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SO Journal TitleKorean J. Air-Cond. Refrig. Eng.
  • Open Access, Monthly
Open Access Monthly
  • ISSN : 1229-6422 (Print)
  • ISSN : 2465-7611 (Online)

  1. 부경대학교 대학원 냉동공조공학과 대학원생 (Student, Graduate School of Refrigeration and Air-conditioning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Korea)
  2. 부경대학교 대학원 냉동공조공학과 대학원생 (Student, Graduate School of Refrigeration and Air-conditioning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Korea)
  3. 부경대학교 냉동공조공학과 교수 (Professor, Department of Refrigeration and Air-conditioning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Korea)



가변속 냉동시스템(Variable speed refrigeration system), 외란관측기(Disturbance observer), Q-필터(Q-filter), 강인제어(Robust control), 외란 제거(Disturbance rejection), 잡음 축소(Noise reduction), $H_{\infty}$ 놈 최적화($H_{\infty}$ norm optimization)

기호설명

$d(s)$:외란
$\hat{d}(s)$:추정 외란
$F _{i}$:인버터 주파수 [Hz]
$G(s)$:전달함수
$\tilde{K}(s)$:가상 제어기
$\tilde{L}(s)$:가상 루프함수
$n(s)$:잡음
$P(s)$:실제 플랜트
$P _ {n} (s)$:공칭 플랜트
$\tilde{P}(s)$:가상 플랜트
$Q(s)$:Q-필터
$S _ {DOB} (s)$:감도함수
$T _ {DOB} (s)$:상보감도함수
$T _ {o}$:오일출구온도 [℃]
$T _ {s}$:과열도 [℃]
$u(s)$:플랜트 인가 조작량
$u _ {r} (s)$:제어기 출력 조작량
$V _{o}$:EEV 밸브 개도 조작량 [step]
$W(s)$:가중함수
$y(s)$:출력
$\gamma$:반복 대입 계수
$\Delta$:변동량

1.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부분 부하 대응 능력과 에너지 절약 성능이 뛰어나면서도 고정밀 온도제어가 가능한 가변속 냉동시스템 (Variable Speed Refrigeration System : VSRS)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1-14] VSRS는 주된 제어량인 목표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 가변속 압축기를 장착하여 냉매의 질량유량을 능동적으로 제어한다. 이때 냉매 질량유량의 급격한 과다 또는 과소로 인한 액백(liquid back) 현상이나 과열 증기 압축과 같은 부작용을 최소화 하고, COP (Coefficient Of Performance)가 최대인 운전점에서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해 전자팽창밸브(Electronic Expansion Valve : EEV)의 개도(opening angle)를 조절하여 과열도(superheat)도 동시에 제어한다. 따라서 VSRS의 제어계는 기본적으로 다 입․출력계(Multi-Input Multi-Output : MIMO)로 구성된다.[7-11]

