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SO Journal TitleKorean J. Air-Cond. Refrig. Eng.
  • Open Access, Monthly
Open Access Monthly
  • ISSN : 1229-6422 (Print)
  • ISSN : 2465-7611 (Online)

  1. 성균관대학교 건설환경시스템공학과 박사과정 ( Ph.D. Student, Department of Civil, Architectural and Environmental Systems Eng., Graduate School, Sungkyunkwan University, 2066 Seobu-ro, Jangan-gu, Suwon-si, Gyeonggi-do, 16419, Korea )
  2. 성균관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 Professor, School of Architectural, Civil and Environmental Eng., Sungkyunkwan University, 2066 Seobu-ro, Jangan-gu, Suwon-si, Gyeonggi-do, 16419, Korea )



PM2.5(초미세먼지), Ventilation system(환기시스템), Air cleaning unit(공기청정기), Activity(활동도), Daycare center(어린이집), Outdoor PM2.5 concentration(외기 미세먼지 농도)

1. 서 론

최근 다양한 이슈로 인해 실내 공기질 관리 및 환기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아울러 높은 농도의 외기 미세먼지는 실내로 유입되어 실내 공기질(Indoor Air Quality, IAQ)을 청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인간은 하루 중 90% 이상의 시간을 실내에서 보내고 있으며, 하루 중 섭취하는 물질의 상당 부분이 공기인 점을 감안하면 실내 공기를 청정하게 유지하는 것은 인체 건강을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1) 특히, 어린이의 경우는 성인 대비 호흡량은 적지만 체중 1kg 당 호흡량은 성인의 2배 정도가 되어 결과적으로 오염된 공기에 노출될 경우 그 위험도가 성인의 2배에 이를 수 있다.(2) 또한 대부분의 미취학 아동(3개월~4세)은 주당 40~50시간을 어린이집이나 보육원에서 보내기 때문에 어린이집의 실내 공기질 관리는 특히 중요하다.(1,3-5) 아울러 어린이집은 감염성 질환에 매우 취약한 장소이며,(6-8) 다른 시설과 비교해서 높은 수준의 실내 공기질 관리가 요구된다.

실내 공기질을 악화시키는 요인 중 미세먼지는 여전히 해결해야할 문제로 남아있다. 정부는 미세먼지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미세먼지 저감 및 관리에 관한 특별법」을 2018년 8월 제정하였고, 학교보건법, 실내공기질 관리법, 영유아보건법 등에도 미세먼지 저감 및 관리에 관한 조항을 개정, 시행하고 있다. 특히, 미세먼지 저감 및 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22조에서는 어린이, 노인 등 취약계층 이용시설에 대해 미세먼지로 인한 건강상 위험이 심각하다고 인지하여 미세먼지 집중관리구역으로 지정하였으며, 동법 제23조에는 어린이․영유아ㆍ 노인ㆍ임산부ㆍ호흡기질환자ㆍ심장질환자 등을 미세먼지 취약계층으로 정의하고 이들 취약계층이 미세먼지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도록 대책 마련에 대해 규정하고 있다.(9) 외부에서 유입되는 미세먼지 양은 건물의 기밀성능 또는 침기량에 따라 달라지며,(10,11) 실내에서는 재실자의 활동도에 따라 다양한 미세먼지 발생원이 존재한다.(12-14) 어린이집의 경우, 어린이들의 다양한 실내 활동, 조리실에서의 조리 등에 의해서 실내 미세먼지 농도가 높게 형성될 수 있다.(15,16)

본 연구에서는 미세먼지 취약계층인 어린이들이 많은 시간을 보내는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실내 활동 시 형성되는 미세먼지 농도를 분석하고, 통상 어린이집에서 미세먼지 제거방법으로 가장 많이 적용하고 있는 공기청정기의 가동에 따른 저감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미세먼지의 제어뿐 아니라 어린이집 실내 환경을 전반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환기시스템을 가동하는 경우, 그리고 환기시스템과 공기청정기를 병용하여 가동하는 경우의 실내 미세먼지 제거 특성을 분석하였다.

