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ISO Journal TitleJ Korean Inst. IIIum. Electr. Install. Eng.

  1. (Ph.D. Course,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Korea)
  2. (R&D Center Green Information System Gwangju, Korea )



Fault Recorder, GPS, Monitoring, PMU, Renewable Energy, Time Synchro-Phasor

1. 서 론

신 기후협약에 의해 국내에서는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및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에 따라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 20% 달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에 따라 2030년 기준으로 설비용량 63.8GW 이상의 재생발전원이 전력망에 연계될 것이다. 그런데 태양광 및 풍력 등 재생에너지는 청정에너지원이나 불확실성과 변동성이 많아 계통에 연결할 경우 전력망이 불안정할 수 있다(1-3). 따라서 재생에너지의 계통수용 확대방안과 안정적 운영방안이 전력계통의 새로운 Agenda로 부각되고 있는 바, 재생에너지의 특성을 고려한 기술개발과 제도적 장치의 마련이 시급하다.

한편 광역계통의 감시 및 제어를 위한 WAMS (Wide Area Monitoring System) 및 WAMAC (Wide Area Monitoring And Control)에 적용되는 시각 동기페이저 (Time Synchro-phasor) 기술은 전압 및 전류 등의 신호를 GPS (Global Position System) 시각을 동기화하여 측정하는 기술로 1 PPS (Pulse Per Second)의 정밀 시각정보가 요구된다(4). 시각동기화 위상측정기술은 IED 및 고장점 표정장치 (Fault Location Device)에도 적용되고 있으며, PMU(Phasor Measurement Unit) 빅 데이터 기반 전력망 안정화, 감시 및 제어기술로서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5-10). GPS 기반 시각 동기페이저 기술은 지능형 전력망 플랫폼의 출발점으로서 지능형 기기의 핵심기술의 하나로 그린에너지 전력로드맵에도 명시되어 있다. 최근, 강원지역의 신재생발전 비중확대에 대비한 실시간 감시, 분석, 제어시스템이 개발 중에 있다(11,12).

본 논문에서는 태양광발전이 연계된 횡계변전소와 풍력발전이 연계된 영월변전소를 위하여 GPS 기반 시각 동기페이저 기반 PMU와 F/R (Fault Recorder)를 이용한 재생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에 관하여 논하고자 한다. 먼저 시각 동기페이저 원리 및 표준을 소개한 후, 구축한 PMU와 F/R 기반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기술하고자 한다. 끝으로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한 모니터링 및 분석에 관하여 서술하고자 한다.

2. PMU 표준과 시각 동기페이저

2.1 PMU 표준

PMU 관련 최초의 규격인 IEEE 1344-1995는 PMU 계측 및 데이터 전송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는 IEEE PES의 Power System Relaying Committee에서 보증, 재정한 IEEE Standard for Synchrophasors for Power Systems (IEEE Std 1344-1995(R2001))를 거쳐 IEEE Std C37.118-2005가 되었는데, PMU 계측에 대한 성능 요구사항 및 벡터오차 (TVE : Total Vector Error) 정의가 추가되었고 네트워크에 적용 가능한 통신방식을 제공함으로서 현재 사용되는 PMU 기본 개념이 정립되었다. 이는 2011년에 PMU Measurement인 IEEE Std C37.118-1-2011과 Data Transfer인 IEEE Std C37.118-2-2011로 분리되었다. IEEE Standards for Synchrophasor Measurements for Power Systems에는 PMU의 동기화된 페이저와 주파수의 계측 방법 및 계측 검증을 위한 요구사항에 관하여 정의되어 있고, IEEE Standards for Synchrophasor Data Transfer for Power Systems에는 실시간 통신에 적합한 통신 프로토콜, 사용되는 메시징 방법, 데이터 메시지 타입과 그 형식 및 통신 요구사항 등의 시간 동기화된 페이저 계측 데이터의 실시간 교환을 위한 방법에 대하여 정의되어 있다. 최근 PMU 관련 국제 표준은 IEEE Std C37.118.1a-2014을 거쳐 2018년 12월에 IEC/IEEE 60255-118-1-2018로 배포되었다(4,13-15).