VSRS의 제어를 위해 다수의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1-14] 기존의 연구들을 제어기 설계 관점에서 분류해 보면, 동특성 모델 기반 제어와 동특성 모델에 의존하지 않는 AI 수법을 적용한 제어로 크게 나뉜다. 전자인 모델 기반 제어로는 PID(Proportional-Integral-Derivative)와[1-5] 최적제어(LQR, LQG)를[9-11] 들 수 있고 후자인 AI 수법으로는 퍼지제어가 대표적이다.[12-14] 퍼지제어는 냉동사이클 고유의 비선형성으로 인해 실용적인 선형 동특성 모델 획득이 어려운 VSRS의 제어기를 전문가의 경험칙을 적용해 설계할 수 있는 큰 장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이 제어법은 정밀한 제어일수록 If-then 규칙에 의한 조건 분기가 많아지므로 제어 로직이 방대하고 복잡해져 설계와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의 실행, 유지 보수가 모두 어렵게 된다. 특히 이 제어법은 제어량과 조작량에만 주목할 뿐, 시스템의 동특성 해석을 위한 어떤 유용한 정보도 제공하지 않는다. 이런 관점에서 최적제어는 다변수의 취급이 용이하고, 제어 정도(control accuracy)와 입력 에너지에 대한 합리적 절충을 통해 최적제어 성능을 보장할 수 있는 제어법으로 널리 주목받고 있다. 다만, 제어기 설계를 위해 필요한 선형 상태공간 모델의 획득 자체가 매우 어렵고, 선형화 모델의 차원이 매우 커서 다수의 파라미터를 동정(identification) 해야 하며, 상태변수(state variable)의 관측기 설계에 따른 상태변수의 타당성 검증에도 어려움이 수반된다. 특히, 모델의 선형화 및 저차원화 과정에서 발생되는 모델의 불확실성에 대한 제어 성능의 확보, 즉 제어의 강인성(robustness) 확보가 용이하지 않다. 이에 비해 전달함수(transfer function) 모델에 기반한 PID 제어는 이해하기 쉽고, 설계, 실행, 유지 보수가 모두 쉬우면서도 그 효과가 검증되어 있다. 다만, PID 제어의 경우에도, 열유체 시스템을 전달함수 모델로 선형 근사화함에 따른 모델 불확실성(model uncertainty)이 수반되므로 이 모델에 기반한 PID 제어기는 모델링 오차와 외란(disturbance), 그리고 센서 등으로 유입되는 고조파 잡음 (noise)에 대해 제어계의 강인성 확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처럼 열유체 시스템인 VSRS의 제어는 제어의 강인성 확보가 중요한 문제임에도 외란관측기 적용을 검토한 연구 사례는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PID 제어의 장점은 살리되 단점은 보완하는 방향으로 초점을 맞추어 모델 불확실성, 외란과 잡음에 강인한 외란관측기를 설계하고, 이를 이용한 VSRS의 PI 온도제어 설계법을 제안 한다. 제안된 설계법에서는 외란관측기의 핵심 요소인 Q-필터가 저주파수 영역에서는 외란의 영향을 차단하기 위하여 주파수 놈(norm)을 1에 가깝게, 고주파수 영역에서는 잡음 축소를 위해 놈을 0에 가깝도록 적절한 차단주파수를 설계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고주파와 저주파 영역에서 최적의 루프 정형(loop shaping)을 확보하기 위해 $H_{\infty}$(H-infinity) 놈을 이용한 설계법을 적용한다. 설계된 외란관측기는 VSRS인 오일쿨러 시스템을 대상으로 Matlab 기반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통해 외란 제거 및 잡음 축소에 대한 타당성이 검증된다. 또한 모델의 불확실성에 대한 제어 성능의 강인성도 검토된다. 마지막으로 외란관측기를 갖지 않는 PI 제어 시스템과의 제어 성능 비교를 통해 제안한 방식의 유효성을 검증한다.

2. $H_{\infty}$ 최적화 기반의 외란관측기 설계

Fig. 1은 외란 추정을 위한 외란관측기(disturbance observer : DOB)가 적용된 시스템의 블록선도를 나타 내며,[15,16] 점선 내부가 DOB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플랜트에 인가되는 외란 $d(s)$에 대한 출력 $y(s)$를 나타내는 전달함수를 $D_{d} (s)$, 잡음 $n(s)$에 대한 출력 $y(s)$를 나타내는 전달함수를 $G_{n} (s)$로 하여 이들을 구하면 각각 식 (1), 식 (2)와 같다.

Fig. 1. The structure of disturbance observer.
../../Resources/sarek/KJACR.2019.31.5.193/fig1.png

(1)
$G_{d}(s)=\frac{y(s)}{d(s)}=\frac{P(s) P_{n}(s)\{1-Q(s)\}}{P_{n}(s)+\left\{P(s)-P_{n}(s)\right\} Q(s)}$

(2)
$G_{n}(s)=\frac{y(s)}{n(s)}=\frac{P(s) Q(s)}{P_{n}(s)+\left\{P(s)-P_{n}(s)\right\} Q(s)}$

식 (1)은 $Q(s) \approx 1$일 때 $G_{d} (s) \approx 0$이고, 식 (2)는 $Q(s) \approx 0$일 때 $G_{n} (s) \approx 0$이므로, 외란 제거와 잡음 축소를 동시에 만족시키기 위한 Q-필터의 조건은 상충(trade-off) 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다.

Fig. 1에서 공칭 모델 $P_{n} (s)$가 실제 모델 $P (s)$와 유사하여 $P_{n} (s) \approx P (s)$라 하면, 일반적으로 외란과 잡음에 대한 민감도를 나타내는 감도함수 $S_{DOB}$와 상보감도함수 $T_{DOB}$는 식 (3), 식 (4)와 같이 각각 나타낼 수 있다.

