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ISO Journal TitleJ Korean Inst. IIIum. Electr. Install. Eng.




Flyback DC/DC Converter, LED Lighting, Battery Charging, Voltage and Current Mode Control

1. 서 론

최근 전 세계적으로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조명시스템이 보편화되며, 낮 시간에는 태양전지에서 생산된 전력을 배터리에 저장하고, 조명이 필요한 시간에는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LED 발광에 사용하는 추세이다(1-3). 무엇보다 태양전지 셀에서 발생되는 전압은 태양전지 패널에 입사되는 태양광의 각도 및 날씨에 따라서 변화가 심하며, 이러한 태양전지 셀의 가변 전압을 인가받아 LED 및 배터리에 공급 전압을 일정(一定)하게 출력하는 전원공급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1-5).

기존의 DC/DC 컨버터에 모델링 및 제어기 설계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컨버터의 연속시간모델에 대해서는 Ridley(6)와 Middlebrook(7)에 의하여 제안되었다. 이러한 연속시간모델은 주파수 분석에 의하여 컨버터의 전류모드 제어의 소신호 동특성을 연구하는데 적합하였다. B.C.Chi(8)는 전달함수에 의하여 부하의 계단 응답을 해석하였고, Erickson(9)은 대신호 모델링에 의해서 컨버터의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Ridley(10)는 다중 루프에 의해 제어되는 전원장치의 루프이득에 대하여 해석하였으며,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정립되었다(11-12).

본 논문에서는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LED-배터리 시스템을 위한 Flyback DC/DC 컨버터에서 전압모드 제어방식과 전류모드 제어방식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비교하고, MATLAB을 이용하여 근궤적도(Root Locus Plot) 및 Bode 선도를 통하여 전압모드 제어방식보다 전류모드 제어방식이 보다 강인하고 안정되게 동작함을 확인하고자 한다(3).

본 연구에서는 태양광 발전을 바탕으로 60Wh급 리튬-이온 배터리의 충전 및 LED 발광을 위하여 최대출력 50W(DC 21V, 2.5A)급의 Flyback DC/DC 컨버터 모델링 및 제어기 설계에 관하여 논하였으며, MOSFET를 사용하여 시작품을 제작, 40㎑에서 시뮬레이션 및 실험하였다.

2. 본 론

2.1 LED-배터리 시스템을 위한 Flyback DC/DC 컨버터

Fig. 1. The LED-Battery System using Solar Power Generation
../../Resources/kiiee/JIEIE.2019.33.8.014/fig1.png

Fig. 2. Flyback DC/DC Converter and control circuit
../../Resources/kiiee/JIEIE.2019.33.8.014/fig2.png

그림 1은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LED-배터리 시스템을 위한 Flyback DC/DC 컨버터를 나타낸다(3).

낮 시간에는 태양광 발전에서 생산된 전력은 Flyback DC/DC 컨버터를 통하여 리튬-이온 배터리를 충전시키며, 조명이 필요한 시간에는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LED 발광에 사용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LED-배터리 시스템의 경우, 태양광 발전에서 생산되는 에너지가 가변적이기 때문에 최종적인 출력 전압이 LED 또는 리튬-이온 배터리 전압에 추종되도록 Flyback 컨버터를 사용하였다(3,5). 여기서 다이오드 D1 내지 D3는 역으로 흐르는 전류의 흐름을 방지하기 위한 역전압 방지 다이오드이다. 그림 2는 본 논문에서 사용하는 Flyback DC/DC 컨버터 및 제어회로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입력전압 15V 내지 60V에서도 안정적으로 출력전압 21V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절연형 변압기를 사용하였으며, 제어기는 (a)전압모드 제어방식과 (b)전류모드 제어방식으로 구분하며, (a)전압모드 제어방식은 출력전압을 피드백(Feedback)하여 기준전압(Vref)과 비교하고, 포토커플러(Opto)를 통하여 전압제어기를 통하여 기준전압(Vref)에 추종하도록 제어전압(${V}_c$)을 출력하며, (b)전류모드 제어방식은 주 스위치(S)의 하부와 연결된 저항(${r}_s$)에서 전류를 검출하고, 삼각파(Vramp)와 더해지며, 출력전압을 피드백(Feedback)하여 기준전압(Vref)과 비교하고, 포토커플러(Opto)를 통하여 전압제어기에서 출력된 제어전압(${V}_c$)과 비교하여 온․오프 게이트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3).

