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ISO Journal TitleJ Korean Inst. IIIum. Electr. Install. Eng.

  1.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 (Department of Dermat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LED Therapy, LLLT, LED for Scalp, Malassezia Inhibition, HFDPC Activation

1. 서론

오늘날 국내 탈모 환자들은 의학적 치료보다는 자가 치료에 치중하는 경향에 따라 가정 내 자가 치료 제품 시장이 성장하는 추세이다. 이에 화학약품으로 인한 독성 및 약물 부작용 우려가 적은 LED는 특정 치료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최적 파장을 자유롭게 제공할 수 있는 최초의 광원으로 좁은 공간에서 접근이 어려운 부위의 치료도 가능하며 고전압이 필요한 레이저에 비해 안전하다[1,2]. 이에 LED를 응용한 치료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는 추세이다.

Table 1. LED for clinical applications[1]

Application

Wavelength (nm)

Operation mode

Wound healing

660, 850

Pulse

Scar prevention

805~970

Continuous Wave

Photorejuvenation

630~660

Pulse

PDT

405~630

Pulse or CW

LED는 파장별로 660nm와 850nm는 상처 치유, 630∼660nm는 염증 및 피부 재생 치료, 805∼970nm는 흉터 치료에 사용되며 각종 피부 치료효과를 갖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7]. 특히 두피 케어용 LED 광원에 관한 기존 연구결과에서는 말라쎄지아(M. furfur)의 항진균 작용을 보이는 효과적인 LED 파장대는 380 ± 2nm와 392.5 ± 1nm였으며, 630 ± 5nm의 파장에서는 항진균 효능이 나타나지 않았다[2]. 660 ± 8nm 파장은 두피 지루피부염의 치료에 비교적 효과적이며, 안전함이 확인되었다[7]. 그러나 기존의 선행 연구들에서는 의료용 LED 광원에 대한 시험규격이 없으므로 복사조도 측정 과정에서 휴대용 광파 측정기(Delta OHM, Padova, Italia)를 이용하여 광도를 측정한 후 에너지 밀도[J/cm2]를 산출하였다[2]. 또한 LED 광 조사를 통한 세포 생존력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었으나, 결과가 상이하고 일정한 효과를 입증하지 못하며 임상적인 관찰에 머물고 있는 수준이다[3]. 이는 의료용 LED 광원에 대한 시험규격이 없으므로 복사조도 측정 과정에서 여러 가지 광 특성 측정방법이 혼용 중이며, 세포에 광이 조사될 때의 복사조도를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LED 광원 자체의 복사조도로 에너지 밀도를 산출하여 발생된 문제로 판단된다. 이러한 선행연구 자료를 조사한 결과로 항진균용 파장대인 393± 3nm는 인체 안전성 측면에서 세포에 직접 영향을 준 에너지 밀도를 산출하는 것이 중요하며, 기존에 알려진 660nm 파장대 LED처럼 630± 1nm와 850± 1nm 파장대의 LED에서도 두피 케어용 광 조사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LED 광원의 첨두파장은 393 ± 3nm, 630 ± 1nm, 850 ± 1nm을 사용하였으며, 광특성 데이터와 세포시험 데이터 간 측정 소급성을 확보하기 위해 광 조사 세포시험 조건을 고려하여 기존 LED 시험규격을 보완한 방법으로 광특성을 측정하였다. 이를 통해 비듬균인 말라쎄지아의 항진균과 두피 정상세포의 활성 효과를 갖는 LED 광특성을 확인하였다. 광특성 주요 항목은 첨두파장, 복사조도, 에너지 밀도로 설정하였다[2-4].

2. 이론 및 실험

2.1 이론적 배경

저출력 광선 요법인 LLLT(Low Level Light Therapy)를 적용한 기기들의 경우, 낮은 출력을 갖는 광원의 안전성과 빛의 조사만으로 피부에 케어 효과를 줄 수 있어 활발한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3-5]. 특히 LED 광원은 일반적으로 파장이 길수록 조직 내 깊이 침투가 가능하다. 조직 유형에 따른 파장별 침투 깊이는 400nm는 1mm 미만, 514nm는 0.5~2mm, 630nm는 1~6mm, 700~900nm는 하피 부위까지 침투가 가능하다. 따라서 피부 조사용 LED 광원은 피부 조사 부위나 용도(항진균 또는 세포 활성)에 따라 파장을 선정하는 것이 치료 효과를 향상시키는데 중요하다[6-10].