(3)
$S_{D O B}(s)=\frac{P_{n}(s)\{1-Q(s)\}}{P_{n}(s)+\left\{P(s)-P_{n}(s)\right\} Q(s)}=1-Q(s)$

(4)
$T_{D O B}(s)=\frac{P(s) Q(s)}{P_{n}(s)+\left\{P(s)-P_{n}(s)\right\} Q(s)}=Q(s)$

이 두 식에서 $S_{D O B}(s)+T_{D O B}(s)=1$이므로 감도함수 및 상보감도함수를 동시에 최소화 하는 Q-필터의 설계가 어려움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외란은 저주파수 영역에서, 잡음은 고주파수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큰 에너지를 가지므로 $|Q(j \omega)|$를 저주파수 영역에서는 ‘1’, 고주파수 영역에서는 ‘0’에 가깝게 설계하면 이러한 상충 관계를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Q-필터의 설계는 주파수 영역별로 적절한 루프 정형이 필요하게 된다. 식 (3)식 (4)를 동시에 최소화 하는 문제는 식 (5)와 같은 $H_{\infty}$ 놈의 최적화를 통한 루프 정형 문제로 정식화 할 수 있다.[17,18]

(5)
$\max \gamma, \quad \min \| \left[ \begin{array}{c}{\gamma W_{C}(s)\{1-Q(s)\}} \\ {W_{Q}(s) Q(s)}\end{array}\right]\left\|_{\infty} < 1\right.$

식 (5)에서 $W _{C} (s)$와 $W _{Q} (s)$는 감도함수와 상보감도함수의 가중함수(weighting function)이고, $\gamma$는 유계인 임의의 값으로서 $\gamma_{\mathrm{max}}$를 구하기 위해 반복적($\gamma$-iteration)으로 대입된다.

일반적인 $H_{\infty}$ 놈의 최적화 문제는 Fig. 2와 같은 외란관측기를 갖지 않는 피드백제어 블록선도에서 외란 $d(s)$와 잡음 $n(s)$에 강인한 제어기 $K(s)$를 구하는 문제로 정식화 되어 있어, 식 (5)를 그대로 적용하기는 어렵다. 즉, 외란관측기를 갖지 않는 피드백제어 블록선도에서 감도함수와 상보감도함수는 각각 식 (6), 식 (7)과 같으며 이러한 감도함수들을 갖는 $H_{\infty}$ 놈의 최적화는 식 (8)과 같다. 따라서 일반적인 $H_{\infty}$ 최적화 문제로 Q-필터를 정식화 하여 설계하기 위해서는 식 (5)식 (8)의 형태로 변형시켜 줄 필요가 있다.

Fig. 2. Typical feedback control block diagram with disturbance and noise.
../../Resources/sarek/KJACR.2019.31.5.193/fig2.png

(6)
$S(s)=\frac{1}{1+P(s) K(s)}$

(7)
$T(s)=\frac{P(s) K(s)}{1+P(s) K(s)}$

(8)
$\max \gamma, \quad \min \| \left[ \begin{array}{c}{\gamma W_{C}(s)\{1+P(s) K(s)\}^{-1}} \\ {W_{Q}(s) P(s) K(s)\{1+P(s) K(s)\}^{-1}}\end{array}\right]\left\|_{\infty} < 1\right.$

이를 위해 우선 식 (9)와 같이 정의되는 가상의 루프함수 $\tilde{L}(s)$를 사용하면, 식 (5)식 (10)과 같이 유도된다.

(9)
$\widetilde{L}(s)=Q(s)\{1-Q(s)\}^{-1}$

(10)
$\max \gamma, \quad \min \| \left[ \begin{array}{c}{\gamma W_{C}(s)\{1+\widetilde{L}(s)\}^{-1}} \\ {W_{Q}(s) \widetilde{L}(s)\{1+\widetilde{L}(s)\}^{-1}}\end{array}\right]\left\|_{\infty} < 1\right.$

여기서 가상의 루프함수 $\tilde{L}(s)$를 가상의 플랜트와 가상의 제어기로 식 (11)과 같이 재 정의한다.

(11)
$\widetilde{L}(s)=\widetilde{P}(s) \widetilde{K}(s)$

이때 가상 플랜트 $\tilde{P}(s)$는 다음의 세 가지 조건을 만족한다고 가정한다. 즉, ① $\tilde{P}(s)$는 불안정 극점을 갖지 않는다. ② $\tilde{P}(s)$는 영점을 갖지 않는다. ③ $\tilde{P}(s)$의 상대차수는 $P(s)$의 상대차수와 같다.

식 (10)식 (11)을 이용하면 최종적으로 식 (12)와 같이 일반적인 $H_{\infty}$ 놈 문제로 정리된다.