2.2 Flyback DC/DC 컨버터에서 제어전압-출력전압 전달함수

그림 3은 Flyback DC/DC 컨버터 모델링을 위한 등가적인 변화를 나타낸다. 그림 3 (a)에서 (d)의 변화를 바탕으로 Flyback 컨버터는 Buck-Boost 등가 컨버터로 변화되며, Flyback 컨버터의 입력전압$v_{S}$는 Buck-Boost 등가 컨버터에서는 입력전압$n v_{S}$로 변압기 권선비$n$이 곱해지며, Flyback 컨버터의 자화인덕터$L_{m}$은 Buck-Boost 등가 컨버터에서는 등가인덕터$n^{2}L_{m}$으로 변압기 권선비의 제곱$n^{2}$이 곱해지게 되었다.

Fig. 3. Equivalent change for Flyback DC/DC converter modeling
../../Resources/kiiee/JIEIE.2019.33.8.014/fig3.png

일반적인 Flyback DC/DC 컨버터에서 듀티비-출력전압(duty ratio-to-output)의 전달함수는 식(1)과 같다(3,13).

(1)
$ G_{vd}(s)=\dfrac{\hat v_{o}(s)}{\hat d(s)}= K_{vd}\dfrac{1 +\dfrac{s}{\omega_{esr}}}{1 +\dfrac{s}{Q\omega_{o}}+\dfrac{s^{2}}{\omega_{o}^{2}}}$

여기서

$K_{vd}=\dfrac{n v_{s}}{D'^{2}}$

$Q_{=}R\sqrt{\dfrac{C_{o}}{L_{e}}}$

$\omega_{esr}=\dfrac{1}{C_{o}R_{c}} $

$\omega_{o}=\dfrac{1}{\sqrt{L_{e}C_{o}}} $

$L_{e}=\dfrac{n^{2}L_{m}}{D'^{2}} $

$D'= 1 - D $

그림 4는 Flyback DC/DC 컨버터의 소신호 모델을 나타내며, 그림 5는 미소변동 제어 전압을 갖는 변조기 파형을 나타낸다(3,13).

Fig. 4. Small-signal model of Current-Mode Controlled Flyback DC/DC converter
../../Resources/kiiee/JIEIE.2019.33.8.014/fig4.png

Fig. 5. Modulator waveforms with perturbed control voltage
../../Resources/kiiee/JIEIE.2019.33.8.014/fig5.png

그림 5로부터 $\hat v_{con}$은 다음의 식(2) 내지 식(3)의 관계가 있다.

(2)
$\hat v_{con}= v'_{con}- v_{con}$

(3)
$\hat v_{con}= S_{n}\hat d T_{s}+ S_{e}\hat d T_{s}=(S_{n}+ S_{e})\hat d T_{s}$

식(2)로부터 전류모드 제어방식의 $F^{*}$은 다음의 식(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3,13).

(4)
$F^{*}=\dfrac{\hat d}{\hat v_{con}}=\dfrac{1}{(S_{n}+ S_{e})\hat d T_{s}}=\dfrac{1}{m_{c}S_{n}T_{s}}$

여기서

$m_{c}= 1 +\dfrac{S_{e}}{S_{n}}$

메이슨 법칙(Mason's rule)에 의해서 전류모드 제어방식 Flyback DC/DC 컨버터의 제어전압-인덕터 전류(Control-to-inductor current)의 전달함수 $H_{i}(s)$는 식(5), (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3,13).

