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ISO Journal TitleJ Korean Inst. IIIum. Electr. Install. Eng.

  1. (Master degree,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Soongsil University, Korea)
  2. (Ph.D course,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Soongsil University, Korea)
  3. (Professor,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Soongsil University, Korea)



Basic Load, Dong-Nae Forecast, Fuzzy Linear Regression, Jeju Island, Special day Load Forecast, 3–hours Temperature Sensitivity

1. 서론

우리나라의 전력계통은 육지계통과 제주계통으로 구분할 수 있다[1]. 전력수요는 각 계통의 사회적 요인, 경제적 요인, 기상인자 등 많은 다양한 인자에 영향을 받는다[2]. 제주계통의 전력수요예측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제주계통 전력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고려한 전력수요예측 알고리즘이 개발되어야 한다. 전력수요예측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계절, 요일, 국내총생산, 기상 및 사회적 특성 등이 있다. 다양한 인자들 중 기온은 단기 전력수요예측을 수행할 때 매우 큰 영향을 미치며 국내총생산은 중기, 장기 전력수요예측을 수행할 때 영향을 미친다. 육지계통의 경우 평일, 주말, 특수일 전력수요예측을 수행할 때 기온의 영향을 반영한 선행연구가 있다. 하지만 제주계통의 경우 특수일에 대한 전력수요예측을 수행할 때 기온의 영향을 반영한 사례가 없다[3,4]. 이때 특수일이란 법정 공휴일 및 임시공휴일을 의미한다[1]. 현재 우리나라는 15일의 특수일이 있으며 대체공휴일 제도가 도입되어 최대 18일의 특수일이 발생할 수 있다.

제주계통의 특수일에 대한 전력수요예측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동네예보를 활용하여 기온의 영향을 3시간 단위로 반영한 특수일 전력수요예측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알고리즘은 퍼지선형회귀모델을 이용하여 특수일에 대한 24시간 전력수요예측을 수행한다. 기온의 영향으로 발생한 전력수요의 변동량은 퍼지선형회귀모델을 구성할 때 사용된 입력데이터와 퍼지선형회귀모델을 이용해 전력수요예측을 수행할 때 사용된 입력데이터의 기온 차이로 계산한다. 퍼지선형회귀모델을 이용하여 계산한 24시간 전력수요 예측 값에 기상청 동네예보를 활용하여 기온의 영향으로 발생한 전력수요의 변동량을 3시간 단위로 반영하여 특수일 전력수요예측을 완료한다.

2. 동네예보를 활용한 특수일의 24시간 전력수요예측

전력수요에 영향을 주는 여러 인자 중 기온은 전력수요와 상관관계가 높다. 기온의 변화에 따라 냉방 부하와 난방 부하가 이용되고 기온변화는 전력수요의 변동 요인이다. 일교차가 큰 2013년 삼일절과 일교차가 작은 2014년 삼일절의 전력수요와 기온을 그림. 1에 제시한다. 일교차가 비교적 큰 2013년의 삼일절은 오전에서 오후로 시간이 지나면서 기온이 하강하여 최소 전력수요와 최대 전력수요의 차이가 2014년에 비해 약 40MW 이상 크게 발생하였다. 따라서 시간대별로 달라지는 기온이 전력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반영해야한다.

Fig. 1. Load and temperature of Independence Movement Day in 2013 and 2014

../../Resources/kiiee/JIEIE.2019.33.6.001/fig1.png

시간별로 달라지는 기온의 영향을 반영하기 위해 현재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동네예보를 활용한다. 과거 기상청에서는 일 최고기온과 일 최저기온에 대해 예보를 하였지만 현재에는 3시간 간격으로 모레까지 3시간 단위의 기상정보를 지역별로 제공하는 동네예보를 제공한다. 동네예보를 활용하여 기온과 전력수요의 산점도를 통해 3시간 단위의 기온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를 계산한다. 계산된 3시간 단위의 기온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와 퍼지선형회귀모델을 이용하는 특수일 전력수요예측 알고리즘은 크게 퍼지선형회귀모델을 이용한 24시간 전력수요예측 파트와 동네예보를 활용하여 계산된 3시간 단위 기온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를 이용한 특수일 전력수요예측 값을 보정하는 파트로 구분할 수 있다. 특수일 전력수요예측 알고리즘의 순서도는 그림. 2와 같다.

