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SO Journal TitleKorean J. Air-Cond. Refrig. Eng.
  • Open Access, Monthly
Open Access Monthly
  • ISSN : 1229-6422 (Print)
  • ISSN : 2465-7611 (Online)

  1. 부산대학교 건축공학과 석박사통합과정 (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4624, Pusan, Korea)
  2. 부산대학교 건축공학과 박사후연구원 (Postdoctoral Researcher,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4641, Pusan, Korea)
  3. 부산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 (Professor,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46241, Pusan, Korea)



공기열원히트펌프, 냉난방 부하, 융복합시스템, 운전수법, 태양광열
Air source heat pump, Heating and cooling load, Integrated system, Operation method, Photovoltaic-thermal

기호설명

$COP$: 성능계수
$PLR$: 부분 부하율
$HER$: 채열량 [kW]
$Q$: 냉난방 및 축열부하 [kW]
$W$: 소비전력 [kW]
$\dot{m}$: 질량유량 [kg/s]
$T_{i}$: 열교환기 입구측 순환수온도 [K]
$T_{o}$: 열교환기 출구측 순환수온도 [K]
$C_{P}$: 비열 [kJ/(kg․K)]
$\rho_{air}$: 건공기 비중량 [kg/m3]
$V$: 건물 용적 [m3]
$hp$: 공기열원 히트펌프
$p1$: 열원측 순환펌프
$p2$: 부하측 순환펌프
$st1$: 온수급탕용 축열조
$st2$: 냉난방용 축열조

1. 서 론

최근 기후위기에 대한 심각성이 고조되면서 EU, 영국, 미국, 캐나다 등 주요국가에서는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선언하며 빠른 속도로 기후변화 대응체제에 돌입하였다. 우리나라는 2020년 국회 시정연설에서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시행하겠다는 목표를 천명한 이후, 2021년 로마 G20 정상회의에서 탄소중립에 대한 의지를 표명하였다.(1) 한편 IEA(International energy agency)의 보고서(World energy investment 2021)에 따르면 2020년 재생에너지 발전에 대한 투자규모는 3,588억 달러로, 전년 대비 6.9% 증가하여 총 전력부문에 대한 투자에서 재생에너지의 비중이 46.1%를 차지한다고 분석하였다. 또한 건물부문에서의 에너지효율에 대한 투자 규모가 전년 대비 11% 증가하여 1,8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였다.(2) 특히 신재생 에너지 중 냉난방 시스템으로 주목받고 있는 태양열이나 지열 히트펌프 시스템은 공기열원 히트펌프에 비해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여 히트펌프의 개발과 함께 설치가 증가하고 있다. Nam(3)은 동적 시뮬레이션 툴을 이용하여 지열과 태양열을 열원으로 사용하여 건물의 냉난방 시스템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저자에 따르면 외기온이 낮고 난방 부하가 큰 지역일수록 공기열원 히트펌프 시스템이 지열원 히트펌프 시스템에 비하여 상대적 성능이 불리한 것으로 서술하였다. 하지만 태양열을 이용한 난방 시스템은 지역에 따른 일조시간과 불규칙한 외부 환경에 의해 집열시간과 집열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을 극복해야 하고, 지열 히트펌프시스템은 초기투자비용이 높고 연속운전시 지중온도의 변화를 야기하여 성능저하가 발생하는 약점 등의 기술적 한계를 가지고 있다. 한편, 공기열원 히트펌프 시스템은 초기투자비용과 유지보수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외기온도가 매우 높거나 낮은 환경에서 사용할 경우 히트펌프 성능이 상당히 낮아지는 한계가 있다.(4)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효율적인 냉난방 시스템을 운용하기 위하여 태양광열과 공기열원 히트펌프 시스템을 결합한 융복합시스템이 개발되어 실제건물에도 적용되고 있다. Bae et al.(5)은 공기열원히트펌프와 태양광열이 결합된 융복합시스템을 제안하고 실제 환경조건을 고려한 해석모델을 개발 후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해석결과를 통해 통합제어 알고리즘의 안정성과 융복합 시스템의 제로에너지빌딩에 대한 우위성을 확인하였다. Poppi et al.(6)은 주택에 가정용 온수와 난방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 신재생 융복합시스템에 대한 지역별 성능해석을 수행하고 물가상승률과 전기요금을 고려하여 신재생에너지 설비 확장에 대한 효율적 운용방안을 수립하였다. 더욱이, Wang et al.(7)은 공기열원히트펌프 시스템을 기반으로 태양열과 태양광을 보조 에너지 수단으로 사용하여 시스템 성능분석을 실시하였고, 실험결과를 통해 가장 효율적인 운전결합을 제시하였다. 한편, Cho et al.(8)은 공기열원히트펌프와 태양광열이 결합된 융복합시스템의 실내온도 예측모델을 개발하고 예측값 기반의 최적제어를 시행하는 적응형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최적제어 알고리즘의 지속적인 열쾌적 제공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신재생 융복합시스템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학습데이터 구축이 미비하고, 정량적 분석을 통한 예측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는 드물다. 신재생 융복합시스템은 다양한 환경에서도 열 성능이 우수한 최적제어 예측모델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공기열원 및 태양광열을 동시에 이용하는 융복합 시스템의 최적제어를 위해, 시스템성능 해석모델을 구축하고 순환수 유량에 따른 시스템 성능을 분석하여 최적제어 학습데이터를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동적 에너지 시뮬레이션 툴을 이용하여 순환수 유량별 시스템 성능을 평가하고 건물의 냉난방을 담당하는 히트펌프 시스템의 최적제어 학습데이터 구축에 대하여 서술한다.

