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상기
(Sang Ki Jin)
1†
-
대한기계설비산업연구원 산업정책실장
(Principal Researcher, Korea Research Institute of Mechanical Facilities Industry,
Seoul, 06068, Korea)
Copyright © 2016,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s of Korea
키워드
데이터플랫폼정부, 기계설비법, 기계설비 데이터, 기계설비산업 정보체계
Key words
Data Platform Government, Mechanical Equipment Act, Mechanical Equipment Data, Mechanical Equipment Information System
1. 서 론
기계설비산업실태조사(국토교통부 국가승인통계, 2023.05)에 따르면 기계설비산업은 매출액 65조 5622억 원, 종사자 수 총 13만 9,249명
규모의 주요 국가산업군 중 하나로 체계적인 관리를 위한 정보체계 구축이 필요한 상황이었다. 더욱이, 기계설비법 제정(2018.04) 및 시행(2020.04)에
따라 신설되는 제도 및 행정 처리를 위한 행정정보체계 구축을 통한 행정효율성 제고와 일반 국민 사용자들의 편의성 제고를 위한 정보체계구축이 필요한
상황이었다. 이에, 국토교통부는 기계설비법 제7조에 따라 기계설비산업정보체계 구축 사업을 전개하였고, 그 결과로 2023년 6월에 제1차 기계설비산업정보체계시스템을
공식 운영하게 되었다.
이처럼 기계설비산업정보체계가 구축․운영됨에 따라 기계설비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행정 신청 및 처리 과정에 대한 업무개선 요청 민원들이 나타나고 있고,
2024년부터 시행 예정된 국토교통부의 제2차 정보체계구축사업에 대한 다양한 의견들이 언론과 논문들을 통해 제기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더욱이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데이터플랫폼 정부” 구현의 일환으로 정부가 직접 구축․운영하는 전자정부(정보체계)의 이용자 편의성 제고를 위한 기술적․제도개선 논의
필요성이 학계와 산업계 모두에서 제기되고 있다는 점들이 본 논문의 연구문제로 크게 작용하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 문제인식에 기반하여, 본 연구는 “기계설비산업
정보체계”를 기계설비산업의 핵심 디지털플랫폼으로 역할을 하게 하기 위한 발전방안을 제시함을 주요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기계설비산업의
발전을 위한 정확한 시장정보와 정책분석 기초자료 확보를 위한 데이터플랫폼 확보와 과학적 행정 추진이 가능한 ‘데이터플랫폼정부’의 중요한 요소들이 모두
반영되는 정보체계 구축사업이 진행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나아가 기계설비 산업의 데이터 구축과 정부에서 추진 중인 디지털 대전환을
위한 기계설비산업의 변화방향과 그 전략체계 도출이 가능한 정보체계로의 발전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기계설비 정책/행정/산업 현장의 업무 혁신과 행정업무 가중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해 줄 수 있는 디지털 전환의 초석으로 본 정보체계가
구축․운영․발전해 나갈 수 있도록 하고, 이 과정에 사용자들의 의견 반영과 편의성 평가 및 모니터링이 체계적으로 반영되는 제도적 방안을 제시하여 기계설비법․제도와
기계설비산업정보체계의 지속가능성을 확보․강화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2. 연구방법
본 연구는 기계설비법 제정(2018.04)부터 시행(2020.04) 이후 현재까지 관련 데이터를 기초하여 분석하고, 정보체계 1차 연도 구축(22.12.)
과정의 데이터 및 절차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대상은 기계설비법(제7조)에 따라 2023년 구축 운영되는 기계설비산업 정보체계를 분석 대상으로
하고, 기계설비법에 따른 기계설비산업 정보체계와 이에 관련된 행정업무 대상을 그 분석의 범위로 한정하였다.
Table 1 The information system on mechanical equipment industry
MECHANICAL EQUIPMENT ACT
|
Law Article
|
Contents
|
Article 7
(Establishing Information System on Mechanical Equipment Industry)
|
(1) The 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ay establish and operate an
information system on the mechanical equipment industry (hereinafter referred to as
“information system”) to systematically collect, manage, and utilize information,
data, etc. related to the mechanical equipment industry.