2. 연구 방법

2.1 분석 대상건물의 개요

분석 대상건물은 서울시 종로구 도심지에 위치한 4층 규모의 어린이집이다. 분석 대상건물은 최대 8.1 m 레벨차가 있는 대지 내에 건설되어, 지중공간에 면해있는 데크층의 일부 실들은 창문이 없지만 데크층과 1층이 수직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선큰을 통해 자연채광과 환기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Fig. 1 참조). 또한, 모든 보육실은 남측 채광이 가능하며, 2면 이상 외기에 접하여 자연환기에 유리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1층의 주출입구가 있으며, 계단실은 문이 없고 데크층부터 3층까지 오픈되어 있는 구조이다. 각 층의 정보는 Table 1과 같다. 구조는 철근콘크리트조이며, 냉난방설비로 EHP, 천정형 환기설비가 설치되어 있다. 데크층에는 조리실, 보육실 2개가 있고, 1층부터 3층까지 각 층마다 보육실이 있어 총 5개의 보육실로 구성되어 있다.

Table 1 The overview of target daycare center

Floor

Child-care

room

Number of children

Area

(㎡)

Deck floor (B1F)

Room 2

(2 years old)

17

42.07

Room 3

(3 years old)

18

45.63

1F

Room 1

(0 or 1 years old)

8

32.19

2F

Room 4

(4 years old)

23

46.45

3F

Room 5

(5 years old)

23

44.45

Fig. 1 Plan (B1F) of the analyzed building.
../../Resources/sarek/KJACR.2021.33.7.359/fig1.png

2.2 분석방법

본 연구에서 어린이집의 실내 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분석은 시뮬레이션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시뮬레이션 분석은 다중구역(Multizone)을 가진 건물 내 공기유동 및 실내 공기질 분석에 널리 사용되는 CONTAM을 이용하였다.(17)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시뮬레이션 모델링은 대상건물의 공간 모델링 및 실내외 온도 설정, 각 건물 부위에 대한 기밀성능(누기면적) 입력 및 공기유동 경로 지정, 환기시스템 및 필터 모델링, 공기청정기 및 필터 모델링 그리고 오염물질의 특성 정의 및 발생량 입력이 필요하다. CONTAM은 환기시스템 컴포넌트가 있어서 모델링이 가능하지만, 공기청정기 컴포넌트가 없기 때문에 이에 대한 모델링이 필요하다.

해당 시뮬레이션에서 존의 온도는 난방 조건으로 실내 온도 24℃로 설정하였으며, 외기온도는 어린이집 주변의 외기 미세먼지가 가장 높은 시기인 2019년 3월의 평균 외기온도 조건을 기상청 데이터를 참고하여 8.25℃로 설정하였다.

각 존 간의 공기유동을 지정하기 위해 공기유동 경로 상의 있는 문, 외피 등의 기밀성능(누기면적)에 대해 기존 논문을 참고하여 설정하였다.(18-21)

환기시스템의 공급 유량 조건은 건축물의 설비기준에 관한 규칙 [별표 1의 6]에 해당하는 1인당 요구 풍량인 36(㎥/인․h)을 기준으로 각 보육실의 인원수에 해당하는 공급 유량을 설정하였다. 환기시스템 미세먼지 필터효율은 기존 연구결과(22)를 참고하여 88%로 설정하였다.

CONTAM 내 공기청정기 컴포넌트의 부재로 공기청정기는 본 연구에서 추가적인 모델링을 통해 구현하였다. 공기청정기는 환기시스템과 다르게 하나의 존에서 공급과 리턴 두 가지 노드의 재순환이 반복되며, 그 과정에 필터가 제거효율을 가지고 미세먼지를 제거하게 된다. 따라서 공기청정기는 하나의 존에서 공급과 리턴이 재순환되도록 공기 유동경로를 설정하였다. 공기청정기 풍량은 각 보육실의 청정면적에 해당하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S사의 청정면적 57 ㎡의 풍량을 적용하였다. 공기청정기 필터효율은 기존 연구결과(23)를 참고하여 80%로 하였으며, 필터를 교체주기에 따른 필터 효율이 달라지는 점을 감안하여 필터 교체주기가 적절하여 초기의 높은 필터 효율을 유지하는 경우의 95%의 필터효율도 적용하였다. 또한, 공기청정기의 용량(풍량)을 변경하여 청정면적 87 ㎡ 공기청정기를 적용하는 경우도 분석하였다.

