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ISO Journal TitleJ Korean Inst. IIIum. Electr. Install. Eng.

  1. (Assistant Professor, Dept. of fire protection engineer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2. (Professor, Dept. of control & instrumentation engineer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Insulating Board, Electric Field Analysis, Carbonized Conductive Path, Fire

1. 서 론

소방청과 전기안전공사에서 제공하는 화재통계자료를 분석해 보면, 2018년에 자동차, 철도, 선박, 항공기 등에서 발생된 화재는 총 5,183건이었다. 이중 전기적 요인에 의한 화재는 1,231건으로 나타났다(1,2).

특히, 차량화재의 경우, 주요 원인이 과거에는 엔진계통, 연료공급계통, 배기계통 등의 결함이었으나, 현재는 배선, 전자회로 기판, 전장제어장치 등의 결함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3-5). 이는 자동차의 편의성과 친환경성을 높이기 위해 자동차의 전자화 비율이 증가되었기 때문이다(5). 자동차의 전자화 비율 증가는 2020년에 50%까지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6).

자동차에서 전장설비의 증가는 전자회로기판의 증가를 동반한다. 이로 인해, 여기서 발생되는 차량화재의 비율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5). 자동차에 사용되는 전장용 절연보드는 가혹한 환경에서 사용되면서도 높은 안정성, 신뢰성 및 소형화를 요구받고 있다(3). 이 때문에 전장용 절연보드는 강하고 불균일한 전기장을 받게 된다(7). 특히, 도체 사이에 오염물질이 존재하면, 전기장의 세기가 더욱 증가하여 공기의 절연파괴 강도를 넘게 되면서 표면방전으로 이어진다. 즉 서지에 의해 트래킹(tracking) 현상이 시작 될 수 있다.(8-10)

전기설비에 대한 화재통계자료에 따르면, 트래킹 파괴는 전기화재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2). 자동차에서 전자회로의 사용이 급격히 늘어나게 되면, 전장용 절연보드에서 발생되는 트래킹 현상에 의한 탄화도전로 형성이 자동차 화재에서도 주요 원인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트래킹 현상은 방전개시, 탄화개시 및 탄화진전의 단계를 거쳐 최종적으로 트래킹 파괴에 이른다(11). 따라서 탄화도전로 등을 미리 파악하여 대비 한다면, 화재로 발전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본 연구는, 전장용 절연보드 위에, 오염 물질에 의해 나타나는 트래킹 현상을 모의 한 후, 이때 발생되는 탄화도전로의 형성과정을 관측하고, 이를 전계해석을 통해 해석하고자 시도하였다.

2. 실험 장치 및 방법

Figure 1(a)는 절연보드에서 발생되는 트래킹 현상으로 인한 탄화의 진전과정을 관찰하기 위한 실험회로를 보여준다. 전원은 단상 교류 380[V], 60[Hz]이고, 전류 측정을 위한 전류계와 전류 제한을 목적으로 하는 무유도 저항(R1, R2)을 시험용 전극에 각각 직렬로 연결하였다.

시험용 전극은 Figure 1(b)와 같이, 절연물 위에 전극을 접착시켜 만들었다. 절연물은 PVC(poly vinyl chloride, 150×150[mm], 두께 5[mm])를 에틸 알콜로 세척한 후, 실리카 젤을 사용하여 48시간 건조시켜 사용하였다. 전극은 침 형태의 전극(이하 침 전극, 25×50[mm], 두께 0.035[mm]의 구리판으로 한쪽 부분을 각도 90°의 침 형태로 제작)과 평판 형태의 전극(이하 평판 전극, 25×140 [mm], 두께 0.035[mm]의 구리판) 두 개로 구성되었다. 접착제는 실리콘 계열 접착제(두께 0.035[mm])를 사용하였다.

Fig. 1. Experimental setup diagram and structure of test electrode.
../../Resources/kiiee/JIEIE.2020.34.7.048/fig1.png

실험은 0.1% NH4Cl 전해액을 시험용 전극 위에 있는 침 전극과 평판 전극 사이의 중간부분(Figure 1(b)의 Ⓧ자 부분)에 1분 간격으로 20[mm3]씩 적하하는 방법으로 진행 되었다.