2. 신재생 융복합시스템

2.1 신재생 융복합시스템 개요

Fig. 1은 부산광역시 기장군에 위치한 실증사이트의 융복합시스템 계통도를 나타낸다. 대상 건물은 연면적 120 ㎡, 높이 2.7 m, 공조공간은 324 m3의 소규모 업무시설로 융복합시스템의 상세한 내용은 Table 1과 같다. 본 시스템은 태양광원과 태양열원의 에너지를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 태양광열시스템(Photovoltaic-thermal system, PVT), 공기열원 히트펌프(Air source heat pump, ASHP), 급탕용 축열조(Storage tank1, ST1), 냉난방 축열조(Storage tank2, ST2), 팬코일 유닛(Fan coil unit, FCU)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센서에서 측정된 값들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atabase Management System, DBMS)을 통해 데이터베이스 모델링을 실시 하였으며 TCP/IP 통신을 이용하여 1분 간격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저장된 센서 값들을 사용하여 코드 또는 웹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융복합시스템의 정밀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Fig. 1 Schematic diagram of the integrated system.
../../Resources/sarek/KJACR.2022.34.11.523/fig1.png
Table 1 Container box dimension for ISO

Input Variables

Values

Input Variables

Values

Heat pump

(ASHP)

Rated heating capacity

9 kW

Photovoltaic-thermal collector (PVT)

Area

16 ㎡

Rated heating power

2.4 W

PV Efficiency

16%

Rated cooling capacity

8 kW

Heat storage tank

Volume

300 L

Rated cooling power

2.4 kW

Water pump

Pump1

Rated flow rate

52 LPM

Rated flow rate

35 LPM

Rated power

210 W

Fan coil unit

(FCU)

Rated heating capacity

13 kW

Pump2

Rated flow rate

46 LPM

Rated cooling capacity

12 kW

Rated power

240 W

Rated fan power

0.2 kW

Pump3

Rated flow rate

36 LPM

Rated air flow rate

2580 CMH

Rated power

180 W

2.2 시뮬레이션 개요

신재생 융복합시스템의 최적제어 학습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하여 실내외 열교환기의 유량별 냉난방 성능을 해석하였으며, Fig. 2는 실증사이트의 융복합시스템 기반 시뮬레이션 모델을 나타낸다.

