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ISO Journal TitleJ Korean Inst. IIIum. Electr. Install. Eng.

  1. (Ph.D course, Dept. of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LED and Solid State Lighting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Color Rendition, Color Quality Scale, Fidelity Index, Phosphor Combination, RMS

1. 서 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최근 warm white(WW), cool white(CW), 적색(R), 녹색(G), 청색(B), 황색(Y) 등 LED 효율이 기존 조명보다 증가하였고[1-3], 이와 함께 형광체(phosphor) 효율을 증가시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4-5]. 기존 조명과 달리 LED조명은 상관색온도(correlated color temperature, 이하 CCT) 조절, 다양한 색 연출, 공간 조명연출 등의 장점이 있어서 감성조명으로 각광받고 있다[6-7]. LED조명의 광원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연색지수(color rendering index, 이하 CRI)가 있으며, 최근 기존 CIE의 13.3 문서에 기반한 CRI 평가방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색성 평가방법이 제안되었다[8-9]. CRI 평가방법은 CIE 시험색 평가방법으로써, 규정된 시험색의 각각에 대하여 기준광원(reference source)으로 조명하였을 때와 시료광원(test source)으로 조명하였을 때의 색 차이를 계산하는 방법이다. 이것은 규정된 8종류 시험색에 대한 일반연색지수($R_{1}$~$R_{8}$)와 추가로 규정된 6종류 시험색에 대한 특수연색지수($R_{9}$~$R_{14}$)로 나뉘고, 일반적으로 CRI는 일반연색지수의 산술평균값인 평균연색지수(이하 $R_a$)로 나타낸다[10]. 그러나 CIE 시험색 평가방법은 시험색이 불포화 색상이고, 시험색의 수가 적기 때문에 LED조명처럼 포화 색상을 갖는 조명은 연색지수가 과소평가될 수 있다[11]. 따라서 CIE 시험색 평가방법의 단점을 해결하고자,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이하 NIST)에서 일반 색품질 척도(general color quality scale, 이하 $Q_a$)와 색선호 지수(color preference scale, 이하 $Q_p$) 방법을 제안하였다[9]. IES는 105,000개의 색상표본에서 시각적으로 구분된 99개의 색상평가표본(color evaluation sample, 이하 CES)을 선정하여 LED조명에서 색 충실도와 색재현 정도를 fidelity index(이하 $R_f$), gamut index(이하 $R_g$)와 color vector graphic으로 평가하는 방법을 TM-30-18를 통해 제시하였다[12-13]. 이러한 새로운 연색성 평가방법은 WW LED와 CW LED에 R 또는 G의 단일파장 LED를 조합하거나 B-LED와 R, G, Y 형광체를 조합하여 LED 스펙트럼의 연색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었다[14-17]. 그러나 기존 연구는 CCT 조절형 조명처럼 CCT 전 구간에서 연색성 변화 경향이나 최근 연색성 평가방법에 따른 결과를 비교하여 최적의 스펙트럼을 제시하지 않는다. 본 논문에서는 455nm B-LED에서 다양한 파장을 갖는 형광체 스펙트럼을 확보하고, B-LED와 형광체 스펙트럼 조합을 통해 CCT 전 영역에서 CIE 시험색 평가방법과 새로운 연색특성 평가방법에 따른 결과($Q_a$, $R_f$와 $R_g$)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살펴보고, WW LED와 CW LED를 사용한 CCT 조절형 LED조명에서 최적 스펙트럼 조합을 찾아가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2. 연색특성 계산 프로그램 구성 및 유효성 검증

2.1 연색특성 계산 프로그램 구성

한국표준인 KS A 0061, XYZ 색 표시계 및 $X_{10}Y_{10}Z_{10}$ 색 표시계에 따른 색의 표시 방법[18], KS A 0068 광원색의 측정방법[19], KS C 0075 광원의 연색성 평가방법[20], KS C 0076 광원의 분포 온도 및 색온도, 상관 색온도의 측정방법[21], 국제표준인 CIE 13.3 연색지수 평가방법[22], NIST 색품질 척도방법[9], IES TM-30-18 색 충실도 평가[12] 등을 바탕으로 연색특성 계산 프로그램을 구현하였다. 형광체 조합에 따라 변동되는 스펙트럼 분포(spectral power distribution, 이하 SPD)를 프로그램에 입력하면 광학특성(CCT, CRIs, $Q_a$, $R_f$, $R_g$ 등)이 산출된다.

