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SO Journal TitleKorean J. Air-Cond. Refrig. Eng.
  • Open Access, Monthly
Open Access Monthly
  • ISSN : 1229-6422 (Print)
  • ISSN : 2465-7611 (Online)

  1. 한밭대학교 공과대학 설비공학과 조교수 ( Assistance Professor, Department of Building and Plant Engineering, Hanbat National University, Daejeon, 34158, Korea )
  2. (재)국제기후환경센터 연구개발실 실장 ( Team Leader, Research and Development Division, International Climate & Environment Center, Gwangju, 61954, Korea )



Heat Recovery Ventilator(열회수형 환기장치), Performance Evaluation(성능평가), Test Standard(시험표준), Heat exchange rate(열교환효율), Electric consumption(전력소비)

1. 연구배경 및 목적

정부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하여 에너지 신사업 확산 및 건물의 에너지 절감을 위한 다수의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특히 전체 건축물의 온실가스 배출량 중 52.3%가 주거용 건물(공동 및 단독주택)에서 발생하고 있어 주거용 건축물의 온실가스 배출 저감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2025년까지 민간부분의 신축건물을 제로에너지 건물로 시공하도록 하여, 현재 제로에너지 건물의 보급이 가속화 되고 있다. 그러나 제로에너지건물의 경우 고단열․고기밀로 시공되기 때문에 실내 쾌적성 및 실내 공기질을 위해서는 법적 환기량의 확보가 중요하다. 또한 외부 공기를 실내로 유입 할 때 발생하는 외기부하(환기부하)는 건물의 에너지사용 측면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기계식 환기설비는 2006년 국토교통부에서 발표한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에 근거하여 100세대 이상의 아파트 등 공공주택에서 자연환기설비로 최소 환기량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그 설치가 의무화되었다. 또한, 「실내공기질 관리법」은 현재 환기설비 설치 의무가 없는 민간 노인요양시설, 어린이놀이시설 등의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환기설비 설치를 의무화하여 실내공기질 기준을 강화하고, 환기설비 및 환기량 기준을 도입하고 있다. 앞서 언급한 건물 에너지사용량의 측면 외에도 대기질과 같은 환경적 측면도 이슈가 되고 있다.

국내 대기 중의 고농도 미세먼지가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위협하는 중요한 환경적 이슈로 주목받고 있다. 실내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외부에서 유입되는 미세먼지와 실내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제거하여 거주환경을 청정하게 할 수 있는 환기의 중요성이 다시 한 번 강조되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인 열회수형환기장치(HRV, Heat Recovery Ventilator)는 1998년 7월 고효율에너지 기자재 인증품목으로 지정되고, 실내공기질에 대한 다양한 이슈가 부각되면서 관련 분야의 연구도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HRV의 에너지성능과 실내공기질 이슈에 따른 기술수준의 통계분석 연구는 진행된 사례가 미비하다. 본 연구에서는 HRV의 출시제품의 풍량 별 성능분포와 표준화 동향을 조사하였다.

(1) 고효율에너지기자재 인증 제품의 풍량별 성능 분포(n=788)를 조사 분석하였다.

(2)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공기필터 적용 후의 풍량별 성능 분포(n=171)를 조사하였다.

(3) 국내외 HRV의 평가 표준을 조사하여 성능평가항목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조사 기간 제품의 성능 수준을 확인하고 필터 장착의 제도 변화에 따른 성능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중요 성능 DB의 확보를 통해 새로운 HRV 제품 개발 시 활용 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2. 국내 시장변화의 현황 및 시사점

