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SO Journal TitleKorean J. Air-Cond. Refrig. Eng.
  • Open Access, Monthly
Open Access Monthly
  • ISSN : 1229-6422 (Print)
  • ISSN : 2465-7611 (Online)

  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박사후연구원 (Post-doc Researcher,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52 Gajeong-ro, Daejeon, Korea)
  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Principle Researcher,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15 Gajeong-ro, Daejeon, Korea)
  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기술원 (Engineer,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152 Gajeong-ro, Daejeon, Korea)
  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선임기술원 (Senior Engineer,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152 Gajeong-ro, Daejeon, Korea)
  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 (Senior Researcher,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12 Gajeong-ro, Daejeon, Korea)



5세대 지역냉난방, 양방향 열네트워크, 히트펌프, 동시냉난방공급, 열프로슈머
5th generation district cooling and heating network, Bi-directional thermal network, Heat pump, Simultaneous cooling and heating, thermal prosumer

1. 서 론

최근 단일건물 뿐만 아니라 커뮤니티 및 도시단위에서의 에너지 사용에서 화석연료가 최소화되도록 하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건물의 50%이상 에너지소비를 차지하는 냉방 및 난방에서의 화석연료 사용 절감 노력이 필요하다. 하지만, 신재생에너지 비율이 비교적 높은 EU에서조차 2020년 Eurostat 기준 냉방 및 난방 공급에 22%만이 신재생으로부터의 열에너지 공급이 이루어지고 있어 이를 증대하기 위한 방안 이 필요한 실정이다.(1)

이에, 기존 3세대 지역난방을 넘어, 4세대 지역난방 및 5세대 지역냉난방(5th generation district heating and cooling, 5GDHC)이나 초저온냉난방(Ultra low temperature district heat-ing and cooling, ULTDHC)에 대한 연구가 대두되고 있다.(2) 5세대 지역냉난방에서는 미활용에너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최근 냉방부하와 난방부하가 동시에 발생하는 열네트워크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3) 이 중, 커뮤니티에서 냉방과 난방부하가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 동시냉난방 히트펌프(simultaneous heating and cooling heat pump, SHCHP)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4) 동시냉난방 히트펌프를 활용할 경우, 열네트워크의 냉수 및 온수 배관의 온도 유지를 위한 온수 및 냉수 축열조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연중 냉방과 난방부하가 동시에 발생해야 가장 좋은 효과를 나타내므로, 국내와 같이 여름과 겨울의 일교차가 크고, 겨울에는 냉방에 대한 수요가 거의 없는 곳에서는 SHCHP의 적용이 제한적이다.(5)

그럼에도 불구하고, 냉방과 난방수요가 동시에 발생하는 여름철 주거용 건물의 열네트워크에 SHCHP를 활용할 수 있다면, 기존 5GDHC와 같이 배관 내 에너지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한 특별한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없어지므로, 시스템 구성이 안정적일 수 있다.(5) 주거용 건물에서는 봄, 여름 및 가을에는 높은 일교차로 냉방수요와 더불어 급탕 및 난방수요가 발생하기 때문에, 봄, 여름 및 가을에는 SHCHP를 활용하고, 겨울에는 기존 지역난방을 활용한다면 안정적인 열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6,7)