Fig. 1. Optical penetration depth[1]

../../Resources/kiiee/JIEIE.2019.33.1.021/fig1.png

말라쎄지아는 피지 분비가 많은 정상 피부에 존재하며 건강한 성인의 75~98%에서 발견되는 상재진균이지만 말라쎄지아 모낭염, 어루러기, 지루성 피부염, 아토피 피부염, 건선과 같은 질환을 유발시키거나 악화시키는 등 병인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말라쎄지아가 피부 질환에 관여하는 정확한 기전은 아직까지 알려져 있지 않지만 최근의 연구들에서는 이 들의 개체수 감소가 질환의 호전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2,7].

두피 세포 활성화에 관한 광 조사 세포시험에서는 인간 모낭 진피 모유두 세포(Human Follicle Dermal Papilla Cells, HFDPC), 모발 성장 촉진 인자(IGF-1, VEGF, TGF-β)의 변화를 관찰하여 LED를 이용한 광 치료 효과 및 인체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두피 정상세포의 활성 시험에 사용된 모유두 세포는 모낭 끝에 있는 작은 말발굽 모양의 돌기 조직으로서 모발을 형성시켜주는 특수하고 작은 세포층이며, IGF-1(Insulin-like growth factor-1)은 세포증식을 유발하는 성장인자로서 모낭의 면역 활동을 회복시키고 성장촉진효과를 나타낸다. 혈관 내피 성장 인자인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또는 VEGF-A)는 모낭의 혈관신생을 통해 모발 성장을 촉진시키는 인자이고, TGF-β는 퇴화기(Catagen) 유도제이지만 모발 성장기 재진입(Anagen re-entry)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5].

2.2 광원 시료

시료는 두피 조사용 LED 광원이며, 광 의료기기 개발업체인 티아이피인터내셔날(주)에서 제공하였다(Fig. 2). A~E 시료는 M.sympodialis 항진균 시험에 이용되었으며, C~G 시료는 정상세포에 대한 독성 및 활성 시험에 사용된 시료이다. A와 B 시료의 첨두파장은 393 ± 3nm이며, C~G 시료는 동작 모드별로 첨두파장이 393 ± 3nm, 630 ± 1nm, 850 ± 1nm로 각각 구동이 가능하도록 다파장 LED가 적용되었다.

Fig. 2. LED module for scalp

../../Resources/kiiee/JIEIE.2019.33.1.021/fig2.png

2.3 광학 특성 시험

광학 특성 측정에 사용된 장비는 C type 배광기이다(Table 2). 세포 시험에서 사용되는 세포 배양 플레이트의 지름은 약 5.28cm 이며(Fig. 3), LED 광원은 두피에 근접하여 조사하는 광원이므로 광 조사거리는 1.4cm로 자체 설정하였다.

Table 2. Specification of goniophotometer

Equipment name (Model)

Goniophotometer(Neolight G500)

Manufacturer (Nation)

PIMACS(KOREA)

Wavelength range

220~1020nm

Wavelength accuracy

± 0.3nm

Radiant power range

2·10-8~200W/m2

Test item

Radiant Flux, Radiant intensity, Spatial Distribution, FWHM, Peak wavelength, Wavelength purity, Beam angle

Fig. 3. The cell plate used for the light-irradiated cell test

../../Resources/kiiee/JIEIE.2019.33.1.021/fig3.png

광학 특성 시험에서 LED 광원의 회전 조건은 γ plane은 0°~90° 범위 내에서 2° 간격이고 C plane은 0°~360° 범위 내에서 90° 간격으로 이동하며, 배광기 내 고정된 디텍터로 복사선속(Wθ)을 측정하였다.

광학 시험 후 그림. 4와 같은 광 조사 세포 시험 조건에서 세포에 광이 조사될 때, 사용된 세포 배양 플레이트의 반지름(X)와 광 조사거리(Y)를 이용한 광 지향각(θ) 산출식은 다음과 같다.