(2) The information system may contain the following matters:
1. The current state of the mechanical equipment industry in Korea and abroad;
2. Orders received by mechanical equipment business entities;
3.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mechanical equipment industry;
4. Registration of mechanical equipment performance inspection business;
5. Training of mechanical equipment maintenance managers;
6. Other information on the mechanical equipment industry prescribed by Ordinance
of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3) In establishing the information system, the 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shall ensure that the system reflects the basic plan for national informatization
formulated pursuant to Article 6 of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Informatization
and the implementation plan for national informatization formulated pursuant to Article
7 of said Act.
(4) Matters necessary for establishing, operating, and utilizing the information system
and others shall be prescribed by Ordinance of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
* Source: MOLIT
(1)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전문가 인터뷰, 정보체계의 사용성평가(SUS) 및 분석, 법제도 분석의 방법론을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전문가 인터뷰의
경우 기계설비산업정보체계 사용자(행정공무원) 및 연구자, 산업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정보체계에 대한 기대사항과 기대 기능 등을 자유형식으로 청취 정리하고
현재 정보체계 1차 연도 사업에 대한 개선 의견을 묻고 자율 의견을 받는 형식으로 진행하였다.
다음으로 정보체계의 사용성평가(SUS) 방법론을 활용하여 사용자 및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정보체계의 사용성에 대해 객관적 측정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과정 중 도출된 제도개선 사항들이 시행될 수 있는 방안을 검토 보기 위해 법제도 분석 방법론을 활용하여 제도 개선 사항 도출을 병행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3. 「기계설비법」의 기계설비산업 정보체계 분석
3.1 기계설비산업 정보체계 범위/기능/기대효과
Yang et al.(2)은 기계설비산업 정보화전략계획에서는 기계설비 및 기계설비산업을 4차 산업혁명시대의 기반기술로 인식하고 기계설비법 시행에 따른 행정업무 수요에 대한
즉각적 대응의 필요성이 있어 기계설비법 관련 업무를 총괄할 수 있는 통합플랫폼의 구축이 필요하다고 분석하였다. 이에 국토교통부는 기계설비산업 정보체계
시스템을 수립하고자 공무원, 민원업무담당, 대국민을 대상으로 정보체계를 구축하고 가장 먼저 필요한 공무원과 민원업무담당 부분을 우선하여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Jin et al.(3)에 따르면 기계설비법의 정보체계는 그 기능과 사용자를 기준으로 다음 표와 같이 구분 정리해 볼 수 있었다.
Table 2 The main functions of information system on mechanical equipment industry
Functions
|
Contents
|
Users
|
Statistical survey
|
Development of the Basic Plan for Power Generation / Survey
|
MOLIT/the public
|
Standard management
|
Technical/maintenance standards management
|
Engineers
|
Administrative business handling
|
Management of administrative disposition standards
|
Local government
|
Application for confirmation before the start of construction
|
Local government/ building owner
|
Apply for pre-use inspection
|
Report of appointment/dismissal of Mechanical Equipment Maintenance Manager
|
Local government/ building owner/ Mechanical Equipment Maintenance Manager
|
Application for issuance of certificate of appointment of Mechanical Equipment Maintenance
Manager
|
Report of change of management entity
|
Local government/building owner
|
Performance inspection/maintenance inspection record management of mechanical facilities
|
Reporting of experience/change of mechanical equipment maintenance manager
|
Issuing a mechanical facility maintenance manager's notebook
|
Issuance of Certificate of Experience for Maintenance Manager of Mechanical Equipment
|
Application for Mechanical Equipment Maintenance Training
|
Local government/performance inspection business
|
Application for change/registration of performance inspection business
|
Application for re-issuance of the performance inspection business registration certificate
(registration notebook)
|
Performance inspection business closing/closing business report
|
Report on succession of status of performance inspection business (inheritance/transfer/merger)
|
Performance inspection capability evaluation application/re-evaluation
Designation of training institutions
|
Training institution Designation and Management
|
Issuance of training certificate for training specialist of mechanical equipment
|
Government(MOLIT)/
the training center
|
Cancellation of designated agencies
|
Administrative supervision
|
Imposing city/city/county/county-gu fines
|
Local government
|
a call for unpaid fines
|
Performance Inspection Business Registration Cancellation/Business Suspension
|
* Source: Jin et al.
