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태양광 발전기의 보급 확산으로 인하여 국내 BTM 태양광 발전량이 증가하고 있다. 태양광 발전은 태양에너지를 사용하는 특성상 일사량에 크게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지구의 공전으로 인해 지구에 도달하는 태양복사에너지가 1년을 주기로 변하기 때문에 일사량 또한 1년을 주기로 변화하는 특성을 가진다.
BTM 발전량의 영향을 전력수요예측에 고려하기 위해 참고문헌(6)에서는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를 산출 방법이 제안되었다. 선행 연구에서는 일사량과 상관관계가 높은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의 변화를 분석하여 BTM
발전량에 의한 영향을 전력수요예측에 반영하였지만 1년을 주기로 변화하는 BTM 발전량에 대해 반영하기 어렵다(5,6). BTM 발전량을 전력수요예측에 체계적으로 반영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BTM 발전량의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월별 일사량
가중치를 적용한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 산출 방법을 제안한다.
2.2 월별 일사량 가중치 선정 및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 산출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는 단위 운량 당 전력수요 변동량을 통해 산출된다. 이때, 국내총생산(GDP, Gross Domestic Product)의
영향으로 인해 연도별로 변화하는 전력수요의 변화를 반영하기 위해 기본전력수요로 전력수요를 정규화 한다. 여기서, 기본전력수요는 기온과 기타인자의 영향을
제외하고 국내총생산의 영향만을 고려한 전력수요이며, 참고문헌(6)의 방법을 통해 산출된다. 기본전력수요로 정규화 된 전력수요를 사용하여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를 산출 하는 과정은 Fig. 3과 같다(6).
Fig. 3. Process of load sensitivity by cloud amount calculation
월요일 오전 전력수요의 경우 화요일부터 금요일의 오전 전력수요와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전력수요가 낮게 나타난다
(2,6). 따라서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는 화요일부터 금요일까지의 전력수요를 이용해 산출한다.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 산출을 위해서는 기온에 대한
전력수요 변화를 최소화해야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냉난방부하를 사용하지 않는 기온 구간을 14.7℃∼26℃로 설정할 수 있다
(11). 4월, 5월, 9월, 10월의 기온이 이 구간에 해당한다. 이때, 5월, 9월, 10월의 경우 어린이날, 석가탄신일, 개천절, 추석연휴와 같은
공휴일이 많아 사용 가능한 평일 데이터 수가 적기 때문에 4월의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변동량을 이용하여 월별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를 산출한다.
기온이 전력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4월의 전력수요 중 냉․난방 부하의 영향이 적은 날의 전력수요를 선별한다. 이를 위해 4월의 기온
정규분포에서 특정 신뢰 구간의 데이터를 선별한다. 여기서, 신뢰도 구간이 95% 또는 99%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사용할 경우 4월의 평균기온과 기온차이가
큰 날의 데이터가 선별될 수 있다. 그럴 경우에 기온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어렵기 때문에 신뢰도 구간이 68%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사용한다. 선별된
데이터 중 운량 차이가 6 이상 차이 나는 연속된 두 날을 선별한다. 선별된 두 날의 단위 운량 당 전력수요 변동량의 연도별 평균값을 계산한다
(6). 예측일이 속한 월이 4월 또는 4월 이전일 경우 예측일이 속한 연도 4월의 단위 운량 당 전력수요 변동량을 산출할 수 없다. 따라서 과거 연도별
4월의 단위 운량 당 전력수요 변동량의 선형 회귀 분석을 통해 예측일이 속한 연도 4월의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를 추정한 후 월별 일사량 가중치를
적용하여 예측일이 속한 연도 4월 이전의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를 산출한다
(12). 예측일이 속한 달이 4월 이후일 경우 예측일이 속한 연도 4월의 실적데이터를 이용하여 단위 운량 당 전력수요 변동량을 산출할 수 있으므로 이를
사용한다. 예측일이 속한 연도 4월의 단위 운량 당 전력수요 변동량에 월별 일사량 가중치를 적용하여 예측일이 속한 연도 4월 이후의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를 산출한다. 월별 태양광 발전량의 패턴은 월별 일사량 패턴과 유사하기 때문에 이러한 특징을 반영하기 위해 월별 일사량 가중치를 적용한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를 산출한다. 월별 일사량 가중치는 과거 30년 월별 일평균 일사 합의 비율을 이용해 계산된다. 월별 일사량 가중치는
식(1)을 통해 계산된다
(8).