Fig. 4. Experiments on cell viability by irradiation

../../Resources/kiiee/JIEIE.2019.33.1.021/fig4.png

(1)
$\theta\left[^{\circ}\right]=\sin ^{-1}\left(\frac{X}{\sqrt{X^{2}+Y^{2}}}\right) \times \frac{180}{\pi}$

상기 식 (1)의 광 지향각은 광 조사 세포시험에서 세포 배양 플레이트 내로 광이 조사되는 각도이며, 본 연구에서 광 지향각은 약 62°로 최종 산출되었다. 광 지향각 범위 내의 복사선속 총량이 Wθ이며, 세포 배양 플레이트의 바닥면적이 Splate일 때, 세포 배양 플레이트 내 세포에 직접 조사된 수평면 복사조도(Eθ)는 식 (2)와 같다.

(2)
$E_{\theta}\left[m W / c m^{2}\right]=\frac{W_{\theta}[m W]}{S_{p l a t e}\left[c m^{2}\right]}$

최종적으로 에너지 밀도[J/cm2]는 복사조도(Eθ)와 세포에 광을 조사한 시간[s]을 곱하여 산출하였다.

2.4 광 조사 조건

세포 배양 플레이트 내 배양된 세포로부터 1.4cm의 거리(Y)에서 광을 조사한 후 세포의 생존력을 평가하였다(Fig. 4). 광 조사 세포 시험은 총 2종으로 진행하였으며, M.sympodialis의 항진균 시험과 두피 정상세포의 활성 시험으로 구분하여 시험하였다. 세포시험에서 광 조사는 각각 표 3표 4의 조건으로 연속파 광을 조사하였다.

Table 3. Antifungal test condition of M. sympodialis

Test sample

Peak wavelength (nm)

Irradiation time (s)

A

393 ± 3

60

150

300

600

1,200

B

48

120

240

480

960

C

500

1,250

2,500

5,000

10,000

D

435

1,088

2,175

4,350

8,700

E

476

1,190

2,380

4,760

9,520

Table 4. Activation test condition of HFDPC

Test sample

Peak wavelength (nm)

Irradiation time (s)

C

630 ± 1

357

893

1,786

3,571

D

370

926

1,852

3,704

E

377

943

1,887

3,774

F

370

926

1,852

3,704

G

353

883

1,767

3,534

C

850 ± 1

435

1,087

2,174

4,348

D

444

1,111

2,222

4,444

E

435

1,087

2,174

4,348

F

435

1,087

2,174

4,348

G

476

1,190

2,381

4,762

2.5 M. sympodialis의 항진균 시험

비듬을 일으키는 균주 중 말라쎄지아 진균에 대한 LED의 항진균 효과는 MIC 농도(최소 억제 농도,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측정법을 통한 진균 개체수를 파악하여 진균 증식이 억제된 광 특성을 확인하였다. 진균 배양은 공시균주인 Malassezia sympodialis (M. sympo, KCTC No. 7985)를 Modified Leeming & Notman 배지(glucose 20g, malt extrat 50g, polypeptone 1g, bile salts (oxid) 20g, tween40 0.1g, glycerol 0.02g, agar 15-20g, D.W 1000ml)에 접종하여 37℃ 조건의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균주는 해동 후 두 번 계대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표 3의 시험조건에 따라 광을 조사한 후 세포 생존율을 계산하였다. 세포 생존율[%]은 실험군의 진균 개체수를 광이 조사되지 않은 대조군의 진균 개체수로 나누어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2.6 두피 세포의 활성 시험