(12)
$\max \gamma, \quad \min \| \left[ \begin{array}{c}{\gamma W_{C}(s)\{1+\widetilde{P}(s) \widetilde{K}(s)\}^{-1}} \\ {W_{Q}(s) \widetilde{P}(s) \widetilde{K}(s)\{1+\widetilde{P}(s) \widetilde{K}(s)\}^{-1}}\end{array}\right]\left\|_{\infty} < 1\right.$

식 (12)는 일반적인 $H_{\infty}$ 놈 문제를 통해 제어기 $K(s)$를 구하는 식 (8)의 형태로 정식화 되었다. 따라서 설계하고자 하는 $Q(s)$는 식 (12)의 가중함수 $W(s)$와 가상의 플랜트 $\tilde{P}(s)$를 선정한 후, Matlab 프로그램을 이용한 $\gamma$-iteration을 통해 $\tilde{K}(s)$를 구한다. 도출된 $\tilde{K}(s)$를 이용해 식 (11)로부터 $\tilde{L}(s)$를 구하고, 이를 식 (9)에 대입시켜 최종적으로 $Q(s)$를 얻는다.

3. VSRS의 전달함수 모델과 외란관측기 설계

3.1 VSRS의 전달함수 모델링

Fig. 3은 가변속 냉동사이클을 갖는 오일쿨러 시스템이다. Fig. 3(a)는 공작기계용 오일쿨러 시스템의 개념도, Fig. 3(b)는 실험을 위한 실제 오일쿨러 장치 사진이다. 오일쿨러에는 가변속 압축기 및 EEV를 포함하는 증기압축 냉동사이클이 적용되었다.

Fig. 3. Experimental system for VSRS control.
../../Resources/sarek/KJACR.2019.31.5.193/fig3.png

이 가변속 냉동시스템의 주된 제어량은 오일출구온도 $T_{o}$이며 증발기의 과열도 $T_{s}$도 부수적으로 제어한다. 오일출구온도는 인버터의 주파수를 조절, 압축기의 회전속도를 가변시켜 냉매의 질량유량을 조절함으로써 일정 온도로 제어한다. 과열도는 전용의 EEV 드라이브에 의해 EEV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제어된다. 공작기계를 대신한 열부하로는 전기히터를 사용하였다. Table 1은 실험장치의 주요 구성 요소의 사양을 나타낸다.

Table 1. Specifications of a test unit

Component

Note

Compressor

Rotary type, 30~90[Hz], 0.86[kW]

EEV

0~2,000[step], 12[V]

Condenser

Air-cooled fin and tube type, 5.24[kW]

Evaporator

Bare tube coil type

Refrigerant

R-22, 0.9[kg](max)

Inverter

4.5[kVA], 3 phase, PWM

EEV drive

4[W], 24[V]dc, Bipolar type

Heater

4.5[kW](max)

Fig. 4는 VSRS인 오일쿨러의 전달함수를 구하기 위해 동작점 근방에서 조작량인 인버터 주파수 $F_{i}$와 EEV 스텝 지령 $V_{o}$를 스텝상으로 변동시킨 경우의 오일출구온도 및 과열도의 응답이다. 그림에서 점선은 인가된 조작량의 변화를 나타내고, 실선은 이 조작량의 스텝 변동에 따른 오일출구온도와 과열도 응답을 각각 나타낸다. Fig. 4(a)는 압축기의 회전수 변화(점선 : 60 → 50 Hz)에 따른 오일출구온도 응답, Fig. 4(b)는 EEV 개도 변화(점선 : 800 → 600 step)에 따른 과열도 응답이다. 또한 Fig. 4(c)는 압축기의 회전수 변화에 대응하는 인버터 주파수 변화(점선 : 70 → 50 Hz)가 과열도에 미치는 간섭 영향을 각각 나타낸다.

Fig. 4. Step response according to change of $F_{i}$ and $V_{o}$.
../../Resources/sarek/KJACR.2019.31.5.193/fig4.png

식 (13)~식 (15)Fig. 4의 결과를 이용하여 동정한 VSRS인 오일쿨러의 전달함수 모델이다. 식 (13)은 압축기 회전수 가변을 위한 인버터 주파수 $F_{i}$의 입력에 따른 오일출구온도 $T_{o}$의 전달함수, 식 (14)는 EEV 드라이브의 스텝 지령 $V_{o}$에 대한 과열도 $T_{s}$의 응답을 나타내는 전달함수이다. 특히, 식 (15)는 제어량 사이의 간섭에 관한 전달함수로서 압축기 회전수 변화에 상응하는 인버터 주파수 $F_{i}$가 과열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EEV 드라이브의 스텝 변화에 따른 오일출구온도에 미치는 간섭 영향은 무시 가능한 크기여서 제외하였다.

