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SO Journal TitleKorean J. Air-Cond. Refrig. Eng.
  • Open Access, Monthly
Open Access Monthly
  • ISSN : 1229-6422 (Print)
  • ISSN : 2465-7611 (Online)

  1. 국립한밭대학교 대학원 건축설비공학과 석사과정 (M.S. Course, Dept. of Building and Plant Engineering, Hanbat National University, 3458, Daejeon, Korea)
  2. 국립한밭대학교 공과대학 설비공학과 교수 (Professor, Dept. of Building and Plant Engineering, Hanbat National University, 34158, Daejeon, Korea)



냉방성능, 이중덕트시스템, 에너지절감, 이동형에어컨, 전력량, 단일덕트시스템
Cooling performance, Dual duct system, Energy-saving, Mobile air conditioners, Power consumption, Single duct system

1. 서 론

국내 가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에어컨은 3가지 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 첫 번째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보급되어있는 유형은 멀티형으로 실내기와 실외기가 따로 분리된 것이다. 멀티형 에어컨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시공 전문가가 필요하며 다른 장소로의 이동이 거의 불가능하다. 두 번째 유형은 창문형으로 흡입 그릴인 실외기부를 통해 들어온 외부 공기가 응축기 및 증발기를 거쳐서 한쪽은 더운 바람으로 실외로 배기되고, 다른 쪽은 냉각 제습되어 팬을 통해 실내로 공기가 급기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멀티형에 비해 설치가 용이하지만 설치 후 이동이 어렵고 저용량 및 소규모 공간의 냉각을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소음이 큰 단점으로 존재한다. 마지막으로 창문형과 유사한 일체형으로 창문형 및 멀티형의 설치가 어려운 구역에 국부적인 냉각이 가능하도록 구성이 되어있는 이동형이다. 멀티형과 창문형의 단점을 보완하고, 국소 냉방이 필요할 경우 사용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이동식 모델로 국부 작업공간, 원룸 등 분리형 에어컨과 창문형 에어컨의 설치가 어려운 곳의 냉방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1인 가구의 지속적인 증가로 인하여 창문형의 판매량 점유율은 2022년 7월 기준 전년 대비 6% 상승한 26%, 이동식은 전년대비 1% 상승한 12%, 멀티형은 18%로 기존 판매량 대비 6% 하락하였다. 이동식 및 창문형의 수요가 점차 증가됨에 따라 현재 시판되는 이동식 에어컨은 실외기 배기 덕트만 존재하는 모델이 대부분이며 하단부에 위치한 실외기의 냉각을 위해 실내의 냉각된 공기를 다시 유입 후 재순환하여 기기 자체의 냉방효율 저하가 발생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외기의 실내공기 흡입구 측에 외기 흡입 덕트를 추가 설치하여 이동식 에어컨의 공기 순환로를 개선하고 전력소비량 및 냉방 성능을 분석하였다.

2. 문헌고찰 및 개선방향 제시

이동식 에어컨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동식 직접 증발 공기 냉각기(DEAC: direct evaporative air cooling)를 개발하고 실험을 진행한 연구에 따르면 열-전기 냉각 시스템을 직접식 증발 냉각 시스템과 결합하여 이동형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구현하여 냉각 성능을 10~20% 향상하였다.(1) 또한 Wessapa et al.(2)은 Heilcal coil 열교환기를 사용하여 냉각/열회수 성능 및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킨 이동형 에어컨을 개발하였으며 COP 5.13 달성하여 기존 에어컨에 비해 38%의 효율향상을 구현하였다. 국부 냉각 성능 및 열 쾌적성의 향상을 위해 TEAC(thermo-electric air-conditioning) 이동형 에어컨을 개발하여 분석한 연구에서는 운전 전압이 4 V일 때, 최대 COP는 2.2이며 대용량 냉각에도 초저소음 운전이 가능한 것을 실험적으로 분석하였다.(3) 그리고 이동식 에어컨의 효율 향상을 위해 증발기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콘덴서 상단의 분배기에 주입하는 장치를 개발한 실험적 연구에서 COP가 약 16% 증가, 냉각용량이 약 0.2 kW 증가하였다.(4) Peltier 효과 및 Seebeck 효과를 활용한 실험적 연구에서는 냉매 가스를 사용하지 않고 작동하는 이동형 에어컨 시스템을 실험을 통해 16~40℃ 범위에서 작동하는 것을 분석하였다.(5) VCC 콘덴서에서 발생한 폐열을 활용하는 3가지 상변화 물질(PCM) 콘덴서를 적용한 실험적 연구에서는 각 성능이 COP 4.7, 4.2, 3.1 로 분석되었다.(6) 새로운 개념의 휴대용 개인 냉방 시스템(PPCS: portable personal conditioning system)을 제안한 연구에서는 수치해석을 통해 성능기준을 정량화하였다. 기존의 시스템과 유사한 전력을 소비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PPCS는 사용자와 함께 실시간으로 이동하는 자동화 플랫폼에 냉각시스템을 탑재한 것이다.(7) 이상과 같이, 기존 연구는 구성 장치의 효율 향상에 중점을 두었고 이동형 에어컨 구조개선을 통한 개선 시도는 없었다.