두피 세포는 인간 모낭 진피 모유두 세포(Human Follicle Dermal Papilla Cells, HFDPC, PromoCell사, Cat.No.C-12072)를 이용하였으며, 모발 성장 촉진인자인 IGF-1과 VEGF의 발현 증가량을 확인하였다. 평가 방법은 LED 광 조사 후 세포 내 RNA 발현 관련하여 IGF-1을 분석하는 RT-PCR법과 분비된 단백질(VEGF) 발현을 평가하는 ELISA법을 이용하였다. 세포 배양은 액체 질소통에서 HFDPC를 꺼내어 재빨리 37℃ water bath에 넣고 해동시킨 후, 해동된 세포(1ml)를 세포배양액(9ml)이 들어있는 15ml cornical tube 안에 넣고 800RPM 5min, 실온 조건 하에서 원심 분리하였다. 침전된 세포 pellet만 남기고 배양액은 버렸으며, 세포에 새 배양액을 5ml 넣어준 후 pellet을 잘 풀어주고 T150 Flask로 세포를 전부 옯겨주었다. 새 배양액 15ml을 추가로 넣어준 후 세포를 고르게 도포한 후 현미경으로 세포상태를 관찰하고 세포를 5% CO2 incubator 안에 넣고 시험기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는 표 4의 시험조건에 따라 광 조사 세포시험에 사용되었다. 사용된 LED 광원의 시료수는 총 5개이며, 광 조사모드는 각각 630 ± 1nm, 850 ± 1nm로 구분하여 시험하였다(Table 3). LED를 이용한 두피 정상세포(HFDPC)에 대한 활성 효과는 HFDPC에 LED 광을 조사하고 24시간이 지난 후 모발 성장 관련 인자들의 발현율을 확인하였다.

3. 실험 결과 및 고찰

3.1 M. sympodialis에 대한 항진균 시험결과 및 고찰

표 5는 첨두파장 393 ± 3nm LED 광원에 대한 광학 특성 시험 결과이며, 표 6은 M. sympodialis을 배양액에서 키운 다음 10-4으로 희석하여 세포 배양 플레이트에 넣고, 배양된 세포로부터 1.4cm의 거리에서 LED 광을 조사한 후 진균 생존력을 시험한 결과이다. 사용된 LED 광모듈은 A~E까지 총 5개이다. Mean 값은 M. sympodialis의 개체수이며, 시료당 1회씩 측정된 결과이다. 시험결과에 사용된 용어 정의는 다음과 같다. 복사선속(Radiant flux)은 광원에서 전방향으로 방출된 에너지양이며, 62° 이내의 복사선속은 플레이트 내 진균에 직접 조사된 에너지 양이다. 복사강도(Radiant intensity)는 LED 광원의 정중앙부(c-plane 0°, γ-plane 0° 지점)에서 검출된 복사강도이다. 복사조도(Irradiance)는 세포시험에서 진균에 조사된 수평면 복사조도이다. 대조군은 광 조사 시간이 0초이며, 비교 분석을 위하여 각각의 시료마다 대조군을 측정하였다. 억제율(Inhibition rate)은 광이 조사되지 않은 대조군과 광이 조사된 시험군 간 진균 개체수의 비율이며, 항진균 효율(Antifungal efficiency)은 에너지 밀도(Energy density)와 M. sympodialis 억제율(Inhibition rate) 간의 비율이다.

Table 5. Optical test result of antifungal LED

Test sample

Peak wavelength (nm)

Radiant flux (W)

Radiant flux (W, within 62°)

Radiant intensity (W/sr)

Irradiance (W/cm2, within 62°)

A

393 ± 3

1.005

0.756

0.242

0.035

B

1.867

1.464

0.552

0.067

C

0.283

0.242

0.097

0.011

D

0.373

0.309

0.118

0.014

E

0.292

0.249

0.099

0.011

Table 6. Antifungal test result of M. sympodialis

Test sample

Irradiation time (s)

Energy density (J/cm2)

M. sympodialis

Antifungal efficiency (%)

Mean (EA)

Inhibition rate (%)

