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식
(Dae-Sik Lim)
1
김진오
(Jin-O Kim)
2†
-
(M.S., Electrical Engineering of Hanyang University)
-
(Professor, Electrical Engineering of Hanyang University)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Engineers(KIIEE)
Key words
Arcflash, Arcflash UV Detection, Arc High-Speed Detection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전기사고는 전선이나 전기 제품 간 절연 불량, 열화, 접촉 불량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한다. 이러한 전기사고는 아크나 스파크를 유발하여 화재로
이어질 수 있다[1]. 전원을 수전하며 각 분기회로로 배분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수배전반에서 전기 설비 사고가 발생할 경우 정전이 발생하는 등 많은 피해가 예상된다.
아크플래시의 발생은 전압전류의 크기와 파형 등 특성 변동이 수반되며[2], 이러한 전기 설비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하여 다양한 센서 및 계측 장치를 통해 설비의 이상 징후를 진단 및 감시하고 있다. 아크플래시로 인한
사고의 경우 고장의 지속시간이 길어질수록 그림. 1과 같이 아크에너지가 증가하게 되어 수배전반 패널, 접속된 전력 기기의 파손 및 정전을 유발시킬 가능성이 상승하게 된다[3]. 따라서 케이블 화재 발생 이전 시점인 40ms 내외에서의 아크 차단이 필수적이다.
Fig. 1. Size of arc energy by duration time
국제표준인 IEC에서도 전기사고 예방을 위한 Arc Fault Detection Device (AFDD)의 IEC 62606 규격이 제정되었으며,
국내에는 2014년부터 사고 아크 검출장치에 대한 일반조건 (KS C IEC 62606)으로 시행되고 있다[4].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아크플래시로 인한 사고 피해를 저감하기 위해 자외선 특정 파장을 검출하는 방법과 아크의 고주파수 노이즈를 검출하는 방법을 접목하여
사고에너지가 커지기 전에 아크플래시를 개선된 속도로 검출하고자 한다.
1.2 아크플래시 기존 검출 방법
아크플래시로 인한 사고를 신속하게 차단하기 위해서는 아크 발생 여부를 고속으로 검출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이 검출을 위한 기술로는 누설전류,
전압, 주파수, 빛, 온도 및 압력 등의 다양한 센서를 이용한 검출 기술이 연구 및 상용화 되고 있다[5,6]. 아크는 정상상태의 전기적 특징을 가지지 않으므로 아크 발생 시 전기적 특징이 변하게 된다. 부하의 종류에 따라 주파수나 전압, 전류의 형태가 바뀌지만
대부분 아크방전이 지속될 경우 전압과 전류는 큰 변화가 없다. 이에 주파수 대역에서 고주파로 나타나는 특징이 지속될 시 열화현상으로 인한 온도 변화,
전압과 전류의 변화 형태에 따른 특징 등을 이용하여 아크를 차단해 주어야 한다[7-11]. 현재 아크 검출 장비로는 아크 결함에 대한 제어나 다양한 아크플래시 발생 원인들에 대한 사고 요인을 완전히 제거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특히 아크
전류는 차단기를 동작시키기에는 너무 작은 문제점도 존재하며, 전압 강하 같은 부하 변동으로 인한 전기적 특성 변화가 아크의 전기적 특성 변화와 유사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이를 판단하는데 시간이 걸리게 된다. 아크플래시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으로 표 1과 같이 아크 발생 시 온도, 압력, 음향, 빛, 전기신호를 감지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각각의 감지 방법에는 장단점이 존재하여 단독으로
이용은 권장하지 않는다.
Table 1. Arc flash detection method
|
내용
|
장점
|
단점
|
온도
|
주변 온도 상승 이용
|
효과적인 시스템 보호
|
고온에 손상
|
재사용 불가능
|
좁은 적용 범위
|
압력
|
판넬 압력 변화 감지
|
고신뢰성
|
높은 가격
|
밀폐공간 가능
|
개방공간 불가
|
음향
|
생성된 음향 감지
|
초음파 대역 검출 가능
|
노이즈에 취약
|
좁은 적용 범위
|
빛
|
빛 감지로 사고 검출
|
빠른 응답
|
주변광 영향
|
좁은 범위
|
전기
|
전기적 신호 변화에 기반
|
광범위 적용
|
오동작 우려
|
2. 이론고찰
2.1 아크플래시의 자외선 특정 파장 분석
전기설비에서 자외선 영역대에서 발생하는 강한 빛은 자연광이 아닌 사고로 인한 인공적인 광으로 추정되는 바 아크플래시 발생으로 방출되는 빛[12] 중 자외선 파장대역을 집중 감시하면 아크플래시로 인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특정 자외선 영역을 검출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발생
시 노이즈를 최소화한 검출이 될 것이며, 기존 주변광의 영향을 받기 쉬웠던 가시광선 검출 방식 대비 아크플래시를 정확히 검출하는 것에 효과적이다.
