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ISO Journal TitleJ Korean Inst. IIIum. Electr. Install. Eng.

  1. (h.D Course, Dept.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
  2. (Dept.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



Power Calculation Method, Third-order Generalized Integrator, Droop Control

1. 서 론

드룹 제어(Droop control)는 태양광 발전, 풍력 발전과 같은 재생에너지를 포함하는 분산 발전 시스템에 널리 사용되는 제어 방식으로 전력변환장치 간에 통신선을 사용하지 않고 전력 분담을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드룹 제어는 유효전력 및 무효전력에 따라 출력 전압의 크기와 주파수를 조정하는 방식으로 이를 적용하기 위해서 인버터가 출력하는 유효 및 무효 전력 값을 계산하는 전력계산 알고리즘을 필요로 하게 된다[1].

드룹 제어 구현을 위해 필요한 평균 전력값을 계산하는 방식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식은 전압과 전류를 피드백 받아 순시 전력값을 계산하고 이를 1차 또는 2차 저역통과필터(Low Pass Filter, LPF)를 이용하여 평균화된 유효 및 무효전력 값을 산출하는 방식이다[2]. 이 방식은 구현이 간단하고 부하에 상관없이 전력값을 쉽게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많이 사용되어 왔으나, LPF로 인해 발생되는 필터 지연으로 인하여 전체 시스템의 동특성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다[3].

이러한 부분을 개선하기 위해 SOGI(Second-order Generalized Integrator)를 기반으로 하는 순시적으로 평균 전력을 계산하는 알고리즘이 제안되었다. 이 방식은 SOGI의 전달함수를 활용하여 입력 고조파 성분을 감쇄하면서 OSG(Orthogonal Signal Generation)를 동시에 수행하여 유효 및 무효전력에 필요한 정현파 전압과 전류를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순시적으로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을 계산한다[4].

그러나 드룹 제어 수행시 주파수 지령치는 저항성, 유도성 또는 용량성 드룹 제어 전략에 따라서 무효전력 또는 유효전력의 크기에 의존하여 가변하게 되어 주파수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단상 시스템에서 OSG를 수행하기 위해서 전역통과필터(All Pass Filter, APF)를 사용할 경우에는 주파수 가변으로 인하여 다시 한 번 필터 오차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비선형 부하나 ADC 오차로 인해 DC 오프셋 성분이 발생하게 되는데, SOGI를 기반으로 하는 전력제어 알고리즘은 고조파 저감에 우수한 성능을 보이나 DC 오프셋 성분에 대해 보상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5].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TOGI(Third-order Generalized Integrator)를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전력계산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TOGI는 입력 신호에 대해 고조파 성분을 감쇄할 뿐만 아니라 DC 오프셋 성분에 대해서도 보상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6]. 본 논문에서 이를 활용하여 TOGI를 기반으로 순시적으로 평균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을 계산하는데 필요한 순수 정현파 전압과 전류를 추출한다. 이를 통해 전체 시스템의 동특성을 저해하는 기존의 평균전력을 계산하기 위해 사용된 LPF를 사용하지 않고 순시적으로 평균전력을 계산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제안하는 전력계산 알고리즘이 포함된 드룹 제어 블록도를 제시하였다. 이 제어 블록도에서는 추가적으로 FLL(Frequency-locked-loop)을 전력계산 알고리즘에 적용함으로써 드룹 제어로 인한 주파수 오차 또는 외란에 강인한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전력계산 알고리즘의 타당성을 증명하기 위해서 수학적 분석이 수행되었고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2. 이론적 배경

2.1 드룹 제어 기반 병렬운전 인버터

그림 1은 드룹 제어 기반 단상 인버터의 병렬운전을 위한 제어 블록도와 시스템 구성을 보여준다. 그림 1에서 APF는 단상 시스템에서 OSG를 수행하여 가상의 β 성분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고 이는 드룹 제어에 필요한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을 계산하기 위한 전력계산 알고리즘 블록에 활용된다. 계산된 전력값은 드룹 제어 방정식을 기반으로 하여 전압과 주파수를 수하(droop)하고 출력전압의 지령전압 $E^{*}$와 주파수 지령 ω를 생성하는데 사용된다. 이 때 출력 전압 $v_{o}$와 출력 전류 $i_{o}$를 이용하여 순시 전력을 계산하고 LPF를 이용하여 필터링을 하여 평균전력을 구하는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Fig. 1. Configuration of droop-controlled parallel-inverters
../../Resources/kiiee/JIEIE.2019.33.11.027/fig1.png