해석모델은 실증사이트를 기준으로 TRNSYS 18을 통해 모델링을 하였으며 벽체와 창문의 물성치는 국토교통부고시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을 참고하였다. 기상데이터는 국내 도시별 기상데이터의 기준을 제시한 한국패시브건축협회의 표준기상데이터 자료(9)를 사용하고 상세 입력변수는 Table 2와 같이 설정하였다. 건물 입력변수 중 취득이 어려운 데이터는 ASHRAE standard를 참고하였다. 또한, 축열조 이용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같은 시설물의 시스템 제원을 기반으로 운전수법에 관한 케이스스터디를 진행한 Chae et al.(10)의 기간별 운전수법 참고하였다. 기간별 운전수법은 축열조와 심야전력을 이용한 냉난방 운전, 히트펌프를 직접 이용한 냉난방 운전으로 구분된다. 시뮬레이션에서 사용한 히트펌프의 성능은 사용자가 정의한 성능 데이터를 기반으로, 히트펌프의 부하측 출수온도와 외기온도의 함수에 의해 결정된다.

Fig. 2 Simulation model of the integrated system.
../../Resources/sarek/KJACR.2022.34.11.523/fig2.png
Table 2 Input variables for analysis model

Input variables

Values

Information

Ventilation

0.56 /h

ASHRAE Standard 62.1-2019

Infiltration

0.11 /h

ASHRAE Standard 62.2-2019

Internal gain

Occupants

122 W/person

ASHRAE Standard 55-2020

Lights

6.89 W/㎡

ASHRAE Standard 90.1-2019

Equipment

5.51 W/㎡

Service hot water

22.8 L/day

ASHRAE Handbook-HVAC Application-2019

Heating and cooling

Heating using storage tank

Period

Jan., Dec.

Setpoint

21℃

Setpoint of storage tank: 45℃

Cooling using storage tank

Period

Apr., May., Jun., Jul., Aug., Sept.

Setpoint

24℃

Setpoint of storage tank: 10℃

Heating using heat pump

Period

Feb., Nov.

Setpoint

21℃

Cooling using heat pump

Period

Mar., Oct.

Setpoint

24℃

3. 융복합시스템 성능해석

3.1 축열조를 이용한 냉난방 운전

축열조를 이용한 냉난방 운전시 열교환기의 유체측 유량은 순환펌프의 정격유량으로 설정하였다. Fig. 3은 축열조를 이용한 냉방운전 시 히트펌프의 입출수 차온 및 전력량과 히트펌프 COP, 외기온도의 변화를 나타낸다. 히트펌프의 입출수 차온을 분석한 결과, 축열부하가 많이 발생하는 오전 9시에 차온 및 COP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평균 외기온도가 가장 높은 시간의 COP는 3.01로 나타남을 확인했다. 반면 외기온도가 감소하는 오후에는 히트펌프 입출수 차온과 COP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외부 공기로부터의 열교환 효율이 높아짐에도 불구하고 축열부하가 감소하여 히트펌프의 압축효율이 저하된 것으로 사료된다.

Fig. 4는 축열조를 이용한 난방운전의 해석 결과로서 히트펌프의 입출수 차온 및 전력량, 히트펌프 COP, 외기온도의 변화를 나타낸다. 히트펌프의 입출수 차온을 분석한 결과, 평균적으로 축열부하가 감소하는 낮 시간에는 COP가 감소하였으나 평균 외기온도가 영하 이하로 내려간 1월 16일의 경우 외기온도가 상승하는 오후 시간에도 축열부하가 높게 발생하여 COP가 증가함을 확인했다. 평균 외기온도가 가장 높은 시간의 COP는 2.14, 외기온도가 가장 낮은 시간의 COP는 2.16로 나타났다.