현재 국내에서 판매되는 이동형 에어컨은 실외기부의 열기를 배출하는 덕트가 설치된 제품이 일반적이며 기본 제공되는 창문 트레이를 설치 후 배기호스를 장착해야 한다. 배기호스 길이가 길어질수록 열 제거 효율이 저하되고 냉방효율도 동시에 영향을 받는다. 또한, 실외기가 내부에 위치하여 냉각된 실내의 공기가 지속적으로 실외기로 흡입되어 냉방효율 저하와 에너지 소비량의 증가로 이어진다. 더불어 실외기로의 실내공기 유입으로 실내가 음압이 형성되어 문틈, 창틀 부 틈새를 통한 외부 공기의 유입이 유발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Fig. 1(a)의 기존 공기 순환 방식에서 Fig. 1(b)와 같이, 실외공기를 유입하는 흡기후드를 추가적으로 장착하고 창틀에 연결하여 실내 공기를 유입하는 대신 실외 공기를 유입하도록 하였다. Fig. 1(c)는 배기 및 흡기후드가 장착된 실험체의 사진이다.

Fig. 1 (a) Single duct system, (b) Dual duct system (c) Picture of improved dual duct system.
../../Resources/sarek/KJACR.2023.35.6.299/fig1.png

3. 연구의 방법

3.1 실험 대상

본 연구는 실외기 설치가 불가능한 구역 및 공간이 협소한 1인 가구 원룸, 소규모 지하 사업장 및 국소 작업장의 원활한 냉방을 위해 점차 보급률이 증대하고 있는 ‘A’ 사의 이동형 에어컨을 대상으로 성능개선 실험을 수행하였다. Table 1과 같이, 실험체의 냉방면적은 23 m2(약 6~7평) 냉방능력은 2.8 kW, 소비전력은 1.12 kW로 나타나있다. 응축수는 자체 기화시켜 발생하지 않으며 Fig. 2(a)를 보면 창틀부에 배기호스를 장착하여 실외기부의 배기는 창틀로 연결된 배기호스를 통해 배출하게 된다.

Fig. 2 Test equipment: (a) installation method, (b) front view and (c) rear view.
../../Resources/sarek/KJACR.2023.35.6.299/fig2.png
Table 1 Test equipment specification.

Cooling capacity

Cooling area

Rated power consumption

Air volume (Max)

Size (W×H×D)

