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ISO Journal TitleJ Korean Inst. IIIum. Electr. Install. Eng.

  1.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Inha University)
  2. (Renewable Energy Division, KwangMyung Electric Co., Ltd.)
  3. (Renewable Energy Division, KwangMyung Electric Co., Ltd. General Manager)



Electromagnetic Induction Voltage, Electrostatic Induction Voltage, Grounding Conductor, Grounding of SPD, Installation Method of SPD, Surge Protective Device

1. 서론

오늘날 고도화된 정보통신설비와 전력설비를 비롯하여 사회시스템과 산업 전반에 걸쳐 컴퓨터에 연결된 초소형 반도체 소자를 이용한 전자기기가 설비운용의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다. 초소형 집적회로로 구성된 전자회로의 특징은 대단히 미약한 초고밀도의 전기신호를 초고속으로 전송하는 것이며, 동시에 서지나 노이즈에 매우 취약하여 낙뢰에 의한 피해를 입기 쉬운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기기가 전원선이나 통신선에 접속되는 설비의 구축이 일반화됨에 따라 뇌피해도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1,2]. 전력이나 통신설비 등의 사회기반인 공공설비의 뇌피해는 전자기기의 파손과 같은 물리적 피해 못지않게 귀중한 데이터의 소실이나 서비스정지 등 신뢰성에 대한 문제를 수반하는 간접적인 피해가 대단히 막대하다.

최근 정보통신설비의 합리적인 뇌서지방호대책에 대한 기술이 세계 각국에서 꾸준히 연구되고 진전되어 왔다[3-5]. 국내에서도 전기설비기술기준에 뇌서지방호설비의 설치를 규정하는 제도를 도입하였으며[6,7], 기업에서는 고성능/다기능의 서지방호장치의 개발을 추진하여 상당한 수준의 제품을 보급하고 있다. 정보통신기기의 뇌서지방호를 위해서는 서지방호장치 고유의 성능에 못지않게 적재적소에 정확한 서지방호장치를 설치하는 복합적인 접근이 매우 중요한 핵심기술이다[8,9]. 특히 서지방호장치(surge protective device: SPD)의 접지선과 보호하고자 하는 전자기기의 접지선의 배선 및 접지극과의 접속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SPD의 방호효과가 저감되는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그러나 국내는 아직 서지방호설치의 적용에 대한 인식과 엔지니어링적인 접근이 부족한 실정으로 이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와 기술개발이 필요한 분야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서지방호장치의 설치기법이 보호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수행된 서지방호장치의 접지방식과 접지선에 의한 전자기적 유도현상이 보호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결과를 검토하였다. 특히 서지방호장치의 접지선의 배선과 접지극에 접속하는 방식에 따른 보호성능을 실험적으로 조사하여 서지방호장치 접지선의 효과적인 배선방법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정보통신설비나 전력설비의 선로에 뇌서지가 침입하거나 서지방호장치가 동작한 이후 흐르는 전자회로에 근접한 회로에 가해지는 서지전압과 전류에 의한 정전유도전압과 전자유도전압을 측정하고 전자기기의 파손이나 오동작에 미치는 영향의 요인을 분석하고 검토하였다.

2. 본 론

2.1 실험장치 및 방법

SPD로는 220V 전원회로에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공칭방전전류($I _{n}$)가 20kA이며, 최대 연속사용전압 320V이고 동작개시전압(바리스터전압)은 511V인 전압제한형 SPD를 선정하였다. SPD와 보호대상의 전자기기 사이의 거리는 2m로 하였다. SPD의 접속도체로는 단면적 2.5mm2의 IV절연전선을 사용하였으며, 서지원으로는 KS C IEC 61000-4-5/IEEE C62.45[10,11] 서지시험에 요구되는 개방상태에서 1.2/50$\mu s$ 임펄스전압, 단락상태에서 8/20$\mu s$ 임펄스전류를 발생시키는 조합파 임펄스발생장치를 사용하였다.