2.2 기존 전력계산 알고리즘

Fig. 2. Conventional power calculation method using LPF
../../Resources/kiiee/JIEIE.2019.33.11.027/fig2.png

그림 2는 LPF를 이용한 기존의 전력계산 알고리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그림 2에서 $v_{\alpha}$는 정지좌표계에서 출력전압 $v_{o}$와 같은 축의 값으로 출력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를 $\theta$라고 하면 $v_{\alpha}(t)=\sqrt{2}V\sin(\omega t)$,$i_{\alpha}(t)=\sqrt{2}I\sin(\omega t-\theta)$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 때 $\beta$축 성분은 $\alpha$축 성분을 APF를 이용한 OSG를 통해 90도만큼 지연된 값으로 가정하면 순시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을 식(1)(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1)
$p(t)=v_{\alpha}(t) i_{\alpha}(t)=V I \cos \theta-V I \cos (2 \omega t-\theta)$

(2)
$q(t)=v_{\beta}(t) i_{\alpha}(t)=V I \sin \theta-V I \cos \left(2 \omega t-\frac{\pi}{2}-\theta\right)$

여기서 $\omega$는 출력 전압의 각주파수를 의미하고 $v_{\beta}=-\sqrt{2}V\cos(\omega t)$, $i_{\beta}=-\sqrt{2}I\cos(wt-\theta$)이다.

그림 2의 전력계산 블록도는 $p(t)$와 $q(t)$를 LPF를 이용하여 필터링함으로써 식(1)(2)에서 정현파 성분을 제거하여 평균 유효전력 $P=VI\cos\theta$와 평균 무효전력 $Q=VI\sin\theta$의 값을 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그림 2에서 사용된 LPF로 인하여 필터 지연성분이 과도상태에서 발생하게 되고, 이는 시스템의 동특성을 악화시키게 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LPF를 사용하지 않고 평균전력을 계산하는 방법이 연구되었다. 그림 3은 SOGI를 기반으로 $v_{o}$와 $i_{o}$의 기본파 성분을 추출된 값을 이용하여 순시적으로 평균전력을 계산하는 전력계산 블록을 나타낸다.

SOGI를 이용하여 정지좌표계 $\alpha\beta$축에서 출력 전압과 전류에 대하여 순시전력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3)
$p^{\prime}(t)=v_{\alpha}(t) \cdot v_{\beta}(t)+i_{\alpha}(t) \cdot i_{\beta}(t)=2 V I \cos \theta$

(4)
$q^{\prime}(t)=v_{\alpha}(t) \cdot i_{\beta}(t)-v_{\beta}(t) \cdot i_{\alpha}(t)=-2 V I \sin \theta$

정현파 입력을 가정하여 식(3)(4)와 같이 식을 전개하면 식(5)와 같이 평균전력을 LPF를 사용하지 않고 구할 수 있다.

(5)
$P=\frac{p^{\prime}(t)}{2}, Q=-\frac{q^{\prime}(t)}{2}$

Fig. 3.Power calculation method based on SOGI
../../Resources/kiiee/JIEIE.2019.33.11.027/fig3.png

3. 제안하는 전력계산 알고리즘

3.1 Third-order Generalized Integrator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전력계산 알고리즘은 TOGI를 이용하여 입력 성분에 대하여 고조파 성분과 DC 오프셋을 저감하여 순시 전력 계산에 필요한 정현파 입력을 추출하고 FLL을 이용하여 주파수 오차에 대응한다. 그림 4에서 TOGI의 전달함수는 3가지로 나누어지고 이는 각각 식(6)-(8)과 같이 정의된다. 이 전달함수를 활용하여 OSG를 수행하면서 정지좌표계에서 $v_{o}$와 $i_{o}$를 정현파로 복원할 수 있다. 그림 5-7은 크기 이득 k를 가변하면서 TOGI의 각 전달함수에 대한 주파수 응답 특성을 보여준다.