2.8 kW

23 m2

1.12 kW

3.5 CMM (average)

773 mm × 773mm × 460 mm

3.2 실험방법

이동식 에어컨의 냉방효율의 저하가 발생하는 이유는 냉각된 실내 공기가 실외기 응축부 냉각을 위해 흡입되어 공기순환경로의 문제로 인한 효율저하가 발생한다. 현재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이동형 에어컨은 실내기와 실외기가 결합된 형태로 냉방을 수행하며 기존 스탠드형 및 벽걸이형의 경우 실외기의 흡입, 및 배기가 실외에서 운영이 되고 있다. 이동형 에어컨의 경우 실외기부는 실외 측으로 배기, 흡입측은 냉방된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운영되며 이 과정에서 냉방효율의 저하 및 실내 냉방 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2(b) 및 (c)의 시판되고 있는 이동형 에어컨에 실외 측 공기를 유도하는 흡기후드를 장착(Case #2)하여 기존 실내의 냉각된 공기를 유입하는 방식(Case #1)과 비교하여 실내 온도가 24℃에 도달하는 시간을 분석하였다. KS C 9306 에어컨디셔너 실험사항을 준용하여 진행하였으며, 단기 온도 도달시간을 확인하기 위해 공기 온도 실험범위보다 극단적인 상황을 가정하여 진행하였다.(8) 챔버의 환경은 실외 DB 35℃, WB 26.1℃, RH 50%의 초기 환경으로 구성하였으며 실외 측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히터와 유닛쿨러를 동시에 사용하여 환경을 구현하였다. 실내 측 환경도 극한의 환경에서의 목표온도 도달 시간을 확인하기 위해 실외 챔버와 동일한 환경을 구성하였으며 실내 챔버의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항온항습기를 이용하여 환경을 조성하였다. 실내 열환경을 평가하기 위한 실외 및 실내 챔버의 크기는 30 m3로 동일하다. 실내온도의 목표 도달점은 24℃로 설정하여 각 조건별 목표온도 도달시간을 분석하였다. 실내 열환경 측정을 위한 온․습도 데이터 로거를 사용하였으며 후드 설치 전후의 전력소비량을 전력량계로 분석하였으며 측정 간격은 10초 단위로 측정하였다. 사용 기기의 성능, 실험환경, 실험 대안은 Table 2와 같다.

Case #1은 기존 시스템에 부속되는 배기후드만 장착하여 구동되며 초기온도 35℃에서 목표온도인 24℃까지의 도달시간과 전력사용량을 분석하였다. Case #2는 배기후드 이외에 추가적으로 실내공기를 유입하는 흡입구 위치에 실외공기를 유입하는 흡기후드를 별도로 설치하여 목표온도 24℃까지 도달시간과 전력사용량을 분석하였다. Fig. 3의 왼쪽 하단부 그림은 흡기후드를 제작하여 실험체에 장착하여 실외공기를 흡입하도록 실외 챔버에 연결한 모습이다. Fig. 3의 측정점 Point 1, 2는 실내 온도를 측정하였다. 교차검증을 위하여 양단에 설치하여 분석하였다. Point 3은 실내기 흡입구, Point 4는 에어컨의 취출구, Point 5는 배기후드의 온도를 측정하였다. Point 6은 실외 챔버의 환경을 측정하였다.

Fig. 3 Testing set-up; test chamber and measurement equipment.
../../Resources/sarek/KJACR.2023.35.6.299/fig3.png
Table 2 Measuring instrument, experimental test condition and test cases

Measuring instrument

Test Condition

Items

Power data logger

Thermal data logger

Indoor

environment condition

DB 35℃

WB 26.1℃ (RH 50%)

Instrument

HIOKI PW3360

TESTO 175H1

Features

- 50/60 Hz, single phase 2 wires (1/2/3 circuit), single phase 3 wires (1 circuit), 3 phase 3 wires/3 phase 4 wires (1 circuit), current only 1~3 channels

- Continuous monitoring and recording of temperature, humidity, and dew point (dew point)

- Temperature measurement range from -20℃~+55℃

Outdoor

environment condition

DB 35℃

WB 26.1℃ (RH 50%)

Air conditioner

Mode

High Level

(Setting temperature 18℃)

Test chamber size

30 m3

Test end temperature

DB 24℃

No.

Test cases

Remark

Case #1

Initial condition without condenser suction hood

Suction hood X

Case #2

Installing condenser suction hood

Suction hood O

4. 실험결과

4.1 온‧습도 열환경 분석

Table 3은 온‧습도 측정 결과 및 소비전력 측정 결과를 전체적으로 요약한 것이며, 시간 경과에 따른 Case #1과 Case #2의 온‧습도 변화추이는 Fig. 4와 같다.