실제 아크플래시의 광스펙트럼을 분석하여 해당 자외선 파장을 집중적으로 감시하는 방법을 검토해 보았다. 그림. 2는 UL1699에 의거하여 제작된 아크 발생장치이다[13].
Fig. 2. Arc Generator of UL 1699 standard
그림. 3은 광스펙트럼 분석 장비로 Ocean Optics사의 Flame-S spectroradiometer 제품이다. 일상 환경에서 나타나는 자연광과 인공적인
광의 자외선 영역 파장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였다. 광스펙트럼 분석 장비에 연결된 Optic Fiber의 센서에 입사하는 광에 대한 파장의
강도를 확인할 수 있다.
Fig. 3. Optical spectrum analysis equipment
광스펙트럼 분석 장비를 활용하여 실제 환경에서 접하는 태양광, LED, 카메라 플래시, 용접광 등 다양한 광원에 대해 파장 특성을 분석한 광스펙트럼
측정 결과를 그림. 4에서 나타내었다.
Fig. 4. Spectral survey of various light sources
400nm 이하의 파장 영역에서 비교적 높은 Intensity로 검출된 광은 아크 용접, 자외선 램프, 아크 발생 장치, 할로겐 플래시 램프 등 이었으며,
일반 작업 환경에서 사용하는 LED 조명이나 텅스텐 조명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아크광에서 나타나는 파장 영역별 특징을 찾기 위해 UL 1699 규격의 아크 발생 장치[13]를 이용하여 광스펙트럼 분석을 반복 진행한 결과를 그림. 5로 나타내었다.
Fig. 5. Optical spectrum repetition test using arc generator
아크 발생 환경을 모의한 아크 발생 장치에서 아크 발생 시 발생하는 플래시에 대해 광스펙트럼을 분석한 결과 각 회차별 Intensity는 다르게 나타났으나
경향성은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380nm 영역대의 주요한 특정 피크 파장영역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림. 4에서 확인한 다양한 광원의 파장과 달리 그림. 5에서 아크 발생 시 나타나는 400nm 이하에서 나타난 이 주요 피크 파장을 검출한다면 기존 광섬유 센서를 이용한 검출 방법 대비 아크플래시 검출에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2.2 아크의 고주파수 노이즈 검출
아크는 수십 kHz 이상의 고주파 특성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부하 변동, 입출력 변동 등과 같은 전기신호의 변화가 아크 발생 시 전기신호의 변화와
유사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구분하기 어렵다. 이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으로 기존에는 FFT, 퍼지 알고리즘 등으로 구현[14,15]하고 있지만 고속의 진단에는 부적합한 단점이 존재한다. 대게 단독으로 적용되어 수초 내에 검출하는 방법이므로 사고에너지의 크기가 커질 우려가 있다.
그림. 6은 아크로 인한 노이즈를 분석하기 위해 아크 발생 장치를 이용하여 아크 발생 시 전압 및 전류 특성을 분석한 내용이다. UL 1699에 제시된 The
Arc-fault circuit interrupter의 전압 및 전류 특성[13,16,17]과 동일함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아크 발생 장치를 이용하여 아크 전류 노이즈를 검출하였다.
Fig. 6. Parallel arc voltage and current(left)[16],V-I characteristics of arc generator(right)
제시하는 방법은 60Hz의 원전류를 실시간으로 추종하다가 아크 전류에서 발생하는 5kHz, 100kHz 대역의 고주파수 노이즈를 신호 처리하여 카운팅하는
방법으로 아크 발생 장치에서 나타나는 전압 및 전류 특성에서 아크의 고주파 노이즈가 검출되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카운팅하게 된다. 이는 자외선
특정 파장 영역 검출 방법과 같이 적용되어 고속 검출이 가능하게 하는 방법이다.