전압의 측정에는 DC-50MHz 주파수대역의 능동형 차동전압프로브를 사용하였다. 전류측정용으로는 20MHz의 주파수대역과 5kA까지 측정할 수 있는 관통형 전류프로브를 사용하였다. 임펄스전압을 SPD에 입사시켰을 때 임펄스전류와 전자기기의 잔류전압을 측정하였다. 임펄스전압과 전류 파형은 5GS/s의 오실로스코프로 관측하였으며, 상세한 측정회로는 각 실험조건에 따라 나타내었다.

2.2 서지방호장치의 접지선의 영향

정보통신설비나 전력기기를 뇌서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SPD의 설치에 있어 전원선, 통신선, 신호/제어선, 접지선의 배선방법이 중요한 핵심요점이다. 많은 비용을 들여 SPD를 설치하여 서지방호대책을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서지방호효과를 발휘할 수 없다면 경제적인 측면은 물론 컴퓨터를 비롯한 전자기기의 신뢰성에도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SPD를 보호하고자 하는 전자기기의 접지단자와 접속하는 방법, 접지선의 길이 및 SPD의 접지와 보호대상인 전자기기의 접지를 접속하는 방법에 따라 SPD의 서지방호효과는 다르게 된다[12,13]. SPD를 접지극에 접속하는 방법 3가지에 대한 SPD의 방호효과를 실험적으로 검토하였다.

2.2.1 실험회로 1

SPD 접지선의 배선방법에 따른 영향을 모의하기 위하여 보호대상인 전자기기의 접지선을 SPD의 접지단자를 경유하여 접지극에 접속한 경우의 실험회로 1을 그림. 1에 나타내었다. 전원선이나 신호선과 SPD 접지선 사이의 간격은 통상 0.5m이하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험회로 사이의 차별성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1m로 상정하였으며, 이 때 SPD 접속선의 길이는 약 1m로 그의 인덕턴스 $L$은 대략 1$\mu H$이다[12]. 이 실험회로는 SPD를 설치하는 위치 근방에 접지단자를 시설할 수 있는 신설의 설비에 가능하다.

Fig. 1. Experimental circuit 1

../../Resources/kiiee/JIEIE.2019.33.4.066/fig1.png

SPD에 의해 서지전압이 제한되어 흐른 크기가 다른 2가지 서지전류에 대한 보호대상의 전자기기의 잔류전압의 파형을 그림. 2에 나타내었다.

Fig. 2. Residual voltage traces of SPD for the experimental circuit 1

../../Resources/kiiee/JIEIE.2019.33.4.066/fig2.png

보호대상의 전자기기의 입력임피던스는 입사하는 서지전압파형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1㏀의 저항으로 하였다. SPD에 흐른 전류는 조합파 발생기의 출력선과 SPD 접속선의 영향으로 상승부가 완만해져 상승시간은 대략 12$\mu s$이었다. 보호대상의 전자기기에 전달되는 잔류전압 $U_{0}$은 SPD의 제한전압과 접속도체에 유도된 전압의 합이 되며, 식 (1)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14,15].

(1)
$U_{0}=U_{P}+L \frac{d i}{d t}$

여기서 $U_{P}$는 SPD의 제한전압, $L$은 SPD 접속선의 인덕턴스이다.

그림. 2(a)의 SPD에 흐른 전류가 520A일 때 잔류전압 $U_{0}$의 피크값은 약 750V로 이론적인 값 $U_{0}=710+1 \times 10^{-6} \times \frac{520}{12 \times 10^{-6}}=753 \mathrm{V}$로 거의 같다. 또한 그림. 2(b)의 SPD에 흐른 전류가 2,240A일 때 잔류전압 $U_{0}$의 파형은 그림. 2(a) 파형에 비하여 SPD에 흐르는 전류의 상승부에서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SPD에 흐른 전류의 변동에 따른 길이 약 1m인 접속선에서의 전압강하의 상승분만큼 높게 나타났다. 보호대상인 전자기기에 가해지는 잔류전압은 SPD의 제한전압에 접지선의 전압강하가 더해져 높아지게 된 즉, 보호대상의 전자기기에 가해지는 잔류전압은 SPD의 제한전압은 물론 접지선의 전압강하와 유도전압에 의해서 결정됨을 알 수 있다.

