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휘
(Min-Hwi Kim)
†
김득원
(Deuk-Won Kim)
2
이동원
(Dong-Won Lee)
3
허재혁
(Jeahyuk Heo)
3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
(
Senior Researcher,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152 Gajeong-ro, Daejeon, 34129,
Korea
)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기술원
(
Engineer,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152 Gajeong-ro, Daejeon, 34129, Korea
)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
Principle Researcher,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152 Gajeong-ro, Daejeon,
34129, Korea
)
Copyright © 2016,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s of Korea
Key words
Decentralized thermal prosumer(분산형 열 프로슈머), Direct-expansion solar heat pump(직팽식 태양열 히트펌프), Jincheon eco-friendly energy town(진천 친환경에너지타운), Hot water energy(급탕에너지)
기호설명
$T_{a}$:
외기온도 [℃]
$I_{m}$:
측정면 일사량 [W/m2]
$u_{m}$:
풍속 [m/s]
$T_{w,i}$
초기 온도 [°C]
$T_{w,o}$
초기 온도 [°C]
$COP$:
히트펌프 성능계수 [-]
1. 서 론
건물에서의 냉난방 에너지 절감을 위한 방안 중 하나로 지역난방에 대한 연구는 국내외에서 지속적으로 진행 되어오고 있다. 특히 유럽을 중심으로 건물에서의
냉난방 에너지가 전체 건물에너지소비량의 40%에 이르면서, 현재 6000개소의 지역난방 네트워크가 운영되고 있으며, 2017년 기준으로 전체 난방에너지
소비량의 11~12%를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1) 지역냉방의 경우, 현재 115개소가 운영 중이며, 전체 냉방부하의 2%를 담당하고 있다.(2) 전통적인 지역난방은 중앙 발전소에서 부산물로 생산된 열을 고온수 혹은 스팀의 형태로 파이프라인을 통해 지역 및 건물로 공급되는 방식이다. 이때,
온수의 온도가 높을수록 파이프라인의 관경이 작아질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온수가 네트워크에서 순환되는 동안 열손실이 많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다양한 신재생에너지에서 생산되는 열은 전통적인 지역난방의 열 네트워크 공급온도(110℃) 에 비해 온도가 낮아, 지역난방에 활용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이에, 최근 4세대 지역난방으로 50~70℃의 비교적 낮은 온도의 온수를 열 네트워크에 공급하여 건물의 난방 및 급탕에 활용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오고
있다.(3-4) 이는, 저에너지 건물의 특성으로 비교적 낮은 온도의 온수로 건물의 난방이 가능해졌으며, 급탕을 위한 온수는 50-55℃에서는 레지오넬라균이 모두
사멸하는 온도이기 때문에 가능하다.(5)
이러한 추세와 더불어, 국내에서도 신재생에너지원을 통한 열 공급분야는 태양열 급탕설비와 같이 개별건물 위주의 열공급을 벗어나, 지역난방과 같은 집단에너지
공급 형태의 열 공급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최근 집단에너지의 공급 효과가 에너지 절약뿐만 아니라, 온실가스 감축 및 대기오염물질배출 저감에도
효과적임이 입증되어, 대체생산(국가 평균화력발전+보일러) 대비 최종에너지소비의 1.9%, 국가 온실가스배출량의 약 1.7% 감축을 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국내에서도 지역난방 및 냉방에 대한 공급 확대 논의를 지속적으로 시행해오고 있다.(6) 현재 단일 건물에서 신재생에너지 설비에서 생산된 열 중 냉방기간에 생산된 열은 대부분 자체에서 버려지거나 냉각을 위한 추가적인 설비가 구축되어 열을
방열시킨다. 이때, 소규모 열네트워크를 구현하여 냉방기간에도 열이 필요한 건물에 공급되거나, 중앙에서 대규모 축열설비에 저장될 수 있다면, 열의 활용도
및 시스템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열 프로슈머와 관련해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오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태양열을 활용한 에 대한 연구가 다수 진행되어 오고 있다. Lennermo