3. 실험 결과

3.1 탄화 진행 과정

실험은 모두 10회에 걸쳐 진행되었다. 시험용 전극에서 발생되는 트래킹 파괴는 Figure 2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서 진행되었다.

Fig. 2. Relation between the tracking progress and droplet numbers
../../Resources/kiiee/JIEIE.2020.34.7.048/fig2.png

첫 번째 전해액이 적하되면, Figure 3(a)와 같이 방전이 개시되었고, 신틸레이션이 시작되었으며, 절연물 표면에 탄화도 나타나기 시작했다. 전해액의 적하 수가 증가될수록 신틸레이션은 평판 전극 보다 침 전극 주위에서 훨씬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특히, Figure 3(b)와 같이 침 전극 끝부분 바로 아래에서 강한 신틸레이션이 발생되었다. 신틸레이션에 의해 침 전극과 절연물 사이에 있는 접착제가 침식되었다. 침식은 침 전극의 빗변을 따라 평판 전극과 반대 방향으로 진행되어 갔다. 건조대도 침 전극 빗변을 따라 형성되었고, 강한 신틸레이션의 발생으로 절연보드 위의 탄화도 침 전극의 빗변을 따라 평판 전극과 반대방향으로 점차 진행되어갔다. 평균적으로 적하횟수가 8회를 넘어서면 탄화는 Figure 3(c)와 같이 침 전극 쪽에서 평판 전극 쪽으로 진행되었다. 특히 탄화는 침 전극의 양 빗변에서 평판 전극 쪽으로 진행되었다. 이때, 침 전극에서 평판 전극으로 향하는 최단 경로 상에는 탄화되지 않는 영역이 관찰 되었다. 평균 적하수가 18회를 넘기면서 Figure 3(d)와 같이 절연물 표면이 부풀어 오른 후, 트래킹 파괴로 이어졌다.

Fig. 3. Photographs of between electrodes at each stage of tracking progress.
../../Resources/kiiee/JIEIE.2020.34.7.048/fig3.png

Figure 4는 트래킹 파괴가 일어난 시험용 전극에 대한 사진을 보여준다. 침 전극의 양 빗변에서 출발하여 평판 전극까지 탄화가 이어지고 있다. Figure 4에 표현된 화살표들은 침 전극에서 평판 전극으로 탄화가 진전되어 가는 경로를 표현한 것이다. 한편, Figure 3(c)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양 전극 사이에 신틸레이션으로 인한 탄화 및 침식이 매우 적거나 없는 부분(‘A’ in Figure 4)이 관찰되었다.

Fig. 4. Photograph of test sample after tracking breakdown
../../Resources/kiiee/JIEIE.2020.34.7.048/fig4.png

3.2 전계 해석

Figure 5는 실험에 사용된 전해액이 각각 시험용 전극의 전극 부분과 절연물 부분에 적하되었을 때 접촉각을 보여준다. 접촉각은 컴퓨터 소프트웨어 (ImageJ with dropsnak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그 값은 각각 전극 위에서 69.53°, 절연물 위에서 81.85°로 나타났다.

Fig. 5. Contact angle of droplets
../../Resources/kiiee/JIEIE.2020.34.7.048/fig5.png

Figure 6은 실험에 사용된 시험용 전극에 첫 번째 전해액 적하 후 건조대가 생성 되었을 때(Figure 3(a))를 가정한 전계해석 모델과 해석 결과를 보여준다. 전해액 모델링에는 Figure 5에서 구한 접촉각이 이용되었다. 전계해석은 Ansys Maxwell 2019 R3를 사용하여 진행하였다. 3.1절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건조대는 침 전극 주변 및 평판 전극 주변에 모두 형성되었다. Figure 6(a)와 같이 적하된 전해액은 침 전극, 절연물 표면, 평판 전극 위에 각각 나뉘어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Electrolyte1은 침 전극 위에 놓여있는 전해액, Electrolyte2는 절연물 표면 위에 놓여있는 전해액, Electrolyte3은 평판 전극 위에 놓여 있는 전해액이고, Dryband1은 Electrolyte1과 Electrolyte2 사이에 존재하는 건조대, Dryband2는 Electrolyte2와 Electrolyte3 사이에 존재하는 건조대이다. 해석결과인 Figure 6(b)를 보면 전계가 침 전극의 침단에 모여 있다. 특히 벡터해석 Figure 6(c)를 보면 침 전극 침단에서 가장 강한 전계가 형성되었으며, 방향은 절연물 표면을 향하고 있다. 이 결과는 3.1절에서 언급된, 적하 초기에 침 전극의 침단과 절연물 표면 사이에서 격렬한 신틸레이션 방전이 발생한 것과 일치한다.