A

0

-

582

-

-

60

2.1

558

4.1

2.0

150

5.2

444

23.7

4.6

300

10.4

376

35.4

3.4

600

20.7

155

73.4

3.5

1,200

41.4

25

95.7

2.3

Average

46.5

3.2

B

0

-

573

-

-

48

3.2

522

8.9

2.8

120

8.0

423

26.2

3.3

240

16.0

308

46.2

2.9

480

32.1

241

57.9

1.8

960

64.2

18

96.9

1.5

Average

47.2

2.4

C

0

-

673

-

-

500

5.5

666

1.0

0.2

1,250

13.8

579

14.0

1.0

2,500

27.6

484

28.1

1.0

5,000

55.2

267

60.3

1.1

10,000

110.5

34

94.9

0.9

Average

39.7

0.8

D

0

-

598

-

-

435

6.1

573

4.2

0.7

1,088

15.4

507

15.2

1.0

2,175

30.7

421

29.6

1.0

4,350

61.5

277

53.7

0.9

8,700

123.0

21

96.5

0.8

Average

39.8

0.9

E

0

-

486

-

-

476

5.4

481

1.0

0.2

1,190

13.6

407

16.3

1.2

2,380

27.1

314

35.4

1.3

4,760

54.2

228

53.1

1.0

9,520

108.4

32

93.4

0.9

Average

39.8

0.9

시험결과에서 393 ± 3nm LED 광원을 이용하여 광 조사한 모든 시험군에서 항진균 효과가 관찰되었다(Table 6). 에너지 밀도에 비례하여 증가한 항진균 효과는 증가하였으며, 에너지 밀도를 변수로 각각 광이 조사된 시험군의 M. sympodialis을 세포 배양 플레이트 내 도말하여 항진균 효과를 육안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다(Fig. 5). 또한 시료 A와 B는 나머지 시료들과 비교해 볼 때 에너지 밀도 당 항진균 효율이 각각 2.9배, 3.8배로 더 높았다(Fig. 6). 특히 시료 B는 진균 억제율이 96.9%로 가장 높은 항진균 효과를 보였으며, 90% 이상의 항진균 효과를 보인 모든 시험군들 중에서 광 조사시간이 가장 짧은 960초로 확인되었다.

Fig. 5. Antifungal effect on M. sympodialis of 393nm LED(Sample A)

../../Resources/kiiee/JIEIE.2019.33.1.021/fig5.png

Fig. 6. Average antifungal efficiency per energy density of M. sympodialis

../../Resources/kiiee/JIEIE.2019.33.1.021/fig6.png

세포마다 특정 시간 내 광 흡수량이 다르며, 인체의 다양한 세포 조직은 고유한 광 흡수 특성을 가지고 있다[1,3]. 따라서 M. sympodialis 진균도 마찬가지로 흡수할 수 있는 유효한 에너지 밀도 범위를 갖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시험결과에서 M. sympodialis 진균이 시간당 흡수할 수 있는 에너지 밀도의 임계점에 근접하여 광이 조사되며, 복사에너지 밀도 당 항진균 효율이 가장 높은 광원은 시료 A 임을 알 수 있었다(Fig. 6).

시료 C, D, E를 이용한 시험군들은 0~10,000초까지 광 조사시간을 다양화하여 시험하였으나 항진균 복사에너지 효율은 최대 1.3%로 관찰되었다. 또한 90% 이상의 진균 억제율이 발생하는 광 조사시간은 시료 A와 B를 이용한 시험군에서 960~1,200초로 확인되었으나, 시료 C, D, E는 8,700~10,000초로 상대적으로 긴 시간동안 광 조사가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M. sympodialis 항진균에 효과적인 393 ± 3nm 광원은 시료 A와 B 광원으로 판단된다. 특히 시료 A는 광 조사시간이 150초, 600초 일 때 M. sympodialis 억제율은 각각 23.7%, 73.4% 였으며, 에너지 밀도 당 항진균 효율이 각각 4.6%, 3.5%로 모든 시험군 중에서 가장 높았다. 기존의 선행연구 결과에 따르면 380 ± 2와 392.5 ± 1 nm LED에서 각각 5 J/cm2 이하에서는 세포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10 J/cm2 이상으로 LED 조사시 각질형성세포의 생존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된다[2]. 이와 같이 조사된 에너지 밀도가 높아질수록 정상세포의 생존율도 낮아질 수 있는 점을 고려해볼 때, 높은 에너지 밀도로 진균 개체수를 최저로 유지하는 것 보다 에너지 밀도를 낮추면서 항진균 효율이 높은 것이 인체 안전성 측면에서 두피 케어용 광원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시료 A를 이용한 M. sympodialis의 항진균 시험 결과를 통한 에너지 밀도의 유효 에너지 구간은 5.2J/cm2(150초) $\leqq$ [유효 에너지] $\leqq$ 41.4J/cm2(1,200초) 이며(Table 6), 시료 A와 B의 광학 시험 결과를 통한 복사조도의 유효 에너지 구간은 0.035W/cm2 $\leqq$ [유효 에너지] < 0.067W/cm2 임을 확인하였다(Table 5). 이를 통해, 에너지 밀도가 낮더라도 복사조도를 최적화하여 광을 조사하는 경우에 M. sympodialis 항진균 효과를 증가시키는데 유리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진균 억제율은 복사에너지 밀도와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나, 광원을 임상 적용할 경우에 에너지 밀도를 낮추면서 진균에 조사되는 복사조도를 최적화하는 것이 두피 조사용 LED 광원의 인체 안정성 및 항진균 효과를 향상시키데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3.2 두피 세포의 활성 시험결과 및 고찰