2.2.2 실험회로 2

기설의 정보통신설비나 지능형 전력설비에 SPD를 추가적으로 설치하다 보면 현장의 여건에 따라 SPD의 접지선을 정보통신설비나 전력설비의 접지단자에 접속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SPD의 서지방호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그림.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실험회로 2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이의 측정결과를 그림. 4에 나타내었다.

Fig. 3. Experimental circuit 2

../../Resources/kiiee/JIEIE.2019.33.4.066/fig3.png

Fig. 4. Residual voltage traces of SPD for the experimental circuit 2

../../Resources/kiiee/JIEIE.2019.33.4.066/fig4.png

실험회로 2의 경우 SPD의 접지선의 길이는 약 3m로 실험회로 1의 약 3배이다. 따라서 접지선에서의 전압강하에 의해 전자기기에 가해지는 잔류전압의 파형은 SPD에 흐는 전류의 상승부에서 대단히 높아지며, SPD전류의 파미부에서는 오히려 낮아짐을 알 수 있다. 접지선의 배선경로를 전원선과 멀리 한 상태에서 SPD의 접지선을 전자기기의 접지단자에 접속하게 되면 잔류전압은 대단히 상승하게 된다. 본 실험의 조건에서 SPD전류가 480A인 경우 잔류전압 $U_{0}$은 약 950V로 SPD제한전압의 약 1.3배 이상이 되며, SPD전류가 2,000A일 때 잔류전압 $U_{0}$은 약 1,700V로 SPD제한전압의 약 2.3배로 되어 SPD의 방호효과를 전혀 기대할 수 없는 상태로 된다.

2.2.3 실험회로 3

정보통신설비나 전력설비의 전원선에 SPD를 추가적으로 설치하는 경우 현장의 여건에 따라 SPD의 접지선을 필연적으로 정보통신설비나 전력설비의 접지단자에 접속해야만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실험회로 2와 같이 SPD의 접지선을 배선하면 SPD의 효용성을 상실하게 될 수 있으므로 접지선의 영향을 극력 없애는 방법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그림.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SPD의 접지선을 전원선 등과 접근시켜 배선하여 서지방호효과를 극대화시키는 방법의 제안을 위한 실험회로 3에 대한 서지방호성능을 검토하였다. SPD의 접지선을 전자기기의 접지단자를 경유하여 접지극에 접속한 경우 전자기기에 가해지는 잔류전압 파형의 예를 그림. 6에 나타내었다.

Fig. 5. Experimental circuit 3

../../Resources/kiiee/JIEIE.2019.33.4.066/fig5.png

Fig. 6. Residual voltage traces of SPD for the experimental circuit 3

../../Resources/kiiee/JIEIE.2019.33.4.066/fig6.png

이와 같이 SPD의 접지선을 전원선 등과 밀착시켜 배선하면 SPD에 흐르는 서지전류에 의해 접지선에는 인덕턴스 $L$에 의해 $V_{L}=L \times d i / d t$의 전압이 발생하며, 전원선에도 $V_{m}=M \times d i / d t$의 전압이 발생한다. 즉, SPD에 흐른 서지전류에 의해 전원선에 유도되는 전압은 접지선의 전압강하와 극성이 반대이므로 전자기기의 전원선과 접지선 사이에 발생하는 전압은 $V_{0}=V_{L}-V_{m}=(L-M) \times d i / d t+U_{P}$로 되며, 전자기기에 대한 영향을 작게 할 수 있다. 여기서 $L$은 접지선의 인덕턴스, $M$은 접지선과 전원선 사이의 상호인덕턴스이며, $U_{P}$는 SPD의 제한전압이다. 전원선을 SPD의 접지선에 밀착시키는 것만으로 $L=M$으로 되지 않지만 SPD의 소지방호성능에 미치는 접지선의 영향을 극력 없애는 방법으로 평가되었다.