et al.(7)에서는 태양열을 활용하여 지역난방을 활용한 열 프로슈머를 위한 태양열 시스템의 제어방안에 대해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Lumbreras and Garay(8)에서는 태양열을 활용한 열 프로슈머로 활용에 따른 경제성 분석을 진행하였다. Rehman et al.(9)에서는 태양열을 활용한 중앙집중식 열공급 시스템에서 분산형 개별 히트펌프를 활용한 열 프로슈머로의 적용가능성에 대한 최적화 및 경제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분산형 열 프로슈머로 구현시, 중앙집중식 방식에 비해 절반수준의 태양열집열기를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열네트워크의 손실도 40~12%
낮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엇보다, 분산형 열 프로슈머로의 구성이 기존 방식에 비해 35% 낮은 생애주기비용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태양열 집열기는 겨울철 동파방지 등을 위해 부동액이 집열기 내부에 순환되고, 집열된 열은 다시 물 등을 이용하여 회수되었다가 직접 난방, 급탕에
사용되거나 히트펌프의 열원으로 사용된다. 반면, 직팽식 태양열 히트펌프(direct-expansion solar heat pump, DXSHP)는
히트펌프의 냉매를 직접 태양열 집열기에 순환하여 히트펌프의 증발기의 역할로 활용된다.(10-16) 이를 통해, 별도의 부동액 및 물을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 구동이 없으며, 냉매가 직접 집열기로 공급됨에 따라 냉매의 증발온도가 높아져 히트펌프의
COP가 높은 장점이 있다.(10-12) 직팽식 태양열 히트펌프는 1955년 Sporn and Ambrose(13)에 의해 처음 개념이 소개되었으며, 지금까지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오고 있다.
열에너지를 기반으로 한 프로슈머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양방향 열에너지 시스템 및 네트워크에 대한 기술개발 적용이 가능한 실증지에서 분석이 수행되어야
한다. 이에, 기존 신재생 및 미활용 기반 에너지설비가 갖추어진 태양열 및 계간축열 시스템과 신재생에너지 융복합 시스템 기반으로 운영되고 있는 진천
친환경 에너지타운을 실험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4세대 소규모 열 네트워크 형식으로 구성된 진천 친환경에너지타운을 대상으로, 분산형 열
프로슈머의 적용성에대해서 분석하였다. 본 분석을 위해, 대상지의 실증 운영 결과를 바탕으로 직팽식 태양열 히트펌프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산형
열 프로슈머의 구현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2. 분산형 열에너지 생산 시스템 개요
2.1 진천 친환경에너지타운
진천 친환경에너지타운은 충북 혁신도시 내 진천군에 위치한 수질복원센터(하수처리장) 및 인근 공공건물을 대상으로 구축되었다(Fig. 1 참조). 신재생 전기 및 열에너지 설비를 복합 설치하고 생산되는 친환경에너지를 인근에 건설된 공공건물에 공급하여 연간 전기 및 열에너지에 대한 100%
자립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에너지 수요 대상은 진천군에서 건설한 공공건물인 도서관, 어린이집, 보건지소, 청소년 문화센터, 서전고등학교 그리고 기계실
및 홍보실 등으로 사용하는 통합제어관리실 등 6개 건물이다. 시범사업을 통해 수질복원센터 및 인근 유휴부지에 신재생에너지 설비들을 설치하고, 태양에너지는
물론 지열 및 하수 처리수의 배열 등도 함께 이용하도록 하였다. 설치되는 신재생에너지 설비는 태양광발전, 연료전지, 태양열. 하수열/지열 히트펌프
시스템 등이며, 이 외 계간축열조 및 심야축열조도 함께 설치하였다.(17)
Fig. 2와 같이, 진천 친환경에너지타운은 지열 히트펌프(175 kW)를 우선 설치하여 2016년 1월부터 어린이집과 보건지소를 대상으로 부분적인 열에너지공급이
시작되었으며, 통합제어관리실 내에 하수열 히트펌프(181 kW), 계간축열 연계 히트펌프(181 kW), 심야축열조(200 m2)를 추가로 구축하였다.
2017년 1월부터 태양열(1,600 m2)을 이용한 계간축열시스템(4,000 m3)의 시험가동이 시작되었으며, 서전고등학교, 도서관, 청소년 문화센터
일정에 맞추어 냉방 및 온열 공급을 지속적으로 실시하였다. 신재생 전기에너지 설비로 공공건물 지붕, 주차장 지붕, 유휴부지 등에 태양광 설비를 850
kW 설치하고 발전 시스템을 가동하여 전력 생산 및 판매를 시작하였다.
