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ISO Journal TitleJ Korean Inst. IIIum. Electr. Install. Eng.

  1. (Bachelor degree,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Soongsil University, Korea)
  2. (Ph.D Course,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Soongsil University, Korea)



BTM solar PV generation, load forecasting, load sensitivity by cloud amount, solar radiation

1. 서 론

1.1 연구의 배경

안정적이고 경제적인 전력계통의 운영을 위해 정확한 전력수요예측은 중요하다. 전력수요는 국내총생산, 기상인자, 요일, 사회적 이벤트 등 여러 요인들에 의해 변동한다. 따라서 정확한 전력수요예측을 위해 전력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체계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여러 요인 중 기상 인자는 단기 전력수요예측에 주로 고려되는 요인 중 하나이다. 특히 기온은 다른 기상 인자에 비해 측정 및 예보의 정확성이 높으며, 냉․난방부하의 사용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전력수요예측과 관련된 많은 문헌들은 전력수요 예측을 위해 기온과 전력수요의 관계를 고려한다(1,2). 최근 태양광 발전기 보급이 증가함에 따라 발전량이 계측되지 않는 BTM(Behind-The-Meter) 발전기가 증가하고 있다. 국내 BTM 발전기의 대부분은 1MW 이하의 소용량 태양광 발전기이며, 태양광 발전량은 날씨의 맑고, 흐림에 따라 변동한다. BTM 발전량에 대한 정확한 추정이 어려우며, 이로 인해 BTM 발전량에 의해 전력수요예측의 불확실성이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BTM 발전량을 고려한 전력수요예측 기법의 개발이 필요하다(3-6).

태양광 발전기의 발전량은 일사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7-9). BTM 발전량의 영향을 전력수요예측에 반영하기 위해서는 일사에 대한 기상 예보가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 기상청에서는 일사에 대한 기상 예보를 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일사와 상관도가 높은 운량을 이용한다. 선행연구에서는 BTM 발전량에 의한 전력수요의 변동성을 반영하기 위해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 산출 방법을 제안한다(6).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를 산출하기 위해 참고문헌(6)에서는 기온이 전력수요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작은 4월과 10월의 단위 운량 당 전력수요의 변동량을 계산하며, 계산된 과거 단위 운량 당 전력수요 변동량의 선형회귀분석을 통해 월별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를 산출한다. 이때,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는 선형 회귀분석으로 산출되었기 때문에 월별로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가 증가하는 형태를 갖는다. 하지만, 참고문헌(6)은 지구의 공전으로 인해 월별로 달라지는 일사량과 이에 따라 변하는 BTM 발전량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월별 일사 가중치를 적용한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를 산출 방법을 제안한다. 과거 일사량과 태양광 발전량의 분석을 통해 월별로 다른 일사량으로 인해 태양광 발전량의 변화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월별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 산출을 위한 월별 일사량 가중치를 산출한다. 사례연구를 통해 기온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와 월별 일사 가중치를 적용한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를 이용하여 평일의 전력수요를 예측 한 뒤 예측결과를 기온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만을 고려한 전력수요 예측결과와 비교한다.

2. 월별 일사량 가중치를 적용한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 산출

최근 태양광 발전기의 보급 확산으로 인하여 국내 BTM 태양광 발전량이 증가하고 있다. 태양광 발전은 태양에너지를 사용하는 특성상 일사량에 크게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지구의 공전으로 인해 지구에 도달하는 태양복사에너지가 1년을 주기로 변하기 때문에 일사량 또한 1년을 주기로 변화하는 특성을 가진다. BTM 발전량의 영향을 전력수요예측에 고려하기 위해 참고문헌(6)에서는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를 산출 방법이 제안되었다. 선행 연구에서는 일사량과 상관관계가 높은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의 변화를 분석하여 BTM 발전량에 의한 영향을 전력수요예측에 반영하였지만 1년을 주기로 변화하는 BTM 발전량에 대해 반영하기 어렵다(5,6). BTM 발전량을 전력수요예측에 체계적으로 반영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BTM 발전량의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월별 일사량 가중치를 적용한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 산출 방법을 제안한다.