Fig. 2. Special day load forecasting algorithm using Dong-Nae forecasting

../../Resources/kiiee/JIEIE.2019.33.6.001/fig2.png

2.1 퍼지선형회귀모델을 이용한 특수일의 24시간 전력수요예측

제주계통의 2017년 특수일과 평일, 월요일, 토요일, 일요일에 발생한 전력수요를 그림. 3에 제시한다. 여러 특수일의 일간 전력수요 패턴은 점선으로 나타내고 월요일, 평일, 주말의 전력수요는 실선으로 표시하였다. 평일의 수요 패턴과 특수일의 수요 패턴은 매우 다르고 특수일에 발생한 전력수요는 특수일별로 전력수요의 특징이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특수일별 전력수요의 특징을 반영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이때 특수일 전력수요예측 알고리즘은 참고문헌 5[5], 6[6]에서 특수일 전력수요예측에 적합하다고 제안하는 퍼지선형회귀모델을 사용한다[5,6].

Fig. 3. 24-hour load by special day and weekday and weekend of Jeju Island in 2017

../../Resources/kiiee/JIEIE.2019.33.6.001/fig3.png

육지의 경우 특수일 전력수요예측을 수행할 때 퍼지선형회귀모델을 이용한다. 육지와 제주도의 전력계통 특징이 다르므로 퍼지선형회귀모델을 구성할 때 제주도 전력수요의 특징을 고려한 입력데이터 선정이 필요하다. 표 1은 육지계통과 제주계통의 특수일 전력수요예측에 사용되는 입력데이터 선정 표이다.

Table 1. Input data of fuzzy linear regression algorithm for special day load forecasting in power systems of land and power systems of Jeju

육지계통

제주계통

퍼지선형회귀모델의 입력 데이터

과거 3개년의 동일 요일타입에 발생한 동일 특수일 이전 4일의 평일

과거 3개년의 동일 요일타입에 발생한 동일 특수일

예측 연도의 특수일

이전 4일의 평일

과거 3개년의 동일

특수일 이전 4일의 평일

과거 3개년의 발생한 동일 특수일

예측 연도의 특수일

이전 4일의 평일

제주도 특수일은 특수일이 발생한 요일에 따라 전력수요의 특징이 유사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과거 동일한 요일타입의 특수일을 입력데이터로 선정할 경우 너무 오래된 과거의 데이터를 사용하게 되어 최근 특수일의 전력수요와 특징이 다를 수 있으며 특수일이 없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특수일 전력수요예측을 수행할 때 특수일이 발생한 요일에 따라 분류하지 않고 과거 3년의 동일 특수일, 동일 특수일 이전 4일의 평일데이터와 예측 연도의 특수일 이전 4일의 평일데이터를 사용한다[7,8].

퍼지선형회귀분석법은 식 (1)의 선형회귀분석법에 퍼지이론을 적용한 것으로 식 (2)로 표현한다.

(1)
$y_{i}=ax_{i}+b$

여기서 $a$, $b$는 회귀계수이다.

(2)
$Y_{i}=A_{0}\oplus(A_{1}\otimes X_{i})$

식 (2)식 (1)의 입력변수 $x_{i}$, 출력변수 $y_{i}$, 선형회귀계수 $a$, $b$를 퍼지화 한 것이다. 여기서 $i$는 과거 $i$번째 연도, $Y_{i}$, $X_{i}$, $A_{0}$, $A_{1}$,는 퍼지넘버, $\oplus$는 퍼지합, $\otimes$는 퍼지곱이다.