2.1 국내시장 현황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기계 환기 기술인 HRV는 국가의 제도적 기틀인 “고효율에너지 기자재 인증”, “한국산업표준(KS, Korea Standard) 제품인증”, “단체표준 제품인증” 등의 성능평가 위주의 제도적인 기반 속에서 기술이 고도화되었으며 빠르게 시장이 형성되었다. 한국에너지공단이 1996년부터 시행하고 있는 고효율 에너지기자재 인증제도는 에너지사용기자재 중 에너지효율 및 품질시험 결과가 정부가 정한 일정 수준의 이상일 경우 제품인증서를 발급해주는 제도로서 “공공기관 고효율 에너지기자재 우선구매”, “조달구매 시 고효율 인증제품 우선구매”, “신축건축물에 고효율 에너지기자재 설치 의무 또는 권장”, “20세대 이상 공동주택에 고효율 에너지기자재 사용”, “에너지이용 합리화 자금 융자지원” 등의 혜택을 지원하고 있다. 고효율 에너지기자재 품목에는 HRV가 “폐열회수형환기장치”의 명칭으로 등록되었으며, 2018년 1월 1일부터 고효율기자재인증 품목에서 제외되었지만, 관련 법령에 대한 정비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문제도 있다. 현재까지 고효율 에너지 기자재에서 요구되어진 성능기준이 시장의 베이스라인(Base line)을 형성하고 있으며, 조달청에서는 제품의 등록 시 최소성능을 열교환효율과 에너지계수 항목의 경우 최소녹색기준(냉방 시 유효전열교환효율 45% 이상, 에너지계수 8.00 이상 / 난방 시 유효전열교환효율 70% 이상, 에너지계수 15.00 이상) 이상이 되도록 명시하고 있다.

한편, 미세먼지는 1급 발암물질로 구분되어 국가적인 이슈로 급부상하였다. 실외의 신선외기를 실내로 유입하고 실내의 오염물질을 밖으로 배출하기 위한 기존 환기의 개념에서 실외 오염물질을 정화하여 실내로 도입하여야 하는 청정기능이 추가된 것이다. 이를위한 해결 방안으로, 2019년 1월 서울시를 시작으로 「녹색건축기준」 개정안 발표를 통해 신축, 증축 등이 실시되는 모든 건축물에 대하여 기준 이상의 공기여과성능을 갖는 “기계환기장치” 설치를 의무화하였다. 2020년 4월 9일 정부는 국민건강 관리를 위한 목적으로 미세먼지 대응 방안 강화를 실시하였고,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개정안을 마련하여 입법예고 하였다. 그 내용은 다음의 4가지이다. ① 환기설비 설치 대상 확대, ② 환기설비 공기여과기 성능기준 강화, ③ 환기설비 유지관리의 실효성 제고, ④ 기술개발의 방향을 제시하고 실내공기질 개선이다. 또한, 30세대 이상 공동주택에도 환기설비 설치를 의무화하고 건축물에 설치하는 환기설비 공기여과기 성능도 강화하였다. 그리고, 외부 미세먼지의 실내 유입 차단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계환기설비의 공기여과기 성능 기준을 강화하고 한국산업표준(KS B 6141)에서 공기여과성능 시험방법도 도입하였다.

국내 환기 시장은 2004년 500억 원 규모에서 2018년 6,800억 원 규모로 증가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2006년 1월 실내공기 오염 억제를 이유로 공동주택 관련 시설 등에 환기시스템의 설치를 의무화 하는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관리법」이 발효되면서 시장 성장률은 연간 12.3% 상승 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Fig. 1은 HRV의 국내 시장규모를 보여주는 그래프로 Fig. 1(a)에 년도별 판매액과 판매대수를 나타내었다. 국내 공공제품 조달시장에서 HRV의 시장 변화는 크게 2019년 정부의 정책방안 마련으로 미세먼지 대응 기술 적용 전, 적용 후로 나누어 질 수 있다. 고농도 미세먼지의 대응을 위하여 환기시스템 설치 확대를 실시하였다. 특히, 교육시설의 실내 공기질 개선을 위한 환경개선 사업으로 신․개축학교 기계식 환기장치(필터장착)의 설치 확대가 대표적이다.

