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ISO Journal TitleJ Korean Inst. IIIum. Electr. Install. Eng.

  1.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Korea)



Fault Recovery, Genetic Algorithm, Substation, SOP, Transformer Capacity, DS Switching

1. 서 론

정전복구시간과 경제적인 손실을 감소하기 위해 변전소의 신속한 고장복구가 필요하다. 그동안 한전은 SCADA 이벤트를 활용한 고장판단 및 자동고장복구시스템과 디지털변전소 고장복구 가이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설비 변경사항 발생시 Logic 보완, 고장판단·복구절차 정확도 평가기능 부재로 성능 데이터 확보에 어려움 및 제반 여건의 미비 등으로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최근, 향후 10년 이내에 자동고장복구 전력시스템 구축 비전이 수립되었다. 이에 변전소 고장발생시 AI 기반 자동복구를 위한 원천기술 확보가 요구된다(1-3).

유전 알고리즘은 컴퓨터 과학에서 가장 최근에 세력화가 이루어진 연구 분야 중의 하나로서 주로 최적화 문제를 푸는 데에 적용된다(4-5).

한전은 2017년도 현재, 830여개의 변전소를 운영하고 있다. 한전은 무정전 전력공급을 위해 설비에 대한 유지보수를 주기적으로 시행하고 있으나 전력 설비의 제작 불량, 변압기 및 GIS 고장, 계전기 오동작, 작업자 과실 등으로 매년 많은 고장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전력설비에 고장이 발생했을 경우 신속한 고장복구와 고장파급방지를 위하여 표준복구절차(SOP : Standard Operation Procedure)를 수립,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새로운 전력설비의 운전에 따른 기존과 다른 고장유형이 발생했을 경우 고장복구에 많은 어려움이 있기에 보완이 요구되고 있다(6-7).

유전 알고리즘(GA : Genetic Algorithm)을 이용한 변전소 복구 방안에 관한 연구가 국내에서 발표 된 이후, GA는 배전 계통 계획의 최적 경로 탐색에 적용되었다(8-9). 최근에는 대용량 분산전원의 최적 위치 및 용량 선정과 수도권 고장전류 저감을 위한 BTB HVDC 최적 위치 선정 기법에 GA를 적용하는 논문이 제안되었다(10-11).

해외에서는 GA을 사용하는 배전 네트워크의 결함 진단에 대한 새로운 기법과 정전 복구 시스템의 개발이 발표되었다(12-13). 최근에는 고성능 컴퓨팅을 사용하는 실시간 동작 MVDN(Medium Voltage Distribution Networks)을 위한 유전자 기반 서비스 복원 알고리즘과 서비스 복원을 위한 새로운 다목적(new multi-objective) GA가 제시되는 등 GA를 고장복구의 최적화에 응용하려는 시도들이 많아지고 있다(14-16).

본 논문에서는 AI 기반 변전소 고장복구를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유전 알고리즘을 적용하기 위한 적합도 함수를 연구하여, 변전소 고장복구에 적용하고자 한다(17). 먼저, GA의 이론을 간단히 소개한 후, 변전소의 SOP를 검토한다. 변압기의 여유용량, DS의 스위칭, 변압기 및 배전선로에 대한 적합도 함수를 적용해 고장복구를 진행할 수 있는 GA 기반 고장복구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끝으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제시한 알고리즘의 성능이 평가하고자 한다.

2. 변전소의 SOP

변전소에서 발생하는 정전 및 무정전 고장에 대한 표준복구 절차를 규정하여 정전시간 최소화 및 안정적 전력공급을 도모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한전의 송변전 표준복구절차서(SOP)이다. 이 SOP에는 변전소 고장발생시 대처흐름도 및 15가지 고장유형에 대한 표준복구 절차가 예시로 나와 있다. 단일고장 발생 시 대처흐름은 고장인지 및 기록, 고장상황 파악, 근무자간 응급복구 협의, 응급복구 조작, 급전보고 보수요청 등으로 구성된다(6-8, 17-18).

그림 1은 고장유형 1인 T/L 주보호 단(지)락, 후비보호 단(지)락과 고장유형 2인 T/L 송전선단선의 경우 고장복구절차를 나타낸다.