식 (2)에서 $A_{0}:(a_{0},\:\alpha_{0})$, $A_{1}:(a_{1},\:\alpha_{1})$는 퍼지넘버로 회귀분석모델의 계수로 중심이 $a_{i}$이고, 스프레드는 $\alpha_{1}$이다. 변수 $X_{i}$와 $Y_{i}$는 $(x_{i},\:\sigma_{i})$와 $(y_{i},\: e_{i})$로 나타내며 $x_{i}$, $y_{i}$와 $\sigma_{i}$, $e_{i}$를 평균과 표준편차로 하는 대칭형 삼각퍼지넘버이다. 주어진 $x_{i}$, $y_{i}$, $\sigma_{i}$, $e_{i}$를 식 (3)의 선형계획법을 이용해 $A_{0}:(a_{0},\:\alpha_{0})$, $A_{1}:(a_{1},\:\alpha_{1})$를 결정하여 퍼지선형회귀모델을 구성한다. 이때 제약조건은 삼각퍼지넘버인 변수의 대칭삼각형을 유지하기 위한 조건이며 참고문헌 9[9]의 수식으로부터 자세하게 알 수 있다[9].

(3)

Minimize $ \quad \quad \quad \quad $ $J(a, \alpha)$

$=\operatorname{Max}\left(\alpha_{0},\left|a_{1}\right| \sigma_{1}, \alpha_{1}\left|x_{1}\right|\right)$ $+\operatorname{Max}\left(\alpha_{0},\left|a_{1}\right| \sigma_{2}, \alpha_{1}\left|x_{2}\right|\right)$ $+\operatorname{Max}\left(\alpha_{0},\left|a_{1}\right| \sigma_{i}, \alpha_{1}\left|x_{i}\right|\right)$

Subject to

\begin{align*} \left | y_{1}-(a_{0}+a_{1}x_{1})\right |\le\dfrac{1}{2}\max(\alpha_{0},\:\left | a_{1}\right |\sigma_{1},\: a_{1}\left | x_{1}\right |)-\dfrac{1}{2}e_{1}\\ \left | y_{1}-(a_{0}+a_{1}x_{2})\right |\le\dfrac{1}{2}\max(\alpha_{0},\:\left | a_{1}\right |\sigma_{2},\: a_{1}\left | x_{2}\right |)-\dfrac{1}{2}e_{2}\\ \begin{aligned}\vdots \\\left | y_{1}-(a_{0}+a_{1}x_{i})\right |\le\dfrac{1}{2}\max(\alpha_{0},\:\left | a_{1}\right |\sigma_{i},\: a_{1}\left | x_{i}\right |)-\dfrac{1}{2}e_{i}\end{aligned}\\ \alpha_{0},\: a_{1}\ge 0 \end{align*}

과거 3개년의 동일 특수일 전력수요와 특수일 이전 4일의 평일 전력수요를 사용하여 퍼지선형회귀모델을 구성하고 구성된 모델을 이용하여 특수일의 최대 및 최소 전력수요를 예측한다. 또한 과거 3개년의 동일 특수일로부터 최대, 최소 정규화된 24시간 전력수요패턴을 예측 한 후 최댓값과 최솟값을 사용하여 24시간 전력수요예측을 완료한다.

2.2 전력수요에 대한 기온의 영향 보정

시간대별로 기온이 전력수요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점을 고려하여 전력수요예측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그림. 3과 같이 시간대별로 다른 기온에 대한 전력수요민감도를 적용하였다. 그림. 4는 2016년 삼일절의 예측 기온이 최저 약 1℃에서 최대 약 6℃만큼 변할 때 각 시간대별로 다른 기온 민감도를 적용하여 예측 정확도가 높아진 사례이다. 그림. 4의 사각형으로 표현된 전력수요는 삼일절의 전력수요 실측값이다. 실선으로 표현된 기온 보정 전 전력수요 예측 값에 특수일의 예측 기온과 입력데이터의 기온을 나타내는 두 점선의 차이를 3시간 단위로 기온 민감도를 이용하여 보정한 결과 원 도형으로 표현된 기온 보정 후 전력수요가 기온 보정 전 전력수요보다 예측 정확도가 향상됨을 알 수 있다[10].