Fig. 1 Sales status by year in Korea.
../../Resources/sarek/KJACR.2022.34.3.145/fig1.png

Fig. 2 Product classification change by year.
../../Resources/sarek/KJACR.2022.34.3.145/fig2.png

Fig. 1(b)은 2016년과 2019년의 제품의 풍량별 판매대수를 보여준다. 2016년 14,122대의 판매량에서 2019년도 65,691대로 판매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판매량이 급격히 증가한 풍량은 300~400 m$^{3}$/h과 700~800 m$^{3}$/h 제품이다. 기존 소형 풍량기준 500 m$^{3}$/h 미만 제품에서 500 m$^{3}$/h 이상 제품의 보급량도 증가하였다. 이는 교육시설의 한 학급당 재실 학생수(20人 기준)의 필요한 외기도입량에 따라 각 교실별 1대(400 m$^{3}$/h) 또는 2대((800 m$^{3}$/h) 제품을 설치하는 형태가 나타났기 때문이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하여 Fig. 2의 2016년과 2019년도의 제품 형태(Fig. 2(a)) 설치구분(Fig. 2(b))을 살펴보면 덕트형 타입이 99% 존재하던 2016년 시장에서 비덕트형 타입이 17%를 증가한 시장으로 새로운 제품 형태가 사업화 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설치형태도 공동주택의 위주의 천정매립형(Recessed ceilling type)에서 학교 설치를 위한 바닥상치형(Floor stand type) 설치 형태로 변화된 것으로 확인된다.

3. 국내 HRV 성능수준 현황

3.1 HRV 자료분석현황(2004년~2017년)

본 장에서는 국내의 공공데이터에 등록된 HRV의 정보를 조사하였다. 각 제조사의 제품정보는 조회가 가능하나 공인된 자료가 아니기에 조사 범위에서 제외하였다. 고효율에너지기자재 데이터베이스 조사를 통하여 2004년~2017년까지의 HRV 788건의 제품 성능 현황을 조사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전열교환 기능을 갖는 제품으로 조사의 범위를 한정하였다. Table 1에 HRV 풍량별 788건의 인증 제품 수를 나타내었다. 총 인증제품 중 150 ㎥/h 용량의 열회수형 환기장치가 전체 인증제품의 22.7%(179건)로 가장 많았으며, 200 ㎥/h 용량(137건)과 250 ㎥/h 용량 제품(133건) 순으로 나타났다. 인증제품의 제품 형식별 인증현황을 살펴보면 전체 제품의 98%에 해당하는 776건의 인증제품이 덕트방식이다. 그 이외는 무덕트형 9건, 윈도우형 3건으로 확인됐다. 이는, 공동주택대상을 중점적으로 시장이 형성된 시기에 천정매립형 덕트형 타입이 주요 사업화 품목이었기에 나타난 원인으로 분석된다.

Table 1 Number of certifications of HRV (2004~2017 year)

Ventilation unit capacity [m$^{3}$/h]

50

8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500

600

700

800

1000

1200

1250

1500

Numbers

14

1

64

179

137

133

15

60

9

1

51

2

1

60

52

2

2

4

Table 2 Heat exchange rate and power consumption by ventilation unit capacity (2004~2017 year)

Performance

Ventilation unit capacity [m$^{3}$/h]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500

800

1000

Heat Exchange rate [-]

Cooling

55.0

55.9

55.6

56.4

55.2

51.2

52.7

52.3

52.9

55.5

53.7

Heating

73.8

72.9

74.1

72.9

73.5

72.1

73.1

73.0

74.2

75.5

72.8

Electric Consumption [W]

19.7

40.3

58.3

76.4

99.1

110.2

130.3

151.2

208.4

332.8

466.8

Table 2는 HRV의 난방모드 냉방모드 각각의 유효전열교환 효율, 소비전력을 보여준다. 냉방모드의 유효전열 교환 효율은 최소 51.2%, 평균 54.2%, 최대 56.4%이며, 난방모드의 유효전열교환 효율은 최소 72.1%, 평균 73.4%, 최대 75.5%로 분석되었다. 전체적으로 제도에서 요구하는 인증기준인 냉방효율 45%, 난방효율 70% 기준을 약 3% 높은 수준으로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냉방모드에서 가장 효율이 좋은 풍량은 200 m$^{3}$/h 제품이고, 난방모드에서 가장 효율이 좋은 풍량은 800 m$^{3}$/h 제품이다. 풍량별 소비전력은 다르게 나타났다.