(13)
$P_{c}(s)=\frac{\Delta T_{o}}{\Delta F_{i}}=\frac{-0.43}{1192 s+1}$

(14)
$P_{e}(s)=\frac{\Delta T_{s}}{\Delta V_{o}}=\frac{-0.0425}{39 s+1}$

(15)
$G_{i}(s)=\frac{\Delta T_{s}}{\Delta F_{i}}=\frac{-1.05}{951 s+1}$

식 (13)~식 (15)의 전달함수는 우선 Fig. 4의 스텝 응답 파형으로부터 1차계(first order system)인 $K /(\tau s+1)$로 가정하였다. 이득상수 $K$는 각 온도 응답의 변화량을 조작량의 변화량으로 나누어 구하였고, 시정수 $\tau$는 각 제어량(온도)이 최종값의 63.2%에 도달하는 시간으로부터 구하였으며 부동작 시간(dead time)은 무시하였다.

Fig. 5는 시뮬레이션을 위한 외란 모델을 얻기 위해, 열 부하 변동(점선 : 1.6 → 1.9 kW) 시의 오일출구온도(실선) $T_{o}$의 스텝 응답을 실험으로 구한 것이다. 이로부터 열부하의 전달함수 모델은 식 (16)과 같이 구해졌다.

Fig. 5. Step response for thermal load variation.
../../Resources/sarek/KJACR.2019.31.5.193/fig5.png

(16)
$G_{d}(s)=\frac{\Delta T_{o}}{\Delta T_{l}}=\frac{26.33}{1946 s+1}$

3.2 외란관측기 설계

Q-필터 설계는 가중함수를 선정한 후 식 (12)를 이용하여 구한다. 이때 가중함수는 아래의 두 가지 조건을 만족하도록 설계된다.

① $W_{Q}^{-1}(s)$의 상대차수는 $P(s)$의 상대차수와 같아야 한다.

② $W_{C}(s)$의 차수는 Q-필터의 분자 차수 $m$보다 큰 $m+1$과 같아야 한다.

또한 Q-필터의 차수는 경제성을 고려하여 분모가 2차, 분자가 1차인 $Q_{21}(s)$로 선정한다. 이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가중함수를 반복(trial-error)법을 이용해 최종적으로 선정하였으며, 가상의 플랜트 $\widetilde{P}(s)$는 불안정 극점과 영점을 갖지 않으며 $P(s)$와 동일한 상대차수를 가지는 1/(s+3)로 설계하였다. 선정된 가중함수 및 설계된 Q-필터는 아래 Table 2와 같다. 한편, Table 2에서 PI 제어기의 게인은 식 (13), 식 (14)의 전달함수를 이용하여 퍼센트오버슈트가 20% 이하가 되도록 매트랩 튜너(Matlab Tuner)로 구하였다.

Table 2. Designed PI gain, weighting function and Q-filter for a compressor and an EEV

Item

Value

Compressor

EEV

P gain

-2

-0.05

I gain

-0.012

-0.0017

$W_{Q}(s)$

$\frac{s}{0.005}$

$\frac{s}{0.0045}$

$W_{C}(s)$

$\frac{1}{(s+0.001)^{2}}$

$\frac{1}{(s+0.001)^{2}}$

$Q(s)$

$\frac{0.0050021(s+0.002212)}{s^{2}+0.005 s+1.106 \cdot 10^{-5}}$

$\frac{0.0044987(s+0.002005)}{s^{2}+0.00499 s+9.02 \cdot 10^{-6}}$

4. 시뮬레이션 및 실험 결과 고찰

4.1 시뮬레이션 결과 및 고찰

설계된 Q-필터를 적용한 시스템의 시뮬레이션을 위해 Fig. 6과 같이 제어계를 구성하였다.

Fig. 6. Simulation block diagram of VSRS control system with DOB.
../../Resources/sarek/KJACR.2019.31.5.193/fig6.png

그림에서 $d _{1} (s)$는 열부하 변동량, $d _{2} (s)$는 압축기의 회전수 변화로 인해 과열도에 미치는 간섭 영향을 각각 나타낸다. 외란 요소인 $d _{1} (s)$와 $d _{2} (s)$는 본 논문에서 설계한 Q-필터에 의해 내부 루프에서 추정된 $\widehat{d_{1}}\left(-P_{c}^{-1} Q_{1} G_{d} d_{1}\right)$과 $\widehat{d_{2}}\left(-P_{e}^{-1} Q_{2} G_{i} d_{2}\right)$로 인해 상쇄된다. Fig. 6의 $C _{1} (s)$, $C _{2} (s)$에 적용된 제어기는 PI 로직이며 설계된 각 게인들은 Table 2와 같다.