Fig. 1. Fault Restoration Procedure SOP at Fault Type 1 & 2
../../Resources/kiiee/JIEIE.2020.34.4.024/fig1.png

3. GA 기반 변전소의 고장복구

3.1 제시한 GA 기반 변전소의 고장복구

그림 2는 제시한 변압기 용량을 고려한 GA 기반 변전소의 고장복구 기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그림 2와 같이 먼저 염색체를 생성한 후, 변압기의 용량을 고려한 제약조건에 따라 교배와 변이를 수행하면서 적합도 함수(Fitness Function)를 계산하면서 고장복구를 수행하게 된다.

Fig. 2. Flowchart of the Proposed Technique
../../Resources/kiiee/JIEIE.2020.34.4.024/fig2.png

본 연구에서는 2 모선 4 뱅크의 154/22.9kV 표준변전소를 대상으로 적합도 함수를 적용했다. #1∼#4 M.Tr의 최대 용량은 45/60MW이고 각 D/L 부하의 용량은 -10∼10 범위에서 임의로 지정하였다. 각 변압기의 최대 용량에 해당되는 부분이 장치의 전체 용량과 매칭되고, 각 D/L 부하의 용량의 합이 예상 부하량으로 매칭한다. 변압기 최대 용량 - 예상 부하량 = 여유 용량으로 정의하였다(17).

3.2 데이터 변환

대상 변전소의 구성요소와 연결 여부를 그림 3의 CSV(Comma Separated Value) 형식으로 변환하였다. 3번 행은 Group을 나타내며, 각 T/L, T/R, D/L, BUS에 해당되는 Group을 표기한다. 4번 행은 No를 나타내며 해당되는 Group의 번호를 표기한다. 5번 행은 Label을 나타내며, Label은 Group 항목을 더 세분화함으로서 GA에서 데이터를 더 쉽게 분리하고, 해당되는 구간을 쉽게 찾기 위해 작성하였다. 6번 행은 type를 나타내며, DS, CB type을 구분, 표기한다. 7번 행은 DS, CB의 name을 나타내며, DS, CB의 번호를 표기한다. 8번 행은 해당되는 Group의 volume(MW)인 T/L과 TR, D/L에 해당되는 용량을 나타낸다. 단 BUS는 D/L에 들어가는 용량의 경로이기 때문에 용량을 설정하지 않았다. 10번 행은 정상상태, 11번 행은 고장 1(#1 M.Tr 고장 시)의 스위칭 동작을 표기한다. 단 0은 어떤 장치와도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이고, 1∼4는 각각 #1∼4M.Tr과 연결한 것을 나타낸다(17).

Fig. 3. Data file of CSV format
../../Resources/kiiee/JIEIE.2020.34.4.024/fig3.png

3.3 염색체 구성

그림 4는 염색체의 구성을 나타낸다. 그림 4의 첫 번째 유전자는 DS 611을 나타내되 on(1), off(0)로 상태를 표기했다. 유사하게 두 번째 유전자인 DS 612도 구성하였으며 총 159개의 유전자가 하나의 염색체가 된다.

Fig. 4. Composition of Chromosomes
../../Resources/kiiee/JIEIE.2020.34.4.024/fig4.png

3.4 제약조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제약조건을 적용하였다.

첫째, D/L 및 T/L (DS) 끝번호가 1,2번으로 끝나는 장치가 동시에 동작하지 않도록 한다.

둘째, 변압기 한계용량은 60MW 이하이며, 변압기에 연결되어 있지 않는 모선은 제거한다. 이 경우, 모선연결 스위치를 통해 옆의 모선과 합쳐진 경우이다.

3.5 교배, 부모의 선택 및 변이율

염색체의 진화를 위해서 교배는 정상상태의 변압기에 걸리는 모선을 랜덤으로 선택하여 교차를 진행해야하는 위치에 대입시킨다.

부모의 선택에는 적합도 함수가 높은 염색체가 부모 염색체로 선택될 확률을 더 높게 하되, 적합도 함수가 낮은 염색체로 선택될 확률이 낮지만 가능하게 만드는 선택 방식인 룰렛 휠(Roulette Wheel) 방식을 적용하였다.

변이율은 돌연변이율을 의미한다. 변이는 염색체의 구조에서 존재하는 유전자가 랜덤하게 바뀌는 것을 나타내는데, 교배와 다르게 특정한 조건 없이 무작위로 바뀌어 염색체가 딜레마에서 벗어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 변이율이 너무 높게 설정하면 염색체가 진화를 하지 못하고 고착상태에 빠질 확률이 높아진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0.2%로 선정하였다.