공기 중의 오염물질은 다양한 이동 메커니즘에 의해 건물에 확산된다. 본 시뮬레이션에서는 오염물질의 건물로의 유입 및 유출, 필터 및 흡착, 침착에 의한 제거, 생성 등의 다양한 확산 경로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먼저 오염물질인 미세먼지를 정의하였다. 건물에서의 미세먼지의 확산을 표현하기 위해 각 존에 대해 미세먼지의 생성, 침착 등의 메커니즘을 소스(source)/싱크(sink) 모델을 이용하여 모델링하였다. 아울러 미세먼지 모델링에 필요한 침입계수,(24) 침착률,(25) 발생량(14) 등은 기존 논문의 연구결과를 참고하였다. 외기 미세먼지 농도는 에어코리아의 측정데이터 중 어린이집 주변의 대기 미세먼지 농도가 가장 높은 날의 농도를 기준으로 하였다. 본 시뮬레이션 분석은 공기유동 및 오염물질에 대해 정상상태 해석을 진행하였다.

Table 2 Simulation conditions

Classification

Conditions

Note

Temperature

Outdoor temperature

8.25℃

Korea weather

Indoor temperature

24℃

Leakage area

Airtightness

Exterior wall (㎠/㎡)

Front door

(㎠/item)

E/V door

(㎠/item)

Auto door

(㎠/item)

Entrance

(㎠/item)

18), 19),

10), 21)

Medium

3.23

124.3

325

261.01

343.63

Ventilation system

-

Airflow : 288~828 CMH/Filter Efficiency : 88%

22)

Air cleaning system

CADR-57 ㎡

Airflow : 174 CMH/Filter Efficiency : 80% or 95%

23)

CADR-87 ㎡

Airflow : 393 CMH/Filter Efficiency : 80% or 95%

PM2.5 of outdoor

PM2.5

137.58 μg/㎥

Air korea

Penetration coefficient

PM2.5

0.7

24)

Deposition rate

PM2.5

0.5 h-1

25)

Emission rate

PM2.5/Activity

0.2 mg/min

14), 26)

2.3 분석 케이스

분석 케이스는 총 4가지로 구성하였으며, Base case는 어린이들의 활동도를 고려하지 않은 상태, 환기장치, 공기청정기 등을 운영하지 않은 상태에 대해 건물 창호의 기밀성능은 일반적인 수준이며, 외기 미세먼지 농도는 높은 경우이다.

Case 1은 모든 조건이 Base case와 동일하나 어린이들의 활동도를 고려한 조건으로 어린이들의 실내 활동에 의해 실내 미세먼지 농도가 상승하는 상황에 대해 분석하였다.

Case 2는 어린이들의 실내 활동에 의해 보육실 내 미세먼지가 증가된 상황에서 보육실의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방안으로 환기시스템을 가동한 경우이다.

Case 3은 공기청정기를 가동한 경우이며, Case 3-1은 공기청정기 필터 효율(교체주기)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 성능 검토로 청정면적 57 ㎡ 공기청정기의 필터 교환주기가 긴 경우인 필터효율 80%와 필터 교환주기가 짧은 경우 필터효율 95% 두 개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Case 3-2는 공기청정기 풍량 증가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 성능 검토로 청정면적 57 ㎡ 외 대용량 제품인 청정면적 87 ㎡ 공기청정기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Case 4는 환기시스템과 공기청정기를 병용하여 가동했을 때 보육실 내 미세먼지 제거성능을 분석한 경우이다. 본 논문에서 지면 관계로 실내 CO2 농도분포에 대한 내용은 포함하지 않고 있으나 어린이집에서 공기청정기만으로 미세먼지 제거를 하는 경우에 신선외기의 부족으로 실내 공기중의 CO2 농도가 기준치를 상회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검토하는 Case 4는 어린이집에서 실내 미세먼지와 CO2 농도의 상승에 대비한 제어방법에 대한 검토이다. 전체 검토 Case를 정리하면 Table 3과 같다.