Fig. 6. Modeling and electric field analysis results forFigure 3(a)

../../Resources/kiiee/JIEIE.2020.34.7.048/fig6_1.png

../../Resources/kiiee/JIEIE.2020.34.7.048/fig6_2.png

Figure 7Figure 3(b)와 같이, 침 전극 끝부분에 있는 접착제를 일부 깎아내는 방법으로 침식을 모의하고, 여기에 전해액 적하로 건조대가 형성되었을 때의 전계해석 결과를 보여준다. 침 전극 끝부분에 높은 전계가 형성되어 있지만, 그 빗변을 따라서도 상당히 높은 전계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때문에 3.1절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침 전극의 빗변을 따라 평판 전극과 반대방향으로 접착제의 침식과 함께 절연물의 탄화가 점차 진행된 것으로 생각된다.

Fig. 7. The electric field strength and vectors formed on the Dryband1 inFigure 3(b)
../../Resources/kiiee/JIEIE.2020.34.7.048/fig7.png

Figure 8Figure 3(c)와 같이, 침 전극 주변으로 탄화가 진행되었을 때를 모의한 전계해석 결과를 보여준다. 탄화물표면으로부터 전해액(Electrolyte2) 방향으로 빗변을 따라 강한 전계들이 형성되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침 전극에서 침 빗변 부분을 따라 강한 전계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Figure 3(c)와 같이 침 전극의 빗변에서 평판 전극 쪽으로 탄화가 점차 진행되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Fig. 8. The electric field strength and vectors formed on the Dryband1 inFigure 3(c)
../../Resources/kiiee/JIEIE.2020.34.7.048/fig8.png

Figure 9는 트래킹 파괴가 일어나기 직전의 시험용 전극에 대하여 전계해석을 수행한 결과를 보여준다. 침 전극과 연결된 탄화물 및 전해액과 평판 전극 사이에 형성된 건조대에서 전계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 건조대에서 발생되는 신틸레이션으로 탄화가 형성되면 침 전극과 평판 전극 사이에 탄화도전로가 완성됨으로써 트래킹 파괴로 이어진다.

Fig. 9. The electric strength formed on the Dryband2 inFigure 3(d)
../../Resources/kiiee/JIEIE.2020.34.7.048/fig9.png

Figure 9Figure 4를 비교해 보면, 침 전극에서 평판 전극까지 Path1과 Path2의 2가지 탄화경로를 예상할 수 있다. Path1은 침 전극의 빗변에서 출발하여 탄화된 절연물을 거쳐 평판 전극까지 이르는 경로이다. Path2는 침 전극의 침단에서 출발하여 전해액과 탄화물 등을 거쳐 평판 전극까지 이르는 경로이다. 특히, Path2는 전해액 적하지점을 경유하기 때문에 Path1에 비해 풍부한 전해액이 절연물 표면을 덮고 있다. 이 전해액 층이 도전로 역할을 대신하기 때문에 탄화나 침식이 매우 적거나 없는 부분이 발생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Figure 4에서 ‘A’와 같이 탄화가 덜 진행된 부분이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4. 결 론

본 연구는 전장용 모의 절연보드를 만들고 여기에 트래킹 현상이 발생했을 때 탄화도전로의 진전과정을 관찰하고, 전계해석을 통해 탄화도전로가 진행하는 경로를 해석하고자 시도 하였다. 그 결과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탄화는 침 전극의 침단에서 시작하였다. 전계해석 결과도 침 전극의 침단에서 가장 큰 전계가 나타났다.

둘째, 침 전극 끝단에서 발생된 접착제의 침식을 고려한 전계해석 결과, 침 전극 빗변을 따라 강한 전계가 형성되었다. 이 때문에 탄화는 침 전극 빗변을 따라 평판 전극과 반대방향으로 진전되었다.