(5)
$H_{i}(s)=\dfrac{\hat i_{L}(s)}{\hat v_{con}(s)}=\dfrac{F^{*}\dfrac{\hat i_{L}(s)}{\hat d(s)}}{1 + F^{*}\dfrac{\hat i_{L}(s)}{\hat d(s)}n R_{i}H_{e}(s)}$

(6)
$H_{i}(s)=\dfrac{1}{n R_{i}}\dfrac{1 +\alpha}{s T_{s}}\dfrac{e^{s T_{s}}- 1}{e^{s T_{s}}+\alpha}$

여기서

$\alpha =\dfrac{S_{f}- S_{e}}{S_{n}+ S_{e}}$

$H_{e}(s)=\dfrac{s T_{s}}{e^{s T_{s}}- 1}\approx 1 +\dfrac{s}{Q_{z}\omega_{n}}+\dfrac{s^{2}}{\omega_{n}^{2}}$

$Q_{z}= -\dfrac{2}{\pi}$

$\omega_{n}=\dfrac{\pi}{T_{s}} $

또한 메이슨 법칙(Mason's rule)에 의해서 제어전압-출력전압(Control-to-output voltage) 전달함수 $G_{vci}(s)$는 식(7), (8)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3,13).

(7)
$G_{vci}(s)=\dfrac{\hat v_{o}(s)}{\hat v_{con}(s)}$ $=\dfrac{F^{*}\dfrac{\hat v_{o}(s)}{\hat d(s)}}{1 - k_{r}F^{*}\dfrac{\hat v_{o}(s)}{\hat d(s)}+ n R_{i}H_{e}(s)F^{*}\dfrac{\hat i_{L}(s)}{\hat d(s)}}$

(8)
$G_{vci}(s)=\dfrac{\hat v_{o}(s)}{\hat v_{con}(s)}$ $= K_{vc}\dfrac{\left(1 +\dfrac{s}{\omega_{esr}}\right)}{\left(1 +\dfrac{s}{\omega_{pl}}\right)\left(1 +\dfrac{s}{Q_{p}\omega_{n}}+\dfrac{s^{2}}{\omega_{n}^{2}}\right)}$

여기서

$K_{vc}=\dfrac{D'R}{(1 + D)n R_{i}}\dfrac{1}{1 +\dfrac{D'^{3}R T_{s}}{(1 + D)n^{2}L_{m}}(m_{c}- 0.5)}$

$Q_{p}=\dfrac{1}{\pi\left(\left(1 +\dfrac{s_{e}}{s_{n}}\right)D'- 0.5\right)} $

$\omega_{esr}=\dfrac{1}{C_{o}R_{c}} $

$\omega_{pl}=\dfrac{1 + D}{C_{o}R}+\dfrac{T_{s}D'^{3}}{n^{2}L_{m}C_{o}}(m_{c}- 0.5) $

2.3 Flyback DC/DC 컨버터의 전압제어기 설계 및 루프(Loop)이득

그림 6 (a)은 본 논문의 Flyback DC/DC 컨버터의 보상기로 사용되는 2극점 1영점 전압제어기를 나타내며, 전달함수 $F_{v}(s)$는 식(9)와 같다.

(9)
$F_{v}(s)=\dfrac{Z_{2}(s)}{Z_{1}(s)}=\dfrac{K_{v}\left(1 +\dfrac{s}{\omega_{zc}}\right)}{s\left(1 +\dfrac{s}{\omega_{pc}}\right)}$

여기서

$K_{v}=\dfrac{1}{R_{1}(C_{2}+ C_{3})}$ $\omega_{zc}=\dfrac{1}{R_{2}C_{2}} $

$\omega_{pc}=\dfrac{1}{R_{2}\left(\dfrac{C_{2}C_{3}}{C_{2}+ C_{3}}\right)} $

그림 6 (b)는 본 논문의 Flyback DC/DC 컨버터의 보상기로 사용되는 3극점 2영점 전압제어기를 나타내며, 전달함수 $F_{v}(s)$는 식(10)과 같다.

Fig. 6. Voltage Controller ((a) 2-Pole 1-Zero Controller/ (b) 3-Pole 2-Zero Controller)
../../Resources/kiiee/JIEIE.2019.33.8.014/fig6.png

(10)
$F_{v}(s)=\dfrac{Z_{2}(s)}{Z_{1}(s)}=\dfrac{K_{v}\left(1 +\dfrac{s}{\omega_{z1}}\right)\left(1 +\dfrac{s}{\omega_{z2}}\right)}{s\left(1 +\dfrac{s}{\omega_{p1}}\right)\left(1 +\dfrac{s}{\omega_{p2}}\right)}$