(3)
MOLIT(4) 기계설비산업 정보화전략계획에 따라 3개 연도에 걸쳐 해당 기능 들을 모두 구현해 갈 계획으로 현제 정보체계 구축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이러한 정보체계 구축을 통해 정성적 기대 효과로는 민원인의 민원 접수에 대한 온라인화로 민원 접수 및 행정업무 담당자의 업무처리 신속성 향상과 기존
건설행정시스템(세움터)의 건축물 정보를 연계한 정보시스템을 구축하여 기계설비 행정업무의 신속한 처리에 거는 기대가 크다. 그 밖에도 시․도/시․군․구별로
각각 사용할 인프라를 도입하지 않아도 됨에 따른 투자 비용 절감, 기계설비 행정업무 담당자에게 업무편의성 및 기계설비산업 이용자에게 편의 제공, 기계설비
행정업무 처리 시 데이터의 정합성 유지로 업무신속성 증대, 기계설비 정보의 통계 생성 시 통계의 정확성 확보 등의 효과를 바라고 있다. 동시에 정부는
정량적 기대효과로 기계설비 행정시스템 도입 시 사회적 비용 절감으로 연간 약 45억 8천만을 예상하고 있다.
3.2 기계설비산업정보체계의 법제도현실
2023년 6월 본격 시행된 1차 연도 기계설비정보체계에 대한 내외부 평가는 긍정적이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행정정보체계 주요 이용자인 지방정부 공무원들에
대한 조사에서(2023.03~2023.10까지 총 5회, 200명을 대상으로 인터뷰 및 설문조사 실시) 사용자들은 현행 법제도 상에서의 정보체계 활용
저해 요소가 존재함을 지적하고 있다. 그리고 기 구축된 정보체계의 사용성에서의 문제점도 지적을 하고 있다.
전문가 인터뷰의 경우 기계설비산업정보체계 사용자(행정공무원) 및 연구자, 산업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정보체계에 대한 기대사항과 기대 기능 등을 자유형식으로
청취 정리하고 현재 정보체계 1차년도 사업에 대한 개선 의견을 묻고 자율 의견을 받는 형식으로 진행하였다. 청취 의견들은 연구자가 구분하여 유형화하여
정리하였고 빈도수가 높은 항목을 중심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에 본 장에서는 우선 정보체계 활용 저해 요소 중 법제도 측면을 우선 설명하고, 다음 장에서 정보체계의 시스템 활용성 평가를 통한 사용성 문제를
논의하고자 한다.
우선, 정보체계 활용 저해 법제도 요소들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 보면, 기계설비법령 체계와 현 신규 구축된 제1차 기계설비정보체계와의 법률적 부적합성에
대한 의견과 이의 개선사항들이 도출되었다.