Fig. 1 Overview of Jincheon eco-friendly energy town.
Fig. 2 Overview of Jincheon eco-friendly energy town.
2017년 6월부터 2019년 5월까지의 2년간의 실증운전을 수행한 결과, 연평균 온열 605 MWh, 냉열 141 MWh를 친환경에너지타운에 공급하여
열에너지 자립을 달성하였으며, 타운 내 태양광 설비를 통한 연평균 발전량은 1059.6 MWh로, 연평균 소비전력 764.4 MWh 대비 139%를
달성하여 전기 에너지의 경우도 타운규모의 넷제로(Net Zero)를 넘어 넷플러스(Net Plus)를 실현하였다.(18)
2.2 분산형 열네트워크 구현 및 직팽식 태양열 히트펌프 개요
기존 열네트워크에서 추가로 조성되는 건물을 프로슈머로 변화시키는 경우, 네트워크상에 태양열 시스템만을 위한 추가적인 배관 연결보다는 건물에서 열을
충분히 사용한 뒤, 잉여열을 네트워크로 공급하여 열 프로슈머로 구현하는 방안이 효과적이다. 기존 연구에서는 분산형 신재생에너지시스템이 적용된 지역난방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다양한 방안으로 구현할 수 있다. 환수에서 받은 물에 잉여열을 포함하여 다시 환수관으로 보내는 방식 (Return to Return,
R/R), 급수에서 받은 온수에 다시 잉여열을 포함하여 급수로 보내는 방식(Supply to Supply, S/S), 급수에서 받은 온수에 잉여열을
포함한 후 환수로 보내는 방식(Supply to Return, S/R), 그리고 환수에서 받은 물을 데워 다시 급수로 보내는 방식(Return to
Supply, R/S)이 있다.(7) 이러한 방식의 열 프로슈머 구현은 태양열시스템뿐만 아니라, 태양광과 히트펌프가 접목된 시스템, 태양열기반 히트펌프시스템, 연료전지 배열 활용 시스템에
대한 구성 또한 가능하다.
현재 진천 친환경에너지타운의 열 공급방식은 냉난방 배관과 급탕배관을 나눈 4관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이때, 급탕배관에서 공급되는 열이 낮은 경우,
레지오넬라균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각 건물마다 레지오넬라균을 사멸시킬 수 있는 60℃의 온수로 승온시키는 추가적인 전기히터가 설치되어 있다. 전기히터
용량은 8 kW이며, 1차 급탕탱크 용량은 50 Liter, 2차 급탕 전기히터가 설치된 급탕탱크 용량은 30 Liter이며, 급탕열 순환 펌프 동력은
300 W이다. 현재 전기히터의 가동은 건물의 운영시간에 맞추어 수동으로 작동되며, 급탕탱크에 설정된 설정온도를 유지하도록 on/off 방식으로 운전된다.
이러한 급탕시설은, 항시 전기히터가 작동하여 건물별로 전력소비량이 많으므로, 열 프로슈머가 급탕열 네트워크의 승온을 담당하도록 운영계획을 수립하였다.
이에, Fig. 3과 같이, 네트워크에서 받아온 급탕열을 다시 히트펌프가 승온을 하여 각 건물의 급탕탱크로 저장하도록 설계하였다. 이때, 급탕탱크의 온도가 60℃ 이상이
될 경우, 네트워크로 보내 네트워크의 온도를 상승시키도록 설정하였다. 어린이집의 급탕부하가 없는 경우, 축열조 하단으로 60℃의 열이 급탕 열 네트워크
측으로 공급
되며, 네트워크의 환수측 온도를 55℃ 이상 유지하도록 운영된다. 55℃ 온수가 중앙공급설비를 지나 다시 급수
배관으로 공급되면, 각 건물의 온수탱크가 50℃ 이상 유지될 것 운영 시나리오를 설정하였다.
Fig. 3 Schematic of heat prosumer for domestic hot water network.
Fig. 4 Simulation overview.