2.1 일사량과 태양광 발전량의 관계 분석

국내의 BTM 발전량의 대부분은 1MW 이하의 소용량 태양광 발전량이다(3,4). 태양광 발전기는 일사량에 의해 발전량이 변화하므로 BTM 발전량 또한 일사량의 변화에 의해 변동한다. 일사량과 BTM 발전량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국내 일사량의 특징에 대해 분석한다. 태양과 지면과의 거리, 고도, 하루 중 태양이 비추는 시간 등은 지구의 공전으로 인해 1년을 주기로 변화한다. 일사량은 태양과의 거리와 일사 시간에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일사량 또한 1년을 주기로 변화하게 된다. 일사량의 주기적인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30년 평년 일사 합 데이터를 사용한다. Fig. 1은 과거 30년의 월별 일평균 일사 합을 나타낸다(10).

Fig. 1. Monthly day-average solar radiation past 30 years
../../Resources/kiiee/JIEIE.2020.34.6.040/fig1.png

Fig. 1과 같이 12월, 1월과 같은 겨울철에는 태양의 고도가 낮아 일사량이 상대적으로 다른 월에 비해 낮게 나타난다. 이에 비하여 5월, 6월의 경우는 태양의 고도가 높아 일사량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다. 이를 통해 일사량이 지구의 공전으로 인해 월별로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태양광 발전기는 일사량의 변화에 의해 발전량이 변화하기 때문에 태양광 발전량 또한 1년을 주기로 변화한다. Fig. 2Fig. 1의 과거 30년 월별 일평균 일사 합과 2015년부터 2018년까지 발전량을 태양광 보급 용량으로 정규화한 하루 평균 발전시간을 나타낸다(10).

Fig. 2. Monthly day-average solar radiation and monthly day-average PV generation time
../../Resources/kiiee/JIEIE.2020.34.6.040/fig2.png

Fig. 2와 같이 월별 일사량 패턴과 월별 태양광 발전시간의 패턴이 유사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월별로 다른 태양광 발전량의 특징을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 산출에 반영하기 위해 월별 일사량 가중치를 산출하여 적용한다.

2.2 월별 일사량 가중치 선정 및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 산출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는 단위 운량 당 전력수요 변동량을 통해 산출된다. 이때, 국내총생산(GDP, Gross Domestic Product)의 영향으로 인해 연도별로 변화하는 전력수요의 변화를 반영하기 위해 기본전력수요로 전력수요를 정규화 한다. 여기서, 기본전력수요는 기온과 기타인자의 영향을 제외하고 국내총생산의 영향만을 고려한 전력수요이며, 참고문헌(6)의 방법을 통해 산출된다. 기본전력수요로 정규화 된 전력수요를 사용하여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를 산출 하는 과정은 Fig. 3과 같다(6).

Fig. 3. Process of load sensitivity by cloud amount calculation
../../Resources/kiiee/JIEIE.2020.34.6.040/fig3.png