Fig. 4. Block diagram of TOGI and FLL
../../Resources/kiiee/JIEIE.2019.33.11.027/fig4.png

(6)
$G_{1}(s)=\frac{X_{1}(s)}{X(s)}=\frac{k \omega_{s} s}{s^{2}+k \omega_{s} s+\omega_{s}^{2}}$

(7)
$G_{2}(s)=\frac{X_{2}(s)}{X(s)}=\frac{k \omega_{s}^{2}}{s^{2}+k \omega_{s} s+\omega_{s}^{2}}$

(8)
$G_{3}(s)=\frac{X_{3}(s)}{X(s)}=\frac{k \omega_{s}\left(s^{2}+\omega_{s}^{2}\right)}{\left(s+\omega_{s}\right)\left(s^{2}+k \omega_{s} s+\omega_{s}^{2}\right)}$

Fig. 5. Bode diagram of the transfer function (6) of TOGI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k
../../Resources/kiiee/JIEIE.2019.33.11.027/fig5.png

Fig. 6. Bode diagram of the transfer function (7) of TOGI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k
../../Resources/kiiee/JIEIE.2019.33.11.027/fig6.png

Fig. 7. Bode diagram of the transfer function (8) of TOGI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k
../../Resources/kiiee/JIEIE.2019.33.11.027/fig7.png

식(6)의 $G_{1}(s)$는 대역통과필터로 해석할 수 있으며 그림 5에서 볼 수 있듯이 전원주파수 $w_{s}=377$$[rad/s]$에서 크기 이득은 1이고 위상 지연은 0$^{\circ}$으로, 입력 $X(s)$에 대해 기본파 성분만 추출한다. $G_{2}(s)$는 식(7)과 같이 정의되며 2차 LPF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식(7)과 같이 2차 LPF를 선정하게 되면 그림 6와 같이 전원주파수에서 크기 이득은 1이고 위상은 90도 지연하여 OSG를 수행하면서 고조파 입력 성분은 감쇠시킬 수 있다.

식(8)의 전달함수 $G_{3}(s)$는 1차 LPF와 대역저지필터로 구성되어 그림 7과 같은 응답특성을 가지게 된다. 이는 본 논문에서 $v_{o}$와 $i_{o}$에 포함된 DC 오프셋 성분을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3.2 TOGI 기반의 전력계산 알고리즘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TOGI 기반의 전력계산 알고리즘을 구현하기 위해서 먼저 그림 4에서 TOGI의 입력신호 $x(t)$에 대하여 식(9)와 같이 정의한다.

(9)
$x(t)=X_{d c}+\sqrt{2} X_{1} \sin \left(\omega t+\theta_{1}\right)+\sum_{n=2}^{\infty} \sqrt{2} X_{n} \sin \left(n \omega t+\theta_{n}\right)$

그림 4에서 전달함수 $G_{1}(s)$의 출력 $x_{1}(t)$는 입력 성분에서 DC 오프셋과 고조파 성분이 감쇠되고 기본주파수 $\omega$에 대하여 위상지연 없이 단위 이득이 출력되게 되므로, 식(10)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10)
$x_{1}(t)=\sqrt{2} X_{1} \sin \left(\omega t+\theta_{1}\right)$

전달함수 $G_{2}(s)$의 출력 $x_{2}(t)$는 식(7)을 기반으로 $\omega$에 대하여 OSG를 수행하게 되므로 그림 6와 같이 입력 신호에 대하여 90도 만큼이 지연되고 단위이득인 성분이 출력된다. 또한 $G_{2}(s)$는 2차 LPF로 해석할 수 있으므로 직류 성분 $X_{dc}$에 대하여 $\omega = 0$에 대하여 전압이득 $k$를 가지게 되므로 $x_{2}(t)$는 식(11)과 같이 계산된다.

(11)
$x_{2}(t)=k X_{d c}-\sqrt{2} X_{1} \cos \left(\omega t+\theta_{1}\right)$

마지막으로 $G_{3}(s)$는 1차 LPF와 2차 대역저지필터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그림 7과 같이 고조파 성분에 대해서 1차 LPF로 인하여 감쇠되고 기본주파수 성분은 2차 대역저지필터로 크기 이득이 크게 감소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입력 $x(t)$에 대한 $G_{3}(s)$의 출력 $x_{3}(t)$는 식(12)와 같다.

(12)
$x_{3}(t)=k X_{d c}$

식(10)-(12)를 이용하여 정지좌표계에서 입력 $x(t)$에 대한 기본주파수 성분 $x_{\alpha}$, $x_{\beta}$를 식(13)(14)로 구할 수 있다.