3. 시뮬레이션
본 연구에서는 Fig. 4와 같이, 진천 친환경에너지타운을 통해 획득한 실험결과 및 데이터를 기반으로 직팽식 태양열 히트펌프의 운영에 따른 기존 전기식 히터 대비 에너지 절감량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 9월부터 2020년 1월까지의 수집된 운영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하였으며, 직팽식 태양열 히트펌프의 운영을 평가할
수 있는 모델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실측데이터를 기반으로 히트펌프의 운영에 따른 기존 전기히터 대비 에너지 절감 효과를 분석하였다.
3.1 직팽식 태양열 히트펌프 모델
본 연구에서는 선행문헌(15)에서 제시된 실험데이터를 바탕으로 직팽식 태양열 히트펌프에 대한 운영 모델을 도출하였다. 선행문헌의 실험에 사용된 직팽식 태양열 히트펌프는 2.1
m2의 unglazed bare-plate 타입의 태양열 집열기/증발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40°로 경사면에 설치되었다. 히트펌프는 420 W용량의
컴프레서를 사용하고, R134a 냉매를 적용하였으며, 200 Liter의 온수탱크와 연결되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선행문헌에서는 직팽식 히트펌프에
대한 가을 및 겨울철 운영 실험결과에 대해 나타내었다. 실험은 2017년 9월부터 2018년 1월까지의 운영데이터를 나타내었으며, 실험시간동안의 평균
COP를 결과로 나타내었다. 주요 변수는 외기온도($T_{a}$), 평균 일사량($I_{m}$), 풍속($u_{m}$), 초기 물온도($T_{w,\:i}$),
최종 물온도($T_{w,\:o}$), 그리고 COP(Coefficient Of Performance)이다. 이때, 실험은 초기 물 온도에서 최종 설정
물 온도까지 운영이 되었으며, 최종 설정 물 온도에 도달하여 운영된 결과를 바탕으로 하였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최종 물 온도($T_{w}$)를 온수
생산 기준으로 선정하였다. 본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실험에 대한 분석과 주요변수에 대한 분석 및 예측모델 도출에 뛰어난 성능을 가진 Design-Expert(19)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Table 1과 식(1)과 같이 분석 모델을 도출하였다. 본 모델의 R2는 91.1%, Adjusted R2는 89.7%, Predicted R2는 85.5% C.V는 4.38%를
나타내어 모델의 신뢰도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뮬레이션 연구를 위해 적용된 직팽식 태양열 히트펌프는 8.5 kW의 정격 열출력 용량을 가지며, 정격 소비전력은 2.21 kW이다. 직팽식 태양열
패널의 기준 면적은 1.36 m2이고 사이즈는 1700×800×22 mm3이다. 패널당 중량은 6.2 kg이며, 0.7 liter의 내용적을 가진다.
히트펌프의 최대온도는 69℃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뮬레이션을 위해 진천 친환경에너지타운의 외기조건 및 설치면의 경사면 일사량, 타운 내 급탕 공급 및 환수온도, 그리고 어린이집(열
프로슈머)의 급탕 설정온도에 대한 운영 데이터를 획득하였다. 어린이집의 급탕 설정온도는 60℃의 온수를 생산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실험데이터를
바탕으로 급탕 공급을 위한 히트펌프 운영 시 COP를 식(1)을 통해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생산열량 및 전력소비량을 산정하여,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Table 1. ANOVA analysis results
Source
|
Sum of Squares
|
dt
|
Mean Square
|
F-value
|
p-value
|
|
Model
|
0.1359
|
5
|
0.0272
|
67.45
|
< 0.0001
|
significant
|
$T_{a}$
|
0.0305
|
1
|
0.0305
|
75.77
|
< 0.0001
|
|
$I_{m}$
|
0.0244
|
1
|
0.0244
|
60.61
|
< 0.0001
|
|
$T_{w}$
|
0.0033
|
1
|
0.0033
|
8.19
|
0.0073
|
|
$T_{a} \cdot T_{w}$
|
0.0038
|
1
|
0.0038
|
9.37
|
0.0044
|
|
$I_{m} \cdot T_{w}$
|
0.0030
|
1
|
0.0030
|
7.56
|
0.0096
|
|
Residual
|
0.0133
|
33
|
0.0004
|
|
|
|
4. 시뮬레이션 결과 분석
4.1 기존 급탕설비 운영 결과
Fig. 5에서는 진천 친환경에너지타운의 공공건물 급탕 공급량 및 개별 축열조의 전력소비량을 나타내었다. 그 결과, 통합제어관리실에서 태양열 및 계간축열 시스템을
활용하여 2018년 9월부터 2020년 1월까지 총 147.4 MWh의 급탕에너지를 공급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연 평균 104.1 MWh/y의