표 7은 첨두파장 630 ± 1nm, 850 ± 1nm LED 광원에 대한 광학 특성 시험 결과이며, 표 8~표 9는 인간 모낭 진피 모유두 세포(HFDPC)에 LED 광을 조사하고 24시간이 지난 후 모발 성장 관련 인자(IGF-1, VEGF)의 발현을 시험한 결과이다. 시험 결과, HFDPC 세포 활성에 유리한 파장별 광원의 유효한 에너지 구간은 630 ± 1nm 광원의 경우에 [유효 에너지] < 5 ± 0.17J/cm2(3,534∼3,771초)이며, 850 ± 1nm 광원은 20 ± 0.22J/cm2(4,348∼4,762초) $\leqq$ [유효 에너지] 임을 확인하였다(p < 0.05).

Table 7. Optical test result of LED for activation of HFDPC

Test sample

Peak wavelength (nm)

Radiant flux (W)

Radiant flux (W, within 62°)

Radiant intensity (W/sr)

Irradiance (W/cm2, within 62°)

C

630±1

0.074

0.0596

0.023

0.003

D

0.072

0.0579

0.022

0.003

E

0.073

0.0589

0.023

0.003

F

0.073

0.0587

0.023

0.003

G

0.074

0.0599

0.023

0.003

C

850±1

0.248

0.1950

0.072

0.009

D

0.248

0.1952

0.072

0.009

E

0.252

0.1981

0.073

0.009

F

0.251

0.1976

0.073

0.009

G

0.249

0.1951

0.072

0.009

Table 8. Incidence rate of IGF-1

Peak wavelength (nm)

energy density (J/cm2)

IGF-1

Incidence rate (%)

Stdev (%)

control

0

100

-

630±1

1±0.03

114.4

3.17

2.5±0.08

104.6

1.67

5±0.17

100.6

10.18

850±1

4±0.25

120.5

3.18

10±0.61

121.4

7.92

20±0.22

140.1

8.56

Table 9. Incidence rate of VEGF

Peak wavelength (nm)

Energy density (J/cm2)

VEGF

p-value

Incidence rate (%)

Stdev (%)