2.2 연색특성 계산 프로그램 유효성 검증

교정된 장비에서 표준광원을 기준으로 LED조명의 연색특성 값을 측정한 후, 자체적으로 구성한 프로그램 출력결과와 비교하거나, OSRAM사가 제공하는 Color Calculator 6.03과 IES TM-30-18 Basic Calculation Tool을 통해 CCT, CRI, $D_{uv}$, $LER$, $Q_a$, $Q_p$, $R_f$, $R_g$를 계산한 결과를 구현 프로그램과 비교함으로써 유효성을 검증하였다[23].

3. B-LED와 형광체 구성 및 조합 방법

3.1 B-LED의 SPD

B-LED는 현재 시판되는 LED의 스펙트럼 최고파장(peak wavelength) $λ_{0}$ 및 반치폭(full width at half maximum, FWHM) $∆λ_{0.5}$를 추출하였으며, 가우시안 분포로 근사하여 모델링 SPD로 변경하였다[23-25].

3.2 형광체 구성

RGBY 멀티칩 LED에서 R, G, B, Y 최고파장 및 FWHM 변경을 통해 최적 파장영역을 제시한 선행 연구결과[25]를 바탕으로 455nm B-LED 여기 광원에서 발광하는 7종의 형광체 스펙트럼을 선정하고, Table. 1에 나타내었다. 선행 연구결과에 따라 RGBY LED의 최고파장 위치에 따른 형광체의 최고파장 구간을 R(620∼650nm), G(500∼520nm), B(450∼460nm), Y(560∼580nm)로 구분하였다[25].

Table 1. Emission spectra of phosphors

Phosphor

Peak wavelength($λ_{0}$)

FWHM($∆λ_{0.5}$)

$λ_{P,1}$

510nm

128nm

$λ_{P,2}$

521nm

59nm

$λ_{P,3}$

556nm

81nm

$λ_{P,4}$

583nm

65nm

$λ_{P,5}$

600nm

80nm

$λ_{P,6}$

630nm

83nm

$λ_{P,7}$

650nm

94nm

3.3 B-LED와 형광체 조합 방법

CCT 전 영역에서 B-LED와 형광체 조합에 대한 광학 시뮬레이션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수행하였다.

① B-LED와 형광체 각각의 SPD를 전체 크기 1로 표준화한다.

② 표준화된 형광체 스펙트럼을 Green($λ_{P,1}$, $λ_{P,2}$, $λ_{P,3}$)과 Red($λ_{P,4}$, $λ_{P,5}$, $λ_{P,6}$, $λ_{P,7}$)로 나누어 각 분류에서 하나씩 형광체를 선택하여 2종의 형광체와 B-LED를 혼합한다.

③ 목표 CCT가 2700K에서 $D_{uv}$±0.005 이내가 되도록 개별 SPD를 조절하고, 혼합된 SPD의 연색특성 결과를 계산하여 저장한다.

④ CCT를 3000K, 3500K, 4000K, 4500K, 5000K, 5700K, 6500K가 되도록 형광체와 B-LED의 개별 SPD를 조절하여 ③의 과정을 반복한다.

⑤ 7종의 형광체를 각각 Green($λ_{P,1}$, $λ_{P,2}$), Yellow($λ_{P,3}$, $λ_{P,4}$, $λ_{P,5}$), Red($λ_{P,6}$, $λ_{P,7}$)로 나누어 각 분류에서 하나씩 형광체를 선택하여 3종 형광체와 B-LED에 대해 ③~④ 과정을 반복한다.