그림. 7의 노이즈 검출 방법은 기존 방법 대비 검출 정확성은 낮으나 자외선 검출 방법과 함께 적용되어 아크에너지 연산을 통한 알고리즘으로 아크 검출 조건에
따라 적절히 차단 신호를 발생한다면 효율적인 검출 시스템으로 적용될 수 있다.
Fig. 7. Noise detection at arc current
2.3 제안하는 아크플래시 검출 시스템
제안하는 개선된 시스템은 그림. 8로 자외선 광검출, 아크의 고주파수 노이즈 검출 방법을 이용하여 아크플래시 검출 연산을 통해 차단 신호를 발생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노이즈로 인한
오동작 방지를 위해 발생하는 지연시간을 기존 방법 대비 최소화하여, 아크 사고 에너지가 커지기 전에 차단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Fig. 8. Configuration of improved arc diagnostics
2.4 아크플래시로 인한 사고 모델링
2.4.1 아크 전류의 수학적 모델
아크가 발생할 시 두 전극 또는 전극과 접지 간에 줄열이 발생하므로 줄열은 $i^{2} R t$로 표현이 된다. 아크 사고로 인해 발생한 줄열이 발화점
이상의 높은 열을 발생시킬 경우 전기화재를 일으키고 아크 사고의 범위를 확장시킨다. 1회성 아크인 경우 아크개시시간을 $t_{1}$, 아크 종료시간을
$t_{2}$라고 설정한 후 아크 전압 $V_{a}$, 전류 $I_{a}$를 방전에너지 $E_{a}$ 수식으로 표현하면 (1)과 같고[18],
전원전압이 $V_{a}$와 같은 크기가 될 경우 소비전력 $P_{arc}$은 (2)로 표현된다.
그러나 아크 전류는 도선의 종류, 단면적, 계통의 전압, 전류에 따라 모든 특성이 변하게 되므로 나머지 변수는 모두 특정한 상태로 가정을 하여야 한다.
2.4.2 아크 전류의 특성
아크 발생 시 전류는 IEEE 1584 공식의 식 (3), 식 (4)를 기반으로 하여 계산한다[18].
여기에서
$ I _{a}$ = 아크 전류, kA
$G$ = 컨덕터 갭, mm
$K$ = 옥외 아크 발생시 -0.153, 폐쇄된 공간에서 아크 발생시 -0.097
$V$ = 계통 전압
$ I _{bf}$ = 3상 고장 전류(rms), kA
두 식을 이용하여 계통의 아크 전류를 계산한다. 아크 전류는 3상 단락 고장전류보다 작은 값을 가지거나 비슷한 값을 가지게 되므로 기존에 사용되는
보호 기기로 선로를 차단할 수 없는 비보호 영역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아크 고장 시 전류를 기반으로 계통을 보호하기 위해선 적절한 보호기기의 선정이
요구된다.
2.4.3 Cassie-Mayr 아크 모델
1) Cassie 아크 모델
Cassie 아크 모델은 아크 현상의 시간, 전력손실 등 다양한 변수를 0전류 부근에서 간략화 하여 모델링 하였다. Cassie가 제안한 아크 전력
입력과 아크 전력손실, 시간으로 구성된 간략한 식은 다음과 같다[19].
여기에서
$i$ = 순시 아크 전류
$u$ = 순시 전압 변화율
$g$ = 단위 길이 당 순간 아크 전도율
$W$ = 단위 길이 당 아크 입력 전력
$P$ = 단위 길이 당 아크 손실 전력
$Q$ = 단위 길이 당 아크 에너지 양(온도, 이온화 포함)
식 (5)를 이용하여 아크 모델을 일반화 하면
Cassie는 전도율 $\mu $, 전력 손실 상수 $\lambda $, 절대 에너지양 $c$을 per unit 법으로 추정하였다. 추정된 단면적
상수 $A$는 전류, 시간의 영향을 받고, 정상상태에서 전류의 양과 전압 변화율을 상수로 취급하였을 때 특성을 $U _{0}$로 표현하면 그 식은,
로 나타나며 이를 미분 방정식으로 나타내면
와 같이 나타나며 $\tau $는 아크 시간 상수를 나타낸다.
2) Mayr 아크 모델
Mayr 아크 모델은 Cassie 아크 모델에 사용되는 상수를 모두 이용하면서 열수지식의 일반적인 형태로 표현되어 있다[20,21].