(13)
$x_{\alpha}(t)=x_{1}(t)=\sqrt{2} X_{1} \sin \left(\omega t+\theta_{1}\right)$

(14)
$x_{\beta}(t)=x_{2}(t)-x_{3}(t)=-\sqrt{2} X_{1} \cos \left(\omega t+\theta_{1}\right)$

여기서 $x(t)=v(t)$인 경우 $X_{1}=V,\:\theta_{1}=0$이고 $x(t)=i(t)$인 경우 $X_{1}=I,\:\theta_{1}=\theta$이다.

기존의 LPF로 인한 필터 지연을 제거하고 순시적으로 평균전력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v_{o}$와 $i_{o}$가 정현파임을 가정해야 되는데, 본 논문에서는 식(13)(14)와 같이 TOGI를 이용하여 이를 해결하였다.

식(13)(14)를 이용하여 $v_{o}$와 $i_{o}$를 정지좌표계에서 서로 곱연산을 하여 순시 전력 $p(t)$, $p_{i}(t)$, $q(t)$, $q_{i}(t)$를 식(15)-(18)과 같이 구할 수 있다.

(15)
$\begin{aligned} p(t) &=v_{\alpha}(t) \cdot i_{\alpha}(t) \\ &=V I \cos \theta-V I \cos (2 \omega t-\theta)=P_{D C}+p_{A C} \end{aligned}$

(16)
$\begin{aligned} p_{i}(t) &=v_{\beta}(t) \cdot i_{\beta}(t) \\ &=V I \cos \theta+V I \cos (2 \omega t-\theta)=P_{D C}-p_{A C} \end{aligned}$

Fig. 8. Block diagram of the proposed power calculation algorithm using TOGI and FLL
../../Resources/kiiee/JIEIE.2019.33.11.027/fig8.png

(17)
$\begin{aligned} q(t) &=v_{\beta}(t) \cdot i_{\alpha}(t) \\ &=V I \cos \left(\theta-90^{\circ}\right)-V I \cos \left(2 \omega t-\theta-90^{\circ}\right) \\ &=\mathrm{Q}_{D C}+q_{A C} \end{aligned}$

(18)
$\begin{aligned} q_{i}(t) &=v_{\alpha}(t) \cdot\left(-i_{\beta}(t)\right) \\ &=V I \cos \left(\theta-90^{\circ}\right)+V I \cos \left(2 \omega t-\theta-90^{\circ}\right) \\ &=\mathrm{Q}_{D C}-q_{A C} \end{aligned}$

식(15)-(18)을 이용하여 본 논문에서 그림 8과 같이 평균 유효전력 $P$와 무효전력 $Q$를 식(19)(20)을 통해 필터지연 없이 구할 수 있다.

(19)
$P=P_{D C}=\frac{p(t)+p_{i}(t)}{2}$

(20)
$Q=Q_{D C}=\frac{q(t)+q_{i}(t)}{2}$

Fig. 9. The control block diagram of droop-controlled parallel-inverters using the proposed power calculation method
../../Resources/kiiee/JIEIE.2019.33.11.027/fig9.png

그림 9는 제안하는 전력계산 알고리즘을 적용한 드룹 제어 기반 병렬운전 인버터의 제어블록도를 나타낸다. 제안하는 전력계산 블록은 OSG를 수행함과 동시에 $v_{o}$와 $i_{o}$에 포함된 DC 오프셋과 고조파 성분을 제거하면서, 필터 지연 없이 순시적으로 $P$와 $Q$를 계산하여 전체 시스템의 동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4. 시뮬레이션 및 실험 결과

제안하는 전력계산 알고리즘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표 1은 시뮬레이션 및 실험에 사용된 파라미터를 나타낸다. 시뮬레이션은 2개의 단상인버터를 기준으로 초기에 1번째 인버터 모듈이 운전되기 시작하고, 0.38초 후에 2번째 인버터 모듈이 투입되어 병렬 운전하는 상황을 모의하였다. 그림 10은 기존의 2차 LPF을 기반으로 한 전력계산 알고리즘을 적용한 인버터 시뮬레이션이다.