Fig. 4. A case of Independence Movement Day that reflects the effect of temperature in 2016

../../Resources/kiiee/JIEIE.2019.33.6.001/fig4.png

따라서 시간대별로 기온이 전력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반영하기 위해 현재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동네예보를 활용하여 기온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를 계산한다. 현재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동네예보는 기상정보를 지역별로 3시간 단위 구간에 대해 3시간 간격으로 모레까지 일 8회 제공한다[[11,12]. 동네예보는 예보요약, 시간별, 위치별, 그래픽의 4개 탭으로 나누어 정보를 제공한다. 예보요약 탭은 일 최대 기온과 일 최저 기온, 파고에 대한 예보를 모레까지 제공한다. 시간별 탭에서는 지역별로 기상 인자에 대해 예보정보를 제공하며 위치별 탭은 각 기상인자별로 예보 정보를 지도에 표현한다. 그래픽 탭은 각 기상인자에 대해 그림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별 정보를 함께 볼 수 있도록 위치별 탭의 정보를 모아둔 탭이다. 기온에 대한 정보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시간별 탭의 정보를 이용한다. 그림. 5는 기상청의 동네예보 시간별 탭이다[11].

Fig. 5. Weather information from Dong-Nae forecasting

../../Resources/kiiee/JIEIE.2019.33.6.001/fig5.png

퍼지선형회귀모델에 사용되는 전력수요는 모델을 구성할 때 사용되는 과거 3년의 전력수요데이터와 예측할 때 사용되는 전력수요데이터로 구분할 수 있다. 퍼지선형회귀모델을 구성할 때, 예측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전력수요데이터는 모두 기온의 영향이 반영되어야 한다. 따라서 과거 3개년의 특수일 이전 4일의 평일 기온과 특수일 기온과의 차이를 계산해 모델을 구성할 때 기온이 전력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반영하고 예측 연도의 특수일 이전 4일의 평일 기온과 특수일의 예측기온과의 차이를 계산하여 모델을 이용하여 예측할 때 기온이 전력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반영한다. 또한 기온이 16℃와 26℃ 사이에 발생할 경우 기온이 전력수요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다고 판단하고 기온보정을 수행하지 않는다. 3시간 단위 기온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를 이용한 특수일 전력수요 보정 수식은 식 (4)와 같다[13].

(4)
\begin{align*} L_{t}^{*}=L_{t}+BL_{m,\:p}\\ \times\delta_{spc,\:p}[(T_{spc,\:t}-T_{avr,\:t})-(PT_{spc,\:t}-PT_{avr,\:t})] \end{align*}

여기서 $p$는 1, 2, $\cdots$, 7, 8구간이며 $p=1$은 1시부터 3시까지 구간, $p=2$은 4시부터 6시까지 구간, $\cdots$, $p=7$은 19시부터 21시까지 구간, $p=8$은 22시부터 24시까지 구간이다. $m$은 특수일이 위치한 월, $t$는 시간, $L_{t}^{*}$는 보정된 특수일 $t$시간의 전력수요예측 값, $L_{t}$는 특수일 $t$시간의 전력수요예측 값, $\delta_{spc,\:p}$는 특수일 $p$구간의 기온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 $BL_{m,\:p}$은 $m$월 $p$구간의 기본 전력수요, $T_{spc,\:t}$는 특수일의 $t$시간 기온, $T_{avr,\:t}$는 예측 알고리즘에 사용되는 평일 $t$시간의 기온의 평균값이다. $PT_{spc,\:t}$는 과거 3년 특수일 $t$시간의 기온 평균값, $PT_{avr,\:t}$는 과거 3년 입력 데이터 4일 $t$시간 기온 평균값이다.