2.2 시각 동기페이저

시각 동기페이저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계측되고, 정밀한 Time tag 정보를 갖는 AC 전압 및 전류의 정상분 페이저를 말한다. 전력계통의 순시치 전압신호는 식(1)과 같이 시간축에 대하여 나타낼 수 있으며 복소수 형태를 갖는 실효치 페이저로 식(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16,17).

(1)
${v}({t})={V}_{{m}}\cos(\omega{t}+\theta)$

(2)
$\overline{V}={V}_{{r}}+{j V}_{{i}}=\dfrac{{V}_{{m}}}{\sqrt{2}}{e}^{{j}\theta}=\dfrac{{V}_{{m}}}{\sqrt{2}}\angle\theta$

여기서 $\overline{V}:$ 전압신호의 페이저, ${V}_{{r}}:$ 전압신호의 실수부, ${V}_{{r}}:$ 전압신호의 허수부이다.

실시간으로 측정된 교류 신호로부터 페이저를 계산하는 방법 중에서 가장 일반적인 DFT (Discrete Fourier Transform)는 주파수 분석에 기초한 직교변환으로서 식(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3)
${V}_{{k}}[{n}]=\dfrac{\sqrt{2}}{{N}}\sum_{{n}=0}^{{N}-1}{v}[{n}]{W}_{{N}}^{{kn}}$

여기서 ${k}=0,\:1,\:2,\:...{N}-1$,

$\quad$${W}_{{N}}={e}^{-j 2\pi{\dfrac{}{{N}}}}=\cos(\dfrac{2\pi}{{N}})-{j}\sin(\dfrac{2\pi}{{N}})$,

$\quad$${N}:$ 윈도우 크기,

$\quad$${k}:$ 고조파의 차수,

$\quad$${v}:$ 입력 전압신호,

$\quad$${V}_{{k}}:$ 고조파 차수 ${k}$의 DFT 출력신호이다.

정규 주파수가 60Hz일 때, 한 주기에 24번 샘플링한 경우 샘플링 주파수는 1440Hz가 되며, 전압 DFT의 실수부와 허수부는 식(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4)
${V}_{{i}24}=\dfrac{\sqrt{2}}{24}\sum_{{n}=0}^{23}{v}[{n}]\sin({n}·15^{^{\circ}})$ ${V}_{{r}24}=\dfrac{\sqrt{2}}{24}\sum_{{n}=0}^{23}{v}[{n}]\cos({n}·15^{^{\circ}})$

$\alpha =e^{j\dfrac{2\pi}{3}}$인 경우, B상과 C상의 전압에서 $120^{^{\circ}}$와 $240^{^{\circ}}$로 위상의 이동을 규정할 경우 실수부와 허수부인 식(5)식(8)로 나타낼 수 있다.

(5)
$\alpha{V}_{{r}24}=\dfrac{\sqrt{2}}{24}\sum_{{n}=0}^{23}{v}[{n}]\cos(({n}-7)·15^{^{\circ}})$

(6)
$\alpha^{2}{V}_{{r}24}=\dfrac{\sqrt{2}}{24}\sum_{{n}=0}^{23}{v}[{n}]\cos(({n}+7)·15^{^{\circ}})$

(7)
$\alpha{V}_{{i}24}=\dfrac{\sqrt{2}}{24}\sum_{{n}=0}^{23}{v}[{n}]\sin(({n}-7)·15^{^{\circ}})$

(8)
$\alpha^{2}{V}_{{i}24}=\dfrac{\sqrt{2}}{24}\sum_{{n}=0}^{23}{v}[{n}]\sin(({n}+7)·15^{^{\circ}})$