따라서 열교환에 불리한 외기 환경에서는 축열조의 이용률을 높이고 히트펌프 가동률을 낮추는 것이 히트펌프 성능을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Fig. 3 Cooling performance and COP in August.
../../Resources/sarek/KJACR.2022.34.11.523/fig3.png
Fig. 4 Heating performance and COP in January.
../../Resources/sarek/KJACR.2022.34.11.523/fig4.png

3.2 히트펌프를 직접 이용한 냉난방 운전

히트펌프를 직접 이용한 냉난방 운전시 열교환기의 유체측 유량은 순환펌프의 정격유량으로 설정하였다. Fig. 5는 히트펌프를 직접 이용한 냉방운전 시 히트펌프의 입출수 차온과 소비전력, 히트펌프 COP, 외기온도의 변화를 나타내며, 실내외 열교환기의 순환수 유량은 순환펌프의 정격유량으로 설정하였다. 히트펌프의 입출수 차온이 증가함에 따라 COP가 감소하였으며 최대부하가 발생한 시간의 COP는 5.43로 확인했다. 냉방부하가 낮거나 열교환에 유리한 환경에서 축열운전을 수행하는 축열조 이용 냉방운전과는 다르게, 히트펌프 직접 운전은 외기온도와 냉방부하가 낮을 때 히트펌프 이용률이 감소하여 히트펌프 소비동력이 증가하고 압축일 효율이 감소하여 오전 시간의 COP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Fig. 6은 히트펌프를 직접 이용한 난방운전의 해석결과로서 히트펌프의 입출수 차온 및 소비전력, 히트펌프 COP와 외기온도의 변화를 나타낸다. 히트펌프의 입출수 차온이 감소함에 따라 COP가 감소하였으며 최대부하가 발생한 시간에서 히트펌프의 입출수 차온과 COP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또한, 외기온도가 가장 높은 시간의 COP는 2.29, 외기온도가 가장 낮은 시간의 COP는 3.88로 나타났다.

히트펌프를 직접 이용한 냉난방 운전은 냉난방 부하가 작을 때 히트펌프 성능이 좋지 못함을 확인했다. 따라서 부하 감소로 인해 히트펌프 COP가 감소할 경우 열교환기측 순환수 유량을 감소시켜 히트펌프 입출수 차온을 증가시킨다면 히트펌프 성능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Fig. 5 Cooling performance and COP in October.
../../Resources/sarek/KJACR.2022.34.11.523/fig5.png
Fig. 6 Heating performance and COP in February.
../../Resources/sarek/KJACR.2022.34.11.523/fig6.png

3.3 융복합시스템의 연간 성능해석

Table 3은 융복합 시스템의 성능해석 결과로 운전수법에 따른 월평균 히트펌프 COP, 히트펌프와 PVT의 HER(Heat exchange rate), 태양광 발전의 산출결과를 각각 나타내며, 열교환기의 순환수 유량은 순환펌프의 정격유량으로 설정하였다. 식(1)은 히트펌프 COP로 히트펌프의 입출수 차온과 유량, 히트펌프 소비전력을 사용하여 계산하였고, 식(2)는 히트펌프와 PVT의 채열량으로 열교환기의 입출구 유체온도와 유량을 사용하였다.

Table 3 System performance of integrated system by operation method

Operation method

COP of HP

Heat exchange rate of HP (kW)

Heat exchange rate of PVT (kW)

Electricity consumption of HP (kW)

Electricity consumption of system (kW)

Electricity production of PVT (kW)

Heating using storage tank

2.88

436

34

151

212

163

Cooling using storage tank

4.86

1179

61

243

358

229

Heating using heat pump

3.07

143

36

46

70

161

Cooling using heat pump

5.61

375

52

66

105

199

(1)
$COP_{hp}=\dfrac{\dot{m}C_{P}\left | T_{i,\: hp}-T_{o,\: hp}\right |}{\dot{W}_{hp}}$
(2)
$HER =\dot{m}C_{P}\left | T_{"out"}-T_{"\in "}\right |[k W]$