3시간 단위 기온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는 기온이 전력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반영해야 하므로 다른 인자들에 의한 영향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여러 인자들 중 전력수요에 미치는 영향이 큰 국내총생산의 영향을 제거하기 위해 기본 전력수요를 사용하여 특수일 전력수요를 정규화한다. 기본 전력수요는 국내총생산의 성장분에 따른 전력수요의 변동량만을 고려한 전력수요이다. 기본 전력수요로 정규화된 전력수요와 기온의 산점도로 기온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를 계산한다. 기본 전력수요는 식 (5)로 표현되며 기온 민감도는 식 (6)로 표현한다[13].

(5)
$BL_{m,\:p}=Load_{m,\:t}-Temp Load_{m,\:t}-\alpha_{m,\:t}$

여기서 $m$은 월, $t$는 시간, $p$는 8개 구간, $BL_{m,\:p}$는 $m$월 $p$구간의 기본 전력수요, $Load_{m,\:t}$는 $m$월 $t$시간의 전력수요, $Temp Load_{m,\:t}$는 기온의 영향으로 발생한 $m$월 $t$시간의 냉․난방전력수요, $\alpha_{m,\:t}$는 국내총생산의 영향을 받아 발생한 전력수요와 냉․난방전력수요를 제외한 기타 인자의 영향으로 발생한 $m$월 $t$시간의 전력수요이다.

(6)
$\delta_{p}=\dfrac{\triangle NL_{p}}{\triangle Temp_{p}}\times 100(\%)$

여기서 $p$는 8개 구간, $\delta_{p}$는 특수일의 3시간 단위 기온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 $\triangle NL_{p}$는 기본 전력수요로 정규화된 $p$구간의 특수일 전력수요 변화량, $\triangle Temp_{p}$는 $p$구간의 기온의 변화량이다.

3. 사례연구

퍼지선형회귀분석모델과 동네예보를 활용하여 계산된 기온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를 이용하여 3시간 단위로 기온의 영향을 반영한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제안 알고리즘을 검증하기 위해 2014년부터 2016년까지 3년의 특수일에 대해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때 사용한 전력수요, 기온, 전운량 데이터는 수요관리전 발전단 전력수요, 4개 도시 기온의 가중 평균값, 4개 도시 전운량의 가중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전력수요예측 오차율을 계산하기 위해 절대평균 백분율 오차율을 사용하였으며 식 (7)로 정의된다.

(7)
$MAPE(\%)=\left |\dfrac{실적값-예측값}{실적값}\right |\times 100$

연도별로 특수일에 대한 기온보정 전과 기온보정 후의 예측 오차율은 설 연휴와 추석 연휴를 제외한 경우 2014년은 예측 오차율이 5.65%에서 3.02%로 감소하여 기온 보정 전 대비 46.55%의 예측 정확도가 향상되었으며, 2015년은 예측 오차율이 5.73%에서 3.87%로 감소하여 기온 보정 전 대비 32.46%의 예측 정확도가 향상되었으며, 2016년은 예측 오차율이 3.21%에서 2.98%로 기온 보정 전 대비 7.17%예측 정확도가 향상되었다. 또한 설 연휴와 추석 연휴는 2014년은 예측 정확도가 50.88% 향상되어 7.39%에서 3.63%로 오차율이 감소했으며, 2015년은 예측 정확도가 61.39% 향상되어 7.64%에서 2.95%로 오차율이 감소했으며, 2016년은 예측 정확도가 29.11% 향상되어 3.47%에서 2.46%로 오차율이 감소했다. 설 연휴와 추석 연휴의 전력수요는 다른 특수일의 전력수요에 비해 전력수요 패턴이 일정하지 않다. 다른 특수일에 비해 입력데이터의 특징이 유사하지 않은 과거의 설 연휴와 추석 연휴의 전력수요를 입력데이터로 사용하여 퍼지선형회귀모델을 구축하면 다른 특수일에 비해 기온 보정 전의 예측 오차율이 커지게 된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입력데이터와 예측할 때 사용되는 데이터에 기온이 미치는 영향을 반영함으로서 예측 오차율이 크게 개선되었다. 표 2표 3은 연도별 특수일의 기온보정 전과 후의 예측 오차율을 나타낸다.

