless steel의 열전도도이다. Vapor chamber 내부 작동유체에 의한 열전달을 고려한 위치에 따른 국부 열전도도와 등가 열전도도를 Fig. 5에 나타내었다. 작동유체에 의한 열전달만 고려하여 열전도도를 구해본 결과 열전도도가 커진 것을 알 수 있다.

Fig. 5. (a) Local (b) equivalent thermal conductivity of vapor chamber for working fluid.
../../Resources/sarek/KJACR.2018.30.12.570/fig5.png

5. 결 론

Vapor chamber의 국부 열전도도와 등가 열전도도를 실험을 통하여 측정해보았다. 발열량이 높을수록 높은 열전도도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vapor chamber의 전체 등가 열전도도는 전체 열전달 면적을 고려하였을 때 발열량 400 W에서 약 5,300 W/m·K, 작동 유체의 열전달만 고려하였을 때 약 8,900 W/m·K정도임을 확인 하였다. 450 W 이상의 발열량이 주어질 경우 작동 유체가 dry out되면서 vapor chamber의 전반적인 온도가 올라가고 안 좋은 열 성능을 보였다. 작동 유체만의 열전달을 고려하여 stainless steel을 통한 열전도가 많다는 사실도 확인되었다. 더욱 얇은 stainless steel을 사용한다면 작동유체의 열전달을 고려할 때 열전도도가 8,000 W/m·K정도까지 올라갈 것으로 예측된다.

후 기

이 연구는 금오공과대학교 학술연구비에 의하여 지원된 논문입니다.

References

1 
Patankar G., Weibel J. A., Garimella S. V., 2016, Patterning the condenser-side wick in ultra-thin vapor chamber heat spreaders to improve skin temperature uniformity of mobile devices, International Journal of Heat and Mass Transfer, Vol. 101, pp. 927-936DOI
2 
Tsai M. C., Kang S. W., Paiva K. V., 2013, Experimental studies of thermal resistance in a vapor chamber heat spreader, Applied Thermal Engineering, Vol. 56, No. 1-2, pp. 38-44DOI
3 
Mizuta K., Fukunaga R., Fukuda K., Nii S., Asano T., 2016,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a flat laminate vapor chamber, Applied Thermal Engineering, Vol. 104, pp. 461-471DOI
4 
Chang S. W., Chiang K. F., Lee T. H., 2015, Thermal performance of thin loop-type vapor chamber, Experimental Thermal and Fluid Science, Vol. 61, pp. 130-143DOI
5 
Wong S. C., Hsieh K. C., Wu J. D., Han W. L., 2010, A novel vapor chamber and its performance, International Journal of Heat and Mass Transfer, Vol. 53, No. 11-12, pp. 2377-2384DOI
6 
Li Y., Li Z., Zhou W., Zeng Z., Yan Y., Li B., 2016,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vapor chambers with different wick structures at various parameters, Experimental Thermal and Fluid Science, Vol. 77, pp. 132-143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