4. 순환수 유량별 성능해석

4.1 축열조를 이용한 냉난방 운전의 유량별 성능해석

일반적으로 축열조를 이용한 히트펌프 유닛의 실내측과 실외측 열교환기의 순환수 유량은 비슷하거나 동일하다. 본 연구에서는 실내외 열교환기에서의 유체측 유량비율을 동일하게 설정하여 히트펌프 유닛의 순환수 유량 변화에 따른 부하별 성능을 확인하였다. 성능확인을 위해서 사용한 시뮬레이션은 동적 해석툴로 많이 이용되는 TRNSYS18을 사용하였다. 히트펌프 설계유량을 참고하여 순환수 유량의 비율(flow rate ratio, FRR = 순환수 유량 / 순환수 정격유량)의 한계값은 0.65로 설정하였다. 축열조의 설정온도와 히트펌프의 작동여부를 기준으로 축열조의 부하를 식(3)을 통해 계산하였고, 축열조의 부하율은 식(4)와 같다.

(3)
$Q_{st2}=C_{w}\dot{m}_{p1}\left | T_{st2,\: SP}-T_{st2}\right |[k W]$
(4)
$PLR_{st2}=\dfrac{Q_{st2}}{Q_{st2,\: max }}$

Fig. 7은 1월 동안 축열조 부하율에 따른 유량별 평균 HER과 히트펌프 COP를 나타낸다. 순환수 유량별 히트펌프의 성능해석을 위해 유량의 비율을 FRR 1.00과 FRR 0.65로 설정하고 부하율의 하한값은 0.5로 설정하였다. FRR 1.00의 히트펌프 HER은 470W, COP는 4.43, FRR 0.65의 HER은 473W, COP는 4.46로, 실외열교환기의 순환수 유량이 히트펌프 정격유량 이상으로 증가함에 따라 응축기와 증발기에서의 유체측 열전달계수가 감소하여 히트펌프 유닛의 HER과 COP가 약 0.6% 감소함을 확인했다.

Fig. 8은 8월 동안 축열조 부하율에 따른 유량별 히트펌프의 평균 채열량과 COP를 나타낸다. 유량별 히트펌프의 성능해석을 위해 유량의 비율을 FRR 1.00과 FRR 0.65로 설정하고 부하율의 하한값은 0.5로 설정하였다. FRR 0.65는 히트펌프의 정격유량을 나타낸다. FRR 1.00의 히트펌프 HER은 310W, COP는 4.25, FRR 0.65의 HER은 311W, COP는 4.27로, 실외열교환기의 순환수 유량이 히트펌프 정격유량 이상으로 증가함에 따라 COP가 0.5% 감소함을 확인했다.

축열조를 이용한 냉난방 운전 모두 순환수 유량이 히트펌프 정격유량에 가까워질수록 순환수 내부유동에서 발생하는 난류가 증가하여 히트펌프 채열량 및 COP가 미소하게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히트펌프 유닛의 채열량 대비 냉난방 시스템에서 소비한 전력량을 시스템 COP로 정의하였으며 시스템 COP는 식(5)와 같다.

(5)
$COP_{sys}=HER_{hp}/(W_{hp}+W_{p1}+W_{p2}+W_{fcu})$

Table 4는 대표월 기준 축열조를 이용한 냉난방 운전의 유량별 히트펌프 소비전력, 히트펌프 HER, 히트펌프 COP, 시스템 COP의 평균값을 나타낸다. 순환수 유량비와 부하율 한계는 FRR 0.5와 0.65로 설정하였다. 실내외 열교환기의 순환수 유량이 감소함에 따라 히트펌프 COP와 HER이 증가하였는데, 순환수 내부 유동에서 발생하는 난류 증가와 압축기의 입출구 압력이 감소한 것이 영향을 준 것으로 사료된다. 난방운전 시 FRR 1.00 대비 FRR 0.65의 히트펌프 COP는 0.02, 시스템 COP는 0.11 증가하였다. 냉방운전 시 FRR 1.00 대비 FRR 0.65의 히트펌프 COP는 0.02, 시스템 COP는 0.13 증가하였다.