⑥ 7종 형광체를 각각 Green($λ_{P,1}$, $λ_{P,2}$), Yellow($λ_{P,3}$, $λ_{P,4}$, $λ_{P,5}$), Red 1($λ_{P,5}$, $λ_{P,6}$), Red 2($λ_{P,6}$, $λ_{P,7}$)로 나누어 각 분류에서 형광체를 선택하여 4종 형광체와 B-LED에 대해 ③~④ 과정을 반복한다.

3.4 $R_{rms}$를 활용한 LED조명의 연색특성 평가

CIE 시험색 평가방법에 의한 색상 차이를 산술평균하는 경우, 하나 또는 둘의 색상 샘플이 매우 큰 색상 차이를 보여도 CRI 값은 비교적 높을 수 있다. 이러한 산술평균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식 (1)과 같은 제곱평균(root mean square, RMS), $R_{rms}$을 사용하여 모든 CCT에서 하나 이상의 연색특성 값이 변화가 크게 나타나면 평가 결과에 영향을 미치도록 하여, 모든 CCT에서 최적의 연색특성을 나타내는 형광체 조합을 산출하였다.

(1)
$$ R_{r m s, 1 \sim 14}=\sqrt{\frac{1}{14} \sum_{i=1}^{14}\left(R_{r e f}-R_{i}\right)^{2}} $$

여기서 $R_{ref}$는 가능한 최댓값으로 설정하였다. 예를 들어 $R_{1}$∼$R_{14}$에서 $R_{ref}$=100이다.

4. B-LED와 형광체 조합에 따른 연색특성 변화

4.1 형광체 2종 스펙트럼에 따른 CCT별 연색특성 변화

Fig. 1은 B-LED와 형광체 7종 중 2종을 혼합한 후, CCT별 $R_{1}$∼$R_{14}$ 값을 비교한 것이다. CCT 전 구간에서 $R_{1}$∼$R_{14}$ 값이 가장 높게 산출되는 2가지 스펙트럼조합은 $λ_{P,1}$=510nm, $λ_{P,6}$=630nm로써, CCT와 관계없이 $R_{1}$∼$R_{14}$ 값이 75 이상으로 산출되었다. 다른 조합인 $λ_{P,1}$=510nm와 $λ_{P,7}$=650nm 조합의 경우, CCT≥5000K에서 $R_{12}$ 값을 제외하고, $R_{1}$∼$R_{14}$ 값이 95 이상으로 최대이다. $λ_{P,3}$=556nm와 $λ_{P,7}$=650nm 조합의 경우, CCT가 증가할수록 $R_{1}$∼$R_{14}$ 값이 10 이상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R_{12}$ 값이 70 이하로 감소하였다.

Fig. 1. $R_{1}$∼$R_{14}$ according to CCTs in combination of B-LED and 2 phosphors
../../Resources/kiiee/JIEIE.2019.33.12.001/fig1_1.png../../Resources/kiiee/JIEIE.2019.33.12.001/fig1_2.png../../Resources/kiiee/JIEIE.2019.33.12.001/fig1_3.png../../Resources/kiiee/JIEIE.2019.33.12.001/fig1_4.png

Fig. 2. Color rendition properties according to CCT with B-LED and 2 phosphorss
../../Resources/kiiee/JIEIE.2019.33.12.001/fig2_1.png../../Resources/kiiee/JIEIE.2019.33.12.001/fig2_2.png

CIE 시험색 평가방법의 단점을 해결하고자 최근에 제시된 연색특성 평가방법인 $Q_a$, $R_f$, $R_g$를 계산하고, CCT별 CRI, $Q_a$, $R_f$, $R_g$ 값을 비교한 것이 Fig. 2이다. B-LED와 2종 형광체 조합에서 최대 연색평가지수를 보이는 형광체 조합은 $λ_{P,1}$=510nm와 $λ_{P,6}$= 630nm이고, $R_a$=95∼96, $R_{9∼14}$=92∼94, $R_{1∼14}$=94∼95, $Q_a$=90∼98, $R_f$=90∼94, $R_g$=95∼102의 범위로 나타났다. 모든 CCT 영역에서 일정한 연색평가지수를 보였으며, $R_a$와 $Q_a$ 값은 5 이내, $R_a$와 $R_f$ 값은 6 이내 차이를 나타냈다. 다른 조합인 $λ_{P,1}$=510nm와 $λ_{P,7}$= 650nm 조합은 CCT가 높아질수록 연색특성이 증가하였으며, CCT≥5000K에서 $R_a$와 $Q_a$ 값이 각각 97과 95 이상으로 최대이다.