열량을 공급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이때, 급탕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한 펌프와 건물별 급탕조의 전기히터에 소비되는 에너지는 연 평균 37.4 MWh/y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중 어린이집에서 사용되는 급탕에너지 소비량이 7.6 MWh/y로 전체 건물의 급탕에너지 소비량의 20%를 차지하여, 고등학교
다음으로 많은 급탕에너지 소비량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고등학교의 경우 방학과 같이 학교 운영 변동이 많은데 반해, 어린이집의 경우 연중 주말을
제외한 평일 급탕에너지 소비량이 일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반적인 태양열 집열기가 적용된 태양열 시스템과 더불어, 직팽식 태양열 히트펌프의 경우에도 여름철 일사량이 많은 시간대에 집열된 열을 저장하거나 활용하지
못할 경우, 과열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과열은 집열기 뿐만 아니라, 태양열 시스템 전체의 손상에 문제가 예상되므로, 연중 급탕 부하가
꾸준한 건물에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에, 어린이집이 태양열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열 프로슈머 구현에 적합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어린이집의
전력소비량 중 급탕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이 29%를 차지하면서, 이에 대한 에너지 절감시 어린이집의 운영에너지 절감에 효과적일 것으로 예측되었다.
Fig. 5 Hot water supply from management center and electric energy consumption of individual electric heater.
4.2 열 프로슈머 운영 결과
열 프로슈머로 운영을 예측하기 위한 직팽식 태양열 히트펌프에 입력된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외기온도, 일사량은 측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측정된 외기 온도는 Fig. 6과 같다. 본 히트펌프는 기계실에서 60℃의 온수를 생산하는 것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히트펌프의 운영을 통해, Fig. 2에서와 같이 직팽식 태양열 히트펌프에서 출구측(T3)으로 60℃의 온수를 생산하고, 축열조에 저장된다. 이때, 어린이집의 급탕부하가 없는 경우, 축열조
하단(T1)으로 60℃의 열이 급탕 네트워크측으로 공급된다. 이후 네트워크의 환수측 온도를 55℃ 이상 유지하도록 운영된다. 이때, 55℃ 온수가
중앙공급설비를 지나, 다시 급수배관으로 공급되면, 각 건물의 온수탱크가 50℃ 이상 유지될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운전시, 직팽식 태양열 히트펌프의
COP는 연평균 3.5를 나타내며, 냉방기간동안 4.5~4.0, 난방기간동안 3.8~2.7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Fig. 6 참조). Table 2에서는 월별 평균 외기온도, 일사량, 타운 내 전체 급탕부하, 직팽식 태양열 히트펌프의 COP, 전력소비량 및 생산열량을 나타내었다.
Fig. 7에서는 진천 친환경에너지타운에서 측정된 타운 내 전체 건물의 급탕용 전기히터 전력사용량(Conventional electric heater)을 나타내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급탕부하를 직팽식 태양열 히트펌프가 담당하는 경우 소비되는 전력량과, 직팽식 태양열 히트펌프가 담당하지 못하는 시간대에 기존 전기히터의
운영에 따른 전력소비량(electric heater with DXSHP)을 나타내어, 기존 방식 대비 직팽식 태양열 히트펌프 적용에 따른 전력소비량
절감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때, 두 가지 시뮬레이션이 진행되었다. 먼저, 직팽식 태양열 히트펌프가 어린이집의 급탕부하만 담당하도록 운영될 경우, 어린이집의
급탕측 전력 절감율은 72.8%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타운 내 건물의 급탕생산 소비전력을 17.2%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파악되었다.
두 번째로, 열 프로슈머로서 어린이집에서 타운 내 열에너지 공급이 되는 경우, 직팽식 태양열 히트펌프가 담당할 수 있는 열은 전체 타운 급탕량의 56.1%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때 타운 내 건물의 급탕 생산 소비전력의 37.7%를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ig. 7 참조).
Fig. 6 Outdoor air conditions and COP of the heat pump.