3.6 적합도 함수

첫 번째 적합도 함수는 식 (1)과 같이 나타낸다. 식 (1)에서 M.Tr 최대용량(60MW)에서 해당 M.Tr에 걸린 D/L 부하의 총합을 뺀 값을 여유 용량으로 지정하였고, 이를 각 M.Tr 별로 시행하여, 전체적으로 여유 용량의 크기가 클수록 좋은 염색체라고 판단하였다.

(1)
$f_{1}(x)=\dfrac{\max(M.Tr_{ca pa.i})}{M.Tr 최대용량}$

여기서 $M.Tr_{ca pa.i}$는 i번 M.Tr의 여유용량을 나타낸다.

식 (2)는 두 번째 적합도 함수를 나타낸다. 두 번째 적합도 함수는 변압기에 연결된 DS 스위치의 연결 상태이다. DS 스위치는 1, 2차 측으로 구성되어 스위칭 할 수 있는데, 스위칭이 같은 차 측으로 구성 될수록 더 높은 적합도 값을 주는 방식이다.

(2)
$f_{2}(x)=\sum_{i=0}^{M.Tr}M.Tr_{i}\times\dfrac{1}{49\times 4}$

여기서 $M.Tr_{i}$는 I번째 변압기의 연결된 DS의 제곱값을 나타낸다.

식 (3)은 세 번째 적합도 함수를 나타낸다. 세 번째 적합도 함수는 DS의 스위칭 횟수이다. DS의 1차, 2차 측을 바꾸는 경우 스위칭 하는 비용이 들어 스위칭을 많이 할 경우 적합도 함수가 낮게 계산되어 선택되지 못하도록 하였다.

(3)
$f_{3}(x)=\dfrac{72-N_{sw}}{72}$

여기서 $N_{sw}$는 스위칭 횟수를 나타낸다.

식 (4)는 네 번째 적합도 함수를 나타낸다. 네 번째 적합도 함수는 각 변압기에 걸리는 부하의 총합을 D/L의 부하의 총합으로 나누었다.

(4)
$f_{4}(x)=\dfrac{전체 변압기의 걸리는 용량}{전체 D/L 부하용량}$

식 (5)는 다섯 번째 적함도 함수를 나타낸다. 다섯 번째 적합도 함수는 모선연결용 CB의 개수를 전체 모선연결용 CB 개수로 나누었다.

(5)
$f_{5}=\dfrac{비활성화된 모선연결용 DS 갯수}{전체 모선연결용 DS 갯수}$

3.7 종료 조건

종료 조건은 GA의 연산 종료를 의미한다. 종료 조건으로는 만족한 적합도가 출력되거나, 세대 수를 지정하여 종료한다. 허나, 만족하는 적합도 값을 가진 염색체가 생성 될 때까지, 무수히 많은 연산이 필요하거나, 만족하는 적합도 값을 가질 수 없는 경우도 있다.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세대 수를 지정하는 종료 조건을 사용하였다.

4. Python에 의한 구현 및 시뮬레이션

4.1 Python에 의한 구현

그림 5는 제시한 기법의 전체 흐름도를 나타낸다. 그림 5와 같이, Python을 이용하여 변전소의 정상 상태와 테스트 할 경우의 상태 데이터를 로드한 후, 초기 모집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때 모집단은 변이를 통해서만 생성되고 제약조건을 통과하면 모집단에 추가된다. 이 작업을 설정한 목표 개수까지 반복하면 초기 모집단 생성이 완료된다.

이렇게 생성된 초기 모집단은 GA를 통해 진화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그림 5의 하단 부분에 해당한다. 교배 과정을 진행하기 위해 염색체의 적합도 함수를 통해 부모를 선택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이때 부모를 선택하는 방법은 룰렛 휠 방식을 적용했다. 부모를 선택하여 교배과정을 거치면 지정한 변이 확률에 따라 변이 과정을 거친 뒤, 제약조건에 위배되는지 확인하여 제약조건을 만족하면 다음 세대의 모집단에 추가되고, 지정한 세대 수를 만족할 때까지 반복하면 알고리즘이 종료된다. 알고리즘이 완료까지 진행한 염색체 중에서 가장 우수한 적합도 함수를 가진 값이 최적의 염색체로 판단된다. 그림 5의 알고리즘은 Python으로 구현되었다(17).