Table 2. Predicted error rate before and after temperature correction for special days by year (%)

연도 

신정

삼일절

어린이날

석가탄신일

현충일

광복절

개천절

성탄절

기온보정 전

2014

5.40

10.19

3.85

6.99

2.57

8.12

1.79

6.25

2015

9.51

7.80

4.50

3.91

1.24

6.17

10.84

1.84

2016

3.07

2.77

3.96

3.09

3.67

2.86

3.24

3.05

평균

5.99

6.92

4.10

4.66

2.49

5.72

5.29

3.71

기온보정 후

2014

1.39

2.61

3.74

5.26

2.57

2.51

1.79

4.25

2015

3.14

5.50

4.86

5.58

3.16

5.42

1.65

1.62

2016

3.19

1.42

4.73

1.44

2.70

1.99

3.52

4.81

평균

2.57

3.18

4.44

4.09

2.81

3.31

2.32

3.56

Table 3. Predicted error rate before and after temperature correction for Lunar New Year’s Day and Thanksgiving days by year (%)

연도 

설-1일

설+1일

추석-1일

추석

추석+1일

기온보정 전

2014

12.4

9.54

11.73

3.40

1.51

5.73

2015

5.13

6.24

7.81

8.79

9.08

8.78

2016

2.40

2.81

3.07

5.16

3.70

3.69

평균

6.64

6.20

7.54

5.78

4.76

6.07

기온보정 후

2014

6.15

4.92

5.31

1.69

2.82

0.89

2015

3.44

4.86

5.84

1.17

1.26

1.14

2016

1.55

3.37

1.92

1.74

3.48

2.67

평균

3.71

4.38

4.36

1.53

2.52

1.57

기온의 영향이 큰 여름과 겨울에 위치한 신정, 광복절의 경우 개선효과가 크게 나타났으며 특히 일교차가 큰 환절기에 위치한 삼일절의 경우 3년 평균 예측 오차율이 6.92%에서 3.18%로 감소하여 54.05%의 정확도가 향상되어 가장 큰 개선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기온의 영향이 작은 봄과 가을에 위치한 어린이날, 석가탄신일, 개천절의 경우 개선효과가 작게 나타났다.

3시간 단위로 기온의 영향을 반영함으로서 특수일 전력수요예측의 정확도가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향후 가격발전계획에 필요한 자료로 제안한 알고리즘을 사용한 특수일 전력수요예측 결과가 사용된다면 전력시장 운영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 결 론

제주계통에 대해 특수일 전력수요예측을 수행할 때 기온이 전력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반영하기 위해 동네예보를 고려하여 3시간 단위로 기온의 영향을 반영한 특수일 전력수요예측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과거 3년의 동일 특수일, 동일 특수일 이전 4일의 평일을 사용하여 퍼지선형회귀모델을 구성한 후 예측수행일 이전 4일의 평일의 전력수요를 입력데이터로 사용하여 특수일의 최대, 최소 전력수요를 예측한다. 그리고 과거 3개년의 특수일의 최대, 최소전력수요로 정규화된 전력수요 패턴을 이용하여 24시간 전력수요예측을 완료한다. 예측 결과 값에 퍼지선형회귀모델을 구성할 때 사용된 데이터의 기온차이와 퍼지선형회귀모델을 이용해 예측할 때 사용된 데이터의 기온차이를 계산하여 기온이 전력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3시간 단위로 반영한다. 특수일 전력수요예측 알고리즘에 대한 검증을 위해 2014년부터 2016년까지 3년에 대해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사례연구 결과 설 연휴와 추석 연휴를 제외한 특수일의 24시간 평균 전력수요예측 오차율은 3개년 평균 4.86%에서 3.29%로 예측 오차율이 감소하여 32.30%의 정확도가 향상되었다. 설 연휴와 추석 연휴는 3개년 평균 6.17%에서 3.01%로 예측 오차율이 감소하여 51.22%의 정확도가 향상되었다. 3시간 단위 기온의 영향을 반영한 특수일 전력수요예측 알고리즘은 향후 전력계통의 안정적 운영과 전력시장의 효율적 운영에 기여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향후 특수일 전력수요예측을 수행할 때 기온과 국내총생산뿐만 아니라 전력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한 추가분석을 수행하여 기타 인자에 의한 전력수요의 변동량을 체계적으로 반영한다면 전력수요 예측 정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해오름동맹 대학 R & D 협력사업으로 지원된 것으로 관계부처에 감사드립니다. 또한 한국전력거래소의 지원으로 수행 된 연구결과입니다.