셋째, 침 전극 빗변으로부터 성장해온 탄화는 최종적으로 평판 전극까지 성장함으로써 양 전극 간에 탄화도전로를 형성하고 트래킹 파괴에 이르렀다. 이 과정에서 침 전극에서 평판 전극에 이르는 탄화 경로 중, 전해액 적하지점을 통과하는 경로에는 전해액이 도전로 역할을 함으로써 절연물이 탄화되지 못하는 부분이 존재했으며, 이에 대한 전계해석도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향후 전장용 절연보드의 위험성 예측과 관련된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2019년도 강원대학교 학술연구조성비로 연구하였음.

References

1 
National Fire Agency , 2019, National Fire Agency Statistical Yearbook 2019, NFA, pp. 85-98Google Search
2 
KESCO , 2019, 2018 A Staticstical Analysis on the Electrical Accident, KESCO, Vol. 28, pp. 18-41Google Search
3 
Park N.K., 2015, Analysis on the Fire Accident of vehicle due to damage of the vehicle’s electrical components, Journal of the KOSOC, Vol. 30, No. 4, pp. 32-38DOI
4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 2008, NFPA 921 Guide for Fire and Explosion Investigation, 2008 Edition, pp. 189-200Google Search
5 
Park N. K., 2014, Analysis on vehicle fires caused by defect of optionally established equip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29, No. 5, pp. 40-46Google Search
6 
Kim H.K., 2015, PCB trends for electronics, HellotT High-tech news, www.hellot.netGoogle Search
7 
Oldervoll F., 2002, High Electric Stress and Insulation Challeng- es in Integrated Microelectronic Circuits, IEEE Electr. Insul. Mag., Vol. 18, No. 1, pp. 16-20DOI
8 
Stone G. C., Van Heeswijk. R. G., Bartnikas R., 1992,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Repetitive Voltage Surges on Epoxy Insulation, IEEE Trans. Energy Conversion, Vol. 27, pp. 754-760DOI
9 
Nikonov V., Bartnikas. R., Wertheimer M. R., 2001, The Influence of Dielectric Surface Charge Distribution upon the Partial Discharge Behavior in Short Air Gaps, IEEE Trans. Plasma Science, Vol. 29, No. 6, pp. 866-874DOI
10 
Hudon C., Bartnikas. R., Wertheimer M. R., 1993, Spark-to -glow Discharge Transition due to Increased Surface Conductivity on Epoxy Resin Specimens, IEEE Trans. Electr. Insul., Vol. 28, pp. 1-8DOI
11 
Jee S.W., 2009, Signal analysis methods to distinguish tracking process using time-frequency analysis, IEEE Trans. Dielectr. Electr. Insul., Vol. 16, No. 1, pp. 99-106DOI

Biography

Seung-Wook Jee
../../Resources/kiiee/JIEIE.2020.34.7.048/au1.png

He received the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the Yeungnam University, Korea, in 1995, 1997, and 2005, respectively.

From 2012 to 2014, he was with Taesan electronic Co., Ltd and he was a research director at Research Institute of Dodam Eng. Co., Ltd from 2014 to 2018. He has been an Assistant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Fire Protection Engineer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since 2018. His research interests are electrical safety and fire detection.

He is currently working in the field of fire detection.

Bong-Seob Lee
../../Resources/kiiee/JIEIE.2020.34.7.048/au2.png

He received B.S, M.S. and Ph. 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Yeungnam university, Gyeongsan, Korea in 1991, 1993 and 1996. he is currently a general member and board member of KIIEE.

Since 1996, he has been professor with the Dept. of control & instrumentation engineer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samcheck,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the areas of AC-DC, DC-DC and DC-AC power conversion topology, power conversion of Photovoltaic, CPS, wireless power transfer and New & Renewable Energy.

Dong-Young Lim
../../Resources/kiiee/JIEIE.2020.34.7.048/au3.png

He was born in Korea in 1983. He received the B.S. degree in electronic engineering in 2009 from Gyeongju University, Korea.

He received the M.S. and Ph.D.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Yeungnam University in 2011 and 2015, respectively, Korea.

From 2017 to 2019, He was a postdoctoral research fellow in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Hanyang University.

He has been a teacher in the Department of Shipbuilding Plant and Electric Apparatus at Hyundai Technical High School.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high voltage phenomena, surface flashover and insulation design of gas insulated switchge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