Fig. 3. $R_{rms}$ of color rendition properties according to CCT with B-LED and 2 phosphors
../../Resources/kiiee/JIEIE.2019.33.12.001/fig3.png

Fig. 2의 CCT 전 구간에서 산출된 $R_a$, $R_{9∼14}$, $R_{1∼14}$, $Q_a$, $R_f$와 $R_g$를 $R_{rms}$로 평가한 결과가 Fig. 3이다. $λ_{P,1}$= 510nm와 $λ_{P,6}$=630nm 형광체 2종 조합에서 CCT 전 구간에 걸쳐 $R_{rms}$,1∼8<5, $R_{rms,9∼14}$<8, $R_{rms,1∼14}$ <8, $Q_{rms,a}$< 6, $R_{rms,f}$<9, $R_{rms,g}$<11로 산출되었다. 다른 형광체 조합인 $λ_{P,1}$=510nm와 $λ_{P,7}$=650nm의 경우, $Q_{rms,a}$, $R_{rms,f}$, $R_{rms,g}$에서 11 이상으로 $R_{rms}$ 값이 증가하여 $λ_{P,1}$= 510nm와 $λ_{P,6}$=630nm 조합보다 크다.

4.2 형광체 3종 스펙트럼에 따른 CCT별 연색특성 변화

Fig. 4. $R_{1}$∼$R_{14}$ according to CCTs in combination of B-LED and 3 phosphors
../../Resources/kiiee/JIEIE.2019.33.12.001/fig4_1.png../../Resources/kiiee/JIEIE.2019.33.12.001/fig4_2.png../../Resources/kiiee/JIEIE.2019.33.12.001/fig4_3.png../../Resources/kiiee/JIEIE.2019.33.12.001/fig4_4.png

Fig. 4는 B-LED와 형광체 7종 중 3종을 혼합하여 CCT별 $R_{1}$∼$R_{14}$ 값을 비교한 것이다. CCT 전 구간에서 $R_{1}$∼$R_{14}$ 값이 높게 산출되는 3가지 스펙트럼 조합은 $λ_{P,1}$=510nm, $λ_{P,4}$=583nm, $λ_{P,7}$=650nm와 $λ_{P,2}$=521nm, $λ_{P,4}$=583nm, $λ_{P,7}$=650nm로써, $R_{1}$∼$R_{14}$ 값이 모든 CCT에서 75 이상 산출되었다. 그러나 CCT가 증가할수록 $R_{12}$ 값이 감소하여 6500K에서 70∼80이다.

Fig. 5. Color rendition properties according to CCT with B-LED and 3 phosphors
../../Resources/kiiee/JIEIE.2019.33.12.001/fig5_1.png../../Resources/kiiee/JIEIE.2019.33.12.001/fig5_2.png

Fig. 5는 B-LED와 3종 형광체 조합에서 연색평가지수를 계산하고, 각각의 값을 CCT별로 나타낸 것이다. CCT 전 구간에서 일정한 연색평가지수를 보이는 형광체 조합은 $λ_{P,1}$=510nm, $λ_{P,5}$=600nm와 $λ_{P,6}$=630 nm이고, $R_a$=94∼96, $R_{9∼14}$=92∼93, $R_{1∼14}$=93∼95, $Q_a$=89∼97, $R_f$=89∼94, $R_g$=94∼102의 범위로 산출되었으며, $R_a$와 $Q_a$ 값은 5 이내, $R_a$와 $R_f$ 값도 5 이내 차이를 나타냈다. 다른 조합인 $λ_{P,2}$=521nm, $λ_{P,4}$=583 nm와 $λ_{P,7}$=650nm 조합의 경우, CCT≥3500K에서 $R_a$=98∼99, $R_{9∼14}$=93∼96, $R_{1∼14}$=96∼97, $Q_a$=97∼98, $R_f$=93∼95, $R_g$=100∼101의 범위로 산출되었으며, $R_a$와 $Q_a$ 값은 1 이내, $R_a$와 $R_f$ 값은 5 이내 차이를 보였다.