월요일 오전 전력수요의 경우 화요일부터 금요일의 오전 전력수요와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전력수요가 낮게 나타난다(2,6). 따라서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는 화요일부터 금요일까지의 전력수요를 이용해 산출한다.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 산출을 위해서는 기온에 대한 전력수요 변화를 최소화해야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냉난방부하를 사용하지 않는 기온 구간을 14.7℃∼26℃로 설정할 수 있다(11). 4월, 5월, 9월, 10월의 기온이 이 구간에 해당한다. 이때, 5월, 9월, 10월의 경우 어린이날, 석가탄신일, 개천절, 추석연휴와 같은 공휴일이 많아 사용 가능한 평일 데이터 수가 적기 때문에 4월의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변동량을 이용하여 월별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를 산출한다. 기온이 전력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4월의 전력수요 중 냉․난방 부하의 영향이 적은 날의 전력수요를 선별한다. 이를 위해 4월의 기온 정규분포에서 특정 신뢰 구간의 데이터를 선별한다. 여기서, 신뢰도 구간이 95% 또는 99%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사용할 경우 4월의 평균기온과 기온차이가 큰 날의 데이터가 선별될 수 있다. 그럴 경우에 기온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어렵기 때문에 신뢰도 구간이 68%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사용한다. 선별된 데이터 중 운량 차이가 6 이상 차이 나는 연속된 두 날을 선별한다. 선별된 두 날의 단위 운량 당 전력수요 변동량의 연도별 평균값을 계산한다(6). 예측일이 속한 월이 4월 또는 4월 이전일 경우 예측일이 속한 연도 4월의 단위 운량 당 전력수요 변동량을 산출할 수 없다. 따라서 과거 연도별 4월의 단위 운량 당 전력수요 변동량의 선형 회귀 분석을 통해 예측일이 속한 연도 4월의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를 추정한 후 월별 일사량 가중치를 적용하여 예측일이 속한 연도 4월 이전의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를 산출한다(12). 예측일이 속한 달이 4월 이후일 경우 예측일이 속한 연도 4월의 실적데이터를 이용하여 단위 운량 당 전력수요 변동량을 산출할 수 있으므로 이를 사용한다. 예측일이 속한 연도 4월의 단위 운량 당 전력수요 변동량에 월별 일사량 가중치를 적용하여 예측일이 속한 연도 4월 이후의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를 산출한다. 월별 태양광 발전량의 패턴은 월별 일사량 패턴과 유사하기 때문에 이러한 특징을 반영하기 위해 월별 일사량 가중치를 적용한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를 산출한다. 월별 일사량 가중치는 과거 30년 월별 일평균 일사 합의 비율을 이용해 계산된다. 월별 일사량 가중치는 식(1)을 통해 계산된다(8).

(1)
$Weight_{m}=\dfrac{Month Rad_{m}}{Month Rad_{4}}$

여기서, $Weight_{m}$는 $m$월의 일사량 가중치, $Month Rad_{m}$은 과거 30년 $m$월 일평균 일사 합, $Month Rad_{4}$는 과거 30년 4월 일평균 일사 합이다. 여기서,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는 4월을 기준으로 산출되기 때문에 각 월의 30년 일평균 일사 합은 4월을 기준으로 정규화 된다. Table. 1은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 산출을 위한 월별 일사량 가중치다.

Table 1. Monthly Solar Radiation Weight

가중치

가중치

1월

0.486

7월

0.829

2월

0.646

8월

0.866

3월

0.807

9월

0.794

4월

1.000

10월

0.708

5월

1.077

11월

0.504

6월

1.011

12월

0.435

4월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를 산출하기 위해서 4월의 단위 운량 당 전력수요 변동량을 식(2)를 통해 산출한다.

(2)
\begin{align*} Un_{-}C_{y,\:4,\: p}\\ =\dfrac{\sum_{k=1}^{N_{y,\:4,\:p}}\dfrac{NL_{cloudy,\:y,\:4,\: p,\:k}-NL_{sunny,\:y,\:4,\:p,\:k}}{Cloud_{cloudy,\:y,\:4,\:p,\:k}-Cloud_{sunny,\:y,\:4,\:p,\:k}}}{N_{y,\:4,\:p}} \end{align*}

여기서, $Un_{-}C_{y,\:4,\:p}$는 $y$년 4월 $p$구간의 단위 운량 당 전력수요 변동량. $y$는 단위 운량 당 전력수요 변동량 산출 년도, $p$는 $p=1$은 10시, 11시, 12시, $p=2$는 13시, 14시, 15시, $p=3$은 16시, 17시, 18시로 3시간 단위 구간을 의미한다. $NL_{cloudy,\:y,\:4,\:p,\:k}$는 $y$년 4월 $p$구간 $k$번째 흐린 날의 정규화 된 전력수요를 의미하고, $NL_{sunny,\:y,\:4,\:p,\:k}$는 $y$년 4월 $p$구간 $k$번째 맑은 날의 정규화 된 전력수요를 의미한다. $Cloud_{cloudy,\:y,\:4,\:p,\:k}$는 $y$년 4월 $p$구간 $k$번째 흐린 날의 운량을 의미하고, $Cloud_{sunny,\:y,\:4,\:p,\:k}$는 $y$년 4월 $p$구간 $k$번째 맑은 날의 운량을 의미한다. $N_{y,\:4,\:p}$은 $y$년도 4월 중 $p$구간의 운량 차이가 6 이상 나는 연속된 두 날의 개수다.