그림 1은 DFT를 이용한 동기페이저 측정을 나타낸다. 그림 1과 같이 입력 전압신호의 ${n}-1$번째에서 이전의 ${N}$ 샘플값을 이용하여 DFT한 결과는 $\overline{v}[{n}-1]$이며 위상각은 $\theta_{1}$이고 ${n}$번째에서 DFT한 결과는 $\overline{v}[{n}]$이며 위상각은 $\theta_{2}$이 된다. 즉 DFT를 수행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계산된 위상각을 가진 페이저가 계산되고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페이저는 반시계 방향으로 $\omega$의 각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PMU는 계통의 주요지점에 설치하여 3상 교류전압 및 전류의 동기페이저를 측정하여 상위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장치이다. PMU의 구조는 그림 2와 같이 CT 및 PT, LPF, A/D 변환기, GPS 수신기,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네트워크 통신 모듈로 구성된다. PMU의 구조는 IED의 구조와 유사하나, IED와 다른 점은 PMU는 변전소의 모선 및 급전선으로부터 신호들을 수집하는 것과 이들은 GPS 수신기의 위상 맞춤 발신기 (Phase-locked Oscillator)에 따라 A/D 변환기가 동작되는 것이다.

Fig. 1. Measurement of Syncho-phasor using DFT
../../Resources/kiiee/JIEIE.2019.33.10.034/fig1.png

Fig. 2. Structure of PMU
../../Resources/kiiee/JIEIE.2019.33.10.034/fig2.png

2.3 동기페이저 데이터 전송

PMU의 메시지 Frame은 RS232와 같은 직렬통신과 Ethernet 등을 이용한 네트워크 통신을 이용하여 전달된다. 메시지는 Data Frame, Configuration Frame, Header Frame. Command Frame의 총 4가지로서 Command Frame은 수신 받는 메시지이고, 다른 세 종류의 메시지는 송신하는 메시지이다. Data는 PMU 장치에서 계측된 정보의 값이고, Configuration은 PMU 정보를 수신 받는 장치에서 PMU 정보 해석 시 필요한 기계적 정보이고, Header는 인간이 데이터 프레임을 읽기 편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정보 제공하는 메시지이며, Command는 타 장치에서 제어 동작 또는 구성 정보 요청하는 메시지가 된다. 그림 3은 메시지 Frame의 구조를 나타낸다. 그림 3과 같이 Sync는 PMU Data Frame 종류 및 준수하는 표준의 버전 정보, Framesize는 PMU Data Frame의 길이, IDcode는 PMU 장치 ID, SOC는 Second count, Fracsec는 시간 품질과 함께 μs 단위의 페이저 측정 시간(Time of phasor measurement in μsecs with Time Quality), 그리고 CHK는 CRC-CCITT를 각각 나타낸다(4,13-15).

Fig. 3. Structure of Message Frame
../../Resources/kiiee/JIEIE.2019.33.10.034/fig3.png

3. 변전소의 재생에너지원 모니터링을 위한 동기페이저 시스템

3.1 모니터링을 위한 동기페이저 시스템

그림 4는 제안된 변전소의 재생에너지원 실시간 모니터링을 위한 동기페이저 시스템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그림 4와 같이 154kV 횡계변전소의 8개소에 PMU와 154kV 영월변전소의 5개소에 PMU 및 PMU 기능이 있는 F/R을 설치한 후, 전력 데이터를 수집하고 감시, 분석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PMU와 F/R에서 계측한 동기페이저는 동기페이저 데이터 수집시스템 (PDC : Phasor Data Concentrator) 장비를 통해서 수집이 되므로 표준 프로토콜을 지원해야 하며 두 PMU 장치와 데이터 수집 서버 간 미들웨어 역할을 수행한다(11,12,18).

154kV 변전소에 신재생 발전원 연계선로 감시를 위해 설치한 단일피더용 PMU, F/R 기반 PMU, PDC, 데이터 수집 및 저장서버 (FEP : Front End Processor) 하드웨어의 사양 및 기능은 각각, 표 1, 표 2, 표 3, 표 4와 같다.