Fig. 6. $R_{rms}$ of color rendition properties according to CCT with B-LED and 3 phosphors
../../Resources/kiiee/JIEIE.2019.33.12.001/fig6.png

Fig. 6은 B-LED와 3종 형광체 조합 시, CCT 전 구간에서 산출된 $R_{1∼8}$, $R_{9∼14}$, $R_{1∼14}$, $Q_a$, $R_f$와 $R_g$를 $R_{rms}$로 평가한 결과이다. $λ_{P,2}$=521nm, $λ_{P,4}$=583nm와 $λ_{P,7}$= 650nm 조합의 경우, CCT 전 영역에서 $R_{rms,1∼8}$<3, $R_{rms,9∼14}$<6, $R_{rms,1∼14}$<5, $Q_{rms,a}$<6, $R_{rms,f}$< 8, $R_{rms,g}$<12로 산출되었다. 다른 조합인 $λ_{P,1}$=510nm, $λ_{P,5}$=600nm, $λ_{P,6}$=630nm 조합에서 $R_{1∼8}$, $R_{9∼14}$와 $R_{1∼14}$의 $R_{rms}$ 값이 5∼10으로 나타났다.

4.3 형광체 4종 스펙트럼에 따른 CCT별 연색특성 변화

Fig. 7. $R_{1}$∼$R_{14}$ according to CCTs in combination of B-LED and 4 phosphors
../../Resources/kiiee/JIEIE.2019.33.12.001/fig7_1.png../../Resources/kiiee/JIEIE.2019.33.12.001/fig7_2.png../../Resources/kiiee/JIEIE.2019.33.12.001/fig7_3.png../../Resources/kiiee/JIEIE.2019.33.12.001/fig7_4.png

Fig. 7은 B-LED와 형광체 7종 중 4종을 혼합한 후, CCT별 CRI, $R_{1}$∼$R_{14}$ 값을 비교한 것이다. CCT 전 구간에서 $R_{1}$∼$R_{14}$ 값이 높게 산출되는 4가지 스펙트럼 조합은 $λ_{P,1}$=510nm, $λ_{P,3}$=556nm, $λ_{P,6}$=630nm, $λ_{P,7}$=650nm와 $λ_{P,1}$=510nm, $λ_{P,4}$=583nm, $λ_{P,6}$=630nm, $λ_{P,7}$=650nm로써, $R_{1}$∼$R_{14}$ 값이 모든 CCT에서 71 이상으로 산출되었으며, 두 스펙트럼 조합 모두 CCT가 증가할수록 $R_{9}$와 $R_{12}$ 값이 20 이상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Fig. 8. Color rendition properties according to CCT with B-LED and 4 phosphors
../../Resources/kiiee/JIEIE.2019.33.12.001/fig8_1.png../../Resources/kiiee/JIEIE.2019.33.12.001/fig8_2.png

Fig. 8은 B-LED와 4종 형광체 조합에서 연색평가지수를 계산하고 각각의 값을 CCT별로 나타낸 것이다. CCT 전 영역에서 일정한 연색평가지수를 보이는 형광체 조합은 $λ_{P,1}$=510nm, $λ_{P,4}$=583nm, $λ_{P,6}$= 630nm와 $λ_{P,7}$=650nm이고, $R_a$=94∼98, $R_{9∼14}$=90∼96, $R_{1∼14}$= 91∼97, $Q_a$=90∼98, $R_f$=89∼94, $R_g$=98∼102로 산출되었다. $R_a$와 $Q_a$ 값은 4 이내, $R_a$와 $R_f$ 값은 5 이내 차이를 나타냈다. 다른 형광체 조합인 $λ_{P,1}$=510nm, $λ_{P,3}$= 556nm, $λ_{P,6}$=630nm와 $λ_{P,7}$=650nm 조합의 경우, CCT≥3500K에서 $R_a$=96∼98, $R_{9∼14}$=92∼95, $R_{1∼14}$=95∼97, $Q_a$=92∼97, $R_f$=91∼94, $R_g$=99∼101의 범위로 최대로 산출되었으나, CCT≤3000K에서 $Q_a$와 $R_f$ 값이 90 이하로 나타났다.