Table 3 The analyzed cases

Classification

Airtightness

Activity

Ventilation

Outdoor PM2.5

Air cleaning system

Note

CADR-57 ㎡

CADR-87 ㎡**

80%

95%*

80%

95%*

Base case

Medium

X

X

High

X

X

X

X

-

Case 1

O

Children’s activity

Case 2

O

Ventilation only

Case 3-1-1

X

O

X

X

X

Air cleaning only

Case 3-1-2

X

O

Case 3-2-1

X

O

Case 3-2-2

X

O

Case 4-1

O

O

X

X

X

Vent.+air cleaning

Case 4-2

X

O

* The air purifier filter is properly replaced.

** Increase the capacity of the air purifier.

3. 시뮬레이션 결과

3.1 대상건물 내 공기유동

분석대상 어린이집의 분석대상 기간인 3월의 건물 내 공기유동을 분석하였다(Fig. 2 참조). 미세먼지가 공기유동에 동반하여 이동하기 때문에 각 실의 미세먼지 농도 형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건물 전체 공기유동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상건물의 공기유동 분석 결과, 건물의 공기유입, 유출이 변경되는 중성대는 건물 2층에서 형성되었다. 즉, 데크층, 지상 1층에서는 외부에서 실내로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계단실과 엘리베이터 샤프트를 통해 상층부로 이동하여 지상 2층, 3층, 옥탑층의 실내를 경유하여 외부로 공기가 유출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Fig. 2 Analysis of indoor airflow caused by the stack effect in the analyzed building.
../../Resources/sarek/KJACR.2021.33.7.359/fig2.png

3.2 어린이들의 활동에 따른 실내 미세먼지 농도의 변화

Base 케이스와 비교하여 Case 1은 어린이들의 보육실 내 활동에 따른 실내 미세먼지 농도 변화를 분석한 정상상태 결과이며 Fig. 3과 같다. 보육실 내 어린이들의 활동에 의해 미세먼지 농도가 상승하게 된다.

검토 결과, 보육실에서 어린이들의 활동도를 고려하면 모든 보육실에서 실내 미세먼지 농도는 국내 기준치의 약 1.4배에서 최대 5.5배까지 상승하는 결과를 보였다. 특히 보육실 1의 농도가 194 μg/㎥로 가장 높았다. 그 이유는 1층의 보육실 1은 원생들이 아침에 등교하는 주출입문에 인접하고 있으며, 등교 시에 주출문이 개방된 상태에서 많은 외기가 유입되며 그와 동반하여 외부 미세먼지가 유입되어 실내 잔존 미세먼지 농도가 높았기 때문이다. 보육실 2, 3, 4의 경우는 위 Fig. 1의 건물 내 공기유동 결과와 같이 높은 미세먼지 농도의 외기가 실내로 유입되기 때문에 실내 잔류 미세먼지 농도가 타 실에 비해 높아서 활동에 따른 실내 미세먼지 농도도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기존 연구에서도 활동에 의해 약 18분 동안에 발생된 실내 미세먼지 농도가 82 μg/㎥로 나타났기 때문에(26) 활동이 장시간 이루어졌을 시 현 분석에서 발생된 농도만큼 증가될 것이라고 판단되었으며, 활동이 장시간 이루어졌다고 가정한 것은 실내 미세먼지 농도가 최악의 상황 일 때를 모사한 것이다.

Fig. 3 Indoor PM2.5 concentration changes according to the children’s activities in child-care room.
../../Resources/sarek/KJACR.2021.33.7.359/fig3.png

3.3 환기시스템 가동에 따른 실내 미세먼지 농도의 변화

Case 2는 Case 1에서 어린이들의 실내 활동으로 인해 보육실 내 미세먼지 농도가 증가된 상태에서 환기 시스템을 가동하여 보육실 내 미세먼지 제거 성능을 검토하였다(Fig. 4 참조). 분석 결과, 환기시스템을 가동하면 실내 미세먼지 농도는 평균적으로 77% 정도 낮아지는 효과를 보였다. 1층에 위치한 보육실 1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보육실에서 국내 기준치 이하로 유지되었다. 1층에 위치한 보육실 1의 PM2.5 농도는 여전히 기준치를 상회하는 51 μg/㎥의 결과를 나타냈다. 이는 환기시스템은 외기를 도입하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외기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상황에서 환기시스템 가동 시 일부 고농도 외기 미세먼지가 유입될 수 있다. 즉 외기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상황에서는 실내 공기청정기와의 병용 운전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3.4 공기청정기 가동에 따른 실내 미세먼지 농도의 변화

