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ISO Journal TitleJ Korean Inst. IIIum. Electr. Install. Eng.

  1. (CEO Ilight Linghting Consulting & Design)
  2. (Ilight Linghting Consulting & Design)
  3. (Department of Pysics Imperial College London)



Inclement Weather Conditions, Multi-Distribution, Optics Design, Road Lighting, Fog

1. 서론

도로조명은 야간에도 교통의 흐름을 유지시켜주고 안전한 도로환경 조성을 위한 목적으로 시설된다. 하지만 야간의 기상악천후 상황에서는 반대로 운전자에게 조명으로 인한 눈부심, 노면 반사, 시인성 저하 등 안전주행에 방해 요소가 되기도 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이상기후환경을 실내실험실(도로기상 환경대응 조명시스템 시험을 위한 실내실험실)에 구축하여 기상조건에 따라 유동적 배광방식의 변화를 조절하여 시인성(노면휘도측정, 장해물 대비 휘도측정)을 향상시키는 방식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1,2]. 또한 야간의 기상 상황별, 배광과 상관색온도별로 운전자 실증시험을 실시하여 설문조사를 통해 결과를 확인하고 안개상황에서 가장 효과적인 배광(차량진행방향 Pro beam)과 상관색온도(5,000K)를 확인하였다[3].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앞선 실험들의 결과를 토대로 조명기구의 배광변화가 가능한 반사판을 설계하고 제작한 결과를 검토하였다.

2. 본론

2.1 배광설계의 목적

본 가로등기구 반사판 설계의 목적은 도로조명에 적합한 가로등기구의 기능을 할 수 있는 광학체 설계가 최우선이며, 도로 기상 관측 시스템을 통해 정보를 받고 이를 가로등에 전송하여 기상에 맞는 조명방식으로 제어프로그램에 의해 운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안개나 우천 시 시야확보가 어려워 발생하는 대형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빛을 제어하여 운전자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가변형 멀티 배광 LED가로등기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Fig. 1. Flow chart

../../Resources/kiiee/JIEIE.2019.33.2.001/fig1.png

2.2 목표배광 설계

조명기구내의 광학부를 각기 다른 개별 광학체로 조합하여 새로운 배광 형태로 변화 가능하도록 계획하였다.

Fig. 2. Optical design process

../../Resources/kiiee/JIEIE.2019.33.2.001/fig2.png

독립된 배광을 위한 반사판 설계 과정은 설계법을 이용한 기초적인 반사판의 형상을 구현하고, 광학 시뮬레이션으로 이를 컴퓨터상에서 구현하였다. 반사판의 3D모델링은 NURB방식의 Rhino 5.0을 사용하였으며 3D 모델링 과정을 거쳐 광학시뮬레이션 프로그램(TracePro)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파일 변환 후 적용하였다.

광학시뮬레이션은 3D모델링에 재질값을 적용하고 광원의 배광파일(IES)를 적용하여 빛의 진행방향 및 분포를 확인하고, 설계한 3D 모델링 반사판에 대한 배광파일(IES)을 추출하며 광학시뮬레이션 내에서 배광파일 및 배광분포 확인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3D모델링 반사판에 대한 1차적인 평가를 확인하고, 그 결과가 적정할 시에는 Relux 또는 DIALux등의 조명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결과를 확인한다.

조명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노면에 대한 균제도, 글레어, 평균 휘도 확인이 가능하며 설계배광에 대한 도로조명으로서의 적정성 확인을 하며 피드백을 통해 개선점을 보완한다.

이를 바탕으로 제작된 반사판은 Fig. 3과 같으며 하나의 기구에 4개의 모듈화된 반사판을 조립하고, 기상상황에 따라 배광이 변화될 수 있도록 한다.

Fig. 3. Reflector 3d rendering image

../../Resources/kiiee/JIEIE.2019.33.2.001/fig3.png

Fig. 4. Ray-tracying(Tracepro 5.1)

../../Resources/kiiee/JIEIE.2019.33.2.001/fig4.png

2.3 조명 시뮬레이션(설계배광)

추출된 IES 파일을 조명환경 시뮬레이션 프로그램(DIALux)에 적용하여 검토하였다. 설계의 평가를 위해서 실 스케일 도로 환경을 구현하고 조명기구의 광효율은 100 lm/W로 조정하였다. 아래의 표는 실스케일에서 설계된 IES 파일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한 결과이며, 국내 도로조명 기준(KS A 3701:2014)의 도로조명 등급 M4∼M1기준을 모두를 만족하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평균 휘도는 조명기구의 디밍을 통하여 조정이 가능하므로 중요한 것은 균제도의 만족도이며, 가장 높은 등급에서 요구하는 종합 균제도(Uo) 0.4이상과 차선축 균제도(Ul) 0.7이상을, 젖은 노면에서도 기준에서 요구하는 종합균제도(Uo) 0.15이상의 수치를 만족하였다.