예측일이 속한 월이 4월 또는 4월 이전일 경우 예측일이 속한 연도 4월의 단위 운량 당 전력수요 변동량을 구할 수 없다. 따라서 예측일이 속한 연도 4월의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는 과거 연도별 4월의 단위 운량 당 전력수요 변동량의 선형 회귀 분석을 통해 산출된다. 예측일이 속한 연도 1, 2, 3, 4월의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는 예측일이 속한 연도 4월의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와 1, 2, 3, 4월 일사량 가중치를 통해 산출된다. 예측일이 속한 연도 4월 이전의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는 식(3)을 통해 산출된다.

(3)
$CLSR_{y,\:m,\:p}=Weight_{m}\times CLSR_{y,\:4,\:p}$

여기서, $CLSR_{y,\:4,\:p}$는 선형 회귀 분석을 통해 산출된 $y$년 4월 $p$구간의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 $Weight_{m}$은 $m$월의 일사량 가중치이며 $m= 1,\: 2,\: 3$, $4$이다. $CLSR_{y,\:m,\:p}$는 $m$월의 일사량 가중치를 적용한 $y$년 $m$월 $p$구간의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이다. 예측일이 속한 월이 4월 이후일 경우 예측일이 속한 연도 4월의 실적 데이터가 존재하므로 예측일이 속한 연도 4월의 단위 운량 당 전력수요 변동량과 5월, 6월, …, 11월, 12월 일사량 가중치를 통해 예측일이 속한 연도의 월별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가 산출된다. 예측일이 속한 연도 4월 이후의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는 식(4)를 통해 산출된다.

(4)
$CLSR_{y,\:m,\:p}=Weight_{m}\times Un_{-}C_{y,\:4,\:p}$

여기서, $Un_{-}C_{y,\:4,\:p}$는 $y$년 4월 $p$구간의 단위 운량 당 전력수요 변동량, $Weight_{m}$은 $m$월의 일사량 가중치이며 $m= 5,\: 6,\:\cdots ,\: 11,\: 12$이다. $CLSR_{y,\:m,\:p}$은 $m$월의 일사량 가중치를 적용한 $y$년 $m$월 $p$구간의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이다.

3. 월별 일사 반영 전력수요예측

기상 인자는 단기 전력수요예측에 주로 고려되는 요인 중 하나이다(2). 기상 인자 중에서 냉․난방 부하에 의한 전력수요의 변화와 BTM 발전량에 의한 전력수요의 변화를 고려하기 위해 기온과 운량의 영향을 반영하여 평일의 시간별 전력수요를 예측한다. 제안하는 평일 전력수요예측 과정은 Fig. 4와 같다.

Fig. 4. Process of weekday load forecasting
../../Resources/kiiee/JIEIE.2020.34.6.040/fig4.png

제안하는 전력수요예측 알고리즘에서는 평일의 전력수요, 기온, 운량, 일사량 데이터가 사용된다. 여기서, 기온과 운량은 냉․난방 부하에 의한 전력수요의 변화와 BTM 발전량에 의한 전력수요의 변화를 고려하기 위해 사용되며, 일사량은 월별 일사량 가중치를 산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전력수요의 경우 전국에 대해 시간별로 하나의 값이 제공되지만, 기상 데이터의 경우 각 지역에 대해 시간별로 제공되기 때문에 지역별 가중치를 주어 기상에 대한 전국 대푯값을 산출하여 사용한다. 기온과 운량에 의한 전력수요의 변동을 반영하기 위해 기온 및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를 산출한다. 이때, 기온과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는 과거 전력수요를 기본전력수요로 정규화하여 산출한다(6,13-15). BTM 발전량의 주기적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월별 일사량 가중치를 적용하여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를 산출한다. 예측일로부터 최근 과거 3일의 전력수요는 기온과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를 이용하여 보정한다. 식(5)는 기온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를 이용한 전력수요 보정 식이다(6).