여기서, $Weight_{m}$는 $m$월의 일사량 가중치, $Month Rad_{m}$은 과거 30년 $m$월 일평균 일사 합, $Month Rad_{4}$는
과거 30년 4월 일평균 일사 합이다. 여기서,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는 4월을 기준으로 산출되기 때문에 각 월의 30년 일평균 일사 합은 4월을
기준으로 정규화 된다.
Table. 1은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 산출을 위한 월별 일사량 가중치다.
Table 1. Monthly Solar Radiation Weight
월
|
가중치
|
월
|
가중치
|
1월
|
0.486
|
7월
|
0.829
|
2월
|
0.646
|
8월
|
0.866
|
3월
|
0.807
|
9월
|
0.794
|
4월
|
1.000
|
10월
|
0.708
|
5월
|
1.077
|
11월
|
0.504
|
6월
|
1.011
|
12월
|
0.435
|
4월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를 산출하기 위해서 4월의 단위 운량 당 전력수요 변동량을
식(2)를 통해 산출한다.
여기서, $Un_{-}C_{y,\:4,\:p}$는 $y$년 4월 $p$구간의 단위 운량 당 전력수요 변동량. $y$는 단위 운량 당 전력수요 변동량
산출 년도, $p$는 $p=1$은 10시, 11시, 12시, $p=2$는 13시, 14시, 15시, $p=3$은 16시, 17시, 18시로 3시간
단위 구간을 의미한다. $NL_{cloudy,\:y,\:4,\:p,\:k}$는 $y$년 4월 $p$구간 $k$번째 흐린 날의 정규화 된 전력수요를
의미하고, $NL_{sunny,\:y,\:4,\:p,\:k}$는 $y$년 4월 $p$구간 $k$번째 맑은 날의 정규화 된 전력수요를 의미한다. $Cloud_{cloudy,\:y,\:4,\:p,\:k}$는
$y$년 4월 $p$구간 $k$번째 흐린 날의 운량을 의미하고, $Cloud_{sunny,\:y,\:4,\:p,\:k}$는 $y$년 4월 $p$구간
$k$번째 맑은 날의 운량을 의미한다. $N_{y,\:4,\:p}$은 $y$년도 4월 중 $p$구간의 운량 차이가 6 이상 나는 연속된 두 날의 개수다.
예측일이 속한 월이 4월 또는 4월 이전일 경우 예측일이 속한 연도 4월의 단위 운량 당 전력수요 변동량을 구할 수 없다. 따라서 예측일이 속한 연도
4월의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는 과거 연도별 4월의 단위 운량 당 전력수요 변동량의 선형 회귀 분석을 통해 산출된다. 예측일이 속한 연도 1,
2, 3, 4월의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는 예측일이 속한 연도 4월의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와 1, 2, 3, 4월 일사량 가중치를 통해
산출된다. 예측일이 속한 연도 4월 이전의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는 식(3)을 통해 산출된다.
여기서, $CLSR_{y,\:4,\:p}$는 선형 회귀 분석을 통해 산출된 $y$년 4월 $p$구간의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 $Weight_{m}$은
$m$월의 일사량 가중치이며 $m= 1,\: 2,\: 3$, $4$이다. $CLSR_{y,\:m,\:p}$는 $m$월의 일사량 가중치를 적용한 $y$년
$m$월 $p$구간의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이다. 예측일이 속한 월이 4월 이후일 경우 예측일이 속한 연도 4월의 실적 데이터가 존재하므로 예측일이
속한 연도 4월의 단위 운량 당 전력수요 변동량과 5월, 6월, …, 11월, 12월 일사량 가중치를 통해 예측일이 속한 연도의 월별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가 산출된다. 예측일이 속한 연도 4월 이후의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는
식(4)를 통해 산출된다.
여기서, $Un_{-}C_{y,\:4,\:p}$는 $y$년 4월 $p$구간의 단위 운량 당 전력수요 변동량, $Weight_{m}$은 $m$월의 일사량
가중치이며 $m= 5,\: 6,\:\cdots ,\: 11,\: 12$이다. $CLSR_{y,\:m,\:p}$은 $m$월의 일사량 가중치를 적용한
$y$년 $m$월 $p$구간의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