3.2 PMU와 F/R 구축

그림 5는 구축한 PMU와 F/R의 일부를 나타낸다. 그림 5의 (a)는 154kV 영월변전소에 설치한 PMU #5∼#7 패널을 나타내고 그림 5의 (b)는 154kV 횡계변전소에 설치한 F/R #1, #2를 나타낸다. 이 PMU 및 PMU 기능이 있는 F/R, 데이터분석서버, PDC 및 재생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은 강원본부 계통운영부에 구축하였다, 또한, 자체적으로 타임서버의 구축과 운영을 위하여 NTP (Network Time Protocol) 서비스 기능을 구비한 ARBITER SYSTEM의 1093B 모델을 서버 랙에 설치하였다(11,12,18).

Fig. 4. Conceptional Diagram of Proposed Synchro-phasor System
../../Resources/kiiee/JIEIE.2019.33.10.034/fig4.png

Table 1. Hardware of Single Feeder PMU

항 목

수량(단위)

비 고

사용환경

(℃)(%)

사용온도: 20℃ ~ +40℃ 상대습도: 10% ~ 100%

AC 전압채널(Va, Vb, Vc, V1)

4ch

±0.1%, 정격:115V(110,220), Max 600V, 60Hz

AC 전류채널(Ia, Ib, Ic, I1)

4ch

±0.1%, 정격:5A, Max : 300A

DI 채널

8ch

24Vdc Dry contact, a/b contact 설정가능

DO 채널

2ch

DC signal relay, Internal 12Vdc, 1.0A

제어전원

1EA

AC 220V(60Hz), DC110V, Li-ion 배터리내장(650mA)

GPS

1EA

GPS 수신모듈, 1 PPS Generation, NMEA-0183

Ethernet

1EA

RJ45, 10/100Mbps, IPv4, IEEE 802.3,

Serial

1EA

TXD+/-, RXD+/-, RJ45

LCD

1EA

4×20 character LCD, Backlight, 자동절전기능

KEY

(EA)

9 Menu control key

LED

(EA)

4 Status LED

Dimension

(mm)

150(W)×100(D)×200(H)

Standard

-

IEEE C37.118-2005, Modbus

Table 2. Hardware of F/R typed PMU

항 목

수량(단위)

비 고

사용환경

(℃)(%)

사용온도: 20℃ ~ +70℃ 상대습도: 10% ~ 100%

AC 전압채널(Va, Vb, Vc, Vn)

8ch

측정정밀도:0.5급, 정격:115V, 측정범위:0~440V, 60Hz

AC 전류채널(Ia, Ib, Ic, In)

24ch

측정정밀도:0.5급, 정격:5A, 측정범위:0~250A

DI 채널

64ch

24V Dry contact, a/b 접점 선택가능(125Vdc, 250Vdc)

DO 채널

8ch

DC Relay 12Vdc, 1.0A

제어전원

1EA

AC 220V(60Hz), DC110V, DC48V(옵션)

GPS

1EA

IRIG-B000/B120, 1PPS, 외부 GPS수진장치 사용

Ethernet

1EA

IPv4, IEEE 802.3,

Serial

1EA

TXD, RXD, RS232

KEY

-

Keyboard & mouse

LED

EA

8 Status LED

Standard

-

IEEE C37.118-2005, IEEE C37.111-1999 COMTRADE

Table 3. Hardware of PDC

항 목

수량(단위)

비 고

사용환경

(℃)(%)

사용온도: 20℃ ~ +50℃ 상대습도: 10% ~ 100%

운영체제

-

Embedded Linux

주요기능

-

PMU 장치설정 및 관리, 상태감시 및 로그저장 기능

Standard

-

IEEE C37.118-2005, Master/Stream Server

시각동기

-

SNTP방식

Ethernet

4EA

IPv4, IEEE 802.3,

주변장치

1EA

Keyboard, Mouse

제어전원

-

AC220V, 60Hz

Dimension

(inch,U)