2.2.4 접지선의 배선방법에 따른 SPD의 방호성능의 비교

SPD의 접지선의 배선방법이 서지방호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상정한 실험회로 1, 2, 3에서 SPD의 접속선의 길이가 1m 이상이므로 전자기기의 입력단자에 가해지는 잔류전압은 SPD의 제한전압($U_{P}$)에 접지선과 전원선 등에의 유도전압의 합으로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보호대상의 전자기기에 가해지는 잔류전압은 SPD에 흐르는 전류에 의존하며, 실험회로 1, 2, 3에 대한 SPD에 흐르는 전류에 따른 잔류전압의 비교를 그림. 7에 나타내었다.

Fig. 7. Comparison of residual voltages for the experimental circuit 1, 2 and 3

../../Resources/kiiee/JIEIE.2019.33.4.066/fig7.png

전원선에 입사한 서지전압은 SPD에 의해 제한되며 서지전류가 흐르게 된다. 그러나 보호대상의 전자기기에 가해지는 잔류전압은 SPD의 제한전압에 접지선에 유도된 전압의 합으로 결정되므로 접지선의 영향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실험회로 1의 경우 접지선의 길이는 약 1m이고, 실험회로 2의 경우 접지선의 길이는 3m, 그리고 실험회로 3의 경우는 약 2.3m이다. 실험회로 2의 경우 접지선의 길이가 실험회로 1의 약 3배이므로 잔류전압이 상당히 높아지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실험회로 3의 경우 접지선의 길이는 실험회로 1의 약 2.3배이지만 전원선과 서지전류가 흐르는 SPD의 접지선을 밀착시켜 배선함에 따라 전원선에 유도되는 전압이 접지선의 전압강하를 상쇄시키는 작용으로 잔류전압은 실험회로 1보다도 낮게 나타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접지선의 경로를 밀착시켜 SPD 설치의 효용성을 개선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2.3 접지선에 의한 유도의 영향

컴퓨터가 내장된 전자기기는 낮은 전압이고 미약한 전기에너지로 동작하므로 이들 기기는 낮은 레벨의 뇌서지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이 때문에 SPD가 동작한 경우 서지전압과 서지전류의 흐름으로 전자기기는 고장 이외에 오동작을 일으킬 수도 있다. SPD의 동작에 따른 전자기기의 오동작은 신뢰성을 손상시키므로 간과해서는 안 될 문제이다. 뇌서지에 의한 정전기적 유도전압과 자기적 유도전압의 특성에 대하여 실험적으로 검토하였다.

2.3.1 정전유도에 의해 발생하는 유도전압

SPD가 동작하여 입사한 높은 서지전압을 제한하더라도 제한된 서지전압이 전자회로의 근방에 전파되며, 정전기적 유도에 의한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그림. 8에 나타낸 모의실험회로에 기유도원으로서 전선에 임펄스전압을 가한 때 양단을 개방하여 평행하게 배선되어 있는 전선에 유도되는 전압의 파형의 예와 기유도전선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정전유도전압의 관계를 그림. 9에 나타내었다. 그림. 9(b)의 결과를 보면 두 전선 사이의 간격이 0.3m일 때 정전유도전압은 밀착시켰을 때에 비하여 1/3 이하로 저감되는 것을 알 수 있다.