3.2 필터장착 의무화 이후 HRV현황(2018년~2020년)

정부의 미세먼지 대책 시행 전후로 필터가 장착된 HRV의 성능변화에 대한 조사를 위하여 국내 공공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는 HRV의 용량별 외관의 크기, 필터크기, 열교환 소자 크기, 에너지성능, 소비전력을 조사하였다. 표본조사 대상은 조달청에 등록된 25개 업체의 171개 모델이다.

Table 3에 조달청 등록 HRV의 용량별 냉방 유효전열교환효율, 난방 유효전열교환효율, 소비전력의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냉방, 난방 유효전열교환 최대효율은 50 m$^{3}$/h 제품에서 63.7%(기준 45% 이상), 78.3%(기준 70% 이상)로 확인되었다. 종합적 분석을 위해 2004년~2017년에 고효율 에너지기자재에 등록된 788개 제품(그룹 1)과 2018년~2020년 171개 모델의 제품(그룹 2)의 풍량별 효율변화를 분석하였다.

Fig. 3은 풍량별 난방모드의 유효전열교환효율 집계 결과이고, Fig. 4는 풍량별 냉방모드 유효전열교환효율의 집계 결과이다. 풍량 별 냉방 전열교환효율은 그룹 1은 평균 54.2%, 그룹 2는 평균 59.7%이며, 난방 전열교환효율은 그룹 1에서 평균 73.4%, 그룹 2에서 평균 74.3%로 유사 수준이다. 고효율에너지기자재 인증 시행 목적인 시장 보급 제품의 성능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하는 목적에는 부합하나, 기술개발을 통해 제품의 효율이 더욱 향상되지 못하고 유사수준으로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룹 2는 필터장착이 의무화된 시점의 제품으로 풍량 500 m$^{3}$/h, 800 m$^{3}$/h 용량에서만 난방 유효전열교환효율이 2%, 6% 낮아진 것으로 확인되며, 이는 바닥상치형이 주요제품으로 열교환소자의 소형화를 통한 통과 유로의 소형화와 기기 부피를 최소화하려는 시도에서 나타난 현상으로 사료된다.

Fig. 5 에는 그룹 1과 그룹 2의 풍량별 소비전력 추이와 풍량 별 소비전력 비율의 증감을 나타내었다. 필터장착 후 150 m$^{3}$/h 이하 용량은 3%~9% 소비전력이 증가하였다. 필터 설치에 따른 공기 유로상의 저항이 커지기 때문에 정격풍량의 조건을 맞추기 위하여 설정풍량을 증가시켜 소비전력도 증가된 것으로 분석된다. 풍량 400 m$^{3}$/h 이하 용량은 5%~13% 소비전력이 감소하였다. 그러나 열교환 효율도 동시에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며, 이는 송풍기의 효율 향상과, 열교환 효율 소자의 크기 감소로 나타난 결과로 사료된다. 그러나, 800 m$^{3}$/h 이상의 대용량 제품은 소비전력이 높게 분포하여 송풍기 효율향상을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된다.