일반적으로 히트펌프 유닛의 응축기와 증발기의 유체측 차온 증가는 압축기의 입출구 압력을 높여 유체측 열전달계수를 감소시킨다.(11) 본 시스템에서의 축열부하가 높은 상태에서 순환수 유량이 FRR 0.65일 경우, 압축기의 입출구 압력을 증가시켜 히트펌프 소비전력이 증가하였으며 히트펌프 COP가 일시적으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순환수 유량이 히트펌프 정격유량에 가까워질수록 운전 전반에 걸친 히트펌프의 COP와 채열량, 시스템 COP가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Fig. 7 Comparison of heating performance and COP by load ratio in January.
../../Resources/sarek/KJACR.2022.34.11.523/fig7.png
Fig. 8 Comparison of cooling performance and COP by load ratio in August.
../../Resources/sarek/KJACR.2022.34.11.523/fig8.png
Table 4 Heating and cooling performance by flow rate using a storage tank

Operation mode

(month)

Flow

rate ratio

Electricity consumption of HP (W)

Heat exchange rate of HP (W)

COP of HP

System COP

Heating using storage tank

(Jan.)

1.00

106

470

4.43

4.05

0.85

106

471

4.44

4.09

0.65

106

473

4.46

4.16

Cooling using storage tank

(Aug.)

1.00

72.9

310

4.25

3.24

0.85

72.9

310

4.25

3.29

0.65

72.9

311

4.27

3.37

4.2 히트펌프를 직접 이용한 냉난방 운전의 유량별 성능해석

축열조를 이용하지 않은 히트펌프 직접운전의 유량별 성능 해석을 위해 실내 부하율 계산은 아래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히트펌프 설계유량을 참고하여 FRR의 한계값은 0.65로 설정하였다. 실내온도와 설정온도, 히트펌프의 작동여부를 기준으로 실내 냉난방 부하를 식(6)을 통해 계산하였고, 실내 부하율은 식(7)과 같다.

(6)
$Q_{indoor}=C_{air}\rho_{air}V\left | T_{indoor}-T_{indoor,\: SP}\right |[k W]$
(7)
$PLR_{indoor}=Q_{indoor}/Q_{indoor,\: max}$

Fig. 9는 2월 동안 실내 부하율에 따른 유량별 히트펌프 COP와 채열량을 나타낸다. 순환수 유량별 히트펌프의 성능해석을 위해 유량의 비율을 FRR 1.00과 FRR 0.65로 설정하고 부하율의 하한값은 0.5로 설정하였다. FRR 1.00의 히트펌프 HER은 357W, COP는 3.13, FRR 0.65의 HER은 370W, COP는 3.25로, 순환수 유량이 히트펌프 정격유량 이상으로 증가함에 따라 응축기와 증발기에서의 유체측 열전달계수가 감소하여 히트펌프 유닛의 COP와 채열량은 약 4% 감소하였다. 특히 축열조를 이용한 난방운전과 비교하여 순환수 유량이 히트펌프 성능에 미치는 영향은 약 7배 정도 증가함을 확인했다.

Fig. 10은 10월 동안 실내 부하율에 따른 유량별 히트펌프 COP와 채열량을 나타낸다. 순환수 유량별 히트펌프의 성능해석을 위해 유량의 비율을 FRR 1.00과 FRR 0.65로 설정하고 부하율의 하한값은 0.5로 설정하였다. FRR 1.00의 히트펌프 HER은 400W, COP는 5.70, FRR 0.65의 HER은 418W, COP는 5.94로, 순환수 유량이 히트펌프 정격유량 이상으로 증가함에 따라 응축기와 증발기에서의 유체측 열전달계수가 감소하여 히트펌프 유닛의 COP와 채열량은 약 4% 감소하였다. 특히 축열조를 이용한 냉방운전과 비교하여 순환수 유량이 히트펌프 성능에 미치는 영향은 약 8배 정도 증가함을 확인했다.