Mayr 아크 모델과 Cassie 아크 모델 중 Cassie 아크 모델 공식은 전류가 0에 도달하기 전의 아크모델을 해석하는데 좋고 Mayr 아크
모델은 아크 전류가 0에 한번 도달하고 난 후의 아크모델을 해석하는데 유리하기 때문에 이 두가지 아크 모델을 합쳐서 계산하는 것이 해석에 가장 유리하다.
3) Cassie-Mayr 아크 모델
Cassie 아크 모델은 영 전류 전의 아크 현상을 모델링한 것이고 Mayr 아크 모델은 아크현상에 의해 영 전류가 발생한 후의 아크현상을 모델 한
것이므로 이 두 가지 모델을 합쳐서 아크 모델을 해석하는 것이 훨씬 유리한 방법으로 제안한다. 영전류 이후 아크 저항이 증가되면 외란이 발생한다.
그러나 외란이 발생했을 때, Cassie 공식은 충분히 사용될 수 있지만 추가적인 파라미터가 필요하게 된다. 제안된 모델에서 고려할 점은 영 전류
이전과 이후 사이의 차이점을 추정하는데 과도상태에서 전도율-시간 특성을 고려하면 아크 상태의 비정상적인 변화가 나타나는 것을 다른 방법으로 추정할
수 있게 된다. 두 가지 모델 공식(식 (11), 식 (12))은 각 공식으로 인해 풀이된 저항성을 포함한 아크와 시뮬레이션을 풀기 위해 제안되었다. 차단기의 아크 동작 특성은 4가지 상수 파라미터 모델로 주어진다[19-22].
$g _{c}$와 $g _{M}$은 Cassie와 Mayr의 아크 모델에서 유추한 전도성이다. 두 식 모두 두 가지 상수를 가지고 있는데 $U
_{0}$는 아크 전압 상수이고 $\tau _{c}$는 Cassie의 시간 상수, $P$는 정상상태 전력 손실, $\tau _{M}$은 Mayr의
시간 상수이다. 이 두 가지 공식에서 나타나는 아크의 형태는 전류의 0점 주변에서 아크의 모습을 나타내며 Mayr 공식에서는 증가하고 Cassie
공식에서는 감소한다. 아크 동작 특성에 필요한 4가지 파라미터는 두 가지 공식을 이용하여 도출한다[23].
2.5 전력해석프로그램 이용한 아크 모델링
아크 사고 모델을 바탕으로 EMTP/ATPDraw의 Black box 모델을 이용하여 아크의 특성을 살피고 계산을 하였다. 그림. 9는 아크 소스 코드의 일부를 나타내며 MODELS syntax에 따라 기존 방정식의 우변 항을 정리하여 differential equation을 적용하여
최종적으로 아크 저항 값을 TACSRES에 입력됨을 보여준다.
Fig. 9. Arc model and data entry window
그림. 11은 그림. 10의 병렬 아크 고장 회로에서 2.3의 모의 아크를 발생하였을 때 나타나는 결과 파형이다.
Fig. 10. Parallel arc fault modeling
Fig. 11. Parallel arc fault waveform
3. 시뮬레이션
3.1 아크플래시로 인한 사고에너지 저감 모의
광센서에 의한 아크플래시로 인한 사고 에너지 저감율을 검증하기 위하여 그림. 12와 같은 수배전반 내부를 모델링하였다. 아크플래시로 인한 사고는 MCCB 2차 측에 Cassie-Mayr 아크 모델을 이용하여 병렬 아크 고장을 모의하였으며,
사고는 0.1s에 발생하도록 설정하였다.
Fig. 12. Simulation test circuit for parallel arc accident
MCCB의 경우 동작 특성 곡선은 그림. 13과 같으며 정격 전류 20A의 경우 순시 트립 전류는 정격 전류 기준 1200% 로 정정되어 0.02s의 동작 시간을 지니고 있음을 특성 곡선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Fig. 13.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of MCCB
아크 사고를 모의하였을 경우 MODELS에서 지원되는 랜덤 함수를 이용하여 아크 길이가 변동될 수 있도록 모델링되어 있어 실제 아크 현상에 가까운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설정하였다.
그림. 12의 시뮬레이션 모델을 기반으로 광센서를 적용하지 않고 전류 검출만 이용한 경우 MCCB의 차단 동작 시간과 사고에너지 크기를 그림. 14에 나타내었다.