References

1 
KPX , Aug. 2018, Electricity Market Operation RegulationsGoogle Search
2 
Jung H., Kim S., Song K., May 2014, Weekly Maximum Electric Load Forecasting Method for 104 Weeks Using Multiple Regression Models, The Transaction of KIEE, Vol. 63, No. 9, pp. 1186-1191DOI
3 
Wi Y., Joo S., Song K., Dec 2011, Holiday Load Forecasting Using Fuzzy Polynomial Regression With Weather Feature Selection and Adjustment, IEEE Transactions on Power System, Vol. 27, No. 2, pp. 596-603DOI
4 
KPX , Nov. 2011, A Study on Short-Term Load Forecasting Technique and its ApplicationGoogle Search
5 
Song K., Ku B., Beak Y., Mar 2002, An Improved Algorithm of the Daily Peak Load Forecasting for the Holidays, The Transaction of KIEE, Vol. 51, No. 3, pp. 109-117Google Search
6 
Ku B., Beak Y., Song K., Oct 2002, An Improved Algorithm of the Daily Peak Load Forecasting for Korean Thanksgiving Day and the Lunar New Year's Day, The Transaction of KIEE, Vol. 51, No. 10, pp. 453-459Google Search
7 
Song K., Park J., Park R., Mar 2018, Short Term Load Forecasting Algorithm for Lunar New Year’s Day,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 Technology, Vol. 13, No. 2, pp. 591-598DOI
8 
Song K., Beak Y., Hong D., Jang G., Feb 2005, Short-Term Load Forecasting for Holidays Using Fuzzy Linear Regression Method, ieee transaction on power system, Vol. 20DOI
9 
Hong D., Lee S., Do H., Sep 2001, Fuzzy linear regression analysis for fuzzy input–output data using shape-preserving operations, Fuzzy Sets and Systems of ELSEVIER, Vol. 122, No. 3, pp. 513-526DOI
10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 Oct. 2018, http://www.weather.go.kr
11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 Oct. 2018, http://data.kma.go.kr
12 
Song K., April 2014, Development of Short-Term Load Forecasting Algorithm Using Hourly Temperature, The Transaction of KIEE, Vol. 63Google Search
13 
Jo S., Park R., Kim K., Kwon B., Song K., Park J., Park H., Aug 2018, Sensitivity Analysis of Temperature on Special Day Electricity Demand in Jeju Island, The Transaction of KIEE, Vol. 67, No. 8, pp. 1019-1023DOI

Biography

Se-Won Jo
../../Resources/kiiee/JIEIE.2019.33.6.001/au1.png

He received his B.S. degree in Energy․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rea Polytechnic University, Siheung, Gyeonggi-do, Korea, in 2017.

He received his M.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orm Soongsil University, Seoul, Korea, in 2019.

E-mail : sdk0951@naver.com

Rae-Jun Park
../../Resources/kiiee/JIEIE.2019.33.6.001/au2.png

He received his B.S. and M.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oongsil University, Seoul, Korea, in 2011 and 2013.

Currently, he is pursuing Ph.D. degree at Soongsil University, Seoul, Korea.

E-mail : rejuni@ssu.ac.kr

Kyung-Bin Song
../../Resources/kiiee/JIEIE.2019.33.6.001/au3.png

He received his B.S. and M.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Yonsei University, Korea, in 1986 and 1988, respectively.

He received his Ph.D.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Texas A & M University, College Station, Texas in 1995.

He is currently a full Professor in Electrical Engineering at Soongsil University, Seoul, Korea.

E-mail : kbsong@ss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