지금까지 SHCHP시스템과 관련하여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Shin et al.(8)은 축열조가 적용된 시스템에서 SHCHP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하기 위한 운영 제어 방법을 제안하고 적용성을 TRNSYS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하였다. Kang et al.(9)은 하나의 건물에서 냉방부하와 난방부하가 동시에 발생하였을 때 히트펌프의 운영 최적화 방법을 분석하였다. Ghoubali et al.(10)은 SHCHP 시스템에서 히트펌프의 냉매에 따른 성능을 TRNSYS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하였다. 하지만, 지금까지 SHCHP 시스템에서는 단일 건물, 특히 호텔과 병원과 같이 냉방부하와 난방부하가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에 대해서 냉열과 온열을 동시에 공급할 때 효율증대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Byrne and Ghoubali(11)는 air source heat pump(ASHP)를 기반으로 SHCHP를 구현하는 경우에 대한 운영 방법과 프로토타입 실증을 통한 에너지 성능결과를 바탕으로 엑서지 분석을 진행하였다. 추가로, 양방향 열프로슈머 구현 가능성을 7개의 공공건물로 구성된 블록히팅 네트워크에서 실증을 통해 검증한 사례도 있다.(12) 또한, 여름철 PV의 발전량이 과도하게 발생되기도 하므로, 잉여전력을 활용하기 위한 대안으로 ESS 대신 동시냉난방을 이용한 히트펌프 운영에 사용된다면, 커뮤니티 단위로 효과적인 신재생에너지 자가소비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13)

선행연구(13)에서는 SHCHP를 주거용 건물군에서 구현하기 위한 배관구성에 대한 개념설계와 PV의 잉여전력을 SHCHP를 통해 열로 변환하여 생산된 냉열과 온열을 판매할 경우 얻을 수 있는 수익을 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파일럿 스케일의 SHCHP를 실제 주택에 구현하고, 파일럿 설비의 테스트를 통해 국내 4세대 지역냉난방 네트워크에서 SHCHP의 적용 가능성을 실험결과를 기반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하였다.

2. 전력 및 열 복합에너지시스템 개요

2.1 프로슈머를 위한 복합에너지시스템

본 제안된 시스템은 Fig. 1과 같이, 기존의 중앙냉방 및 난방 열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냉열과 온열을 동시에 생산하는 SHCHP, 생산된 냉열과 온열을 열네트워크에 공급하기 위한 배관, 밸브 및 펌프, 그리고 열네트워크 내에 열프로슈머 구현을 위한 열을 별도로 관리하기 위한 분산형 열네트워크로 구성되어 있다. SHCHP는 기계실에 위치할 수도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분산형 SHCHP를 구성하였다.

분산형 SHCHP의 운영은 다음과 같다. 건물의 냉방, 난방 및 급탕열은 기본적으로 중앙의 열공급 시스템을 통해서 공급받게 된다. 봄, 여름 및 가을 기간 중 냉방수요와 난방 및 급탕수요가 동시에 발생하는 기간에 SHCHP가 운전되면서 냉열과 온열을 동시에 생산하게 된다. SHCHP에서 생산된 열은 주택의 부하에 우선 공급되고, 남는 잉여열은 열네트워크에 공급하게 된다. 열네트워크에 공급된 열량은 열량계로 계측하여 열네트워크에 열을 판매하게 된다. 낮 시간에는 주택에서 남는 잉여전력을 P2H형태로 SHCHP의 운영을 통해 열로 변환하여 판매할 수 있다.

Fig. 1 Overview of distributed simultaneous heating and cooling system.
../../Resources/sarek/KJACR.2023.35.2.053/fig1.png

2.2 실증 사이트

본 제안된 시스템의 파일럿 설비가 설치된 곳은 스마트빌리지 내 데모주택으로 부산에코델타스마트시티(EDC)에 위치하고 있다(Fig. 2).(12) 스마트빌리지는 56세대의 단독주택과 2개의 커뮤니티시설로 이루어져 있으며, 단독주택은 중앙 열네트워크를 통해 냉열 및 온열을 공급받는다. 스마트빌리지의 전체 대지면적은 7,202 ㎡이며, 건축면적은 2,200 ㎡, 연면적은 3,620 ㎡이다. 단독주택은 37세대인 1단지와 19세대인 2단지로 구분된다. 1단지는 3층 규모의 단독주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단지는 2층 규모로 구성되어 있다. 데모주택이 있는 2단지의 단독주택은 벽면, 지붕, 바닥, 창문의 열관류율은 각각 0.27, 0.103, 0.175, 0.963 W/(㎡·K)이다. 커뮤니티센터의 벽면, 지붕, 바닥, 창문 열관류율은 0.147, 0.107, 0.212, 0.997 W/(㎡·K)로 구성되어 있다. 19세대 2단지에는 단독주택 지붕에 88 kWp의 BIPV가 설치되어 있으며, 주차장과 회랑에 각각 10.8 kWp, 34.9 kWp의 PV가 설치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Fig. 2와 같이, 분산형 열네트워크에 포함된 6개의 주택 중 SHCHP가 설치된 1개의 주택에서의 실험결과를 기반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6개의 주택에는 각각 3.42 kWp의 BIPV 용량이 설치되어있다.