1) 기계설비산업 정보체계의 안정성과 지속가능성을 위해 정보체계 위탁기관 지정과 전문성 확보 필요
구축된 기계설비산업정보체계의 전문적인 운용과 사용자 지원 측면, 그리고 정보체계 기술 발전과 정보체계의 중요성에 부합하는 정보보안 등의 체계적 전문적
관리가 필요함을 지방정부 행정 담당자들은 개선 과제로 강조하였다. 또한 사용자 측면에서는 정보체계 접속 및 사용에 대한 충분한 교육과 안내, 문제
발생 시 대응 체계구축 등을 위한 측면에서도 정보체계 운영 전문기관 지정이 필요한 것으로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기계설비법 제7조의 업무위임위탁
규정의 신설 개정과 정보체계 시행 규칙의 일부 개정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2) 「전자정부법」 제19조에 따른 행정정보체계 일원화 구현 방안 설계 필요
우리나라는 「전자정부법」을 제정 운영함으로써, 행정업무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이고 서비스이용자들의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 따라서 기계설비산업 정보체계(전자정부)는
상위법 취지에 따라 행정신청자와 처리자의 업무 효율성 제고를 위해, 그리고 사용자들의 접근성 제고를 위해 기존의 면대면, 종이문서 기반의 행정 방식이
아닌 정보체계 기반의 온라인 행정서비스 체계로 전환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기존의 기계설비법령에서는 민원행정 처리 시 정보체계를 우선 사용할 것을
규정하고 있지 않아 많은(대다수) 민원인들이 현재 정보체계를 사용하지 않고 있어, 민원 업무처리 행정청에서는 기존의 종이기반 민원과 정보체계 온라인
민원이 혼재되는 상황에서의 혼란함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민원 등 행정 문서에 대한 서명방식과 본인확인 절차에 있어서도 전자정부법에서 정한
‘전자 서명’과 ‘전자정부 공동정보활용’에 대한 규정이 없어 행정 현장에서의 혼란이 가증되고 있다는 의견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3) 건설행정시스템(세움터) 및 지방행정정보체계와의 연계성 부족
Jin(5)는 건축물의 에너지소비량 중 70%를 차지하는 기계설비에 대한 에너지 성능데이터 등의 고부가가치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도시건축물의 에너지 절감
모델 전략과 건축물 탄소량 감축을 위한 국정과제 수행에 필요한 주요 데이터 관리방안으로 기계설비법의 기계설비정보체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합적인 데이터 관리를 위해서는 기계설비정보체계 단독이 아닌 기 구축 운영 중인 건설행정시스템(세움터) 및 지방행정정보체계 등과의 유기적인
연계가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많은 사용자들이 호소하는 불편 사항은 기존의 정보 또는 업무처리 전자정부시스템과의 연계성이 없거나 그 구현 기능이 낮은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어 많은 불편함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건설행정시스템(세움터)과의 연계성 문제는 기계설비법 적용 대상 건축물의
자동산출이 되고 있지 않은 현실의 가장 큰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고, 지방행정정보체계와의 연계성 부족 문제는 일선 행정처리에서의 불편함을 일으키는 주요
요소로 조사 결과 도출된 문제이었다. 따라서 2차 및 3차 기계설비산업정보체계 개선 작업 시 이러한 연계성 문제들이 가장 우선 적으로 해결되어야 할
과제임을 본 연구 결과로 강조하였다.
Table 3 Expert opinion frequency analysis summary
Types of Opinions on Legal Revision
|
Analysis status
|
No. of responses
|
Ratio
|
Remarks
|
1. Efficiency of information system operation and securing specialization (organization,
etc.)
|
80
|
22.47%
|
|
2. Unification of work into the administrative information system
|
89
|
25.00%
|
|
3. Strengthen connectivity with other e-government systems
|
150
|
42.13%
|
|
4. Preparation of training plan for users of information system
|
10
|
2.81%
|
|
5. Rationalize information system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costs (expansion of
budget, etc.)
|
5
|
1.40%
|
|
6. Other comments (related to system function configuration)
|
5
|
1.40%
|
|
10. No opinion/Improvement of the system outside of the information system
|
17
|
4.78%
|
|
Total
|
356
|
100.%
|
|
* In the case of multiple opinions of respondents, data is processed and analyzed
within two, focusing on important opinions.
4. 기계설비산업 정보체계의 시스템 사용성 평가 분석
4.1 기계설비정보체계의 사용성 평가 설계
Brooke(6)가 제안한 시스템 사용성 측정 방법(SUS)은 시스템과 그 프로덕트와 디자인의 사용성을 평가하기 위한 빠르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평가되고 있어 기계설비산업정보체계의
사용성을 평가하는 측정 도구로 채택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Brooke(7)는 SUS를 통해 인지된 사용 편의성을 측정하는데 실용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도구이고, 이는 UX 실무자가 디자인 솔루션에 전반적인 문제가 있는지
판단하는데 효과적임을 강조하고 있다.