Fig. 9. $R_{rms}$ of color rendition properties according to CCT with B-LED and 4 phosphors
../../Resources/kiiee/JIEIE.2019.33.12.001/fig9.png

Fig. 9는 B-LED와 4종 형광체 조합을 통해 CCT 전 구간에서 산출된 $R_{1∼8}$, $R_{9∼14}$, $R_{1∼14}$, $Q_a$, $R_f$와 $R_g$를 $R_{rms}$로 평가한 결과이다. $λ_{P,1}$=510nm, $λ_{P,4}$=583nm, $λ_{P,6}$=630nm, $λ_{P,7}$=650nm 조합의 경우, 모든 CCT에서 $R_{a,rms}$<4, $R_{9}$∼$R_{14,rms}$<7, $R_{rms,1∼14}$<5, $Q_{a,rms}$<7, $R_{f,rms}$<9, $R_{g,rms}$<12로 최소로 산출되었다.

5. 결 론

CIE 시험색 평가방법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반 색품질 척도($Q_a$), fidelity index($R_f$), gamut index($R_g$)와 color vector graphic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LED조명의 연색특성 향상을 위한 연구결과가 제시되었으나, CCT 전 구간에서 CIE-CRI 변화를 제시하거나 최근 연색성 평가방법에 따른 결과는 없었다. 본 논문에서는 형광체 7종에서 2종, 3종, 4종을 조합하고 455nm B-LED 여기광원을 사용하였을 때, CCT별 연색평가지수 값을 산출하였다. 산출된 연색평가지수로는 CRI와 더불어 최근에 제시된 $Q_a$, $R_f$와 $R_g$를 이용하였고, 각각의 값을 $R_{rms}$로 평가하여 연색평가지수가 최적화되는 형광체 조합을 확인하였다.

455nm B-LED와 형광체 7종 중 2종을 조합할 경우, $λ_{P,1}$=510nm와 $λ_{P,5}$=630nm 조합에서 $R_{1}$∼$R_{14}$ 값이 75 이상으로 최대로 산출되었고, 연색평가지수는 $R_a$=95∼96, $Q_a$=90∼98, $R_f$=90∼94, $R_g$=95∼102로 나타났다. 이 값들은 $R_{rms}$ 평가결과, 10 이하로 산출되었다. B-LED와 형광체 7종 중 3종을 조합할 경우에는, $λ_{P,2}$=521nm, $λ_{P,4}$=583nm, $λ_{P,7}$=650nm 조합에서 $R_{1}$∼$R_{14}$ 값이 75 이상으로 산출되고, 연색평가지수는 CCT≥3500K에서 $R_a$=98∼99, $Q_a$=97∼98, $R_f$=93∼95, $R_g$=100∼101로 산출되었다. $R_{rms}$ 평가결과, CCT 전 구간에서 5∼10으로 나타났다. B-LED와 형광체 7종 중 4종 조합 시, $λ_{P,1}$=510nm, $λ_{P,4}$=583nm, $λ_{P,6}$= 630nm, $λ_{P,7}$=650nm 조합의 경우, $R_{1}$∼$R_{14}$ 값이 71 이상으로 산출되고, 연색평가지수는 $R_a$=94∼98, $Q_a$=90∼98, $R_f$=89∼94, $R_g$=98∼102로 산출되었다. $R_{rms}$ 평가결과, 모든 CCT에서 12이하로 산출되었다.