Fig. 2 Overview of Smart village and system overview.
../../Resources/sarek/KJACR.2023.35.2.053/fig2.png

2.3 파일럿 시스템 개요

본 연구를 위해 분산형 열네트워크에 포함된 6개 주택 중 1개 주택 기계실 내부에 Fig. 3과 같이 파일럿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기존 중앙 열네트워크에서 열원을 공급받아 SHCHP를 통해 응축부와 증발부에서 생산된 열을 공유할 수 있도록 배관을 구성했으며, 4개의 2-way 밸브와 2개의 순환펌프가 필요하다. 선행연구(7)에서는 주택에서 열배관과 네트워크의 배관을 구분하기 위한 열교환기가 설치되어 있었으나, 열교환기로 인한 열손실 및 추가적인 펌프 소비동력이 발생하여, 열교환기는 생략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히트펌프의 공인 성능은 다음과 같다. 난방능력은 온수입구온도 40℃, 열원입구온도 5℃ 기준 19.66 kW, 냉방능력은 냉수입구온도 12℃, 열원입구온도 25℃ 기준 21.16 kW이다. 냉매는 R-410A이고 압축기는 스크롤에 직압방식을 사용한다.

주택 지붕에 설치된 BIPV 패널은 1,994 × 1,000 ㎟의 사이즈를 가지고 있으며, 용량은 380 W이고, 19.1%의 기준효율을 나타낸다. TM2 데이터 기준으로 연간 1,281.6 kWh/kWp의 발전량을 보일 것으로 분석되었다.

Fig. 3 Installation of pilot system.
../../Resources/sarek/KJACR.2023.35.2.053/fig3.png

3. 결과 분석

3.1 동시냉난방 열공급 시스템 실험 결과

Fig. 4에는 8월 여름철 냉열 및 온열네트워크의 공급 및 환수온도를 나타내었다. 8월의 냉열 공급 및 환수온도는 각각 8.8℃와 10.2℃였으며, 부하가 발생할 경우 온도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급탕공급을 위한 온열네트워크의 공급 및 환수온도는 각각 51.5℃와 48.5℃였으며, 역시 부하가 발생할 경우, 온도차이가 더 나타났다.

이러한 열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데모주택의 기계실에서 진행된 실측 결과는 다음과 같다. 측정은 1시간 동안 진행되었으며, 1분 간격으로 데이터 측정이 진행되었다. SHCHP에는 냉열네트워크의 환수온도가 SHCHP의 증발기측 입구로 유입되었으며, 이때 SHCHP의 증발기측 입출구 온도는 각각 10.1℃, 7.0℃, 유량은 41.0 LPM 이였다. 온열네트워크의 환수배관에서 SHCHP의 응축기측으로 온수가 공급되었으며, SHCHP를 통과하여 온도가 높아진 열을 다시 온열네트워크로 공급하였다. 이때, SHCHP의 응축기측 입출구 온도는 각각 49.4℃, 57.3℃, 유량은 30.0 LPM 이였다. 본 실험동안 SHCHP의 증발기측 및 응축기측에서 동시에 생산된 열량은 각각 8.9 kW, 16.3 kW였다. 히트펌프의 전력소비량은 4.6 kW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식(1)을 통해 계산된 SHCHP의 COP는 5.5로 나타났다.