control

0

100.0

1.15

-

630±1

1±0.03

112.5

2.05

0.042

2.5±0.08

132.9

2.58

0.013

5±0.17

137.9

2.21

0.004

850±1

4±0.25

122.8

2.29

0.059

10±0.61

136.0

1.70

0.021

20±0.22

144.0

1.03

0.005

630 ± 1nm와 850 ± 1nm 광을 조사한 모든 시험군에서 모발 성장 인자인 IGF-1과 VEGF가 증가하였다(Table 8,Table 9). 또한 630 ± 1nm의 5 ± 0.17J/cm2과 850 ± 1nm의 20 ± 1.22J/cm2 광을 조사한 경우에 광을 조사하지 않은 정상군에 비해 VEGF의 분비양이 가장 높았으며, 각각 37.9%, 44.0%까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p < 0.05). IGF-1 발현율은 630 ± 1nm의 5 ±0 .17J/cm2과 850 ± 1nm의 20 ± 1.22J/cm2 광을 조사한 경우에 가장 높았으나, 630 ± 1nm 광은 에너지 밀도가 높아질수록 IGF-1 발현율이 감소하였다. 특히 630 ± 1nm의 5 ± 0.17/cm2에서는 IGF-1 발현율이 0.6%로 감소함에 따라 인체 안전성 확보를 위한 광 조사 임계점이 5 ± 0.17/cm2에 근접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에 850 ± 1nm 광은 IGF-1와 VEGF 발현율이 에너지 밀도와 비례하여 모든 시험군에서 증가하였다. 특히 850 ± 1nm 광은 복사에너지 밀도가 4 ± 0.25J/cm2와 10 ± 0.61J/cm2 일 때 IGF-1 발현률이 각각 20.5%, 21.4% 였으나, 20 ± 1.22J/cm2에서는 발현률이 40.1%로 급격히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850 ± 1nm 광은 10 ± 0.61J/cm2와 20 ± 1.22J/cm2 구간 사이에 광 조사량 대비 IGF-1 발현 효율이 높은 유효에너지 구간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으며, 20 ± 1.22J/cm2 이상의 에너지 밀도에서는 모발 성장 인자의 발현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Fig. 8,Fig. 9).

Fig. 8. Change of IGF-1 expression by LED irradiation in HFDPC

../../Resources/kiiee/JIEIE.2019.33.1.021/fig8.png

Fig. 9. Measurement of VEGF incidence rate by LED irradiation in HFDPC

../../Resources/kiiee/JIEIE.2019.33.1.021/fig9.png

LED 조사 후 HFDPC에 염증이 유발되는지 알아보기 위한 대표적인 염증 바이오 마커를 이용한 시험 결과에서는 630 ± 1nm의 5 ± 0.17J/cm2 광을 조사한 경우에 염증인자인 COX-2의 발현이 정상군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850 ± 1nm를 조사한 시험군에서는 염증 인자(COX-2, MMP-2)의 발현이 정상군(Control)과 비교해 변화가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다(Fig. 7). 따라서 630 ± 1nm 광은 850 ± 1nm와 달리 에너지 밀도가 높아질수록 IGF-1 발현율이 감소됨에 따라 복사에너지 밀도를 최소화하여 두피 케어용 광원으로 이용하는 것이 인체 안정성 확보에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통해, 모발 성장 인자 촉진을 유도한다고 알려진 630 ± 1nm와 비교하여 850 ± 1nm 광 조사에 의해서도 모발성장인자들의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하였으며, 두피 건강에 630 ± 1nm와 함께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Fig. 7. Changes of hair related factor expression by LED irradiation in HFDPC(RT-PCR)

../../Resources/kiiee/JIEIE.2019.33.1.021/fig7.png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첨두파장 393 ± 3nm, 630 ± 1nm, 850 ± 1nm의 LED 광모듈을 이용하여 Malassezia sympodialis 항진균 및 두피 정상세포(HFDPC) 활성 효과를 갖는 LED 광 특성을 연구하였다.