시스템 사용성 측정 방법(SUS)은 유효성(사용자가 성공적으로 그들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습니까?), 효율성(얼마나 많은 노력과 자원이 그들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소비됩니까?), 만족도(경험은 만족스러웠습니까?)를 각각 측정하게 되며, 사용자들에게 10가지 질문을 통해 이를 조사하게 된다. 이
질문은 각각의 테스트 세션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빠르고 필터링되지 않은 피드백을 얻기 위해, 그리고 부담스러운 고민(응답지연) 없이 신속하게 답변되도록
설계되며, 사용성을 측정하는 척도에는 시스템에 대한 편의성, 정확성, 유연성, 일관성이 있다. 시스템 사용도 척도(System Usability Scale;
SUS) 점수의 의미는 사용성 제고를 위한 추가 노력(작업)이 얼마나 필요한지 알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며 평균 사용성 척도점수는 68점을 기준으로
68점보다 낮은 점수는 연구 및 해결되어야 할 디자인 문제를 나타내며, 68점보다 높은 점수는 디자인 및 사용기능에 대한 사소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냄을 의미한다.
Fig. 1 The meaning of sus score.
* Source: Andrew Smyk
(8)
Table 4 The system usability scale (SUS) questions
Type of Mechanical Equipment
|
Score/Scale
|
very not
(1)
|
It's not
(2)
|
in general
(3)
|
It's kind of like that(4)
|
very much so(5)
|
1. I think that I would like to use this system frequently.
|
|
|
|
|
|
2. I found the system unnecessarily complex.
|
|
|
|
|
|
3. I thought the system was easy to use.
|
|
|
|
|
|
4. I think that I would need the support of a technical person to be able to use this
system.
|
|
|
|
|
|
5. I found the various functions in this system were well integrated.
|
|
|
|
|
|
6. I thought there was too much inconsistency in this system.
|
|
|
|
|
|
7. I imagine that most people would learn to use this system very quickly.
|
|
|
|
|
|
8. I found the system very cumbersome to use.
|
|
|
|
|
|
9. I felt very confident using the system.
|
|
|
|
|
|
10. I needed to learn a lot of things before I could get going with this system.
|
|
|
|
|
|
* Source: Brooke
(7)
4.2 기계설비산업 정보체계 사용성평가(SUS) 결과 분석
본 연구는 40명의 전문가 및 사용자 평가단을 구성하여 13일간(2023.04.28.~2023.05.10.) 평가를 실시하였다. 객관적인 평가를 위해
본 연구는 평가단구성을 IT전문가, 공공기관 관계자, 일반사용자를 포함하는 사용자 평가단을 구성하여 사용자 평가를 진행하였다.
평가 결과를 보면, IT전문가, 공공기관 관계자, 일반사용자를 포함하는 사용자 평가단을 구성하여 “기계설비산업 민원웹포털”의 사용자 평가를 진행한
결과 평가단 참석자 전원의 평가결과를 종합한 통합점수는 68점으로 ‘C’ 등급 이상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평가 결과는 기계설비산업정보체계가 사용자들의
편의성이 고려된 시스템임을 의미하기는 하지만, 동시에 사용자평가 수준에 있어서는 ‘수용가능한 최소 수준’임을 의미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평가 결과에서
제기된 여러 기능상의 문제 개선과 사용자들의 불편, 사용성을 저해하는 제도개선 요소들을 분명하게 정의하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능개선과 제도
개선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기계설비산업 정보체계 사용성평가(SUS) 과정에서 응답자들의 개선요구사항들을 별도로 조사 정리할 수 있었고 이를 유형별로
정리․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었다. 각 개선 요구사항들은 이해관계자별로 고찰해 보고자 1) 기계설비산업 종사자(설계/시공/행정 종사자)와
2) 일반사용자 (관리주체/연구자) 3) IT 전문가(개발자/평가자/IT행정종사자) 집단으로 구분하여 재정리하였다.