19inch, 1U

Table 4. Hardware of Data Acquisition and FEP

항 목

비 고

소프트웨어 구성

Windows Server OS, MS-SQL Server, 데이터 수집 Application S/W

하드웨어 구성

HDD

≥8TB, SAS 7.2k rpm

CPU, Memory

Intel Xeon 2.1GHz, 32GB(DDR3)

LCD Monitor

19″LCD Monitor, 1920×1280, Rack Mount

전원파워

750W Hot Swap Power

보조전원

1.2kVA UPS, 220V, 60Hz

Rack Cabinet

19인치 표준 서버 랙 캐비닛, 27U, Depth 900mm

Fig. 5. Built PMU and F/R
../../Resources/kiiee/JIEIE.2019.33.10.034/fig5.png

3.3 재생에너지원 모니터링

재생 발전원의 감시, 분석을 위한 HMI 소프트웨어는 PDC와 데이터수집 서버에서 가져온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다양한 전력상태정보를 그래픽 형태와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구현하였다. 또한, 동기페이저 RAW 데이터와 전력연산처리와 함께 오프라인 분석을 위한 CSV (Comma-Separated Value) 형식의 파일저장기능을 구현하였다. 실시간 전력데이터, 과거데이터 분석을 통해서 전력계통 품질 위반사항 또는 분산전원계통연계기준 위반사항에 대한 정보를 로그로 남기는 이벤트 표시 요소에는 Time Stamp로 발생시간을 표시하고, 발생장치 ID를 통해서 해당설비명과 발생이벤트 종류를 표시하도록 하였다. 그림 6은 구축한 변전소의 재생에너지원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의 화면을 나타낸다. 그림 6과 같이 좌측에는 PMU 데이터 로그, 154kV 모선전압와 23kV 모선전압을 표기하도록 하였고, 하단에는 선택한 모선의 주파수, 전압크기와 위상과 이벤트 로그를 표기하도록 구현하였다. 강원풍력의 T/L(154kV 모선)의 부하 변동, 계통 연계, 계통 분리, T/L 보호계전기 동작시의 트렌드는 각각 그림 7, 그림 8, 그림 9, 그림 10과 같이 나타났다. 그림 7과 같이 횡계변전소의 강원풍력 T/L에서 부하변동시 전압은 약 2 주기후 109,037V가 강하되었으며 2 주기후 회복되었으며, 전류는 약 4주기 동안 약 190A에서 약 30A로 감소하였다. 그림 8과 같이 횡계변전소의 강원풍력 T/L에서 계통 연계시 전압과 주파수가 동기화되며, 계통의 전압과 주파수에 맞춰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9와 같이 횡계변전소의 강원풍력 T/L에서 계통 분리 시 전류가 0A가 되며, 전력도 0W가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10과 같이 강원풍력 T/L 보호계전기가 동작하는 순간 전압은 변함없고, 전류가 약 15A로 감소하였으며, 전력은 1,031kW로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Fig. 6. Renewable Resources Monitoring System
../../Resources/kiiee/JIEIE.2019.33.10.034/fig6.png

Fig. 7. Load fluctuation
../../Resources/kiiee/JIEIE.2019.33.10.034/fig7.png

Fig. 8. System connection
../../Resources/kiiee/JIEIE.2019.33.10.034/fig8.png

Fig. 9. System separation
../../Resources/kiiee/JIEIE.2019.33.10.034/fig9.png

Fig. 10. T/L fault
../../Resources/kiiee/JIEIE.2019.33.10.034/fig10.png

변압기 탭 동작시의 횡계변전소와 영월변전소의 #2MTr 2차측의 트렌드는 각각 그림 11, 그림 12와 같이 나타났다. 그림 11과 같이 횡계변전소의 변압기 탭 동작시 A상은 약 4 주기후 182V, B상은 약 3 주기후 167V, C상은 약 4 주기후 158V가 강하되었다. 그림 12와 같이 영월변전소의 변압기 탭 동작시 3상전압은 4 주기후 131V, 139V, 133V가 강하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Fig. 11. Tap operation of Hoenggye S/S
../../Resources/kiiee/JIEIE.2019.33.10.034/fig11.png