그림 10에서 첫 번째 인버터 모듈이 약 25ms 전에 출력 전압과 전류가 정상상태에 도달하는 반면에 알고리즘으로 계산된 전력 값은 여전히 과도상태에 있으며 229.1ms 후에 정상상태에 도달한다. 또한 2번째 인버터 모듈이 투입되어 병렬운전이 시작되고 약 0.6초에 전압과 전류는 226.19ms 만에 정상상태에 도달했으나 유효전력 값이 수렴되지 못하여 전력은 277.84ms만에 정상상태에 도달하게 된다. 전력이 수렴되기 전까지 드룹 제어에 의하여 두 인버터의 출력 전압 지령치가 다르게 되어 순환전류가 발생한다.

Table 1. Simulation and experimental parameters

Parameters

Value (Unit)

Control

Parameters

Fundamental Frequency $w_{s}$

377rad/s

Gain of TOGI k

1

FLL gain

1.414

System

Parameters

Power Rating

3.8kW

Filter Inductance

1mH

Filter Capacitance

15μF

DC Input Voltage

380V

Switching Frequency

12kHz

Output AC Voltage

220$V_{rms}$

그림 11은 제안하는 전력계산 알고리즘을 적용한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필터 지연성분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출력 전압과 전류가 변하면 전력값도 바로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제안하는 전력계산 알고리즘을 사용하면 초기 동작시 정상상태 도달시간이 229.1ms에서 49.2ms로 감소하였다. 병렬 운전이 시작되어 2번째 인버터 모듈이 투입되고 정상상태에 도달하는 시간은 기존 277.84ms에서 194.6ms로 감소하였다. 출력 전압과 전류가 정상상태에 도달할 때 계산된 전력값도 정상상태에 도달하게 되므로 제안하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드룹 제어에 의한 섭동 현상을 줄일 수 있다. 그림 12는 병렬운전 실험을 위해 구성한 2대의 단상 인버터 세트를 나타낸다.

Fig. 10. Simulation waveforms of droop-controlled parallel-inverters using the power calculation method based on LPF
../../Resources/kiiee/JIEIE.2019.33.11.027/fig10.png

Fig. 11. Simulation waveforms of droop-controlled parallel-inverters using the proposed power calculation method based on TOGI and FLL
../../Resources/kiiee/JIEIE.2019.33.11.027/fig11.png

각 인버터 모듈은 파워스택, 입력 필터용 인덕터, 그리고 출력 커패시터로 구성되어 있다. 그림 13은 제안하는 알고리즘을 적용한 드룹 제어 기반 병렬 인버터의 실험파형을 나타낸다. 실험파형은 1Hz의 샘플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성되었다. 파란색과 빨간색 실선이 각각 인버터 모듈 1과 2의 유효전력 값을 나타낸다.

그림 13에서는 초기에 1번째 인버터 모듈이 단독운전을 수행하다가 외부 신호를 받아 2번째 인버터 모듈이 투입되면서 병렬운전이 수행된다. 그리고 약 90초 후에 2번째 인버터 모듈이 차단되면서 1번째 인버터 모듈이 단독운전을 수행하는 파형이다.

그림 11과 비교했을 때 유효전력 값이 섭동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나 순시적으로 계산되면서 드룹 제어를 기반으로 단독운전과 병렬운전을 정상적으로 수행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 실험을 통해서 제안하는 전력계산 알고리즘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Fig. 12. Experimental prototype of single-phase parallel-inverters
../../Resources/kiiee/JIEIE.2019.33.11.027/fig12.png

Fig. 13. Experimental waveforms of active power in droop-controlled parallel-inverters with proposed power calculation algorithm
../../Resources/kiiee/JIEIE.2019.33.11.027/fig13.png

5. 결 론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저역통과필터를 사용하지 않고 필터 지연이 없는 TOGI 기반의 전력계산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필터 지연 없이 순시적으로 전력을 계산하기 위해서 전압과 전류는 정현파라는 가정이 필요하게 되는데 본 논문에서는 TOGI를 기반으로 하여 이를 해결하였다. 또한 드룹제어 시 유효전력 또는 무효전력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주파수 수하로 인해 OSG 수행시 발생되는 오차를 FLL을 적용하여 이를 개선하였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을 적용하면 드룹 제어 수행 시 출력 전압과 전류로 계산하는 유효 전력을 순시적으로 산출할 수 있으므로 전체 시스템의 동특성을 개선할 수 있고 이는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검증하였다. 또한 인버터 병렬운전 실험을 통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알고리즘이 실제 드룹 제어 기반 병렬운전 인버터에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Acknowledgements