여기서

$K_{v}=\dfrac{1}{R_{22}(C_{22}+ C_{33})}$

$\omega_{z1}=\dfrac{1}{R_{33}C_{33}} $ $\omega_{z2}=\dfrac{1}{(R_{11}+ R_{22})C_{11}} $

$\omega_{p1}=\dfrac{1}{R_{11}C_{11}} $ $\omega_{p2}=\dfrac{1}{R_{33}\left(\dfrac{C_{22}C_{33}}{C_{22}+ C_{33}}\right)} $

따라서 메이슨 법칙(Mason's rule)에 의해서 Flyback DC/DC 컨버터에서 전압모드 제어방식의 루프(Loop) 전달함수 $T_{1}(s)$는 식(11)과 같으며, 전류모드 제어방식의 루프(Loop) 전달함수 $T_{2}(s)$는 다음의 식(1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3,13).

(11)
$T_{1}(s)= G_{vd}(s)F_{v}(s)$

(12)
$T_{2}(s)= G_{vci}(s)F_{v}(s)$

2.4 전압모드 및 전류모드 제어특성 시뮬레이션 비교

표 1은 동작조건, 회로소자 및 Flyback DC/DC 컨버터의 전달함수를 나타낸다.

그림 7은 입력전압 60V, 전압모드 제어방식에서 듀티비-출력전압(${G}_{{vd}}({s})$)의 보드선도를 나타내며, 그림 8은 전압제어기에 의해서 보상된 전압모드 제어방식에서 루프($T_{1}(s)$) 전달함수 보드선도를 나타낸다.

그림 9는 입력전압 60V, 전류모드 제어방식에서 제어전압-출력전압($G_{vci}(s)$)의 보드선도를 나타내며, 그림 10은 전류모드 제어방식에서 루프($T_{2}(s)$) 전달함수 보드선도를 나타낸다.

전압모드 제어방식의 루프($T_{1}(s)$) 전달함수에서 이득여유(PM)는 218.36dB, 위상여유(PM)는 50.007deg이며, 전류모드 제어방식의 루프($T_{2}(s)$) 전달함수에서 이득여유(PM)는 88.81dB, 위상여유(PM)는 49.166deg이며, 모두 안정적으로 동작되는 것이 예측된다. 하지만 전압모드 제어방식의 루프($T_{1}(s)$) 전달함수에서 약 10500rad/sec에서 0deg에서 -180deg로 위상변화가 심하며, 전압보상기에 의해서 보상되어도 위상의 변동이 급격하며, 전류모드 제어방식의 루프($T_{2}(s)$)는 위상변화가 급격하지 않으며, 완만하게 되므로 더욱 안정적으로 시스템이 작동할 것을 예측할 수 있다.

Table 1. Operating Conditions, Circuit Components, and Transfer Functions of the Flyback DC/DC Converter

Operating Conditions : Vin = 15∼60V, Vo = 21V, Freq. = 40kHz, Io_max = 2.5A

Circuit

Components

Power Stage

Feedback Controller

S : IRF640, Fairchild

D : DSSK28-01A, IXYS

Lm : 650μH

Co : 2000μF

rc : 0.03Ω

n : 0.5 (N1=20Turn, N2=10Turn)

f : 40kHz

Rs : 0.05Ω

mc : 1.8

Sn : 1

Se : 0.8

Gain Block

${F}_m =\dfrac{1}{2.5}= 0.4$

${F}_V({s})= 10634.904\dfrac{1 +\dfrac{{s}}{42.553}}{{s}\left(1 +\dfrac{{s}}{133375.886}\right)}$

${R}_{1}$ : 200Ω

${R}_{2}$ : 50kΩ

${C}_{2}$ : 470nF

${C}_{3}$ : 150pF

Transfer

Functions

Voltage-Mode Control

${G}_vd({s})= 41.522\dfrac{1 +\dfrac{{s}}{16666.667}}{1 +\dfrac{{s}}{116712.498}+\dfrac{{s}^{2}}{2223081}} $

$T_{1}(s)= 8791160437.05\dfrac{(s + 42.553)(s + 16666.667)}{s(s + 133375.886)(s^{2}+ 19.047 s + 2223081)}$

Current-Mode Control

$G_{\mathrm{rci}}(s)=239.035 \frac{1+\frac{s}{16666.667}}{\left(1+\frac{s}{71.035}\right)\left(1+\frac{s}{48537.607}+\frac{s^{2}}{2467401103.4}\right)}$