Fig. 8. Experimental circuit of measuring the electrostatic induction voltages

../../Resources/kiiee/JIEIE.2019.33.4.066/fig8.png

Fig. 9. Electrostatic induction voltages

../../Resources/kiiee/JIEIE.2019.33.4.066/fig9.png

2.3.2 전자유도에 의해 발생하는 유도전압

SPD가 동작하여 입사한 높은 서지전압을 제한하게 되면 커다란 서지전류가 전자회로의 근방에 흐르게 되며, 전자기적 유도에 의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16,17]. 실험회로 3의 경우 서지전류에 의해 전원선에 유도되는 전압이 접지선의 유도전압을 상쇄시켜 잔류전압이 낮아지는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도 있지만 서지전류가 흐르는 회로와 별개인 회로의 경우 회로기능을 위협하는 잡음원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그림. 10에 나타낸 모의실험회로에 기유도원으로서 전선에 임펄스전류를 흘린 때 한 쪽 단을 개방하여 평행하게 배선되어 있는 전선에 유도되는 전류의 파형과 기유도전선으로부터의 거리에 대하여 측정한 전자유도전압을 그림. 11에 나타내었다.

Fig. 10. Experimental circuit of measuring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voltages

../../Resources/kiiee/JIEIE.2019.33.4.066/fig10.png

Fig. 11. Electromagnetic induction voltages

../../Resources/kiiee/JIEIE.2019.33.4.066/fig11.png

그림. 11(b)의 결과를 보면 두 전선 사이의 간격이 0.4m일 때 전자유도전압은 밀착시켰을 때에 비하여 약 1/3정도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정전유도전압보다 거리의존성이 낮아 완만하게 감소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지능형 전력설비를 구성하는 전자기기의 뇌서지에 의한 오동작은 다음과 같은 정전기적 영향과 전자기적 영향의 요인 중에서 단독 혹은 복합적인 영향에 의해서 발생한다[14].

○ 요인 ① : SPD가 동작할 때 전자회로 근방을 통과하는 뇌전류의 영향

○ 요인 ② : SPD방전의 영향

○ 요인 ③ : SPD동작특성의 영향

따라서 SPD를 설치한 것만으로 모든 뇌서지방호대책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SPD의 동작에 따른 전자기적 환경에 대하여도 면밀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

3. 결 론

SPD 설치의 효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선기법의 제안을 위해 SPD의 접지선의 배선과 접지단자에의 접속방법에 따른 보호대상의 전자기기에 가해지는 잔류전압의 측정에 대한 실증적 실험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① SPD의 접지선은 SPD 근방의 접지단자에 접속하는 것이 잔류전압을 낮추는데 효과적이다.

② 기설의 지능형 전력설비에 추가적으로 SPD을 설치할 때 현장의 여건상 SPD의 접지선을 보호대상의 전자기기의 근방에 있는 접지단자에 접속할 수밖에 없는 경우 SPD의 접지선을 전원선에 밀착시켜 배선하면 잔류전압을 대폭 저감시킬 수 있다.

③ SPD가 동작한 때 SPD의 방전과 동작특성, 접지선에 흐르는 서지전류의 영향으로 SPD 근방에는 높은 정전유도전압과 전자유도전압이 발생된다. 따라서 SPD의 동작에 의해 전자기기의 오동작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전자기적 환경의 영향을 고려하여 SPD의 설치위치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MOTIE)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KETEP)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연구 과제입니다. (No. 20162010104570)