Table 3 Heat exchange rate and power consumption by ventilation unit capacity (2018~2020 year)

Performance

Ventilation unit capacity [m$^{3}$/h]

50

100

150

200

250

350

400

500

800

1000

Heat Exchange rate[-]

Cooling

63.7

61.0

63.4

62.5

57.3

59.5

60.5

56.7

56.0

56.4

Heating

78.3

75.1

77.6

73.5

74.6

73.8

73.6

73.0

71.4

72.5

Electric Consumption [W]

21.7

42.7

59.9

71.3

100.5

138.7

133.7

195.8

305.2

441.6

Fig. 3 Heating exchange rate change.
../../Resources/sarek/KJACR.2022.34.3.145/fig3.png

Fig. 4 Cooling exchange rate change.
../../Resources/sarek/KJACR.2022.34.3.145/fig4.png

Fig. 5 Electric consumption change.
../../Resources/sarek/KJACR.2022.34.3.145/fig5.png

Fig. 6 Air inflow area by ventilation unit capacity.
../../Resources/sarek/KJACR.2022.34.3.145/fig6.png

Fig. 6은 HRV 용량별 필터의 공기여과면적(필터 단면적)을 보여주고 있다. 열회수형 환기장치는 열교환 소자가 삽입되는 제품의 특성에 따라 환기장치의 용량별 필터의 여과면적과 열교환소자의 통과면적과 유사한 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장치 내에서 외기유입 공기의 이동이 필터, 열교환 소자를 연속해서 통과하도록 하기 위해 유사한 크기로 제작된 것으로 분석된다.

4. 국내․외 HRV 표준현황 및 개선점

4.1 국내․외 표준현황

제품의 신뢰성 확보와 시장에서 업체 간 자유경쟁을 통한 성능향상 및 기술개발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HRV의 올바른 성능평가가 필수적이다. 공식적인(제조사, 판매자, 소비자) 성능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표준에 근거한 성능평가 결과가 공표되어야 한다. HRV의 품질평가를 위해서는 표준적인 성능시험 방법이 확립되어야 한다. 본 장에서는 국내․외의 성능평가 표준을 비교 분석하여, 해외시장 진출을 위해 필요한 성능 검토 항목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며, 국외의 표준을 벤치마킹하여 국내 현황에 부합되는 성능표준 개선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Table 4는 HRV 관련된 국내외 규격을 정리한 것이다. 각 국내외 표준규격의 대표항목으로 풍량, 열교환효율, 에너지계수, 장치케이싱의 누기량(기밀성), 공기유로상의 혼합 공기의 누기량(외기-급기와 환기-배기 경로), 필터관련시험, 안전성관령 시험 항목을 조사하였다. 표준규격의 우선 순위로는 ISO 국제표준이 가장 상위로 존재한다. 그러나, 각 국가에서도 각 국의 개별 표준을 만들어 운용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일본의 JIS B 8628을 참조하여 제정한 한국의 KS B 6879가 마련되어 있으며, ISO 16494의 경우 한국의 KS B 6879를 국제규격화한 내용이다. 그러나 2020년 기준 KS B 6879의 일부 내용에 대해서 국제표준화 ISO 16494와 부합화를 위한 개정이 이루어졌다. 또한, 미세먼지 대응 기술로서 공기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술적 요구 조건으로 일정수준 이상의 필터사양 기준과 필터 장착부의 누설률 시험이 신규로 추가되었다. 국외의 경우 필터제품에 대한 성능평가 표준은 존재하고 있지만, 기기 장착 시의 문제점은 확인하지 않고 있어 국내의 KS 표준에서 최초로 시험 항목으로 검토하고 있는 것이다.

유럽의 DIN EN 308 규격은 장치케이싱 누기량(External air leakage test)과 내부의 혼합 공기누기량(Internal air leakage test)에 대한 성능평가 항목을 구분하고 있다. 장치케이싱 누기량의 경우 케이싱 내외부의 압력차(400 Pa)를 만들어 공기누기량을 측정한다. 내부의 혼합 공기 누기량으로 열교환소자에서 교차되는 공기 유로의 교차오염성(공급공기 누기율)을 검토하고 있다. 한국의 KS B 6879, 일본의 JIS B 8628, 캐나다의 CAN/CSA C 439-88 규격에서도 열교환 효율 산정에 있어 내부의 혼합 공기 누기량을 측정하여 열교환 효율을 보정하고 있지만 장치케이싱의 누기량 검토는 실시하지 않고 있다.