(1)
$COP_{SHCHP}=\dfrac{Q_{Cond}+Q_{Eva}}{W_{Elec}}$

앞서 언급한 것처럼 중앙 열네트워크로부터 공급되는 열원을 SHCHP로 공급할 경우 기존 대비 온수는 5.8℃ 상승, 냉수는 1.8℃ 감소하여 1차적으로 분산형 열네트워크 6세대에 공급되는 온열, 냉열 품질을 상승시키며 남는 열은 중앙 열네트워크로 환수 및 저장되고 필요시 다른 세대와 공유될 수 있다.

Fig. 4 Cooling and heating network temperature profile.
../../Resources/sarek/KJACR.2023.35.2.053/fig4.png

3.2 동시냉난방 열공급 시스템 시뮬레이션 평가

Fig. 4와 같이, 냉방기간 동안 열네트워크의 온수 공급온도 및 유량과 냉수 공급온도 및 유량이 항상 균일하므로, 본 연구에서 SHCHP가 운전될 경우에는 정격운전상태로 항상 운전되는 것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Fig. 5에서는 8월 여름철 19세대 냉열 및 온열 부하를 나타내었다. 그 결과, 8월 한여름에는 냉열부하가 일평균 491.9 kWh, 온열부하가 117.4 kWh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냉열부하가 온열부하에 비해 4.2배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데이터를 기반으로 실험용으로 설치된 SHCHP는 하루 평균 7.2시간을 운영할 경우, 19세대 온열부하의 100%를 담당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때 생산된 냉열은 분산형 열네트워크 내 6세대의 냉열부하의 44.1%를 담당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9세대의 냉열부하의 13.9%를 담당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기반으로, 중앙공급식 지열원 히트펌프(ground source heat pump, GSHP)의 냉열 및 온열 생산량을 SHCHP가 13.9% 담당 시 8월 전력부하를 분석해 보면, Fig. 6과 같이 상대적으로 COP가 5.5로 높은 SHCHP로 인해 지열원 히트펌프 100% 가동시 4,264.6 kWh 대비 3,690.0 kWh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히트펌프 운영 전력에너지는 13.5%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19세대의 발전량을 기반으로 분석한 결과, 8월 한 달간 발전량이 5,391.4 kWh일 때 지열원 히트펌프로 100% 냉열 및 온열부하를 담당하는 경우 19세대 플러그 부하를 포함한 전력부하는 6,257.2 kWh로 86.2%의 자립율을 보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HCHP를 활용할 경우, 19세대 플러그 부하를 포함한 전력부하는 5,682.6 kWh로 94.9%의 에너지자립율을 보여 지열원 히트펌프 100% 담당 시 대비 8.7% 높은 에너지 자립율을 보일 것으로 분석되었다.

Fig. 5 Daily operating profiles of thermal energy system.
../../Resources/sarek/KJACR.2023.35.2.053/fig5.png
Fig. 6 Daily heat pump power load of heat pumps.
../../Resources/sarek/KJACR.2023.35.2.053/fig6.png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차세대 열네트워크 방식 중 하나인 지역냉난방시스템을 기반으로, SHCHP의 파일럿 시스템을 설치하고 시운전 결과를 바탕으로 여름철 운영 시 에너지절감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SHCHP의 파일럿 시스템은 냉열 및 온열네트워크에 동시에 열공급이 진행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COP가 5.5 수준으로 운영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여름철 한 달간 냉열 및 온열네트워크 운전 결과를 바탕으로 월간 에너지 절감효과를 분석한 결과 기존 지열원히트펌프를 활용하는 방식 대비 13.5%의 운영에너지 저감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SHCHP는 냉열 및 온열네트워크의 부하 차이가 적을수록 더 높은 에너지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추후 간절기 운영결과를 기반으로 분석이 필요하다. 또한, P2H를 통한 PV의 잉여전력 판매효과와 열에너지 판매효과에 대한 비용분석이 진행될 예정이다. 향후 봄-가을 동안의 장기간 실증 운전을 통해 시간별 부하 불균형이 발생할 경우 축열조의 역할 및 운영결과가 다루어질 예정이다.