비듬균(M. sympodialis)에 직접적으로 조사된 에너지 밀도는 항진균 효과와 비례 관계였으나, 두피 정상세포(HFDPC) 활성 효과는 비례 관계가 아님을 알 수 있었다. M. sympodialis에 대한 항진균 효과는 393 ± 3nm LED 광을 조사하는 경우에 광 조사시간 대비 광 흡수가 효과적인 임계점이 있으며, 에너지 밀도가 높아질수록 항진균 효과는 증가하나 인체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에너지 밀도를 낮추더라도 세포의 광 흡수 임계점을 파악하여 유효에너지 구간 내에서 복사조도를 최적화하면 짧은 광 조사 시간에도 불구하고 항진균 효과는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조사된 광의 첨두파장, 조사 시간, 에너지 밀도, 복사조도를 매개 변수로 유효에너지 구간을 파악하여 항진균용 광원을 연구하는 것이 광 조사량 대비 항진균 효과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인간 모낭 진피 모유두 세포(HFDPC)를 이용한 두피 세포 활성 효과에서는 630 ± 1nm는 5 ± 0.03J/cm2 이내에서 광을 조사하며, 850 ± 1nm는 10 ± 0.61J/cm2와 20 ± 1.22J/cm2 구간 내에서 광 조사 시 두피 모발 성장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850 ± 1nm 광을 조사한 경우에는 염증 인자(COX-2, MMP-2)의 발현이 광 조사되지 않은 정상군과 비교해 볼 때 변화가 없으므로 두피 케어를 위한 광원으로 적용하는 경우에 인체 안정성 확보에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중소기업벤처부의 글로벌전략기술개발사업의 지원으로 이루어진 연구이며, 관계부처 및 티아이인터내셔널㈜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1 
Barolet D., 2008, Light-Emitting Diodes(LEDs) in Dermatology, Seminars in Cutaneous Medicine and Surgery, Vol. 27, pp. 227-238DOI
2 
Wi H. S., 2011, The Antifungal Effect of Light Emitting Diode on Malassezia Yeasts, M.Sc. Thesis, Department of Medical Science, Chonnam National UniversityGoogle Search
3 
Kim S. J., Lee Y. W., 2016, Experimental Study on LED Irradiating Effects on Human Cell with the Change of the Energy and Wavelength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Vol. 14, No. 1, pp. 79-84Google Search
4 
Cho Y. J., Suh D. H., 2006, Study of the Photoinactivation Effect on Propionibacterium Acnes after Light Irradiation with Variable Wavelengths, Journal of Korean Dermatological Association, Vol. 44, pp. 1332-1338Google Search
5 
Harmblin M. R., Demidova T. N., 2006, Mechanisms of Low Level Light Therapy, Proc. of SPIE, Vol. 6140, pp. 1-12DOI
6 
Barolet D., Boucher A., Bjerring P., 2005, In Vivo Human Dermal Collagen Production following LED-based Therapy; The Importance of Treatment Parameters, Lasers in Surgery and Medicine, Vol. 17, pp. 76Google Search
7 
Kim S. M., Lee S. C., Won Y. H., Lee J. B., 2014, Effectiveness of Home-use Light Emitting Diode Device for Seborrheic Dermatitis of the Scalp: A Preliminary Study, Korean Journal of Medical Mycology, Vol. 19, No. 2, pp. 31-38Google Search
8 
Park S. H., Yeo W. C., 2014, Laser Dermatology Plastic Surgery, Koonja, 2nd Ed., pp. 19-91Google Search
9 
Bernardo B. D., Pozner J., Codner M. A., 2009, Lasers and Non-Surgical Rejuvenation, Saunders ELSEVIER, 1st Ed., pp. 69-80Google Search
10 
Barolet D., Boucher A., 2008, LED Photoprevention: Reduced MED Response following Multiple LED Exposures, Lasers in Surgery and Medicine, Vol. 40, pp. 106-112DOI

Biography

Min-Joong Moon
../../Resources/kiiee/JIEIE.2019.33.1.021/au1.png

He received the M.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National Chonnam University, Gwang-Ju, Korea, in 2014, where he is currently pursuing the Ph.D. degree with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he has more than ten years of industrial experience in LED lighting development and optical measurement.

Since 2011, he has been with the Gwangju Technopark accredited by Korea Laboratory Accreditation Scheme, Gwangju, Korea, as a Senior Researcher.

His current research interests include optical medical device, sterilization using UV LED, standardization of optical measurement, and integrated primary optics as well as biophotonics.

Ji-Beom Lee
../../Resources/kiiee/JIEIE.2019.33.1.021/au2.png

He received the Ph.D. degree in medical science from National Chonnam University, Gwang-Ju, Korea, in 2000.

Since 1999, he has been a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Dermat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He has been working as editor and publishing director of the Korean Society for Medical Mycology since 2011.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laser for skin, tissue optics, vesicular disease and medical devices using LED.

In-Seon Yeo
../../Resources/kiiee/JIEIE.2019.33.1.021/au3.png

He received the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in 1979, 1981, and 1989, respectively.

Since 1987 he has been a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During 2011 and 2012 he worked as the President of Society of Electro-Physics & Application in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characterization of SSL, lighting design and implementation for optimum lighting environment, and graphic rendering of illuminated environ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