Fig. 5. Simulation design condition1

../../Resources/kiiee/JIEIE.2019.33.2.001/fig5.png

Fig. 6. Simulation results1(Dialux)

../../Resources/kiiee/JIEIE.2019.33.2.001/fig6.png

Fig. 7. Simulation results2(Dialux)

../../Resources/kiiee/JIEIE.2019.33.2.001/fig7.png

Fig. 8. Comparison of simulation results

../../Resources/kiiee/JIEIE.2019.33.2.001/fig8.png

2.4 반사판 제작

설계된 반사판은 제작비용 및 수량을 고려하여 mock-up의 형태로 제작하여 시험한 후 금형을 제작하였다. 실험에 사용되는 제품이며 수량이 많지 않으므로 실리콘 몰드방식이 아닌 3축 정밀 CNC 가공으로 진행하며, 소재는 도금(알루미늄 증착)공정이 유리한 내열 ABS 수지를 이용하였다. 아래의 사진은 반사판 모듈1set 구성품이며 1개의 기구당 4set로 구성된다.

Fig. 9. Reflector fabrication

../../Resources/kiiee/JIEIE.2019.33.2.001/fig9.png

기구의 하우징 부분은 기존의 가로등을 그대로 사용하여 시험하며 제작한 기구의 배광을 측정하여, 설계배광과 제작배광의 차이를 시뮬레이션 진행 후 기존 설계배광과 비교하여 개선이 필요한 점을 보완하여 최종 광학부의 금형제작도면을 확정한다.

Fig. 10. Finished product

../../Resources/kiiee/JIEIE.2019.33.2.001/fig10.png

2.5 조명시뮬레이션(측정배광)

제작된 반사판은 배광곡선 상에서는 조금 더 날카로운 형태를 띄었다. 제작된 반사판의 측정배광으로 시뮬레이션하여 도로조명 등급에서 요구하는 평균노면휘도, 종합균제도, 차선축 균제도의 만족여부를 Dialux 프로그램으로 확인하였다. 측정배광 역시 가장 높은 등급에서 요구하는 종합 균제도(Uo) 0.4이상과 차선축 균제도(Ul) 0.7이상을, 젖은 노면에서도 기준에서 요구하는 종합균제도(Uo) 0.15이상의 수치를 만족하였다. 따라서 별다른 배광수정 없이 광학부의 최종형태를 확정할 수 있었다.

Fig. 11. Light distribution curve

../../Resources/kiiee/JIEIE.2019.33.2.001/fig11.png

Fig. 12. Simulation design condition2

../../Resources/kiiee/JIEIE.2019.33.2.001/fig12.png

Fig. 13. Simulation results3(Dialux)

../../Resources/kiiee/JIEIE.2019.33.2.001/fig13.png

Fig. 14. Simulation results4(Dialux)

../../Resources/kiiee/JIEIE.2019.33.2.001/fig14.png

Fig. 15. Comparison of Simulation Results

../../Resources/kiiee/JIEIE.2019.33.2.001/fig15.png

3. 결 론

위의 설계를 바탕으로 제작한 반사판을 탑재한 조명기구를 세종시 합강캠핑장 진입도로 일부구간에 약 1달(18.10)간 Field Test를 진행할 예정이다. 본 Field Test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바탕으로 실내실험실과 다른 외부환경에서의 측정데이터의 신뢰성 확보에 목적이 있다. 환절기(여름∼가을)에 안개가 자주 발생하는 세종시 인근 지역에 도로에 노면센서(노면습윤상태확인)및 기상센서(안개시정거리확인)를 설치하고 통신망을 연결하여 조명제어기와 통신하여 우천/안개 상황 시나리오에 따라 배광이 변화되도록 운영하고 광학성능평가 및 운전자 시인성 평가를 진행할 계획이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에서 시행한 국토교통기술연구개발사업의 일환인 건설교통기술촉진 연구사업의 자원에 의하여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1 
Lee Mi-Ae, Han Seung-Hun, Kim Yeon-Hwa, 2016, Road Weather Conditions by Lighting Systems Laboratory Test Research,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Vol. 30, No. 8, pp. 15-21DOI
2 
Lee Mi-Ae, Han Seung-Hun, Kim Yeon-Hwa, 2016, Establishing a laboratory Room for the Illumination System Corresponding to the Weather Environment,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Vol. 30, No. 8, pp. 1-4DOI
3 
Lee Mi-Ae, Jung Da-Hoon, Kim Yeon-Hwa, Kim Jae-Min, 2018, Driver Verification Test by Automatic Control of Luminous Intensity Distribution and Color Temperature according to Road Weather Environment,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Vol. 32, No. 2, pp. 1-6DOI
4 
Japan Illuminating Engineering Society , 2003, Special research committee report on traffic visual environment under bad weather, the faculty of visual research,, pp. 40-42Google Search

Biography

Mi-Ae Lee
../../Resources/kiiee/JIEIE.2019.33.2.001/au1.png

She received the M.FA in the Product Design from Ewha Womens University the Graduate School, Seoul, Korea in 1993.

She has currently been working as president of the I-light, and advisor to the Korean Association of Lighting Designers, vice chairman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Women Architects.

Da-Hoon Jung
../../Resources/kiiee/JIEIE.2019.33.2.001/au2.png

He received the B.A in the Product Space Design from Yong-In Songdam College, Yong-In. Korea in 2013.

He has currently been working as team manager of the I-light.

Yeon-Hwa Kim
../../Resources/kiiee/JIEIE.2019.33.2.001/au3.png

She received the B.S in the Industrial Engineering from In-Ha University, In-Cheon, Korea in 2004.

She has currently been working as manager of the I-light.

Tae-Yoon Kim
../../Resources/kiiee/JIEIE.2019.33.2.001/au4.png

He is expected to receive B.S degree in physics at Imperial College London, UK in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