Fig. 14. MCCB operation characteristics and accident energy (before optical sensor
application)
2.3에서 제안한 개선된 시스템을 적용한 경우를 그림. 15에 나타내었다.
Fig. 15. MCCB operation characteristics and accident energy (After optical sensor
application)
그림. 14, 그림. 15에서와 같이 0.1s에 병렬 아크 고장이 발생한 경우 그림. 15는 광센서에 의한 아크플래시 검출이 이루어지게 되며, 기존 순시 트립 전류 정정치에 의한 검출 시간인 0.1084s보다 0.0069s 빠른 0.1015s에서
광센서에 의해 병렬 아크 사고가 검출되었다. 이와 동시에 차단기에 트립 명령이 전달되고 MCCB의 지연 시간인 0.02s 이후인 0.1215s에 차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아크플래시로 인한 사고에너지는 기존 1.584$c a l / c m^{2}$에서 1.192$c a l / c m^{2}$로 감소되었다. 모의
결과에서 나타나듯이 아크플래시 검출 기능은 동일 아크플래시로 인한 사고 시 MCCB의 T-C 동작 특성으로 보아 아크플래시로 인한 사고에너지의 확대를
방지할 수 있어 초기에 발생하는 사고를 예방하고 2차 피해의 크기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4. 결 론
모의 결과에서 나타나듯이 아크플래시로 인한 사고 시 사고에너지의 확대를 방지할 수 있으며, 초기에 발생하는 사고를 예방하고 2차 피해가 발생되는 것을
막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기존 기술의 경우 전류 및 가시광선 검출을 통해 아크플래시를 검출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빛 검출의 경우 기존 근거리 광량 변화 감지 시 아크방전
때 일어나는 광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주변광 변화의 영향을 받으므로 안전성에 문제가 있고, 원거리에서 감지가 불가능한 단점을 지니고 있었다.
전류 검출 방식의 경우 부하출력 변동이나 다양한 전기적 신호의 노이즈 발생 시 아크 검출에 오동작 발생 가능성이 높고, 오동작 방지를 위한 지연시간이
길어짐으로 고속의 검출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개선된 아크 진단 방법의 필요가 계속적으로 요구되는 상황이다.
제안하는 아크플래시 검출의 두 가지 방법 중 하나인 자외선 검출 방법은 380nm 영역 대의 특정 자외선을 검출하여 개선된 아크플래시로 인한 사고
판단이 가능한 방법이다. 자외선은 다른 파장영역의 빛보다 파장이 짧아 노이즈가 적고, 직진성이 강하므로 검출 정확도가 높으며, 전류 검출 방법과 함께
실제 환경에 적용할 경우 아크플래시로 인한 사고 피해의 최소화를 기대된다. 제안된 방법은 아크 모델링을 이용한 모의시험 결과 기존 방법 대비 약 7ms의
사고 검출 속도 향상 효과가 있었으며, 아크플래시로 인한 사고에너지 또한 기존 1.584$cal/cm ^{2}$에서 1.192$cal/cm ^{2}$로
감소하여 약 25%를 저감할 수 있었다.
지금도 전기설비에서 노후로 인한 절연 파괴 등 많은 이유로 화재 및 폭발 사고들이 발생하고 있다. 판넬 내부에서 일어나는 사고 발생 시 정전으로 이어져
큰 피해가 예상되기 때문에 여러 가지 안전대책 및 규정을 준비하고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다수의 전력 설비가 지하실 및 옥상 등 한정된 공간 내에서
불안전하게 관리되고 있는 실정이다. 향후 이러한 실제 현장 환경에서 본 연구 내용의 검토 및 결과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아크플래시의 주요
발생 포인트에 대한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적용된 차단기 응답속도와 사용전압에 따라 사고의 크기가 달라지기 때문에 다양한 사례 연구가
필요하다.
Acknowledgements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the Basic Science Research Program through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fun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No. NRF2017R1A2B1007520).