- ChromosomeSize 모집단 개수 = 100

- MAX_Generation 반복 세대 수 = 1000

- AliveChrom 염색체 생존 비율(%) = 10

Fig. 5. Overall Flowchart of Proposed Technique
../../Resources/kiiee/JIEIE.2020.34.4.024/fig5.png

4.2 시뮬레이션 결과

그림 6은 고장 상태에 대한 적합도 값의 프로그램의 결과 값을 나타낸다. 그림 6에서 시뮬레이션 조건은 #1M.Tr이 고장일 때, 상황을 지정하여 설정하였다. 그림 6의 X축은 앞서 설정한 반복 세대 수 1000이고, Y축은 적합도 함수 5개의 적합도 총 합이다. 그래프에서 각이 진 부분이 진화를 거쳐 적합도 값이 변화하는 부분이고, 적합도 값이 변화하지 않으면 진화를 진행하지 않는 경우다. 초기 약 70의 적합도에서 약 81의 적합도로 상승하여 수렴한 것을 볼 수 있다.

Fig. 6. Performance at Fault State
../../Resources/kiiee/JIEIE.2020.34.4.024/fig6.png

그림 7은 유전 알고리즘을 통해 최적화된 고장상태의 DS Switch 정보를 나타낸다. 그림 7과 같이 최종 결과값은 Excel 파일로 저장되며, X축은 DS, CB의 장치 번호가 입력되고, Y축은 반복 세대 수를 나타낸다. 0은 개방, 1은 연결 된 상태를 의미한다. 실제 계통 Switch에 매핑하게 되면 최적화된 경로를 찾을 수 있다.

Fig. 7. DS Switch at Fault State
../../Resources/kiiee/JIEIE.2020.34.4.024/fig7.png

5. 결 론

본 논문에서는, AI 기반 변전소 고장복구를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변압기의 여유용량, DS의 스위칭, 변압기 및 배전선로를 고려하여 최적화 문제를 푸는 접근법의 하나인 유전 알고리즘을 변전소의 고장복구에 적용하였다. 먼저, 표준 변전소의 단선도에 나와 있는 T/L, T/R, D/L, BUS 등의 구성요소와 연결 상태등의 정보를 CSV 형식으로 변환한 후, 총 159개의 유전자로 이루어진 염색체를 구성하였다. 3가지의 제약조건 및 변전소 설비 장치인 변압기, DS, 배전선로를 기반으로 적합도 함수의 계산을 통하여 고장복구 기법을 제시하였다. 계산된 적합도 값을 통해 적합도 그래프가 출력되고, 출력된 적합도 그래프에 대한 DS의 스위치 상태를 출력하게 된다.

현재 계절에 따른 운영, 2bank 및 출력 DS 스위칭에 대한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구를 모색하고 있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한국전력공사의 2016년 선정 기초연구개발과제 연구비에 의해 지원되었음. (과제번호 : R17XA05-27)