이 논문은 2019년도 정부(미래창조과학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o. 2019R1A2C2007216)

References

1 
Meng X., Liu J., Liu Z., June 2019, A Generalized Droop Control for Grid-Supporting Inverter Based on Comparison Between Traditional Droop Control and Virtual Synchronous Generator Control, in IEEE Transactions on Power Electronics, Vol. 34, No. 6, pp. 5416-5438DOI
2 
An R., Liu J., Wu T., Wang S., Liu B., 2017, Analysis and design of cutoff frequency for power calculation low-pass filters in droop control, Proc. of IEEE 3rd International Future Energy Electronics Conference and ECCE Asia (IFEEC 2017 - ECCE Asia), pp. 1596-1600DOI
3 
Gao M., Yang S. Jin C., Ren Z., Chen M., Qian Z., 2011, Analysis and experimental validation for power calculation based on p-q theory in single-phase wireless-parallel inverters, Proc of Twenty-Sixth Annual IEEE Applied Power Electronics Conference and Exposition (APEC), Fort Worth, TX, pp. 620-624DOI
4 
Lu J., Wen Y., Zhang Y., Wen W., 2016, A novel power calculation method based on second order general integrator, Proc of IEEE 8th International Power Electronics and Motion Control Conference (IPEMC-ECCE Asia), Hefei, pp. 1975-1979DOI
5 
Xie M., Wen H., Zhu C., Yang Y., 2017, DC Offset Rejection Improvement in Single-Phase SOGI-PLL Algorithms: Methods Review and Experimental Evaluation, in IEEE Access, Vol. 5, pp. 12810-12819DOI
6 
Zhang C., Zhao X., Wang X., Chai X., Zhang Z., Guo X., Sept 2018, A Grid Synchronization PLL Method Based on Mixed Second- and Third-Order Generalized Integrator for DC Offset Elimination and Frequency Adaptability, in IEEE Journal of Emerging and Selected Topics in Power Electronics, Vol. 6, No. 3, pp. 1517-1526DOI

Biography

Young-Sang Ko
../../Resources/kiiee/JIEIE.2019.33.11.027/au1.png

He received his M.S. degree in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from Sungkyunkwan University, Suwon, Korea, in 2015.

He is presently working towards his Ph.D.degree in Colleg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From 2017, he has been working as a CEO and researcher at Minmax corporation.

His current research interests include ESS, Battery, AC/DC converter, DC/DC converter, DC/AC inverter, Smart gird, Photovoltaics System.

Bum-Jun Kim
../../Resources/kiiee/JIEIE.2019.33.11.027/au2.png

He received the B.S. degree in 2015 in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from Sungkyunkwan University, Suwon, Korea, where he is currently working toward the Combined Ph.D. degree in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His current research interests include DC microgrid, parallel-inverters, ESS and its digital control.

Sung-Hun Kim
../../Resources/kiiee/JIEIE.2019.33.11.027/au3.png

He received B.S. degree in electronics engineering from Kwangwoon University. seoul, Korea, in 2017.

Where he is currently working toward the Combined Ph.D. degree in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His research interests are converters for DC Microgrid, DC/AC inverter, DC/DC converter, digital control.

Dong-Wook Kim
../../Resources/kiiee/JIEIE.2019.33.11.027/au4.png

He recived B.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Chosun University. Gwangju, Korea, in 2019.

Where he is currently working toward M.S. degree in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His research interests are DC/AC inverter, DC/DC converter, Control theory.

Chung-Yuen Won
../../Resources/kiiee/JIEIE.2019.33.11.027/au5.png

He received B.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ungkyunkwan University, Suwon, Korea, in 1978, and the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in 1980 and 1987, respectively.

From 1990 to 1991, he was with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University of Tennessee, Knoxville, TN, USA as a Visiting Professor.

Since 1988, he has been with a member of the faculty of Sungkyunkwan University, where he is a Professor in the Colleg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also, in 2008-2013, he was the director of Samsung Energy Power Research Center.

He was the President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in 2010. Since 2016, he has been a director of the DC distribution research center.

His current research interests include the power electronic of electric machines, electric / hybrid vehicle drives, power converters for renewable energy systems.

He is a member of the Korea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