에너지성능 평가항목인 에너지계수(COE) 전기사용량과 공기 전열량과의 비로 정의되며 CAN/CSA-C 439-88, ISO 16494, KS B 6879에서 평가를 실시한다. 미국의 HRV 표준은 UL 1812(덕트타입), UL 1815(무덕트타입), AHRI 1060, ASHRAE/ANSI 84가 있으며 UL 1812, UL 1815는 제품의 전기적 안전과 제품의 구조 등에 규격을 제시하고 있다.

Table 4 Test standards

Country

Code

Titles

Performance factors

Air

flow

Heat exchange efficiency

Coefficiency

of energy

air leakage test

Filter options

Safety

Canada

CAN/CSA-C439-88:1988(8)

Standard methods of test for rating the performance of heat- recovery ventilator

Internal

-

-

EU

DIN EN 308:1997(9)

Heat exchange - test procedures for establishing the performance of air to air flue heat recovery devices

External/ Internal

-

-

ISO

ISO 16494:2014(10)

Heat recovery ventilators and energy recovery ventilators – method of test for performance

Internal

-

-

Japan

JIS B 8628:2017(11)

Air-to-air heat and energy exchanger and ventilators

-

Internal

-

Korea

KS B 6879:2020

Heat recovery Ventilator

Internal

USA

UL 1812:2013(12)

Standard for safety ducted heat recovery ventilators

-

-

-

-

-

UL 1815:2012(13)

Standard for nonducted heat recovery ventilator

-

-

-

-

-

AHRI 1060:2018(14)

Performance rating of air-to-air exchange for energy recovery ventilator equipment

Internal

-

-

ASHRAE

Standard 84:2013(15)

Method of testing Air-to-Air Heat Exchangers

Internal

-

-

Table 5에 HRV의 평가를 위한 각 표준 별 시험항목과 조건, 측정방법에 대해서 나타내었다. 풍량 측정에 있어서 피토튜브를 이용한 차압 측정 방식과, 멀티형 노즐 방식의 풍동(차압측정)을 이용한 풍량 측정방식이 존재한다. 열교환 효율은 각 나라별 대표온도를 이용하여 평가하도록 각각 다른 온도조건을 마련하고 있다.

JIS B 8628의 경우 일본을 4개 기상대로 구분하여 4개 기상대에 따른 열교환 효율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미국 역시 ASHRAE 90.1-2013 표준에서 기후조건에 따라 급기유량이 고려된다. 제품의 성능 기준을 명시한 표준은 AHRI 1060, JIS B 8628, KS B 6879 이며 제조사의 제시한 수준에서 각각의 평가항목에 따라 수준을 만족해야만 한다. 장치의 결로 평가에 있어서 아시아 지역의 JIS B 8628과 KS B 6879가 여름철, 겨울철 운전 조건에 따라 결로평가 항목을 두고 있으며, 통전부와 비 통전부의 절연저항과 장치의 표면에 결로수가 맺힘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평가하고 있다. 2020년 KS B 6879 개정 시 ISO 16494와 부합화 되었지만 2가지의 추가적인 검토 항목 개선이 요구된다. 첫째는 장치 케이싱 누기량 평가를 통한 케이싱의 기밀성 평가이고, 둘째는 열교환 효율에 있어서 기상 기후대에 따른 별도의 온도시험조건을 추가하여 성능을 검토하는 것이다. 각 지역별 온도 평가를 통하여 기후 조건별 외기 부하의 처리에 부합되는 효율을 제시하여 (현열교환, 잠열교환) HRV 제품의 다양성이 기대된다.