Fig. 7은 선정된 가중함수에 따라 Q-필터가 최적으로 설계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감도함수 $\{1-Q(s)\}$와 상보감도함수 $Q (s)$의 보드선도이다. 설계된 Q-필터의 타당성은 식 (5)에 의해 보드선도 상에서 $\{1-Q(s)\}$가 $\gamma^{-1} W_{C}^{1}(s)$에, $Q (s)$가 $W_{Q}^{-1}(s)$에 근접한 지를 평가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두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설계한 Q-필터가 선정된 가중함수에 따라 최적으로 설계된 것을 알 수 있다.

Fig. 7. Bode diagram of a designed Q-filter.
../../Resources/sarek/KJACR.2019.31.5.193/fig7.png

Fig. 8은 설계된 외란관측기 유·무에 따른 제어 성능을 비교 확인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그림에서 실선은 외란관측기가 적용된 경우의 응답, 점선은 외란관측기를 적용하지 않고 PI 제어기 단독 사용 시의 오일출구온도 응답이다. Fig. 8(a), Fig. 8(b)는 주기적인 열부하 변동(0.3 sin0.01t)과 운전 환경 변화로 인한 모델링 오차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외란관측기를 갖지 않은 PI 제어기만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 제어계의 안정성이 보장되지 않거나 제어 성능이 열화함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외란관측기를 적용하면 열부하 변동 및 모델링 오차에도 강인한 제어 성능을 가짐을 볼 수 있다. Fig. 8(c)는 강도 0.1의 백색잡음을 인가한 경우의 응답이다. 외란관측기의 유·무에 따른 유의할만한 성능 차는 보이지 않았다. 이는 식 (13)의 $G _{c} (s)$가 큰 시정수를 가지기 때문에 외란에는 민감하고, 반대로 잡음에는 둔감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Fig. 8(d)는 주기성 외란, 잡음, 곱셈형 모델링 오차를 동시에 인가한 경우의 응답을 나타낸다. 이 종합적인 성능을 통해 설계한 외란관측기는 모델 불확실성 및 외란을 포함한 잡음에 강인한 온도제어가 가능함을 알 수 있다.

Fig. 8. Simulation results for confirming robustness of oil outlet temperature by the designed DOB.
../../Resources/sarek/KJACR.2019.31.5.193/fig8.png

Fig. 9는 외란관측기의 적용 유·무에 따른 과열도의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Fig. 9(a)는 오일출구온도 제어 시, 압축기 주파수가 주기적으로 20 Hz 변동하는 경우에 따른 과열도 $T_{s}$에 미치는 간섭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이러한 급격한 주파수 변동은 냉매 질량유량의 변화를 유발하고, 이는 식 (15)와 같이 과열도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Fig. 9(b)Fig. 9(a)와 같은 주기적인 주파수 변동이 있을 때의 과열도 응답을 나타내며, 설계된 외란관측기를 적용할 시 간섭 영향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주기적인 압축기 주파수 변동과 Fig. 9(c)의 백색잡음이 동시에 인가되는 경우에도 설계한 외란관측기는 Fig. 9(d)와 같이 양호한 제어 성능을 보였다.

Fig. 9. Simulation results for confirming robustness of superheat by the designed DOB.
../../Resources/sarek/KJACR.2019.31.5.193/fig9.png

4.2 실험 결과 및 고찰

Fig. 10은 설계된 외란관측기의 제어 성능 분석을 위한 실험장치의 구성도이다. 제어장치인 PXIe는 지령값과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온도 출력으로부터 제어 로직을 통해 조작량을 계산한다. 장치의 최종 조작량은 압축기 회전수 가변을 위한 인버터 주파수 및 EEV 개도 제어를 위한 드라이브 구동 스텝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전압이다. 오일출구온도의 지령값은 공작기계의 실제 제어 사양으로부터 25℃로 설정하였으며 과열도 지령값은 Fig. 11의 정특성 실험 결과로부터 최대 COP 분석을 통해 운전점 근방의 값인 7℃로 선정하였다.

Fig. 10. Diagram of control system.
../../Resources/sarek/KJACR.2019.31.5.193/fig10.png

Fig. 11. Relationship between COP and superheat.
../../Resources/sarek/KJACR.2019.31.5.193/fig11.png

Fig. 12는 외란관측기를 적용하지 않은 PI 제어기 단독의 제어 결과이며, Fig. 13은 PI 제어기에 설계된 외란관측기가 적용된 제어 결과이다. 지령값은 1,000 sec 시점에 30℃에서 25℃로 급격하게 변경하였으며, 열부하는 3,000 sec와 4,000 sec 시점에 각각 정격 열부하의 -20%, +20%의 변동을 주었다.