(5)
$L'_{d-i,\:t}=L_{d-i,\:t}+DNTE_{w[d-i],\:p}\times\triangle Temp_{i,\:t}$

여기서, $L'_{d-i,\:t}$은 기온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를 이용하여 보정된 예측일 $d$일로부터 최근 $i$번 째 과거 입력일 $t$시의 전력수요, $L_{d-i,\:t}$은 예측일 $d$일로부터 최근 $i$번째 과거 입력일 $t$시의 전력수요, $DNTE_{w[d-i],\:p}$는 예측일 $d$일로부터 최근 $i$번 째 과거 입력일이 포함된 $w$주 $p$구간의 기본전력수요를 이용하여 정규화에서 복원된 기온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 $\triangle Temp_{i,\:t}$는 예측일 $d$일 $t$시와 $d$일로부터 최근 $i$번째 과거 입력일 $t$시의 기온 차이를 나타낸다(6). 예측일로부터 최근 과거 3일의 기온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를 이용하여 보정된 전력수요는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를 이용하여 다시 보정된다. 식(6)은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를 이용한 전력수요 보정식이다.

(6)
$L_{d-i,\:t}^{*}=L'_{d-i,\: t}+DNCL_{m[d-i],\:p}\times\triangle Cloud_{i,\:t}$

여기서, $L_{d-i,\:t}^{*}$은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를 이용하여 보정된 예측일 $d$일로부터 최근 $i$번 째 과거 입력일 $t$시의 전력수요, $L'_{d-i,\:t}$은 기온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를 이용하여 보정된 예측일 $d$일로부터 최근 $i$번째 과거 입력일 $t$시의 전력수요, $DNCL_{m[d-i],\:p}$은 예측일 $d$일로부터 최근 $i$번 째 과거 입력일이 포함된 $m$월 $p$구간의 기본전력수요를 이용하여 정규화에서 복원된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 $\triangle Cloud_{i,\:t}$는 예측일 $d$일 $t$시와 $d$일로부터 최근 $i$번째 과거 입력일 $t$시의 운량 차이를 나타낸다(6).

기온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와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를 이용해 예측일과 과거일의 기상 차이만큼 과거 전력수요 3일을 보정한 뒤, 지수평활법을 이용하여 전력수요를 예측한다. 식(7)은 보정된 예측일로부터 과거 3일의 전력수요를 이용한 지수평활화 모델이다.

(7)
\begin{align*} \hat L_{d,\:t}=\alpha\times L_{d-1,\:t}^{*}\\ +\alpha\times(1-\alpha)\times L_{d-2,\:t}^{*}\\ +\alpha\times(1-\alpha)^{2}\times L_{d-3,\:t}^{*}\\ +(1-\alpha)^{3}\times\dfrac{(L_{d-1,\:t}^{*}+L_{d-2,\:t}^{*}+L_{d-3,\:t}^{*})}{3} \end{align*}

여기서, $\hat L_{d,\:t}$는 지수평활법을 이용해 예측된 예측일 $d$일의 $t$시간의 전력수요, $\alpha$는 지수평활화 계수로 0과 1 사이의 값을 갖는다. $L_{d-1,\:t}^{*}$ $L_{d-2,\:t}^{*}$, $L_{d-3,\:t}^{*}$은 기온,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를 이용하여 보정된 예측일로부터 최근 1, 2, 3번째 과거 전력수요다(6,13-15).

4. 사례 연구

월별 일사량 가중치를 적용한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를 산출한 뒤 평일 전력수요를 예측한다. 비교 대상은 기온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만을 적용한 전력수요예측 알고리즘이며, 예측 오차 계산은 식(8)의 평균절대 백분율 오차(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 MAPE)를 이용한다.