Table 5 Detail of test standards

ASHRAE 84

AHRI 1060

DIN EN 308

JIS B 8628

KS B 6879

ISO 16494

Scope

Air-to-Air Energy Recovery

Ventilation Equipment

Air-to-Air Energy Recovery

Ventilation Equipment

Determination of the performance across a heat exchanger.

Heat recovery ventilators for comfortable air conditioning

Heat recovery ventilators and energy

recovery ventilators

Heat recovery ventilators and energy

recovery ventilators

Type

of test

Airflow

Pitot static tubes,

Multiple nozzles

Pitot static tubes,

Multiple nozzles

Duct method

(Pitot static tubes)

Chamber method,

Duct method

Pitot static tubes,

Multiple nozzles

Pitot static tubes,

Multiple nozzles

static pressure differential

The difference in static pressure between the inlet static pressure and outlet static pressure

The difference in static pressure between the inlet static pressure and outlet static pressure

The difference in static pressure between the inlet static pressure and outlet static pressure

The difference in static pressure between the inlet static pressure and outlet static pressure

The difference in static pressure between the inlet static pressure and outlet static pressure

The difference in static pressure between the inlet static pressure and outlet static pressure

Exhaust Air Transfer Ratio

Unalive Gas and

Carbon Dioxide

Unalive Gas

(SF6 etc.)

Unalive Gas

Unalive Gas and

Carbon Dioxide

Unalive Gas and

Carbon Dioxide

Unalive Gas

(SF6, CO2 etc.)

Heat exchange efficiency

Ducted type

Ducted type

Ducted type

Ducted type or two-room type

Ducted type or two-room type

Ducted type or two-room type

Condensation

-

-

6 hours

(Heating)

Cooling 6 hours(operation)

Heating 6 hours(operation and stop)

Cooling 4 hours(operation)

Heating 4 hours(operation and stop)

-

Standard Rating Conditions

Cooling

Indoor

DB

Minimum temperature difference 14℃

Minimum humidity difference

0.003kg/kgDA

23.9℃

-

27±1℃

24℃

21~27℃

WB

17.2℃

-

20±1℃

17℃

15~20℃

Outdoor

DB

35℃

-

35±1℃

35℃

35℃

WB

25.6℃

-

29±1℃

24℃

23~31℃

Heating

Indoor

DB

Minimum temperature difference 14℃

Minimum humidity difference

0.007kg/kgDA

21.1℃

25℃

20±1℃

22℃

20~21℃

WB

14.4℃

18℃

14±1℃

13.9℃

12~15℃

Outdoor

DB

1.7℃

5℃

5±1℃

2℃

2~7℃

WB

0.6℃

3℃

3±1℃

0.4℃

1~6℃

Criteria

Airflow

-

Greater than or

equal to 95%

-

±10% of

displayed value

Greater than or

equal to 90%

-

static pressure differential

-

less than or

equal to 110%

-

±10% of

displayed value

±10% of

displayed value

-

Exhaust Air Transfer Ratio

-

Greater than or

equal to 90%

-

Greater than or

equal to 85%

(Medium type 90%)