실내 챔버의 내부온도가 24℃에 도달한 시점을 기준으로 실험을 종료하였으며, Fig. 4(a)는 Case #1 실내 및 에어컨 취출구 건구온도의 변화이며 Fig. 4(b)는 상대습도의 측정 결과이다. Case #1의 경우 Table 3에 나타난 것처럼 온도 강하율이 약 0.004℃/s이고 목표온도 도달시간은 40분으로 분석되었다. Fig. 4(c) 및 (d)의 경우 Case #2의 DB, RH의 분석결과이며, 온도 강하율은 약 0.006℃/s 및 목표온도 도달시간은 30분으로 분석되었다. Case #1과 Case #2의 실내 온도의 감소 양상은 목표온도 도달시간이 약 10분정도 단축된 것 이외에 특이점이 나타나지 않았다. 온도 강하율을 비교하였을 때 Case #2의 경우 Case #1 대비 약 33% 정도 빠르게 냉방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Fig. 4(e) 및 (f)는 배기구 측 상대습도, 건구온도 측정값으로, Case #1 평균 배기온도 51℃, Case #2는 53℃로 분석되었다. 이는 흡기후드를 통한 실외 공기의 유입으로 인한 실외기 부의 온도 상승으로 인해 발생한 문제로 판단되었다. 제조사의 권장 배기온도 55°~65℃의 범위에서 배기가 되고 있으므로 원활한 냉각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온‧습도 분석을 통해서 확인한 결과, 실내공기와 외부공기가 섞이지 않는 이중덕트 방식(Case #2)이 응축부에서 실외공기를 흡입하고 외부로 배출하게 되므로 기존 실내공기 흡입시 읍압이 발생하여 실외의 뜨거운 공기의 실내 유입을 차단 한 것만으로 확연한 온도변화의 차이가 나타났다. 장기간 운전조건에도 냉방성능과 효율이 기존 방식 대비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Table 3 Test result Case #1, Case #2 (Temperature & Power consumption)

Classification

Case #1

Case #2

Result difference

Temperature reduction ratio (℃/s)

0.0040℃/s

0.0060℃/s

0.002℃/s

Time to reach set Temperature (24℃)

40 min

30 min

10 min

Average Exhaust air Temperature

51℃

53℃

2℃

Total Power Consumption

3,803 W

3,129 W

674 W

Temperature reduction rate of Case #2 compared to Case #1

33%

Reduction rate of Power Consumption in Case #2 compared to Case #1

18%

Fig. 4 Test analysis results of DB, RH for Case #1 and Case #2.
../../Resources/sarek/KJACR.2023.35.6.299/fig4.png

4.2 전력소비량 에너지 분석

Fig. 5는 Case #1, Case #2의 소비전력를 보여준다. Fig. 5(a)는 전력량계로 측정간격 10초로 측정한 순시 값을 보여주며 Fig. 5(b)는 누적 전력 소비량을 분석한 것이다. 순시 값에 나타난 초기 시동 시의 소비 전력량을 보면 Case #2가 Case #1보다 약 10 W 정도 더 사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소비전력 증가요인은 흡기후드를 적용하여 운용하는 경우에는 실내의 일부 냉각된 공기가 아닌 실외의 공기로 초기에 냉각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첫째, 압축기 내부의 냉매의 온도가 적정 수준으로 낮아지지 않아 압축기가 냉각을 원활하게 수행하지 못하고 냉매의 압축을 유지하기 위해 소비전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실내에서 공기를 순환시키던 내부 팬이 실외에서 공기를 흡입하게 되므로 이로 인한 공기저항과 덕트의 저항이 발생하고, 이를 위해 초기 기동 시 압축기의 동력 상승으로 인해 소비전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Fig. 5(a)의 12~14분 사이의 소비전력 순시 값은 Case #1과 Case #2가 역전된다. 현재 적용한 실험체는 인버터가 적용된 모델로 본 연구에서 수행한 1시간 내․외의 단기 측정 실험의 결과에 비해 장기적으로 운전능력을 평가하였을 때 냉방효율의 차이가 극명하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Table 3에서 분석된 배기온도는 적정범위에서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흡기후드를 설치하더라도 이동식 에어컨 실외기는 정상적으로 운전하며 장기적인 측면에서 냉방 효율을 개선시킬 것으로 판단된다. Fig. 5(b)의 총 소비전력은 Case #1의 경우, 목표온도 도달 운전시간인 40분간 약 3,803 W을 사용하였다. 반면에 Case #2는 목표온도 도달 운전시간인 30분간 약 3,129 W를 사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Case #2의 경우, 목표온도 도달까지 10분의 시간을 단축하였으며 약 18%인 674 W 전력량이 절감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Fig. 5 Test analysis results of power consumption for Case #1, Case #2.
../../Resources/sarek/KJACR.2023.35.6.299/fig5.png