Table 2. Monthly analysis results
|
Outdoor air temperature
[℃]
|
Tilted surface solar radiation
[kWh/m2]
|
Total DHW
load of town
[kWh]
|
COP of
DXSHP
[-]
|
Electric consumption
of DXSHP
[kWh]
|
Thermal production
of DXSHP
[kWh]
|
Jan
|
0.3
|
122.4
|
7188.5
|
2.71
|
1279.6
|
2893.0
|
Feb
|
2.8
|
122.0
|
5741.4
|
2.82
|
1066.9
|
2475.3
|
Mar
|
9.1
|
148.2
|
5133.5
|
3.10
|
925.8
|
2478.6
|
Apr
|
14.2
|
155.6
|
4966.7
|
3.38
|
932.0
|
2734.5
|
May
|
21.6
|
209.0
|
19590.2
|
3.84
|
806.3
|
2676.7
|
Jun
|
25.5
|
175.3
|
14465.6
|
4.10
|
680.1
|
2393.5
|
Jul
|
29.0
|
143.8
|
14163.6
|
4.37
|
639.6
|
2427.0
|
Aug
|
30.3
|
166.5
|
11976.4
|
4.49
|
507.0
|
1978.4
|
Sep
|
24.8
|
124.5
|
7957.0
|
4.05
|
685.1
|
2414.8
|
Oct
|
18.3
|
133.4
|
10966.3
|
3.62
|
890.4
|
2803.0
|
Nov
|
9.8
|
109.2
|
8507.4
|
3.14
|
1047.2
|
2812.0
|
Dec
|
3.3
|
92.2
|
7684.6
|
2.84
|
1188.1
|
2868.8
|
Fig. 7 Operating energy consumption of the conventional hot water system and proposed system.
5. 결 론
본 연구에서는 단일 건물에서의 신재생 열에너지 생산시스템의 적용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소규모 중앙집중식 열 네트워크에서 직팽식 태양열 히트펌프기반
분산형 열 프로슈머 구현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소규모 4세대 소규모 열네트워크가 구성되어 있는 진천 친환경에너지타운을 실증장소로 선정하였으며,
열 프로슈머 건물로 어린이집을 선정하였다. 시뮬레이션을 위해 1년간의 진천 친환경에너지타운의 외기온도, 경사면 일사량, 타운 내 급탕부하, 급탕 공급
열네트워크 온도등 운영실험 결과를 기반으로 열 프로슈머로의 역할과 에너지절감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이후 직팽식 태양열 히트펌프에 대한 운영 모사를
위해 기존 실험논문의 결과를 바탕으로 ANOVA 분석을 통해 직팽식 태양열 히트펌프의 COP를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도출하였다. 본 모델의 R2값은
91.1%로 적정한 운영 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모델을 활용하여, 기존 진천 친환경에너지타운의 전력소비량 측정데이터와 직팽식 태양열
히트펌프의 적용 시 전력소비량 및 각 건물의 급탕 전기히터의 전력소비량을 산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직팽식 태양열 히트펌프가 열 프로슈머로
운영될 경우, 전체 타운 급탕에너지의 51.6%를 담당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물별 급탕에너지 소비량의 37.7%를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직팽식 태양열 히트펌프를 모사할 수 있는 모델을 도출하였으나, 기후대의 차이 등으로 국내에서의
운영에 따른 COP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특히, 도출된 모델의 시스템 용량과 시뮬레이션 대상 시스템의 용량 차이로 인한 COP는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추후 연구에서는 직팽식 태양열 히트펌프를 실제 설치하여 운영결과에 대한 검증을 진행할 예정이다. 또한, 본 연구의 실증단지인 진천
친환경에너지타운은 저온 열네트워크로 구성되어 있으며, 열공급 대상건물이 일반 지역난방과 많은 차이가 있으므로, 본 연구를 기존 고온 지역난방에 적용은
다소 무리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향후 연구에서는 제안된 구성방식에 대한 경제성 분석이 고려되어야 하며, 고온 지역난방대비 4세대 저온 지역난방이
가지는 배관증 증대와 같은 문제들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후 기
본 연구는 2019년도 산업통상자원부의 재원으로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과제번호 : 2019271010015B)의 지원과 국토교통부의 재원으로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과제번호
: 20PIYR-B153277-02)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음.