Greater than or

equal to 90%

-

Heat exchange efficiency

-

Greater than or

equal to 95%

-

Greater than or

equal to 90%

Greater than or

equal to 90%

-

Condensation

-

-

Condensation water check

Insulation resistance, Condensation water check

Insulation resistance, Condensation water check

-

5. 결 론

본 연구에서는 HRV 제품의 고효율에너지기자재 인증 시의 풍량 별 성능분포(그룹 1, n=788)와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공기필터 적용 후의 풍량 별 성능 분포(그룹 2, n=171)를 조사 분석하였다. 각 데이터의 신뢰성을 위하여 공인시험기관에서 시험 후 공개된 성능데이터만을 이용하였다. 주요 분석 내용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1) 그룹 1의 HRV의 고효율에너지기자재 인증이 활성화된 2004년~2017년의 주요 제품군은 덕트형으로 공동주택 적용제품이다. 풍량 별 냉방 전열교환효율은 그룹 1은 평균 54.2%, 그룹 2는 평균 59.7%이며, 난방 전열교환효율은 그룹 1에서 평균 73.4%, 그룹 2에서 평균 74.3%로 유사 수준이다. 고효율에너지기자재 인증 시행 목적인 시장 보급 제품의 성능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하는 목적에는 부합하나, 기술개발을 통해 제품의 효율이 더욱 향상되지 못하고 유사수준으로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룹 2의 필터장착이 의무화된 시점의 제품으로 풍량 500 m$^{3}$/h, 800 m$^{3}$/h 제품의 바닥 상치형 제품의 판매량이 증가하였다. 본 제품은 학교 교실 또는 다중이용시설 적용을 위한 제품군으로 확인되며, 필터장착에 따라 풍량 별 소비전력은 약 6~13%까지 상승하였다. 에너지효율지표인 난방 시 유효전열교환효율은 1~5%로 소폭 향상되었으며, 냉방시 유효 전열교환효율은 1~14%로 향상되었다.

(2) 국내․외 표준화에 있어서는 KS B 6879 표준이 세계 최초로 필터 장착에 대한 누설율을 평가항목으로 마련하였다. 그러나 국외유사 표준에서 고려하고 있는 열교환 성능 부분의 계절별 변동효율 평가와 장치 프레임의 누설률 평가 항목은 국내에서도 평가항목으로 채용하여 HRV의 모델의 다양화와 프레임 부분의 누설을 해결하여 장치 내외부의 공기혼합 방지, 결로 발생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후 기

이 논문은 2021년 국립대학 육성사업의 재원으로 국립 한밭대학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 결과물의 일부입니다.

References

1 
Ministry of Land , 2019,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467Google Search
2 
Korea Energy Agency , 2017, Information on Items Excluding High Efficiency Energy EquipmentGoogle Search
3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 2019, Green Building Design Criteria 2019-42Google Search
4 
KSA , 2020, KS B 6879:2020 Heat Exchange Ventilator, Korean Standards AssociationGoogle Search
5 
Tae K. E., 2017,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Magazine of the SAREK, Vol. 46, No. 4, pp. 16-22DOI
6 
Korea Energy Agency , 2017, Information on Items Excluding High Efficiency Energy Equipment (https://eep.energy.or.kr/higheff/hieff_intro.aspx, accessed 20 December 2019)Google Search
7 
Korea On-Line E-procurement System , 2020, (http://www.g2b.go.kr/index.jsp)Google Search
8 
CSA group , 1988, CAN/CSA-C439-88 Standard Methods of Test for Rating the Performance of Heat-Recovery VentilatorsGoogle Search
9 
CSA group , 1988, CAN/CSA-C439-88 Standard Methods of Test for Rating the Performance of Heat-Recovery VentilatorsGoogle Search
10 
DIN-adopted European Standard , 2017, DIN EN 308:1997, Heat Exchange - Test Procedures for Establishing the Performance of Air to air Flue Heat Recovery Devices, 2017Google Search
11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 2014, ISO 16494:2014 Heat Recovery Ventilators and Energy Recovery Ventilators - Method of Test for PerformanceGoogle Search
12 
Japanese Industrial Standards , 2017, JIS B 8628 Air-to-air Heat and Energy Exchanger and VentilatorsGoogle Search
13 
UL 1812:2013 Standard for Safety Ducted Heat Recovery VentilatorsGoogle Search
14 
UL 1815:2012 Standard for Nonducted Heat Recovery VentilatorGoogle Search
15 
2018, Air-Conditioning Heating & Refrigeration Institute, AHRI Standard 1060(I-P)Google Search
16 
ASHRAE Standard 84:2013 Method of Testing Air-to-Air Heat ExchangersGoogle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