Table 5 Summary of participants in the evaluation of usability evaluation (SUS) and result
Technical grade
|
Sum
|
Specialized field
|
IT Professional
|
Expert in mechanical equipment expert
|
General Users
|
1. Top engineer
|
5
|
5
|
-
|
-
|
2. Advanced engineer
|
10
|
10
|
-
|
-
|
3. Intermediate engineer
|
11
|
11
|
-
|
-
|
4. Beginner engineer
|
5
|
5
|
-
|
-
|
5. Mechanical equipment official
|
2
|
-
|
4
|
-
|
6. General Users
|
15
|
-
|
-
|
15
|
Total
|
40
|
21
|
4
|
15
|
SUS Score(point)
|
68
|
69
|
68
|
68
|
1) 기계설비산업 종사자들의 개선 요구사항 분석
기계설비산업 종사자들의 요구사항은 기계설비공사 착공 전 확인 사용 전 검사 등의 공사 관련 절차의 간소화를 위해 만들어진 본 시스템의 편의성 제고
요청 의견이 높게 조사되었다. 특히 권한자의 대리인 또는 법인 권한자의 사용권 인정과 행정 절차의 간소화를 요청하였고, 이러한 제도개선 사항은 기계설비법
시행규칙 또는 기술기준의 일부 개정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보면, 기계설비법에서 관리주체와 건축주, 기계설비공사자 등의
정의에 있어 법인격의 인정 여부와 대리인의 범위 설정을 명확히 할 수 있는 법령개정(시행규칙 또는 정보체계 운영 규정)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많이
나온 요청 사항은 정부의 전자정부 시스템과의 정보공동활용 기능 강화 요청이었다. 이미 구축 운영되고 있는 전자정부에서 기계설비법 내 각종 행정처리
시 필요한 정보(개인 확인, 법인 확인, 건축물 정보 등)를 자동으로 연계 활용할 수 있는 기능을 강화 하여야 함을 강조하고 있고, 특히 지방정부에서
관리하는 정보체계와의 연계성을 강조하고 있다.
기타 소수의견들로는 사용자 교육 및 시스템 홍보 강화와 문제 발생 시 문의가 가능한 콜센터 기능 개선, 그리고 사용자 편의성 제고를 위한 화면 구성
개선 요구 의견 등이 있었다.
2) 일반사용자 개선 요구사항 분석
기계설비법에 따라 신규로 만들어진 제도 중 일반 국민 생활과 직접적인 접점을 가지고 있는 ‘기계설비유지관리자’ 선임과 관련한 시스템의 기능에 대한
의견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우선, 법 제19조에 따라 유지관리자를 선임해야 하는 대상건축물에 대한 자동선정/통보 기능에 대한 필요성과 유지관리자
선임 행정업무 자동화에 대한 수요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번 2023년도 1차 연도 사업에서는 이러한 기능 구현이 포함되지 않아 사용자들의
가장 많은 아쉬움(불만) 요소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차년도 고도화 사업에서 이러한 자동화 기능이 꼭 반영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유사한 사항으로
법 제17조의 성능점검대상 건축물에 대한 자동 안내와 의무 시행 기간의 자동 안내 기능이 필요함을 기능 개선 사항으로 제시하였다.