Fig. 12(a)에서 온도 지령값 변동 시, 미소한 언더슈트를 동반하지만 지령값에 양호하게 추종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열부하가 감소하는 3,000 sec 시점에서 오일출구온도의 변동량은 -0.3℃, 열부하가 증가하는 4,000 sec에서 1℃로, 외란인 열부하 변동에 비교적 취약하며 4,000 sec 시점에서의 열부하 증가 후 정착시간은 1,300 sec임을 볼 수 있다. Fig. 12(b), Fig. 12(c)에서는 응답 Fig. 12(a)에 대응하는 조작량인 인버터 주파수 및 EEV 개도 지령값을 각각 보여준다. 특히, 지령값 및 열부하 변동 시점에 인버터 주파수의 조작량이 크게 변동됨을 볼 수 있다.

Fig. 12. PI control results without the DOB.
../../Resources/sarek/KJACR.2019.31.5.193/fig12.png

Fig. 13(a)는 외란관측기를 적용한 PI 제어 결과이다. 외란 인가 시, 오일출구온도와 과열도 모두 Fig. 12(a)보다 우수한 과도응답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열부하가 감소하는 3,000 sec 시점에서의 오일출구온도 변동량은 -0.1℃ 미만이며 4,000 sec 시점에서 오일출구온도 변동량은 0.5℃, 정착시간은 1,000 sec로 외란관측기를 적용하지 않고 PI 제어기만을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의 값들보다 온도 변동량은 0.5℃, 정착시간은 300 sec 더 작은 값을 가진다.

이는 Fig. 13(b), Fig. 13(c)에서의 조작량이 Fig. 13(d), Fig. 13(e)에서의 외란 $\widehat{d_{1}}(s)$와 $\widehat{d_{2}}(s)$의 추정을 통해 최적의 값으로 보상되어 출력되기 때문이다. 특히, 외란관측기 적용 시, 주된 제어량인 오일출구온도를 제어하는 주파수 조작량인 Fig. 13(b)의 변동폭이 Fig. 12(b)의 변동폭에 비해 현저히 감소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잦은 주파수 변동으로 인한 인버터 장치의 안정성 저하를 막고 높은 주파수로부터 초래되는 과도한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주파수 조작량 변동의 감소는 과열도에 미치는 간섭 영향의 감소로 이어져 Fig. 12(a)에 비해 과열도의 응답도 개선된 결과를 보인다. 특히 이러한 실험 결과들은 본 논문에서 설계한 외란관측기가 모델 불확실성을 포함하는 식 (13)~식 (15)의 전달함수에 기반한 게인 설정임에도 불구하고 열부하가 $\pm 20 \%$ 변동하는 상황 하에서 양호한 제어 성능을 확보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즉, 설계한 외란관측기가 모델의 불확실성에 대해서도 강인한 제어 성능을 가짐을 의미한다.

Fig. 13. PI control results with the designed DOB.
../../Resources/sarek/KJACR.2019.31.5.193/fig13.png

5. 결 론

본 논문에서는 가변속 냉동시스템의 강인한 온도제어를 위해 전달함수 기반의 PI 제어기에 외란관측기를 부가적으로 설계하였다. 동작점 근방에서의 스텝 응답 실험을 통해 얻은 전달함수를 기반으로 모델 불확실성을 포함한 외란 및 잡음을 최소화 할 수 있는 Q-필터를 $H_{\infty}$ 최적화 문제로 정식화하여 설계하였다. 설계된 Q-필터는 외란관측기 유, 무에 따른 비교 시뮬레이션 및 실험을 통해 그 성능이 확인되었다. 특히 시뮬레이션에서는 주기성 외란과 백색잡음을 인가하였고, 실험에서는 오일쿨러의 성능평가 시 중요한 요소인 열 부하 변동에 대해 강인한 제어 성능을 각각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설계한 외란관측기는 정격 열부하의 ±20% 외란이 인가되는 상황 하에서도 PI 제어기 단독 제어 결과에 비해 오일출구온도 변화량이 현저히 감소하고, 정착시간이 짧아져 강인한 온도제어 특성을 보였다.

(2) 설계한 외란관측기는 운전 환경 변화로 인해 수반되는 모델링 오차에도 지령값을 잘 추종함으로써 강인한 제어 성능을 보였다.