5. 결 론

본 논문은 이동형 에어컨의 공기순환로를 개선하는 이중덕트 방식을 제안하였고, 전력소비량과 냉방 목표온도 도달시간 및 실내 온열환경의 온‧습도를 비교분석하였다. 배기덕트만 존재하는 기존의 이동형 에어컨 을 대상으로 실외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덕트를 실외기 인입구에 장착한 이중덕트 시스템을 구현하여 비교하였다. 실내와 실외 환경 구현을 수행할 수 있는 실험챔버를 활용하고 표준방법에 준하여 흡기후드 장착 전(Case #1)과 흡입후드를 장착 후(Case #2)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한다면 다음과 같다.

⦁Case #1과 Case #2의 냉방 목표온도를 24℃로 설정하여 가동한 결과, 목표온도 도달시간은 Case #2가 약 10분 단축되었고 (Case #1: 40분, Case #2: 30분) 온도 강하율은 약 33%정도 증가하였다.

⦁전력소비량은 초기 기동 순시 값이 Case #2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실외공기의 유입으로 인한 압축기의 동력 상승으로 인한 일시적인 전력증가로 분석하였다.

⦁Case #1의 목표온도 도달시간인 40분 간 총 소비전력량은 약 3,803 W이고 Case #2의 30분간 총 소비전력량은 약 3,129 W로 분석되었다.

⦁Case #2의 경우, 초기 냉방운전시간 약 10분 및 전력소비량 18%가 감소되었다.

기존의 이동형 에어컨에 이중덕트를 설치하면 실내의 음압 형성을 방지하고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고온의 외기의 침입이 줄어들게 된다. 이는 에어컨의 냉방 효율을 향상시키고 장기적인 측면에서의 전력 소비량을 감소시킨다. 향후, 개선된 이동식 에어컨의 냉매온도, 유량, 응축기 출구의 송풍량 등 증발기, 응축기에서의 냉매 사이클에 대한 추가적인 실험이 요구된다. 해당 상용 이동형 에어컨 제품은 이동성, 설치 용이성 등 다양한 요구사항을 만족하기 위해 개발된 형태이기 때문에 냉각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조치들이 본래의 기능을 반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최선의 방법이 아님을 명확하게 밝힌다.

References

1 
Jiajitsawat, S., 2013, A Portable Hybrid Thermoelectric-direct Evaporative Air Cooling System, Naresuan University Journal Science and Technology NUJST, Vol. 20, No. 1, pp. 1-8.URL
2 
Wessapan, T., Borirak, T., Teeksap, S., and Somsuk, N., 2010, A Development of a Portable Air Conditioning-heat Pump Unit Using Helical Coil Heat Exchanger,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 Engineering and Technology, Vol. 5, p. 186.DOI
3 
Ma, K., Zuo, Z., and Wang, W., 2023, Design and Experimental Study of an Outdoor Portable Thermoelectric Air-conditioning System, Applied Thermal Engineering, Vol. 219, p. 119471.DOI
4 
Yoon, J. I., Son, C. H., Moon, C. G., Kong, J. Y., and Yoon, J. H., 2019, November,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Portable Air Conditioner with Condensate-water Spray, In IOP Conference Series: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Vol. 675, No. 1, p. 012043.DOI
5 
Shafiei, N., Harun, M. H., Annuar, K. A. M., Halim, M. F. A., Aras, M. S. M., and Azahar, A. H., 2016, Development of portable air conditioning system using peltier and seebeck effect, Journal of Telecommunication, Electronic and Computer Engineering JTEC, Vol. 8, No. 7, pp. 97-100.URL
6 
Qiao, Y., Mallow, A., Muehlbauer, J., Hwang, Y., Ling, J., Aute, V. C., Radermacher, R., and Gluesenkamp, K., July 9-12, 2018, Experimental Study on Portable Air-Conditioning System with Enhanced PCM Condenser, 17th International Refrigeration and Air Conditioning Conference at Purdue, p. 2483.URL
7 
Dhumane, R., Ling, J., Aute, V., and Radermacher, R., 2017, Portable personal conditioning systems: Transient modeling and system analysis, Applied Energy, Vol. 208, pp. 390-401.DOI
8 
KS C 9306-2022-Air-conditioner, 2022.U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