$T_{2}(s)= 3.99\times 10^{16}\dfrac{(s + 2941.176)(s + 16666.667)}{s(s + 71.035)(s + 136274.51)(s^{2}+ 508348.323 s + 24674011103.4)}$

Fig. 7. The bode plot of the duty ratio-to-output voltage($G_{vd}(s)$) in voltage mode control
../../Resources/kiiee/JIEIE.2019.33.8.014/fig7.png

Fig. 8. The bode plot of the loop($T_{1}(s)$) transfer function in voltage mode control
../../Resources/kiiee/JIEIE.2019.33.8.014/fig8.png

Fig. 9. The bode plot of the control voltage-to-output voltage($G_{vci}(s)$) in current mode control
../../Resources/kiiee/JIEIE.2019.33.8.014/fig9.png

Fig. 10. The bode plot of the loop($T_{2}(s)$) transfer function in current mode control
../../Resources/kiiee/JIEIE.2019.33.8.014/fig10.png

그림 11은 전압모드 제어방식에서 듀티비-출력전압(${G}_{{vd}}({s})$) 및 루프($T_{1}(s)$) 전달함수 근궤적도를 나타내며, 그림 12는 전류모드 제어방식에서 제어전압-출력전압($G_{vci}(s)$) 및 루프($T_{2}(s)$) 전달함수 근궤적도를 나타낸다. 전압모드 제어방식의 경우, 듀티비-출력전압(${G}_{{vd}}({s})$) 및 루프($T_{1}(s)$) 전달함수 근궤적도는 이득이 증가함에 따라서 모두 $\sigma = 0$의 좌(左)반면에 존재하기에 시스템이 매우 안정적이다. 하지만 전류모드 제어방식의 경우, 제어전압-출력전압($G_{vci}(s)$)에서 보상기에 의한 보상된 루프($T_{2}(s)$) 전달함수 근궤적도를 살펴보면, 이득이 증가함에 따라서 $\sigma = 0$을 지나서 우(右)반면으로 이동하게 되며, 시스템의 응답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sigma = 0$에 가까운 좌(左)반면에 극점을 배치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응답특성을 더욱 개선시킬 수 있다.

Fig. 11. The root locus plot in voltage mode control
../../Resources/kiiee/JIEIE.2019.33.8.014/fig11.png

표 2는 입력전압 변동에 따른 전압모드 및 전류모드 제어방식에 따른 위상여유 및 이득여유를 나타낸다. 전압모드 제어방식의 경우 입력전압이 15V로 낮아지면, 위상여유의 변동이 크지만, 전류모드 제어방식의 경우 입력전압의 변동에 따라서 위상여유의 변동이 거의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able 2. The PM(phase margin) and GM(gain margin) due to input voltage variation

구 분

입력전압

이득여유

위상여유

전압모드 제어방식

루프($T_{1}(s)$)

60V

218.36dB

50.007deg

40V

221.88dB

50.987deg

15V

230.40dB

42.414deg

전류모드 제어방식

루프($T_{2}(s)$)

60V

88.81dB

49.166deg

40V

72.34dB

49.653deg

15V

35.53dB

51.289deg

Fig. 12. The root locus plot in current mode control
../../Resources/kiiee/JIEIE.2019.33.8.014/fig12.png

2.5 실험결과

Fig. 13. The Experimental Apparatus
../../Resources/kiiee/JIEIE.2019.33.8.014/fig13.png

Fig. 14. The Manufactured Flyback DC/DC Converter
../../Resources/kiiee/JIEIE.2019.33.8.014/fig14.png

Fig. 15. The Voltage․Current waveforms of the Main Switch S in Three LED Lighting(input 60V)
../../Resources/kiiee/JIEIE.2019.33.8.014/fig15.png

그림 13은 실험 장치를 나타내며, 그림 14는 제작된 Flyback DC/DC 컨버터를 나타낸다.

그림 15는 전류모드 제어방식으로 제어하는 경우, 입력전압 60V에서 LED 3개 발광시 주 스위치 전압 및 전류파형을 나타내며, 그림 16은 입력전압 60V에서 LED 1개 발광시 주 스위치 전압 및 전류파형을 나타낸다.