기타 소수 의견들로는 사용자 교육 강화와 사용자 편의성 제고를 위한 콜센터 제도 시행 등을 요청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IT 전문가들의 개선 요구사항
우선, 기계설비산업 정보체계의 안정성과 지속가능성을 위해 정보체계 위탁기관 지정과 운영의 전문성 확보방안에 대한 제도 개선의견이 도출되었다. 운용
측면에서는 정보체계 기술 발전과 정보체계의 중요성에 비추어 정보보안 등의 체계적 전문적 관리가 필요함을 강조하였고, 사용자 측면에서는 정보체계 접속
및 사용에 대한 충분한 교육과 안내, 문제 발생 시 대응 체계 구축 등을 위한 측면에서도 운영 전문기관 지정이 필요함이 제기되었다. 이를 위해서는
기계설비법 제7조를 개정하여 정보체계의 업무위탁 근거 마련과 관련 예산 및 조직 지원을 위한 근거 조항 신설이 필요하다. 이상의 사항들을 표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Table 6 Improvement requirements from evaluation of usability evaluation(SUS)
Type of Respondent
|
Number of respondents
|
Type of improvement requirement
|
Analysis status
|
Number of responses
|
Ratio
|
1. Workers in the machinery and equipment industry (design/construction/administration
workers)
|
11
(27.5%)
|
Simplified inspection procedures before use of confirmation before commencement
|
11
|
28.21%
|
Recognition of the representative of the administrative application authority
|
11
|
28.21%
|
Establishment of procedures for handling administrative application corporations
|
9
|
23.08%
|
Strengthen joint use of government e-government information
|
3
|
7.69%
|
Enhance call center capabilities in case of problems
|
3
|
7.69%
|
Enhance the readability of functional screens
|
1
|
2.56%
|
Strengthen education and guidance
|
1
|
2.56%
|
Sub-sum
|
39
|
100.00%
|
2. General user (building management subject/researcher)
|
13
(32.5%)
|
Automatic calculation of target buildings
|
13
|
25.49%
|
Notification of Maintenance Manager Appointment
|
13
|
25.49%
|
Automatic guidance on whether to the perform performance audit
|
13
|
25.49%
|
Opening a call center function
|
9
|
17.65%
|
Strengthen user training
|
3
|
5.88%
|
Sub-sum
|
51
|
100.00%
|
3. IT professionals (developers/evaluators/administrative workers)
|
16
(40.0%)
|
Entrustment of designation of specialized institutions
|
13
|
22.41%
|
Enhanced information protection
|
10
|
17.24%
|
Strengthen user training
|
10
|
17.24%
|
System Utilization Promotion Guide
|
7
|
12.07%
|
Securing budget organization
|
3
|
5.17%
|
Automatically determining target building
|
7
|
12.07%
|
Automatic civil service guidance function
|
8
|
13.79%
|
Sub-sum
|
58
|
100.00%
|
Total
|
40
|
69
|
148
|
* In the case of multiple opinions of respondents, data is processed and analyzed
within two, focusing on important opinions
5. 결 론
본 연구에서는 기계설비법(제7조)에 따라 구축 운영 중인 기계설비산업정보체계에 대한 시스템 사용도 척도(System Usability Scale;
SUS)를 활용한 ‘사용성평가’와 ‘제도개선 수요 분석’을 전문가 4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건축물 탄소중립 이행과 에너지 절감, 도시건축물의
안정적 관리 운영을 위한 각종 중요 데이터들이 처리․유통되는 기계설비산업정보체계의 지속가능발전성과 고도화 확보를 위한 주요한 결과들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시급성”과 “적시성”을 중심으로 연구 결과를 압축 정리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2024년도에
시행되는 국토교통부의 제2차 기계설비산업정보체계 구축 사업에 꼭 포함되어야 할 개선사항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정부에서 추진하는 기계설비산업정보체계 고도화 사업에 꼭 반영되어야 할 개선사항, 즉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기계설비법 정책참여자와 기계설비산업정보체계
활용자들이 공감하고 요구하는 개선사항들을 제안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대상건축물의 자동화 및 업무처리의 자동화 기능 강화
정보체계 시스템 기능의 핵심은 업무의 자동화임에도 기계설비법의 행정 처리를 위한 자동화 기능이 구현이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고 이의 기능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① 기계설비법 대상건축물 자동 판별/통보 기능: 기계설비 유지관리자 선임 및 성능점검 대상 건축물에 대한 자동 판별 및 자동 안내 기능이 없어, 관리주체와
행정청 모두 불편함을 겪고 있어, 이를 개선할 수 있는 기능 개발 개선이 필요하다.