Table 5는 대표월 기준 히트펌프를 직접 이용한 냉난방 운전의 순환수 유량별 히트펌프의 소비전력과 채열량, 히트펌프 COP, 시스템 COP의 평균값을 나타낸다. 순환수 유량비와 부하율 한계는 FRR 0.5와 0.65로 설정하였다. 난방운전 시 FRR 1.00 대비 FRR 0.65의 히트펌프 COP와 시스템 COP는 0.12 증가하였고, 난방운전 시 FRR 1.00 대비 FRR 0.65의 히트펌프 COP는 0.24, 시스템 COP는 0.29 증가하였다.

축열조를 이용한 냉난방 운전과 비교하여, 히트펌프 직접 냉난방 운전은 실외열교환기의 입구측 순환수가 축열조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아, 순환수 유량이 히트펌프 정격유량에 가까워질수록 히트펌프의 입출수 차온 및 히트펌프 COP가 크게 증가함을 확인했다.

Fig. 9 Comparison of heating performance and COP by load ratio in February.
../../Resources/sarek/KJACR.2022.34.11.523/fig9.png
Fig. 10 Comparison of cooling performance and COP by load ratio in October.
../../Resources/sarek/KJACR.2022.34.11.523/fig10.png
Table 5 Heating and cooling performance by flow rate using a heat pump

Operation mode

(month)

Flow

rate ratio

Electricity consumption of HP (W)

Heat exchange rate of HP (W)

COP of HP

System COP

Heating using

heat pump

(Feb.)

1.00

114

357

3.13

2.62

0.85

114

358

3.14

2.68

0.65

114

370

3.25

2.74

Cooling using

heat pump

(Oct.)

1.00

70.2

400

5.70

4.40

0.85

70.3

408

5.80

4.51

0.65

70.4

418

5.94

4.69

5. 결 론

융복합시스템은 구성요소가 다양하여 건물의 냉난방 부하를 정확하게 예측하고 효율적인 운전수법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축열-히트펌프 시스템의 기간 및 온도에 따른 운전계획을 수립하고 정유량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 후 공통 주요 변수인 실내외 열교환기의 순환수 유량 변화에 따른 성능 분석을 수행하여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정유량 융복합시스템에서, 히트펌프를 직접 이용한 난방운전의 히트펌프 COP는 외기온도보다 난방부하에 의존하였으나 냉방운전의 경우 냉방부하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외기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히트펌프 COP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축열조를 이용한 냉난방 운전의 경우 히트펌프 COP는 외기온도보다 축열부하에 의존하였다. 축열조를 이용한 난방운전은 외기온도가 높아짐에도 축열부하가 감소할 경우 히트펌프 COP가 감소하였으며 냉방운전의 경우 외기온도가 낮아짐에도 축열부하가 감소하여 히트펌프 COP가 크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냉난방 및 축열 부하감소로 인해 히트펌프 COP가 감소할 경우, 순환수 유량을 낮춘다면 히트펌프의 입출수 차온을 증가시켜 히트펌프 COP를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2) 정유량 융복합시스템의 성능해석 결과, 열교환에 불리한 조건의 기후일수록 축열조를 이용한 냉난방 시스템은 히트펌프를 직접 이용한 냉난방 운전과 비교하여 히트펌프 성능 면에서 상대적 우위를 가질 수 있었다. 하지만 냉난방 부하가 크게 요구되지 않는 환경에서는 히트펌프를 직접 이용한 냉난방 성능이 상대적 우위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건물의 용도 및 에너지 사용량, 공기열원의 상태에 따라 효율적인 운전수법을 마련한다면 융복합시스템의 용량 최적화 구현이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3) 실내외 열교환기의 순환수 유량을 히트펌프 정격유량 이상으로 증가시킬 경우 히트펌프 유닛의 채열량이 감소하고 압축기의 소비동력이 증가하여 히트펌프 COP가 미소하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순환수 유량을 FRR 1.00에서 FRR 0.65로 감소시킬 경우 축열조 이용 난방운전의 시스템 COP는 3%, 냉방운전의 경우 4% 증가하였다. 또한 히트펌프를 직접 이용한 난방운전의 시스템 COP는 5%, 냉방운전의 경우 7% 증가하였다. 그러나 순환수 유량 감소로 인해 히트펌프 입출수 차온이 지나치게 증가할 경우 압축기 입출구의 압력이 증가하여 히트펌프 성능이 일시적으로 저하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태양광열, 공기열원 히트펌프 융복합시스템의 운전수법과 순환수 유량별 성능해석을 실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실내외 열교환기의 입출수 차온과 공기열원의 상태에 따른 시스템 성능을 고려하여 축열조 이용률을 결정한다면 압축기의 소비동력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쾌적한 실내 열환경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다양한 조건에서의 축열조 부하와 실내 부하의 변동에 따른 시스템 COP 값을 학습데이터로 마련한 후 인공신경망 모델을 통해 높은 시스템 COP에 대응하는 순환수의 유량을 예측하여 융복합시스템의 순환수 유량을 제어한다면 추가적인 에너지절감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후 기