후 기

본 연구는 2022년도 국토교통부의 재원으로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과제번호: 22PIYR-C153277-04)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음.

References

1 
Eurostat, 2020, Just over 20% of energy used for heating and cooling is renewable, https://ec.europa.eu/eurostat/en/web/products-eurostat-news/-/ddn-20201229-1 (Accessed : 2022.10.04.).URL
2 
Lindhe, J., Javed, S., Johansson, D., and Bagge, H., 2022, A Review of the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of 5GDHC and Characterization of a Novel Shared Energy System, Science and Technology for the Built Environment, Vol. 28, No. 5, pp. 595-609.DOI
3 
Quirosa, G., Torres, M., Soltero, V. M., and Chacartegui, R., 2022, Energetic and Economic Analysis of Decoupled Strategy for Heating and Cooling Production with CO2 Booster Heat Pumps for Ultra-low Temperature District Network, Journal of Building Engineering, Vol. 45, p. 103538.DOI
4 
Wang, J., Belusko, M., Liu, M., Semsarilar, H., Liddle, R., Alemu, A., Evans, M., Zhao, C., Hudson, J., and Brumo, F., 2021, A Comprehensive Study on a Novel Transcrtitical CO2 Heat Pump for Simultaneous Space Heating and Cooling - Concepts and Initial Performance, Energy Conversion and Management, Vol. 243, p. 114397.DOI
5 
Buffa, S., Cozzini, M., D’Antoni, M., Baratieri, M., and Fedrizzi, R., 2019, 5th Generation District Heating and Cooling Systems: A Review of Existing Cases in Europe,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Vol. 104, p. 504-522.DOI
6 
Sommer, T., Sulzer, M., Wetter, M., Sotnikov, A., Mennel, S., and Stettler, C., 2020, The Reservoir Network: A New Network Topology for District Heating and Cooling, Energy, Vol. 199, p. 117418.DOI
7 
Wirtz, M., Kivilip, L., Remmen, P., and Muller, D., 2020, 5th Generation District Heating: A Novel Design Approach Based on Mathematical Optimization, Applied Energy, Vol. 260, p. 114158.DOI
8 
Shin, D. U., Ryu, S. R., and Kim, K. W., 2019, Simultaneous Heating and Cooling System with Thermal Storage Tanks Considering Energy Efficiency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ystem. Energy Build. Vol. 205, p. 109518.DOI
9 
Kang, H., Joo, Y., Chung, H., Kim, Y., and Choi, J., 2009, Experimental Study on the Performance of a Simultaneous Heating and Cooling Multi-Heat Pump with the Variation of Operation Mode, Int. J. Refrig. Vol. 32, pp. 1452-1459.DOI
10 
Ghoubali, R., Byrne, P., Miriel, J., and Bazantay, F., 2014. Simulation Study of a Heat Pump for Simultaneous Heating and Cooling Coupled to Buildings, Energy Build, Vol. 72, pp. 141-149.DOI
11 
Byrne, P. and Ghoubali, R., 2019, Exergy Analysis of Heat Pumps for Simultaneous Heating and Cooling, Appl. Therm. Eng., Vol. 149, pp. 414-424.DOI
12 
Kim, M. H., Kim, D. W., Lee, D. W., and Heo, J., 2021, Experimental Analysis of Bi-Directional Heat Trading Operation Integrated with Heat Prosumers in Thermal Networks, Energies, Vol. 14, p. 5881.DOI
13 
Kim, M. H., Lee, D. W., Kim, D. W., An, Y. S., and Yun, J. H., 2021, Energy Performance Investigation of Bi-Directional Convergence Energy Prosumers for an Energy Sharing Community, Energies, Vol. 14, p. 5544.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