(8)
$MAPE(\%)=\dfrac{100}{n}\sum_{t=1}^{n}\left |\dfrac{Load_{t}^{Measured}-Load_{t}^{Forecast}}{Load_{t}^{Forecast}}\right |$

여기서, $n$은 시점의 개수, $Load_{t}^{Meausred}$는 $t$시점의 계측된 전력수요, $Load_{t}^{Forecast}$는 $t$시점의 예측된 전력수요를 나타낸다. 전력수요예측을 위해 사용된 데이터는 수요관리 전 발전단 전력수요, 기상청의 지역별 기온을 8대 도시에 대한 인구를 고려하여 가중 평균한 기온, 지역별 전운량을 8대 도시에 대한 태양광 발전 설비의 비율을 고려하여 가중 평균한 전운량 데이터이다. 8대 도시로는 서울, 인천, 수원, 원주, 대전, 대구, 광주, 부산을 사용하였다(10,16-18). 예측 대상은 2018년 평일(화-금) 24시간의 시간별 전력수요이다. Fig. 5는 사례 (1)과 사례 (2)의 2018년 월별 평균 전력수요예측 오차, Fig. 6은 사례 (1)과 사례(2)의 2018년 시간별 평균 전력수요예측 오차를 나타낸다. 여기서, 사례 (1)은 전력수요 보정 시 기온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만을 적용하여 예측한 경우이고, 사례 (2)는 전력수요 보정 시 기온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와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 모두를 적용하여 예측한 경우이다. 사례 (1)과 사례 (2)의 예측 결과를 비교하면 사례 (2)의 예측 정확도가 사례 (1)보다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 5. Monthly MAPE of weekday load forecasting In 2018
../../Resources/kiiee/JIEIE.2020.34.6.040/fig5.png

Fig. 6. Hourly MAPE of weekday load forecasting In 2018
../../Resources/kiiee/JIEIE.2020.34.6.040/fig6.png