References
Euroheat & , 2017, District Heating and Cooling : Country by Country 2015 Survey,
Available at: http://www. euroheat.org
DHC+ Technology Platform , 2012, District Heating & Cooling : a Vision Towards 2020-2030-2050,
Brussels
Lund H., Østergaard P. A., Chang M., Werner S., Svendsen S., Sorknæs P., Bojesen C.,
2018, The Status of 4th Generation District Heating : Research and Results, Energy,
Vol. 164, pp. 147-159
Lund H., Werner S., Wiltshire R., Svendsen S., Thorsen J. E., Hvelplund F., Mathiesen
B. V., 2014, 4th Generation District Heating(4GDH) : Integrating Smart Thermal Grids
into Future Sustainable Energy Systems, Energy, Vol. 68, pp. 1-11
Yang X., Li H., Svendsen S., 2016, Alternative Solutions for Inhibiting Legionella
in Domestic Hot Water Systems based on Low-Temperature District Heating, Building
Services Engineering Research And Technology, Vol. 37, No. 4, pp. 468-478
Ministry of Trade , Industry and Energy , 2020, The Fifth Basic Plan for District
Energy Supply, 2020-139
Lennermo G., Lauenburg P., Werner S., 2019, Control of Decentralised Solar District
Heating, Solar Energy, Vol. 179, pp. 307-315
Lumbreras M., Garay R., 2019, Technical & Economical Assessment of the Interconnection
between Façade Integrated Solar Thermal System and Low Temperature District-Heating,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novative Applied Energy, 14-15 Mar 2019, St Cross College,
University of Oxford, United Kingdom
Ur Rehman H., Hirvonen J., Sirén K., 2018, Performance Comparison between Optimized
Design of a Centralized and Semi-Decentralized Community Size Solar District Heating
System, Applied Energy, Vol. 229, pp. 1072-1094
Sun X. L., Wu J. Y., Dai Y. J., Wang R. Z., 2014, Experimental Study on Roll-Band
Collector/Evaporator with Optimized Channel Used in Direct Expansion Solar Assisted
Heat Pump Water Heating System, Applied Thermal Engineering, Vol. 66, No. 1-2, pp.
571-579
Kuang Y. H., Sumathy K., Wang R. Z., 2003, Study on a Direct-Expansion Solar-Assisted
Heat Pump Water Heating System, Energy, Vol. 27, No. 5, pp. 531-548
Tagliafico L. A., Scarpa F., Valsuani F., 2014, Direct Expansion Solar Assisted Heat
Pumps-A Clean Steady State Approach for Overall Performance Analysis, Applied Thermal
Engineering, Vol. 66, No. 1-2, pp. 216-226
Sporn P., Ambrose E. R., 1955, The Heat Pump and Solar Energy, In : Proceedings of
the World Symposium on Applied Solar Energy, November 1.5. Phoenix, Ariz
Kuang Y. H., Wang R. Z., 2006, Performance of a Multi-Functional Direct-Expansion
Solar Assisted Heat Pump System, Solar Energy, Vol. 80, No. 7, pp. 795-803
Kong X., Sun P., Li Y., Jiang K., Dong S., 2018, Experimental Studies of a Variable
Capacity Direct- Expansion Solar-Assisted Heat Pump Water Heater in Autumn and Winter
Conditions, Solar Energy, Vol. 170, pp. 352-357
Kong X., Li J., Wang B., Li Y., 2020, Numerical Study of a Direct-Expansion Solar-Assisted
Heat Pump Water Heater Under Frosting Conditions based on Experiments, Solar Energy,
Vol. 196, pp. 10-21
Kim D. W., Lee D. W., Heo J., Kim M. H., 2018, Empirical Results and Operational Cost
Analysis of Geothermal Heat Pump System using Thermal Energy Storage in Cooling Season,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30, No. 4,
pp. 167-174
Kim M. H., Kim D., Heo J., Lee D. W., 2020, Energy Performance Investigation of Net
Plus Energy Town : Energy Balance of the Jincheon Eco-Friendly Energy Town, Renewable
Energy, Vol. 147, No. 1, pp. 1784-1800
Stat-Ease, Inc. , 2020, Design-Expert 12. Available at: https://www.statease.com/software/design-expe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