Case 3은 보육실 내 증가된 미세먼지 제거를 위해 공기청정기를 가동하여 보육실 내 미세먼지 제거성능을 검토한 경우이다. 분석 케이스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되며, 공기청정기 필터의 미세먼지 제거 효율(80%, 95%), 공기청정기 용량 증가(청정면적 57 ㎡, 87 ㎡)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성능을 분석하였다.

Case 3-1은 분석대상 어린이집 보육실 규모에 맞도록 청정면적 57 ㎡ 공기청정기 용량으로 하고 공기 청정기의 필터 효율(80%, 95%)에 따른 분석이다. 분석 결과는 Fig. 5와 같다. Case 3-1-1은 공기청정기의 필터 효율이 80%로 어린이집 등 공공건축물의 필터 교환주기가 다소 길어서 필터 효율이 다소 저하된 상황을 묘사 하고 있다. Case 3-1-2는 공기청정기의 필터 효율이 95%로 필터 교환주기가 짧아서 필터 효율이 높은 상황을 묘사하고 있다.

분석 결과, 원생들의 실내 활동에 따라 실내 미세먼지 농도가 높아진 상황에서 공기청정기를 가동하면 실내 미세먼지 농도는 필터효율 80%일 때는 57%의 실내 미세먼지 제거성능을 보였다. 필터 효율이 95%인 경우에는 실내 미세먼지 제거성능이 61%까지 향상되었다. 그러나 미세먼지 제거효율이 95%인 필터를 적용한 공기청정기를 가동했을 시에도 초기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1층의 보육실 1과 데크층의 보육실 3은 여전히 국내 24시간 평균 기준치인 35 μg/㎥를 약간 상회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Case 3-2에서는 공기청정기의 용량을 기존 청정면적 57 ㎡에서 대용량의 청정면적 87 ㎡로 변경, 가동 시의 보육실의 미세먼지 농도 변화를 검토하였다. Case 3-2-1은 공기청정기의 필터 효율이 80%인 경우이며, Case 3-2-2는 공기청정기의 필터 효율이 95%인 경우이다. 분석결과는 Fig. 6과 같다.

Fig. 4 Indoor PM2.5 concentration changes in child-care room by operating the ventilation system.
../../Resources/sarek/KJACR.2021.33.7.359/fig4.png

공기청정기 용량을 청정면적 87 ㎡으로 적용하여 운전하면, 실내 미세먼지 농도는 필터의 미세먼지 제거효율이 80%인 조건에서 평균 75%의 미세먼지 제거효율을 보여 청정면적 57 ㎡일 때 보다 약 18%의 제거성능이 향상되었다. 필터효율이 95%인 조건에서는 약 78%의 실내 미세먼지 제거효과를 보여 청정면적 57 ㎡ 대비 약 17%의 제거성능이 향상되었다. 필터효율이 80%인 조건에서 공기청정기의 용량을 청정면적 87 ㎡로 증가시켜도 대부분 보육실의 실내 미세먼지 농도가 기준치를 상회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에 반하여 필터효율이 95%인 경우에는 공기청정기 용량을 청정면적 87㎡로 증가시키면 모든 보육실의 실내 PM2.5농도는 기준치 이하로 유지되었다. 즉 원생들이 실내 활동을 실시하는 상황에서 상승된 실내 미세먼지 농도를 기준치 이하로 유지하기 위해서 공기청정기를 가동한다면, 공기청정기의 용량은 최소 청정면적 57㎡ 이상이 되어야 하고, 필터효율도 95% 이상이 되는 것을 적용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Fig. 5 The removal of PM2.5 concentration in child-care rooms by operating the air cleaning unit(CADR-57 ㎡) according to the filter removal efficiency
../../Resources/sarek/KJACR.2021.33.7.359/fig5.png