(3) 설계한 외란관측기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피드백 루프에 잡음이 인가되더라도 그 영향을 80% 정도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가중함수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외란 제거 성능 및 잡음 축소 성능 간의 상충 문제를 조절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4) 설계한 외란관측기는 오일출구온도 제어 시 압축기 회전수 변화로 인해 수반되는 간섭의 영향 즉, 과열도 변화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었다.

후 기

본 연구는 2018년도 산업통상자원부의 재원으로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KETEP)의 에너지인력양성사업으로 지원받아 수행한 인력양성 성과입니다(No. 20184010201700).

References

1 
Jeong S. K., Hong K. H., 2013, Optimal PI Controller Design for Refrigeration System Considering Disturbance, SAREK, Vol. 25, No. 2, pp. 85-93DOI
2 
Jeong S. K., Byun J. Y., Kim S. H., Yoon J. I., 2011, Precise Temperature Control of Oil Coolers with Hot-gas Bypass Manner for Machine Tools Based on PI and Feedforward Control, SAREK, Vol. 23, No. 2, pp. 111-119DOI
3 
Jeong S. K., Lee D. B., Hong K. H., 2014, Comparison of System Performance on Hot-gas Bypass and Variable Speed Compressor in an Oil Cooler for Machine Tools,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 28, No. 2, pp. 721-727DOI
4 
Li H., Jeong S. K., You S. S., 2009, Feedforward Control of Capacity and Superheat for a Variable Speed Refrigeration System, Applied Thermal Engineering, Vol. 29, No. 5-6, pp. 1067-1074DOI
5 
Li H., Jeong S. K., Yoon J. I., You S. S., 2008, An Empirical Model for Independent Control of Variable Speed Refrigeration System, Applied Thermal Engineering, Vol. 28, No. 14-15, pp. 1918-1924DOI
6 
Quresh T. Q. I., Tassou S. A., 1996, Variable-speed Capacity Control in Refrigeration Systems, Applied Thermal Engineering, Vol. 16, No. 2, pp. 103-113DOI
7 
Leonardo C. S., Christian J. L. H., Alexandre T. N., 2009, A Model-driven Multi-variable Controller for Vapour Compression Refrigeration Systems, International Journal of Refrigeration, Vol. 32, No. 7, pp. 1672-1682DOI
8 
Shah R., Alleyne A. G., Bullard C. W., Rasmussen B. P., Hrnjak P. S., 2003, Dynamic Modeling and Control of Single and Multi-evaporator Subcritical Vapor Compression Systems, Part of ACRC TR-216, pp. 6-54Google Search
9 
Song T. S., Lyou J., 2000, An RTP Temperature Control System Based on LQG Design,, Journal of Institute of Control, Robotics and System, Vol. 6, No. 6, pp. 500-505Google Search
10 
Jeong S. K., Kim S. H., 2011, Optimum Controller Design of a Water Cooler for Machine Tools Based on the State Space Model, SAREK, Vol. 23, No. 12, pp. 782-790DOI
11 
Lin J. L., Yeh T. J., 2007, Modeling, Identification and Control of Air-conditioning Systems, International Journal of Refrigeration, Vol. 30, No. 2, pp. 202-220DOI
12 
Cao J. P., Jeong S. K., Jung Y. M., 2014, Fuzzy Logic Controller Design with Unevenly-distributed Membership Function for High Performance Chamber Cooling System, Journal of Central South University, Vol. 21, No. 7, pp. 2684-2692DOI
13 
Aprea C. R., Mastrullo C. R., 2004, Fuzzy Control of the Compressor Speed in a Refrigeration Plant, International Journal of Refrigeration, Vol. 27, No. 6, pp. 639-648DOI
14 
Jeong S. K., Han C. H., Li H., Wahyu K. W., 2018, Systematic Design of Membership Functions for Fuzzy Logic Control of Variable Speed Refrigeration System, Applied Thermal Engineering, Vol. 142, pp. 303-310DOI
15 
Ohnishi K., 1987, New Development of Servo Technology in Mechatronics, IEEJ Trans. on Industry Applications, Vol. 107, No. 1, pp. 83-86DOI
16 
Yeo H. J., 2005, Practical Design and Implementation Methodology for Disturbance Rejection Controller,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pp. 37-47Google Search
17 
McFarlane D., Glover K., 1992, A Loop Shaping Design Procedure Using $H_{\infty}$ Synthesis, IEEE Transactions on Automatic Control, Vol. 37, No. 6, pp. 759-769DOI
18 
Su J., Wang L., Yun J. N., 2015, A Design of Disturbance Observer in Standard $H_{\infty}$ Control Framework, International Journal of Robust and Nonlinear Control, pp. 2894-2910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