Fig. 16. The Voltage․Current waveforms of the Main Switch S in One LED Lighting(input 60V)
../../Resources/kiiee/JIEIE.2019.33.8.014/fig16.png

Fig. 17. The Voltage․Current waveforms of the Main Switch S in Three LED Lighting(input 15V)
../../Resources/kiiee/JIEIE.2019.33.8.014/fig17.png

Fig. 18. The Voltage․Current waveforms of the Main Switch S in One LED Lighting(input 15V)
../../Resources/kiiee/JIEIE.2019.33.8.014/fig18.png

Fig. 19. Input voltage, output voltage and output current waveforms according to load change (Full Load $\leftrightarrow$ No Load)
../../Resources/kiiee/JIEIE.2019.33.8.014/fig19.png

Fig. 20. 3 LED lighting(t1)/ 3 LED lighting and battery charging(t2)/ 3 LED lighting and battery discharging(t3) battery voltage and current waveforms
../../Resources/kiiee/JIEIE.2019.33.8.014/fig20.png

그림 17은 전류모드 제어방식으로 제어하는 경우, 입력전압 15V에서 LED 3개 발광시 주 스위치 전압 및 전류파형을 나타내며, 그림 18은 입력전압 15V에서 LED 1개 발광시 주 스위치 전압 및 전류파형을 나타낸다.

전압모드 제어방식의 경우, 입력전압 15V에서 듀티(Duty)가 0.5 이상이기에 시스템의 안정도가 나빠지며, 위상여유(PM)가 41.414deg로 나빠지지만, 전류모드 제어방식의 경우, 입력전압 15V에서 듀티(Duty)가 0.5 이상에서도 위상여유가 51.289deg로 거의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림 19는 전류모드 제어방식에서 부하 가변에 따른 입력전압, 출력전압 및 출력전류 파형을 나타내며, 그림 20은 LED 3개 발광(t1)/ LED 3개 발광 및 배터리 충전(t2)/ LED 3개 발광 및 배터리 방전시(t3) 배터리 전압 및 전류 파형을 나타낸다. 부하가 전(全)부하(LED 3개 발광)와 무(無)부하(No Load)로 부하를 변동 시에도 안정적으로 추종함을 확인할 수 있으며, LED 3개 발광, 배터리 충전 및 배터리 방전 시에도 안정적으로 LED 3개 발광 및 배터리의 충․방전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결 론

본 연구에서는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LED-배터리 시스템을 위한 Flyback DC/DC 컨버터 모델링 및 제어기 설계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LED-배터리 시스템을 위한 Flyback DC/DC 컨버터의 모델링을 바탕으로 전압모드 제어방식의 듀티비-출력전압(duty ratio-to- output)의 전달함수와 전류모드 제어방식의 제어전압-출력전압(Control-to-output voltage) 전달함수를 유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60Wh급 리튬-이온 배터리의 충전 및 LED 발광을 위하여 최대출력 50W급의 Flyback DC/DC 컨버터를 대상으로 MATLAB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전압모드 제어방식의 루프($T_{1}(s)$) 전달함수에서 약 10500rad/sec에서 0deg에서 -180deg로 위상변화가 급격한 문제점이 있지만, 전류모드 제어방식은 위상변화가 완만한 것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전압모드 제어방식의 경우, 듀티(Duty)가 0.5 이상인 입력전압 15V에서는 위상여유(PM)가 42.414deg로 감소하여 안정도가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지만, 전류모드 제어방식의 경우, 위상여유(PM)가 51.289deg로 감소하지 않으며, 안정도가 개선됨과 동시에 응답특성이 더욱 향상됨을 예측할 수 있었고, 실험적으로도 이를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LED-배터리 시스템을 위한 Flyback DC/DC 컨버터 모델링 및 제어기 설계 방법은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LED-배터리 시스템 컨버터 설계에 유용하게 응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References