Fig. 6 The removal of PM2.5 concentration in child-care rooms by operating the air cleaning unit(CADR-87 ㎡) according to the filter removal efficiency
../../Resources/sarek/KJACR.2021.33.7.359/fig6.png

Case 2와 3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을 때, 환기시스템은 1인당 필요 환기량에 따라 용량이 결정되어, 본 연구의 분석대상 보육실에서는 평균 640 CMH 용량의 환기시스템이 설치되며, 이는 4 ACH의 환기횟수(신선외기 교환율)에 해당한다. 이에 반해, 공기청정기는 청정면적에 따라 용량이 결정되며, 현 분석에 사용된 요구 풍량은 평균 174 CMH였고, 평균적으로 1.2 ACH의 상당신선외기공급량(CADR)에 해당한다. 따라서 신선외기 공급량에 대한 미세먼지 제거 효율은 공기청정기가 환기시스템에 비해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한편 환기시스템은 외기를 도입하여 실내 공기와의 혼합을 통해 실내 공기 오염농도를 낮추는 방식으로 외기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환기에 따른 실내 미세먼지 농도는 변화한다. 따라서 외기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경우 고농도의 미세먼지 일부가 실내로 유입되기 때문에 실내 미세먼지 제거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반면, 공기청정기는 내부의 미세먼지를 필터를 통해 포집하여 제거하기 때문에 필터 효율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외기 미세먼지 농도의 변동, 공기청정기 필터 효율의 변동, 그리고 미세먼지 제거뿐만 아니라 실내 CO2 농도를 고려하면 환기시스템과 공기청정기를 병용하여 운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5 환기시스템과 공기청정기 동시 가동에 따른 실내 미세먼지 농도의 변화(Fig. 7 참조)

Case 4는 각 보육실의 환기시스템과 공기청정기를 동시에 병용하여 운전했을 경우의 보육실 내 미세먼지 제거 성능을 검토한 경우이다. 적용한 공기청정기는 청정면적 57 ㎡이며, Case 4-1은 필터의 미세먼지 제거효율은 80%, Case 4-2는 필터 효율 95%의 경우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환기시스템 및 공기청정기를 동시에 가동 시 Case 4-1의 공기청정기 필터효율이 80%인 경우에는 평균적으로 79%, 공기청정기 필터효율이 95%인 Case 4-2의 경우는 평균적으로 81%의 실내 미세먼지 제거효율을 보였다. 공기청정기 필터효율이 80%인 경우에는 보육실 1의 미세먼지 농도가 국내 기준치를 약간 상회하는 결과를 보였지만, 필터의 제거효율을 95%로 높이면 기준치인 35 μg/㎥로 낮출 수 있었다.

환기시스템과 공기청정기를 동시에 가동하면 모든 보육실에서 실내 미세먼지 농도를 각각 개별적으로 운전하는 케이스와 비교하여 가장 낮은 실내 미세먼지 농도를 유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환기시스템과 공기청정기를 동시에 병용하여 가동한다고 하여도 공기청정기 필터를 교체주기에 맞게 교체하여 필터효율을 고효율로 유지하지 못하면 국내 기준치를 상회하는 결과를 보일 수 있어, 필터의 주기적인 교환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Fig. 7 The removal of PM2.5 concentration in child-care rooms by operating the ventilation and air cleaning unit.
../../Resources/sarek/KJACR.2021.33.7.359/fig7.png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어린이집 원생들의 다양한 실내 활동으로 인한 실내 미세먼지 농도 상승 그리고 이를 제거하기 위한 방안으로 환기시스템, 공기청정기 등을 가동하는 분석을 실시했다.

외부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3월에 분석 대상건물의 실내 공기 이동은 데크층과 1층에서 외기가 실내로 유입되며, 이 공기가 계단실을 통해 상부로 유입되어 2층, 3층, 옥탑층의 실내를 경유해서 외부로 유출되었다.