Fig. 12. Tap operation of Youngwol S/S
../../Resources/kiiee/JIEIE.2019.33.10.034/fig12.png

4. 결 론

재생에너지는 청정에너지원이나 변동성이 많고 불안정하기 때문에 적절한 감시가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재생발전원의 계통 연계 증가로 전압변동 등 전력품질 저하가 예상되기에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전력품질 감시수단으로서 재생에너지 모니터링을 위하여 구축한 변전소의 동기페이저 시스템을 기술하였다. 또한, GPS 기반 시각 동기페이저의 원리 및 표준을 검토하였고, 구축한 PMU와 F/R 기반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요소와 기능을 소개하였다. 끝으로 부하 변동, 계통 연결 및 계통 분리의 트렌드, 변압기 탭 동작시의 트렌드를 분석을 통해 재생발전원 출력 변동의 계통 운영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향후 변동성 에너지원 급증과 함께 고품질의 요구사항이 증대됨에 따라 재생발전원의 특성을 고려한 계통계획과 안정적 운영을 위하여 빅 데이터 기반 실시간 감시 및 제어가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Acknowledgements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Gangwon Regional Headquarters of KEPCO in 2017. (R00XX00-00)

References

1 
Ministry of Commerce, Industry and Energy , 2017.12, Eighth Basic Plan for Electricity Supply and Demand, 8th Electricity Supply and Demand Basic Planning Subcommittee, pp. 1-99Google Search
2 
Park C.W., Lee K.M., Kim J.W., 2019.7, Detection Method of Pole to Ground Fault in Ungrounded LVDC Distribution Grid Using DWT,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 Technology, Vol. 14, No. 4, pp. 1529-1536DOI
3 
Kwak E.S., 2018.2, Expansion plan of renewable energy system acceptability and Agendas for power system, KIEE PES Winter seminar, pp. 16-23Google Search
4 
Phadke A.G., Throp J.S., January 2008, Synchronized Phasor Measurement and Their Applications, Springer, pp. 93-105Google Search
5 
Ma J., Shi Y., Ma W., et al. , 2015, Location Method for Interline and Grounded Faults of Double-Circuit Transmission Lines Based on Distributed Parameters, IEEE Transactions on Power Delivery, Vol. 30, pp. 1307-1316DOI
6 
Lee K.M., Park C.W., et al. , 2015, Advanced Fault Locating Algorithm on a Double Circuit Transmission Line, International Smart Grid Conference, pp. 1307-1316Google Search
7 
Jeon T.Y., Jeon D.I., Yun S.H., Lee G., Shin Y.J., Park J.B., Kim S.T., Shin J.H., 2014.12, Introduction of Synchrophasor Technology, and A Study on Wavelet Transform Technique Based on PMU Signal for Event Detection, KIEE The world of electricity, Vol. 63, No. 12, pp. 40-45Google Search
8 
Zhan J., Huang J., Niu L., Peng X., Deng D., Cheng S., 2014, Study of the key technologies of electric power big data and its application prospects in smart grid, In Proceedings of IEEE PES Asia-Pacific Power and Energy Engineering Conference (APPEEC), pp. 1-4DOI
9 
Bhuiyan Sharif M A, Khan Jesmin F, Murphy Gregory V, 2017, Big Data Analysis of the Electric Power PMU Data from Smart Grid, SoutheastCon 2017, pp. 1-5DOI
10 
Junaidi Nazreen, Shaaban Mohamed, 2018, Big Data Applications in Electric Energy Systems, ICASSDA, pp. 1-5DOI
11 
Lee K.M, Ahn J.B, Jin H.S, Kwon D.Y, Kwon Y.S, Yoon B.H, Jun D.H, Park C.W, February 2018, Real-time Monitoring of PV Generation Resources in Yongwol S/S, 2018 PSPES Annual Conference and General Meeting, pp. 43-53Google Search
12 
Park C.W, Kwon D.Y, et al. , December 2018, Development of Real-Time Monitoring and Analysis Control System New and Renewable Power Plants, KEPCO. 1st Report, pp. 1-176Google Search
13 
IEEE Power System Relaying Committee , 2001, IEEE Standard for Synchrophasors for Power Systems, IEEE Std. 1344-1995(R2001), pp. 1-36Google Search
14 
IEEE Power System Relaying Committee , 2011, IEEE Standards for Synchrophasor Measurements for Power Systems, IEEE Std C37.118.1-2011, pp. 1-72Google Search
15 
IEEE Power System Relaying Committee , 2011, IEEE Standards for Synchrophasor Data Transfer for Power Systems, C37.118.2-2011, pp. 1-56Google Search
16 
Phadke A.G., Thorp J.S., 2006, HISTORY AND APPLICATIONS OF PHASOR MEASUREMENTS, PSCE 2006, Vol. , No. , pp. 331-335DOI
17 
Phadke A.G., Sachdev M.S., Thorp J.S., et al. , Jan 1998, IEEE STANDARD FOR SYNCHROPHASORS FOR POWER SYSTEMS, IEEE Transactions on Power Delivery, Vol. 13, No. 1, pp. 73-77Google Search
18 
Hong J.Y., Lee K.M., Jin H.S., Kwon D.Y., Kwon Y.S., Yun B.H., Jeon D.H., Park C.W., 2019. 2, Real-time Monitoring of PMU based PV & Wind Generation Resources in S/S, PSPES Annual Conference and General Meeting 2019, pp. 16-23Google Search