1 
Costa M. A. Dalla, Schuch L., Michels L., Rech C., Pinheiro J. R., Costa G. H., March 2010, Autonomous street lighting system based on solar energy and LEDs, Proc. IEEE Int. Conf. on Industrial Tech.(ICIT), pp. 1143-1148DOI
2 
Rani B. I., Ilango G. S., Nagamani C., Aug. 2013, Control Strategy for Power Flow Management in a PV System Supplying DC Loads, 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Electronics, Vol. 60, No. 8, pp. 3185-3194DOI
3 
Bae Jin-Yong, et. al. , Apl 2019, A Study on the Flyback DC/DC Converter Modeling and Controller Design for the LED-Battery System with Solar Power Generation, Proceeding of The KIEE 2019, pp. 147-149Google Search
4 
Wai-Keung L., Loo K. H., Siew-Chong T., Lai Y. M., Tse C. K., Dec. 2009, Bilevel current driving technique for LEDs,” IEEE Transactions on Power Electronics, Proceeding of The KIEE 2019, Vol. 24, No. 12, pp. 2920-2932DOI
5 
Liu Nian, Chen Qifang , Lu Xinyi , Liu Jie , Zhang Jianhua , Aug. 2015, A Charging Strategy for PV-Based Battery Switch Station Considering Service Availability and Self-Consumption of PV Energy, 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Electronics, Vol. 62, No. 8, pp. 4878-4889DOI
6 
Ridley R.B., Apr. 1991, A New Continuous Time Model for Current Mode Control, IEEE Transactions on Power Electronics, Vol. 6, No. 2, pp. 271-280DOI
7 
Tan F.D., Middlebrook R.D., July 1995, A unified model for current-programmed converters, IEEE Trans. Power Electron., Vol. 10, No. 4, pp. 397-407DOI
8 
Choi Byungcho , Oct. 1997, Step Load Response of a Current Mode Controlled DC to DC Converter, IEEE Transactions on Aerospace and Electronics Systems, Vol. 33, No. 4DOI
9 
Erickson Robert W., Cuk Slobodan , Middlebrook R.D., 1982, Large signal modeling and analysis of switching converters., Power Electronics Specialists Conf., pp. 240-250Google Search
10 
Ridley R., Cho B.H. , Lee F.C., 1982,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Loop Gains of Multiloop-controlled Switching Regulators, IEEE Transactions on Power Electronics, Vol. 3, No. 4, pp. 489-498Google Search
11 
Sum K.K., 1984, Switch Mode Power Conversion Basic Theory and Design, New York and Basel publication, pp. 209-227Google Search
12 
Kislovski A.S., 1991, Dynamic Analysis of Switching-Mode DC/DC Converter, Van Nostrand Reinhold publication, pp. 20-59Google Search
13 
Choi B. C., 2013, Pulsewidth Modulated DC-to-DC Power Conversion: Circuits, Dynamics, and Control Designs, John Wiley & Sons: Hoboken, NJ, USAGoogle Search
14 
Czarkowski D., Kazimierczuk M. K., Aug 1992, Linear Circuit Models of PWM Flyback and Buck/Boost Converters, IEEE Transactions on Circuit and Systems, Vol. 39, No. 8, pp. 688-693DOI
15 
L. Mrig , R. DeBlasio , O'Sullivan G.A., T Tomko , 1982, An advanced PV system simulator to demonstrate the performance of advanced PV cells and Devices, Proceeding of 16th IEEE PV Specialists Conference, San Diego, pp. 194-204Google Search
16 
Gonzalez Sigifredo , Kuszmaul Scott , Deuel Don , Luccam Roberto , 2010, PV Array Simulator Development and Validation 35th, IEEE Photovoltaic Specialists Conference, pp. 2849-2852DOI
17 
King David L., Kratochvil Jay A., Boyson E., 1997, Temperature coefficients for PV modules and array : Measurement methods, difficulties, and results 26th, PVSC, Anaheim, CADOI

Biography

Jin-Yong Bae
../../Resources/kiiee/JIEIE.2019.33.8.014/au1.png

Jin-Yong Bae received B.S., M.S., and Ph.D. from the electrical engineering department of Dongguk university, Seoul, Korea in 1998, 2002, and 2005, respectively.

He worked as a patent examiner of electric power and semiconductor technology examination division KIPO(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He is currently a professor department of electric vehicle control engineering at Donshin University, Naju, Korea.

His interests include the power converter analysis and optimum design for EV(Electric Vehicle), soft-switching converter and inverter, application for LED lighting and solar power system, e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