어린이들의 실내 활동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 보육실의 실내 미세먼지 농도는 대부분 현재 국내 PM2.5 24시간 평균 기준치인 35 μg/㎥ 이하로 나타났으나, 1층의 보육실 1, 데크층의 보육실 3의 농도는 기준치를 약간 상회하는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어린이들의 실내 활동을 고려하면 실내 미세먼지 농도는 최대 5.5배까지 상승하는 결과를 보였으며, 모든 보육실에서 국내 기준치를 높게 상회하였다. 이 상황에서 환기시스템을 가동하면 1층의 보육실 1을 제외한 모든 보육실에 대해 실내 미세먼지 농도를 국내 기준치 이하로 유지시킬 수 있었다.

환기시스템을 가동하지 않고 공기청정기를 가동할 경우 공기청정기 청정면적 57 ㎡의 용량, 필터 효율 80%와 95% 모두 1층 보육실 1의 실내 미세먼지 농도는 국내 기준치를 상회하였다. 하지만 필터 효율 95%인 상황에서 청정면적을 87 ㎡로 증가시키면 모든 보육실의 실내 미세먼지 농도를 기준치 이하로 유지할 수 있었다.

환기시스템과 공기청정기(청정면적 57 ㎡, 필터 효율 80%)를 동시에 병용하여 가동해도 1층 보육실의 미세먼지 농도를 국내 기준치 이하로 낮출 수 없었지만 공기청정기의 필터 효율이 95%인 경우에는 모든 보육실의 미세먼지 농도를 국내 기준치 이하로 유지되었다. 결과적으로 환기시스템과 공기청정기를 병용해서 가동한다고 해도 공기청정기 필터를 자주 교체해서 정격 효율을 발휘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해당 연구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이루어진 분석이기 때문에 실측에 대한 내용이 없어 한계를 보이지만, 시뮬레이션에 입력되는 값의 경우 모두 실측을 통해 이루어진 것을 반영한 것이기 때문에 신뢰성을 가질 수 있다.

후 기

본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에너지환경통합형 학교미세먼지 기술개발사업의 연구비지원에 의해 수행 되었습니다(NRF-2019M3E7A1113080).