References

1 
Park C. W., Kang T. W., 2017. 3, Fundamental Study of Fault Restoration Plan using Intelligence Technique for IEC 61850-based Digital Substation, KEPRI Research Proposal, pp. 1-28Google Search
2 
Lee K. M., Choi S. C., Im J. H., Park C. W., 2016, Review of Restoration Procedures of Substation Automation System, KIEE Summer Conference, pp. 555-556Google Search
3 
KEPCO , 2016, Plans to Build Automatic Fault Restoration System for Substation, KEPCO Transmission & Transformation, pp. 1-5Google Search
4 
Mun B. R., 2014, Easy to learn genetic algorithm : Evolutionary approach, Hanbit Academy Inc, pp. 1-284Google Search
5 
Michael Negnevitsky, Kim Y. H., 2018, Artificial Intelligence 2nd Ed., ADDISON-WESLEY Hanbit Academy Inc, pp. 1-481Google Search
6 
KEPCO , 2016, Transmission & Substation Standard Operation Procedure, KEPCO Transmission & Transformation, pp. 1-77Google Search
7 
Cho P. H., Kim H. G., Park W. J., 2017, A Study of major fault causes based on analysis of substation fault, 2017 KIEE Summer Conference, pp. 435-436Google Search
8 
Park Y. M., Won J. R., July 1996, A Study on the Restoration of Substation using Genetic Algorithm, KIEE Summer Conference, pp. 820-822Google Search
9 
Kim M. S., KIm B. S., R J., Shin , Yim H. S., July 1999, Optimal Routing Based on Genetic Algorithms for Distribution System Planning, KIEE Autumn Conference, pp. 137-140Google Search
10 
Kim G. T., Kim G. W., Kim J. S., Kim M. S., Cho G. J., Oh Y. S., Kim C. H., Nov, 2017, Selection of Optimal Location and Size of Distributed Generation using Genetic Algorithm, KIEE PES Autumn Conference, pp. 273-274Google Search
11 
Song M. S., Kim H. M., Lee B. H., 2017, A Study on Selecting the Optimal Location of BTB HVDC for Reducing Fault Current in Metropolitan Regions Based on Genetic Algorithm Using Python, KIEE, Vol. 66, No. 8, pp. 1163-1171DOI
12 
Wen F., Chang C. S., 1998, A new approach to fault diagnosis in electrical distribution networks using a genetic algorithm, Artificial Intelligence in Engineering, Vol. 12DOI
13 
Yoku Matsumoto, Shuji Hase, Tomoo Kinoshita, 2000, Development of Outage Restoration System using Genetic Algorithm, 2000 IEEE Power Engineering Society Winter Meeting. Conference Proceedings, pp. 2775-2779DOI
14 
Pengfei Guo, Xuezhi Wang, Yingshi Han, 2010, The Enhanced Genetic Algorithms for the Optimization Design,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Biomedical Engineering and Informatics, pp. 2990-2994DOI
15 
Guillermo Bravo, Juan Prieto, Angel Yunta, David Trebolle, Stefano Salvini, David Wallom, 2012, A Genetic Based Service Restoration Algorithm for real-time operated Medium Voltage Distribution Networks using High Performance Computing, 2012 47th International Universities Power Engineering Conference (UPEC), pp. 1-6DOI
16 
Leandro Tolomeu Marques, João Bosco Augusto London, Marcos Henrique Marçal Camillo, Telma Woerle de Lima, 2017, A new multi-objective evolutionary algorithm for service restoration: Non-dominated Sorting Genetic Algorithm-II in subpopulation tables, 2017 IEEE Manchester PowerTech, pp. 1-6DOI
17 
Park C. W., Kang T. W., et al. , 2019, Fundamental Study of Fault Restoration Plan using Intelligence Technique for IEC 61850-based Digital Substation, KEPRI 2nd year report, pp. 1-155Google Search
18 
Lee K.M., Hong J.Y., Kim D.Y., Chae C.G., Kang T.W., Lee Y.J., Park C.W., 2019. 4, SOP Analysis for Intelligent Fault Restoration Method of Substation, KIEE Spring Conference, pp. 195-197Google Search

Biography

Jae-Young Hong
../../Resources/kiiee/JIEIE.2020.34.4.024/au1.png

He was born in Korea in 1994.

He received his B.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Wonju, Korea in 2019, Currently, he is pursuing a M.S. degree at the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power IT, IED, LVDC, Microgrid, PMU, power system modeling and control, and AI application in power system.

He is a member of the KIEE, and KIIEE.

Tel : (033)760-8796, Fax : (033)760-8781

E-mail : wodud7766@naver.com

Chul-Won Park
../../Resources/kiiee/JIEIE.2020.34.4.024/au2.png

He was born in Korea in 1961. He received his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in 1988, 1990, and 1996, respectively.

From 1989 to 1993 he was an associate researcher at Lucky GoldStar Industrial Systems. From 1993 to 1996, he was a senior researcher at PROCOM system and lecturer at S.K.K. University.

At present, he is a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since 1997.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IED, SAS, Hybrid AC-DC power grid, RES, PMU, AI application to power grid, power grid modeling & control, and computer application in power grid.

He is a member of the KIEE, KIIEE, KIPE, and IEEE.

He is president of PSPES since 2018.

He is president of the Faculty Council at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Dr. Park was awarded the Paper Prize of KIEE in 2010, the Paper Prize of the KOFST in 2017, and an Academic Prize of KIIEE in 2018.

Tel : (033)760-8786, Lab : (033)760-8796

Fax : (033)760-8781, Off : (033)640-2972

E-mail : cwpark1@gwn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