References
Shea J., 2007, Conditions for Series Arcing Phenomena in PVC Wiring, IEEE Transactions
on Components and Packaging Technologies, Vol. 30, No. 3, pp. 532-539
Wang W., Liu S., Jones J. E., Nov. 1995, Flux Cored Arc Welding : Arc Signals, Processing
and Metal Characterization, Welding Journal, Vol. 74, No. 11, pp. 369-377
Vahamaki O., De Jongh A., Bristow R., 2003, Integrated Arc Protection Concept, in
1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icity Distribution, Barcelona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 2013, IEC 62606 General Requirements for
Arc Fault Detection Devices; 1st ed, IEC: Geneva
Takeuchi M., Kubono T., Jun. 1999, A spectroscopic detecting system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silver breaking arc using a CCD color camera, IEEE
Trans. Instrum. Meas., Vol. 48, No. 3, pp. 678-683
Ha H. U., Han S. S., Lee J. M., Jan. 2012, Fault detection on transmission : lines
using a microphone array and infrared termal imaging camera, IEEE Trans. Instrum.
Meas., Vol. 61, No. 1, pp. 267-275
Muller P., Tenbohlen S., Maier R., Anheuser M., 2010, Characteristics of series and
parallel low current arc faults in the time and frequency domain, proceeding of the
56th Holm Conference of Electrical Contacts
Lee R. E., Bishop M. T., Sept. 1983, Performance testing of the ration ground relay
on a four-wire distribution feeder, IEEE Trans. on Power App. Syst., Vol. 102, pp.
2943-2949
Sultan A. F., Swift G. W., Fedirchuk D. J., Jan. 1994, Detecting arcing downed-wires
using fault current flicker and half-cycle asymmetry, IEEE Trans. Power Del., Vol.
9, No. 1, pp. 461-470
Hong C., Xiaojuan C., Fangyun L., Cong W., 2009, Short-time fourier transform based
analysis to characterization of series arc fault, proceeding of the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f Power Electronics and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PEITS)
Hong C., Xiaojuan C., Wei X., Cong W., 2010, Series arc fault detection and implementation
based on the short-time fourier transform, proceeding of the Power and Energy Engineering
Conference (APPEEC)
Kay J., Arvola J., Kumpulainen L., 2010, Protecting at the speed of light: Combining
arc flash sensing and arc-resistant technologies, Conference Record of 2010 Annual
Pulp & Paper Industry Technical Conference
Underwriters Laboratories Inc. , 2006, Standard for Arc-Fault Circuit Interrupters,
UL Std., pp. 1699
Bang S. B., Kim C. M., Park C. Y., Chung Y. S., Sep, 2009, Analysis of Detection Method
for Series Arc Fault Signal by using DWT, The Transaction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P, Vol. 58, No. 3, pp. 362-368
Hwang J. K., Feb, 2009, A Study on Analysis of Arc Current Waveforms for Detection
of Prognostics of Electrical Fires,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23, No. 1,
pp. 7-14
Gregory G., Scott G., 1998, The arc-fault circuit interrupter: an emerging product,
IEEE Transactions on Industry Applications, Vol. 34, No. 5, pp. 928-933
Gregory G., Wong K., Dvorak R., 2003, More about arc-fault circuit interrupters, 38th
IAS Annual Meeting on Conference Record of the Industry Applications Conference
IEEE 1584-2002 , 2002, Guide for performing arc-flash hazard calculations, IEEE Std.,
pp. 1584-2002
Cassie A. M., 1939, Theorie Nouvelle des Arcs de Rupture et de la Rigidite des Circuits,
Cigre, Report 102
Mayr O., 1943, Beitrage zur Theorie des Statischen und des Dynamischen Lichthogens,
Archiv fur Elektrotechnik, Vol. 37, No. 12, pp. 588-608
Mayr O., 1943, Uber die Theorie des Lichtbogens und seiner Loschung, Elektrotechnische
Zeitschrift, Vol. 64, No. 16, pp. 645-652
Guardado J., Maximov S., Melgoza E., Naredo J., Moreno P., 2005, An Improved Arc Model
Before Current Zero Based on the Combined Mayr and Cassie Arc Models, IEEE Transactions
on Power Delivery, Vol. 20, No. 1, pp. 138-142
Idarraga Ospina G., Cubillos D., Ibanez L., 2008, Analysis of arcing fault models,
2008 IEEE/PES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Conference and Exposition: Latin America
Biography
He received B.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Yeungnam university and is currently
pursuing the M.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at Hanyang University.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power system transient analysis, protection, and especially
in DC distribution system.
He received the B.S. and M.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respectively, and the Ph.D. degree from Texas A & M University,
College Station, TX, USA.
Currently, he is a Professor with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are power system monitoring, protection and power quality problems
involved with renewable energy sour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