References

1 
Hwang S. H., Seo S., Yoo Y., Kim K. Y., Choung J. T., Park W. M., 2017, Indoor Air Quality of Daycare Centers in Seoul, Korea, Building and Environment, Vol. 124, No. , pp. 186-193DOI
2 
Branco P. T. B. S., Alvim-Ferraz M. C. M., Martins F. G., Sousa S. I. V., 2015, Children’s Exposure to Indoor Air in Urban Nurseries-Part I : CO2 and Comfort Assessment, Environmental Research, Vol. 140, No. , pp. 1-9DOI
3 
Tezara C., Adam N. M., Juliana J., Mariani M., Siregar J. P., 2014, Monitoring of the Indoor Air Quality Parameters in the Day-Care Centers in Tropical Country, International Journal of Mechanical Engineering(LJME), Vol. 3, No. 1, pp. 47-52DOI
4 
Zuraimi M. S., Tham K. W., Chew F. T., Ooi P. L., 2007, The Effect of Ventilation Strategies of Child Care Centers on Indoor Air Quality and Respiratory Health of Children in Singapore, Indoor air, Vol. 17, No. 4, pp. 317-327DOI
5 
Fairchok M. P., Martin E. T., Chambers S., Kuypers J., Behrens M., Braun L. E., Englund J. A., 2010, Epidemiology of Viral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in a Prospective Cohort of Infants and Toddlers Attending Daycare, Journal of Clinical Virology, Vol. 49, No. 1, pp. 16-20DOI
6 
Hernandez S. F., Morales H. R., Cuevas R. P., Gallardo H. G., 1999, The Day Care as a Risk Factor for Acute Respiratory Infections, Arch. Med. Res., Vol. 30, No. 23, pp. 216-223DOI
7 
Jaakkola J. J. K., 2000, Day-Care Centers and Health, In : Spengler, J. D., Samet, J. M., McCarthy, J .F. (eds) Indoor Air Quality Handbook, 69.1-69.20, New York, McGraw-HillGoogle Search
8 
Shin N., Ahn J., 2012, Factors Affecting the Number of Hours Children Spent in Child Care Centers Among Dual-Working Families, Korea Journal of Human Ecology, Vol. 21, No. 5, pp. 863-874DOI
9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 2019, A Study on the Detailed Implementation of the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ed Management Area Designation SystemGoogle Search
10 
Kang D., Choi D., 2015, A Preliminary Study to Evaluate the Impact of Outdoor Dust on Indoor Air by Measuring Indoor/Outdoor Particle Concentration in a Residential Housing Unit, J. KIAEBS, Vol. 9, No. , pp. 462-469DOI
11 
Park J. S., Jee N. Y., Jeong J. W., 2014, Effects of Types of Ventilation System on Indoor Particle Concentrations in Residential Buildings, Indoor Air, Vol. 24, No. 6, pp. 629-638DOI
12 
Mullen N. A., Liu C., Zhang Y., Wang S., Nazaroff W. W., 2011, Ultrafine Particle Concentrations and Exposures in Four High-Rise Beijing Apartments, Atmospheric Environment, Vol. 45, No. 40, pp. 7574-7582DOI
13 
He C., Morawska L., Hitchins J., Gilbert D., 2004, Contribution from Indoor Sources to Particle Number and Mass Concentrations in Residential Houses, Atmospheric Environment, Vol. 38, No. 21, pp. 3405-3415DOI
14 
Morawska L., Salthammer T., 2006, Indoor Environment : Airborne Particles and Settled Dust, John Wiley & Sons, Weinheim, pp. 35Google Search
15 
Um C. Y., Zhang N., Kang K. M., Kim T. Y., 2019, Analysis of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 of Daycare Center by Rooms and Activities, Proceedings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39, No. 2, pp. 347-348DOI
16 
Henry C., Minier J. P., 2014, Progress in Particle Resuspension from Rough Surfaces by Turbulent Flows, Progress in Energy and Combustion Science, Vol. 45, No. , pp. 1-53DOI
17 
Walton G. N., 1989, AIRNET-A Computer Program for Building Airflow Network Modeling,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 and Technology(NIST), USA, Vol. , No. , pp. -DOI
18 
Bae S. H., Lee B. K., Hong C. H., 2004, A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the Leackage Area of the Building Elements, Proceedings of the KIFSE, Vol. , No. , pp. -DOI
19 
Jo J. H., 2005, Simulation of Pressure Distribution and Solving the Pressure Differentials Problem in High-Rise Residential Building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and Design, Vol. 21, No. 11, pp. 269-276DOI
20 
Tamura G. T., 1994, Smoke Movement and Control in High-Rise Buildings,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Vol. , No. , pp. -DOI
21 
Pedersen C. O., Fisher D. E., Spitler J. D., Liesen R. J., 1998, Cooling and Heating Load Calculation Principles, ASHRAE(American Society of Heating, Refrigerating, and Air-Conditioning Engineers), Vol. , No. , pp. 131-152DOI
22 
Koo B. K., Jeong J. W., Kim J. W., 2020, Elementary School Air Purification Equipment Application Status and On-Site Performance Evaluation, Proceedings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40, No. 1, pp. 322-323DOI
23 
Han B. W., Kang J. S., Kim H. J., Kim Y. J., Won H. S., 2013, Analysis on Particle Cleaning Capacity of Indoor Air Cleaners for Different Flow Rates Considering Energy Consumption, Particle and Aerosol Research, Vol. 9, No. 3, pp. 139-147DOI
24 
Wang X., Gao Z., Yang J., Yang X., 2019, In Situ Investigation on Linkage between Particle Penetration and Air Exchange through Building Envelope, International Journal of Ventilation, Vol. 18, No. 4, pp. 233-245DOI
25 
Kim S. G., Kang D. H., 2018, Analysis on Impact of Outdoor Particle Penetration on Classroom air Quality through Estimation of Particle Penetration Coefficient and Deposition Rate, Proceedings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38, No. 1, pp. 388-389DOI
26 
Ferro A. R., Kopperud R. J., Hildemann L. M., 2004, Source Strengths for Indoor Human Activities that Resuspend Particulate Matter,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Vol. 38, No. 6, pp. 1759-1764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