B-LED와 7종 형광체 조합을 통해 CCT 전 구간에서 연색평가지수가 90 이상 산출하기 위해서는 최소 2가지 형광체를 조합해야 하며, B-LED와 형광체 7종 중 3종의 형광체를 조합할 때, 최대 연색평가지수를 확보할 수 있고, 산출된 연색평가지수를 $R_{rms}$ 평가를 통해 이러한 조합이 적절함을 확인하였다. 생산되는 550nm 부근의 형광체는 CRI 값에서 $R_{9}$, $R_{12}$ 등이 감소하므로, 연색평가지수 개선을 위해서는 550nm 이하와 630nm 이상에서 발광하는 형광체 개발과 효율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사료된다.

Acknowledgements

이 논문은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에서 발표하고 우수추천논문으로 선정된 논문이며, 유휴․저활용장비이전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은 장비를 활용하여 수행되었음.

본 연구는 2017년 부경대학교 자율창의학술연구비(2017년)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Chung W., Yu H. J., Park S. H., Chun B. H., Kim S. H., 2011, YAG and CdSe/ZnSe Nanoparticles Hybrid Phosphor for White LED with High Colour Rendering Index, Materials Chemistry and Physics, Vol. 126, No. 3, pp. 162-166DOI
2 
Yuruker S. U., Tamdogan E., Arik M., 2017, An Experimental Computational Study on Efficiency of White LED Packages with a Thermocaloric Approach, IEEE Transactions on Components, Packaging and Manufacturing, Vol. 7, No. 2, pp. 201-207DOI
3 
Pavitra E., Seeta Rama Raju G., Oh J. H., Krishna Bharat L., Jeong J. H., Huh Y. S., Yu J. S., 2017, (BaSr)2SiO4:Eu2+ Nanorods with Enhanced Luminescence Properties as Green-Emitting Phosphors for White LED Applications, Dyes and Pigments, Vol. 142, No. 7, pp. 447-456DOI
4 
Wang P. C., Su Y. K., Lin C. L., Huang G. S., 2014, Improving Performance and Reducing Amount of Phosphor Required in Packaging of White LEDs whit TiO2-Doped Silicone, IEEE Electron Device Letters, Vol. 35, No. 6, pp. 657-659DOI
5 
Qian C., Luo L. L., Fan J. J., Li X. Q., Fan X. J., Zhang G. Q., 2017, "Effects of Phosphor Dispersion on Optical Characteristics of LED Chip Scale Package LEDs, " IEEE 1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rmal, Mechanical and Multi-Physics Simulation and Experiments in Microelectronics and Microsystems, Vol. 2, No. 5, pp. 1-3DOI
6 
Oh S. M., Jeon D. E., Kwak Y. S., 2014, The Effects of Neighboring Color on Color Appearance and Affectivity, Journal of Korea Society of Color Studies, Vol. 28, No. 3, pp. 113-121Google Search
7 
Yang J. S., 2011, A Study on the Autumn LED Emotional Lighting Color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aylighting and LED Lighting Color,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Vol. 25, No. 11, pp. 1-13DOI
8 
David L. D., Kevin W. H., Richard G. M., Gary R. S., 2010, The Lighting Handbook: Reference and Application, Illumination Engineering Society, 10th Ed, pp. 6.19-6.22Google Search
9 
Davis W., Ohno Y., 2010, Color Quality Scale, Optical Engineering, Vol. 49, No. 3, pp. 033602DOI
10 
Kim H., Han J. S., 1991, A Study on the Color Temperature and the Color Rendering Variation of Light Sourc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Vol. 5, No. 2, pp. 49-57Google Search
11 
Davis W., Ohno Y., 2005, Toward an Improved Color Rendering Metric, Proc. of SPIE, Vol. 5947, No. 9, pp. 59411g-1~8DOI
12 
ANSI IES TM-30-18 , 2018, IES Method for Evaluating Light Source Color Rendition, lluminating Engineering SocietyGoogle Search
13 
Oh J. H., Eo Y. J., Yang S. J., Do Y. R., 2015, High-Color-Quality Multipackage Phosphor-Converted LEDs for Yellow Photolithography Room Lamp, IEEE Photonics Journal, Vol. 7, No. 2, pp. 1300308 1-8DOI
14 
Ynag W., Zhong P., Mei S., Chen Q., Zhang W., Zhu J., Guo R., He G., 2016, Photometric Optimization of Color Temperature Tunable Quantum Dots Converted White LEDs for Excellent Color Rendition, IEEE Photonics Journal, Vol. 8, No. 5, pp. 1602011 1-11DOI
15 
Lin D., Zhong P., He G., 2017, Color Temperature Tunable White LED Cluster With Color Rendering Index Above 98, IEEE Photonics Technology Letters, Vol. 29, No. 12, pp. 1050-1053DOI