이 논문은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o. 2021R1A2C2014259). 또한,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음(과제번호 21CTAP-C163595-01).

References

1 
Lee E. Y., 2021, A Planning of Green Infra for Carbon Neutrality, Review of Architecture and Building Science, Vol. 66, No. 1, pp. 30-33Google Search
2 
International Energy Agency , 2021, World Energy Investment 2021, OECD PublishingGoogle Search
3 
Nam Y. J., 2012, Study on the Optimum Design of a Heat Pump System using Solar and Ground Heat, Korean Journal of Air 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4, No. 6, pp. 509-514DOI
4 
Ding Y., Chai Q., Ma G., Jiang Y., 2004, Experimental Study of an Improved Air Source Heat Pump, Energy Conversion and Management, Vol. 45, No. 15-16, pp. 2393-2403DOI
5 
Bae S. M., Chae S. W., Nam Y. J., 2022, Performance Analysis of Integrated Photovoltaic-Thermal and Air Source Heat Pump System through Energy Simulation, Energies, Vol. 15, No. 2, pp. 528DOI
6 
Poppi S., Bales C., Heinz A., Hengel F., Chèze D., Mojic I., Cialani C., 2016, Analysis of System Improvements in Solar Thermal and Air Source Heat Pump Combisystems, Applied energy, Vol. 173, pp. 606-623DOI
7 
Wang X., Xia L., Bales C., Zhang X., Copertaro B., Pan S., Wu J., 2020, A Systematic Review of Recent Air Source Heat Pump (ASHP) Systems assisted by Solar Thermal, Photovoltaic and Photovoltaic/Thermal Sources, Renewable Energy, Vol. 146, pp. 2472-2487DOI
8 
Cho H. W., Choi Y. J., Choi E. J., Kim T. W., Moon J. W., 2021, Performance Evaluation of an Adaptive & Predictive Control Algorithm for the Hybrid Heat Pump System using Computer Simulation,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Vol. 21, No. 6, pp. 55-62Google Search
9 
Passive House Institute Korea , 2013, Climate dataGoogle Search
10 
Chae S. W., Bae S. M., Nam Y. J., 2022, Dynamic Analysis of the Integrated System using Photovoltaic-Thermal and Air Source Heat Pump considering Real Building Applic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Vol. 42, No. 2, pp. 35-43DOI
11 
Lee J. Y., Chung J. T., Woo J. S., Choi J. M., 2010, Influence of the Secondary Fluid Flow Rate on the Performance of a GSHP System,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2, No. 10, pp. 35-43U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