Biography

Kyung-Min Lee
../../Resources/kiiee/JIEIE.2019.33.10.034/au1.png

He was born in Korea in 1990. He received his B.S. and M.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Wonju, Korea, in 2014 and 2017. At present, he is working on his Ph.D in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He is a teaching assistant at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since 2018.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Smartgrid, LVDC, Microgrid, RES, PMU, AI application of power system, power system modeling & control, and power system protection.

He is a member of the KIEE, KIIEE, and IEEE.

Tel : 033-760-8796, Fax : 033-760-8781

E-mail : point2529@naver.com

Daeyun Kwon
../../Resources/kiiee/JIEIE.2019.33.10.034/au2.png

He received the B.S. degree in software engineering and M.S. degree in industry information system engineering from Soongsil University, Korea, in 1999 and 2002, respectively, and the electricity engineering A.B.D. in 2018, from Mokpo National University, Korea.

He is currently working as Director of company research center, Green Information System.

His research interests are Wide Area Monitoring, Protection and Control with PMU in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power system.

And also studying the Renewable energy stability and reliability using the Grid Scoping method.

He is a member of the KIEE, and KIIEE.

Tel : 062-226-1133, Fax : 062-366-1212

E-mail : dykwon@gmail.com

Chul-Won Park
../../Resources/kiiee/JIEIE.2019.33.10.034/au3.png

He was born in Korea in 1961. He received his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in 1988, 1990, and 1996, respectively.

From 1989 to 1993 he was an associate researcher at Lucky GoldStar Industrial Systems.

From 1993 to 1996, he was a senior researcher at PROCOM system and lecturer at S.K.K. University.

At present, he is a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since 1997.

Currently he is the President of the Faculty Council.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IED, SAS, Hybrid AC-DC power grid, RES, PMU, AI application to power grid, power grid modeling & control, and computer application in power grid. He is a member of the KIEE, KIIEE, KIPE, and IEEE.

He is president of PSPES since 2018. Dr. Park was awarded the Paper Prize of KIEE in 2010, the Paper Prize of the KOFST in 2017, and an Academic Prize of KIIEE in 2018.

Tel : 033-760-8786, 640-2972, Lab : 033-760-8796, Fax : 033-760-8781

E-mail : cwpark1@gwn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