16 
Chiang C. H., Gong S. J., Zhan T. S., Cheng K. C., Chu S. Y., 2016, White Light-Emitting Diodes With High Color Rendering Index and Tunable Color Temperature Fabricated Using Separated Phosphor Layer Structure, IEEE Electron Device Letters, Vol. 37, No. 7, pp. 898-901DOI
17 
Zhang J. J., Hu R., Yu X. J., Xie B., Luo X. B., 2017, Spectral Optimization Based Simultaneously on Color-Rendering Index and Color Quality Scale for White LED Illumination, Optics & Laser Technology, Vol. 88, No. 2, pp. 161-165DOI
18 
KS C 0061:2015 , 2015, Specification of Colours According to the CIE 1931 Standard Colorimetric System and the CIE 1964 Supplementary Standard Colorimetry Standard Colorimetrc System, KSAGoogle Search
19 
KS C 0068:1988 , 1988, Methods of Measurement for Light Sources Color, KSAGoogle Search
20 
KS C 0075:1974 , 1974, Method of Specifying Colour Rendering Properties of Light Sources, KSAGoogle Search
21 
KS C 0076:1990 , 1990, Methods for Determining Distribution Temperature and Colour Temperature or Correlated Colour Temperature of Light Sources, KSAGoogle Search
22 
CIE 13.3:1995 , 1995, Method of Measuring and Specifying Colour Rendering Properties of Light Sources, CIEGoogle Search
23 
Jo H. S., Ryu U. C., 2016, Study on CRI and CCT Variations of LED Lightings According to RGB Colour Changes of Multi-Chip LED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on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Vol. 30, No. 12, pp. 12-19Google Search
24 
Ohno Y., 2005, Spectral Design Considerations for White LED Colour Rendering, Optical Engineering, Vol. 44, No. 11, pp. 111302 1-9DOI
25 
Jo H. S., Ryu U. C., 2017, Study on Optical Characteristic Variations According to Spectrum Changes of RGBY Multi-Chip LED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on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Vol. 31, No. 2, pp. 33-41Google Search

Biography

Hyeong-Seob Jo
../../Resources/kiiee/JIEIE.2019.33.12.001/au1.png

He received the B.S. degree in the electronic engineering from Chosun University, Gwangju, Korea in 2015 and the M.S. degree in the specialized graduate school of science and technology convergence from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in August 2017.

Since September 2017, he is a Ph.D candidate in the school of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LED and solid state lighting engineering from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Jong-Oh Kim
../../Resources/kiiee/JIEIE.2019.33.12.001/au2.png

He received the B.S. degree in the health service management from Daegu Haany University, Daegu, Korea in 2010 and the M.S. degree in the specialized graduate school of science and technology convergence from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in 2017.

Since March 2017, he is a Ph.D candidate in the school of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LED and solid state lighting engineering from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Uh-Chan Ryu
../../Resources/kiiee/JIEIE.2019.33.12.001/au3.png

He received the B.S. and M.S. degrees in the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in 1997 and 1999, respectively, and the Ph.D. degree in the schoo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from Gwangju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Gwangju, Korea.

Since September 2013, he is an Associate Professor in the school of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LED and solid state lighting engineering from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