② 기존 서류 및 종이 서류 등의 시스템 자동 마이그래에션(데이터입력) 기능 필요: 현재 사람이 수기로 입력하고 있는 문제가 발생하여 일선 행정인력의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기존 종이 서류 등의 비정형 데이터의 자동입력기능 개발 및 개선이 필요하다.
2) 전자정부 시스템과의 연계성: 전자정부법상의 전자정부 시스템 및 지방행정 시스템과의 연계성이 부족하여 행정정보처리 지연이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① 세움터, 지방재정시스템 등 기계설비법에 따른 행정서비스 구현을 위한 피요 정보를 연계 활용할 수 있는 중앙/지방 정부 시스템과의 공동정보이용연계가
필요하다. 특히, 기술인력 정보 연동, 사업자 정보 연동 등 기계설비법 행정 처리를 위한 중앙 행정 정보체계 연계성 강화가 시급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② 지방행정업무시스템 연계 필요: 지방정부 민원행정, 지방행정시스템(시도새올)과의 업무 연계성이 부족하여 일선 공무원들의 사용 불편 사항으로 지적되고
있어 이에 대한 시급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3) 통합 콜센터를 통한 종합 지원체계 구축 필요
기계설비법 시행이 행정현장에서 완벽하게 정착되지 않은 상황에서 기계설비산업정보체계 시스템 구축과 데이터 입력이 진행되다 보니, 시스템에 대한 민원과
기계설비법 제도에 대한 민원이 뒤섞이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제도 관련 민원 콜센터와 시스템 민원 문의 콜센터가
개별적으로 이중화되어 운영되고 있어 현장의 민원 해결에 효과적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민원 콜센터의 통합운영 또는 연계운영 강화 방안이
필요한 상황임을 본 조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계설비산업 정보체계 이용 활성화 및 중요 데이터들의 활용 촉진을 위한 방안에 관해 설명하였다. AI, 빅데이터 산업 등 4차 산업혁명기술을
필두로 한 첨단 산업의 발전과 도시건축물 탄소중립 목표 이행을 위한 국정과제에 도전적 추진을 위해 요구되는 기계설비산업의 변화를 주도해 갈 국가 중요
핵심 정보체계 시스템으로 발전해 가는 전환점이 본 연구를 통해 만들어지기를 바라며 연구를 마무리한다.
후 기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음(과제번호 RS-2023-00244769).
References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23, MECHANICAL EQUIPMENT ACT, https://www.law.go.kr/LSW/lsInfoP.do?lsiSeq=219239&urlMode=engLsInfoR&viewCls=engLsInfoR#0000.
Yang, J. K., Lee, C. J., Jin, S., and Park, S. 2020,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 Equipment Information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Enactment of the Mechanical
Equipment Act, Journal of Equipment Engineering of the Korean Society of Equipment
Engineers, Vol. 32, No. 9, pp. 448-455.
Jin, S. K., Park, S. H., and Kim, M. K., 2020, Understanding the Mechanical Equipment
Act: The Utilization of Mechanical Facilities for Safe and Pleasant Building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anmi Publishing House, Seoul, pp. 57-97.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MOLIT), 2023, A System-Based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Information System for Mechanical Facilities, Korea Research
Institute of Mechanical Facilities Industry.
Jin, S. K., 2020, The Direction of Fostering the Machinery and Equipment Industry
According to the Enactment of the Machinery and Equipment Act, The Korea Equipment
Technology Association, equipment, manufacturing, and freezing, Vol. 25, No. 1, pp.
12-20.
Brooke, J., 1986, US: A “quick and dirty” Usability Scale”, In P. W. Jordan, B. Thomas,
B. A. Weerdmeester, & A. L. McClelland (eds.), Usability Evaluation in Industry. London:
Taylor and Francis.
Brooke, J B., 2013, SUS: A Retrospective, Journal of Usability Studies, Vol. 8, No.
2, pp. 29-40.
Andrew Smyk, 2020, The System Usability Scale & How It’s Used in UX, https://medium.com/thinking-design/the-system-usability-scale-how-its-used-in-ux-b823045270b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