5. 결 론

BTM 발전의 영향을 전력수요예측에 반영하기 위해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를 산출 방법을 제안하였다. 지구의 공전으로 인해 달라지는 일사량의 특징을 반영하기 위해 월별 일사량 가중치를 적용한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를 산출하였으며, 이를 평일 전력수요예측 알고리즘에 적용하였다. 일사량 가중치를 적용한 운량에 대한 전력수요 민감도를 평일 전력수요예측에 반영하는 경우 2018년의 월별 예측오차가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기상청에서 일사에 대한 예보가 이루어진다면 BTM 발전량에 의한 전력수요의 영향을 보다 정확하게 반영하여 전력수요예측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해오름동맹 대학 R&D 협력사업과 2019년도 산업통상자원부의 재원으로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KETEP)의에너지인력양성사업(No.20184010201690)으로 지원받아 수행한 인력양성 성과이며, 관계부처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1 
Jo Se-Won, Park Rae-Jun, Kim Kyeong-Hwan, Kwon Bo-Sung, Song Kyung-Bin, Park Jeong-Do, Park Hae-Su, 2018, Sensitivity Analysis of Temperature on Special Day Electricity Demand in Jeju Island,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7, No. 8, pp. 1019-1023DOI
2 
Korea Power Exchange , Nov 2011, A Study on Short-term Load Forecasting Technique and its Application, Tech. ReportGoogle Search
3 
Kim Kyeong-Hwan, Jo Se-won, Park Rae-Jun, Song Kyung-Bin, Jul 2017, The Effect of Small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s and Illumination Intensity in Short-Term Electric Load Forecasting, in Proceedings of KIEE, pp. 461-462Google Search
4 
Jo Se-Won, Park Rae-Jun, Kim Kyeong-Hwan, Kwon Bo-Sung, Choi Dae-Wook, Song Kyung-Bin, Jun 2018, Analysis of the effect of small capacity renewable energy on power system due to the change of local irradiance, in Proceedings of 2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ical EngineeringGoogle Search
5 
Moon Chan-Ho, Park Rae-Jun, Song Kyung-Bin, Jun 2019,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Daily Load and Cloud Amount for Load Forecasting In South Korea, in Proceedings of 25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ical EngineeringGoogle Search
6 
Jo Se-Won, Kwon Bo-Sung, Song Kyung-Bin, 2019, Day Ahead 24-Hours Load Forecasting Algorithm Using Latest Weather Forecasting,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8, No. 3, pp. 416-422Google Search
7 
Kim Seok-Gon, Hwang Jun-Won, Lee Ying, Choi Yong-Sung, Lee Kyung-Sup, Apr 2009, Analysis of Irradiation and Power per Each Seasons of Photovoltaic Systems, in Proceedings of KIEE, pp. 43-45Google Search
8 
Hyun-Seung Lee, Beob-Jeon Kim, U-Cheul Shin, 2019, Analysis of Power Generation Characteristics of a Photovoltaic System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Vol. 39, No. 2, pp. 33-43DOI
9 
Kim Min-seok, Jung Seung-hwan, Kim Jong-geun, Lee Han-soo, Kim Baek-cheon, Kim Sungshin, 2019, A Study on Artificial Neural Network-based Solar Radiation Forecasting for Efficient Solar Photovoltaic System,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Vol. 29, No. 6, pp. 501-506Google Search
10 
Mar 2019, Korea Meterological Administration, http://www.kma.go.krGoogle Search
11 
Lee Kyung-Mi, Baek Hee-Jeong, Cho Chun-Ho, 2014, The Estimation of Base Temperature for Heating and Cooling Degree-Days for South Korea,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and Climatology, Vol. 53, No. 2, pp. 300-309DOI
12 
Ku Bon-Suk, Baek Young-Sik, Song Kyung-Bin, Nov 2001, Load Forecasting for Holidays using Fuzzy Least-Squares Linear Regression Algorithm, in Proceedings of KIEE, pp. 51-53Google Search
13 
Song Kyung-Bin, Kwon Oh-Sung, Park Jeong-Do, 2013, Optimal Coefficient Selection of Exponential Smoothing Model in Short Term Load Forecasting on Weekdays,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2, No. 2, pp. 149-154DOI
14 
Abd Jalil N.A., Ahmad Maizah, Mohamed N., 2013, Electricity Load Demand Forecasting Using Exponential Smoothing Methods, World Applied Sciences Journal, Vol. 22, No. 11, pp. 1540-1543DOI
15 
Jang Wuk-Seong, Kim Jin-Seok, Baek Seung-Mook, Jul 2014, Study on Selecting Exponential Smoothing Models Coefficient of Power Demand Forecasting by Using Steepest Descent Method, in Proceedings of KIEE, pp. 103-104Google Search
16 
Mar 2019, Korea Power Exchange, http://www.kpx.or.krGoogle Search
17 
Mar 2019,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Google Search
18 
Lim Jong-Hun, Kim Si-Yeon, Park Jeong-Do, Song Kyung-Bin, 2013, Representative Temperature Assessment for Improvement of Short-Term Load Forecasting Accurac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Vol. 27, No. 6, pp. 39-43DOI

Biography

Chan-Ho Moon
../../Resources/kiiee/JIEIE.2020.34.6.040/au1.png

He is pursuing B.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oongsil University, Seoul, Korea.

E-mail : mch9293@naver.com

Bo-Sung Kwon
../../Resources/kiiee/JIEIE.2020.34.6.040/au2.png

He received his B.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ngju National University, Cheonan, Korea, in 2018.

Currently, he is pursuing Ph.D. degree at Soongsil University, Seoul, Korea.

E-mail : bosung1994@naver.com

Dong-Jin Bae
../../Resources/kiiee/JIEIE.2020.34.6.040/au3.png

He is pursuing B.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oongsil University, Seoul, Korea.

E-mail : ehdwls7191@naver.com

Kyung-Bin Song
../../Resources/kiiee/JIEIE.2020.34.6.040/au4.png

He received his B.S. and M.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Yonsei University, Korea, in 1986 and 1988, respectively.

He received his Ph.D.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Texas A&M University, College Station, Texas in 1995.

He is currently a full Professor in Electrical Engineering at Soongsil University, Seoul,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load forecasting, load modeling, power system operation and power system economics.

E-mail : kbsong@ss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