References

1 
Lee B. H., Shin H. K., 2013, Protection Characteristics of Two-Stage Cascaded SPD Systems, J. KIIEE, Vol. 27, No. 5, pp. 95-103DOI
2 
Lee B. H., Shin H. K., 2014, Influences of the Length of Connecting Leads on the Energy Coordination in Coordinated SPD Systems, J. KIIEE, Vol. 28, No. 6, pp. 91-98DOI
3 
Metwally I. A., Heidler F. H., 2007, Enhancement of the SPD Residual Voltage at Apparatus Terminals in Low-Voltage Power Systems, IEEE Trans. Power Delivery, Vol. 22, No. 4, pp. 2207-2213DOI
4 
He J., Yuan Z., Wang S., Hu J., Chen S., Zeng R., 2010, Effective Protection Distances of Low-Voltage SPD with Different Voltage Protection Levels, IEEE Trans. PD, Vol. 25, No. 1, pp. 187-195DOI
5 
Shin H. K., 2014, Protection coordination of ZnO varistor based SPDs, Ph.D dissertation, Inha University, Korea, pp. 41-58Google Search
6 
Korea Electric Association , 2011, Korea Electro-Technical Commission Guidance - Technical Guide for Selection and Application of Surge Protective Devices in Low-Voltage Power Systems, pp. 10-27Google Search
7 
KS C IEC 62305-4 , 2012, Protection against Lightning - Part 4 : Electrical and Electronic Systems within Structures, pp. 83-84Google Search
8 
Lee B. H., Kim H. G., Park H. Y., Ahn C. H., 2013, Protection Coordination between Residual Current Device and Surge Protective Devices in Low-Voltage Consumer's Installations, J. KIIEE, Vol. 27, No. 6, pp. 75-81DOI
9 
ANSI/IEEE C62.41.1 , 2002, Guide on the Surge Environment in Low - Voltage(1000V and less) AC Power Circuits, pp. 27-39Google Search
10 
KS C IEC 61000-4-5 , 2008,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EMC) - Part 4-5 : Testing and Measurement Techniques–.Surge Immunity Test, pp. 6-9Google Search
11 
IEEE C62.45 , 2002, IEEE Recommended Practice on Surge Test for Equipment Connected to Low-Voltage (1,000V and less) AC Power Circuits, pp. 23-38Google Search
12 
IEC 61643-12 , 2009, Low-voltage surge protective devices - Part 12 : Surge protective devices connected to low-voltage power distribution systems - Selection and application principles, pp. 27-38-76-82Google Search
13 
Lee B. H, Oh PK, Lee S. C., 2004, Protec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Facilities against Lightning, The Publishing Department of Inha University, pp. 26-29-128-150Google Search
14 
The Study Committee of IEIEJ , 2011, Lightning Protection for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IEIEJ, pp. 265-270-312-314Google Search
15 
Lee B. H., Shin H. K., 2013, Energy Coordination of Cascaded Voltage Limiting Type Surge Protective Devices, J. KIIEE, Vol. 27, No. 2, pp. 29-35DOI
16 
Lee B. H., 2017, Lightning Protection System Based on International Standards, The Publishing Department of Inha University, pp. 310-324Google Search
17 
Standler R. B., 1989, Protection of Electronic Circuits from Overvoltages, John Wiley & Sons, pp. 202-218Google Search

Biography

Bok-Hee Lee
../../Resources/kiiee/JIEIE.2019.33.4.066/au1.png

He received his Ph. D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Inha University in 1987.

He has been with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Inha University, Inchon, Korea as a Assistant Professor in 1990, where he became a Professor in 1999.

During 1988 to 1989, he was a post-doctoral research fellow at the Institute of Industrial Science, University of Tokyo.

From Apr. 1999 to Feb. 2000, he was a Visiting Professor in the University of Cincinnati.

Since Oct. 2002, he has been a Director in the Research Center for High-voltage and Power Technology, Inha University.

His current research interests are in the area of lightning, lightning protection, grounding systems, surge protection, high voltage engineering, electrical discharges and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Tel : (032)860-7398

E-mail : bhlee@inha.ac.kr

Yang-Woo Yoo
../../Resources/kiiee/JIEIE.2019.33.4.066/au2.png

He received his Ph.D degree in the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Inha University in 2016.

He worked in the areas of R & D management of Korea Electrical Engineering & Science Research Institute since 1993.

He has been working at KwangMyung Electric co., Ltd as a senior managing director from 2012.

His branch research is lightning protection and grounding system.

Tel : +82-32-860-7398

Fax : +82-32-863-5822

E-mail : yoo@kmec.co.kr_leesj1289

Yoo-Ha Kim
../../Resources/kiiee/JIEIE.2019.33.4.066/au3.png

He received his master's degree in the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Inha University in 2013.

He has been working at KwangMyung Electric as a manager from 2013.

His branch research is lightning protection and grounding system.

Tel : +82-2-2240-8419

Fax : +82-2-2240-8497

E-mail : kyh2@kme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