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대원
(Dae-Won Kong)
1
홍동일
(Dong-Il Hong)
2
안기주
(Gi-Joo Ahn)
3
박형삼
(Hyeong-Sam Park)
†
-
(CEO of PTG, Department of Industrial Engineering, Chosun University, Korea)
-
(CEO of OTUMA, Department of Computer Engineering, Ajou University, Koreaof Science
and Technology)
-
(Director of Research at Yuil,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artion, Jeonbuk Nationanl
University, Korea)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Engineers(KIIEE)
Key words
Indepement Multi phase, High efficiency, High Power BLDC
1. 서 론
1.1 연구의 배경
최근 들어 에너지 자원의 고갈 및 CO2 규제가 본격화되고, 하이브리드 자동차 기술력 축적 등으로 인하여 전기자동차의 실용화를 서두르고 있다. 특히 하이브리드 자동차 부분에서 후발 주자인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전기자동차에 가까운 PHEV 및 전기자동차 개발의 보급 및 실용화를 서두르고 있다(1)-(5).
전기자동차 산업은 세계 금융 위기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최근 들어 에너지 절감 등으로 큰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규모측면보다 가치 측면에서 더
큰 성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2020년에 69%성장할 것으로 예상하지만 시장의 가치는 훨씬 성장할 것으로 예상한다(6)(7)(8)(9). 이는 더욱 큰 고급 차량에 빠르게 기술을 적용하기 때문이며, 오토바이, 군용 차량, 버스 및 대형불도저들이 이에 해당한다. 하지만 전기자동차용
축형모터는 토크에 한계가 있고 확장성면에서 허브모터보다 떨어진다(10)-(15).
1.2 연구의 목적 및 방법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전기자동차용으로 고 토크를 낼 수 있으며, 전기자동차에서 한정된 공간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그리고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안정성과 경차, 중형차 등 확장성이 편리한 고효율 IPM BLDC 허브모터를 설계하며, 즉 전기자동차 모터로 고효율, 안정성 및 확장성이 강한
모터와 제어기를 compact 설계하고자 한다. 또한, 바퀴에 모터가 장착되어 구동역할 및 휠 역할을 하는 허브모터를 개발함으로써 전기자동차에 핵심
역할을 하는 모터 개발을 제시하고 실측을 통하여 그 특성들을 검증하고자 하고 전기자동차 시장의 Traction Motor 개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2. 이론고찰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친환경 전기자동차의 구동모터의 특징은 고효율모터로 이동거리와 2차사고 방지를 위한 안정성이 뛰어나며 또한 자동차 구동체로 다양한
마력 대응을 위한 확장성이 뛰어나야 한다. 또한, 기존의 회생제동 등 여러 보조기술이 사용되며 특히 공간의 효율성과 구조의 간단성을 보면 허브모터가
대세이며 현제 여러 국가에서 연구하고 있어나 상용화가 아직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새로운 허브모터를 제시하고 특징은 다음과 같다.
친환경차의 경량 고출력화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서 EV(전기자동차), HEV(하이브리드 자동차), FCEV(연료전지자동차)등 차세대 자동차로 갈수록
모터에 의존되며, 자동차의 경량화 높아지는 출력에 비례하여 모터의 무게도 상대적으로 증가함으로써 전기 자동차의 성능향상에 제약을 받을 수밖에 없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자동차 구동 모터의 경량화에 역점을 두고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또한, 원유 급등에 따른 소비자 수요의 변화 충족하고, 저공해
차량 개발의 필요성 증대된다. 이를 위해 신기술 개발을 통한 제품경쟁력 강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에 전기자동차로 공간과 고효율과 확장성 및 안정성이 뛰어난 새로운 개념의 허브모터 설계, 제작함으로서 전기자동차의 방향을 새롭게 본 논문에서는 제시하고,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2.1 독립 다상 BLDC(BrushlessDC)모터의 해석
2.1.1 등가회로
그림 1은 립 다상 모터(M IPM : Independent Multi Interior Permanent Magnet Motor, 이하 ‘독립 다상 모터’)의
등가회로(n상:2상 이상 가능, n=자연수)와 제어원리로 구성되며 독립 제어로 1상 결선도를 보여준다. 이는 전기자동차에서 가지는 2차사고 예방을
위한 안정성을 최우선으로 하는 새로운 설계방식으로 한상이 끊어져도 나머지 상에 의해 구동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림 1과 같이 결선도로 상 독립 병렬구조 결선 방식을 가지고 있다. 모터 구동방식은 모터 엔코더에서 신호를 받아 제어기(메인보드+독립 다상 스위칭부소자(IGBT))가
구동한다. 그림 2는 독립 다상 모터의 1상의 구동회로를 나타낸다. 그림과 같이 동작 결선은 메인 DC전원인 모터구동전원을 인가하고 각 상별 독립 구동회로를 구성하여
구동하고 피드백제어는 엔코더에 의해 신호를 받아 연산하여 속도 신호와 함께 구동하며. A상,B상,C상->B상,C상,D상으로 시퀀스로 구동하게 된다.
Fig. 1. Independent Multi-Phase motor equivalent circuit
Fig. 2. Independent Multi-Phase motor control principle
본 논문에서 제안한 독립 다상 모터는 그림 3은 ASS’Y이 조립도를 나타내고, 그림 4는 내부 구성도를 나타낸다. 그림 3, 4와 같이 모터를 설계하고 그림 1과 같은 등가회로로 모터를 내부 결선한다.
Fig. 3. Independent Multi-Phase motor ASS’Y
Fig. 4. Independent Multi-Phase motor Internal Configuration
일반적인 모터 3상 유도기 등가회로는 Y결선이나 △결선으로 독립이 아닌 회로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이 하나 끊어질 경우 유도기 구동이 멈추게 되어
2차 사고의 원인이 되는 단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독립 구조로 한상이 끊어져도 나머지 상에 의해 구동되는 원리를 가지고 있다.
이 구조는 전기 자동차의 고장시 고속도로에서 2차사고로 일어나는 인명피해를 줄이고 안정성과 확장성이 뛰어난 독립 다상 모터를 설계한다. 그림 5는 독립 다상 모터의 한상 경우 DC 모터와 같이 구동되며
Fig. 5. Independent Multi-Phase Motor Single-Phase Diagram
기자 회로 전압식은
여기서, 식 (1)의 전기자 방정식은 다음과 같은 성분들로 구성 된다.
$$
\begin{aligned}
&V_{a} : \text{전기자 회로 전압(권선에 인가된 전압)}\\
&R_{a} : \text{권선 저항}\\
&L_{a} : \text{권선 인덕턴스}\\
&e_{a} : \text{권선에 발생하는 유기 기전력}\\
&V_{b} : \text{전압 강하 성분}\\
&i_{a} : \text{권선에 흐르는 전류}\\
\end{aligned}
$$
2.1.2 전자기적 해석
그림 6은 다상 독립 모터의 3D 설계 개념도로 바깥이 돌아가는 아웃터 로터인 허브모터로 구성된다,
모터 구성은 하우징과 고정자, 회전자, 네오디늄자석, 엔코더, 센서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고정자로 로터코어와 권선 및 센서로 구성되고, 회전자로
스테이트 코어, 네오디늄자석, 엔코더, 하우징 등이 구성되어 있다.
모터의 속도를 감지하는 엔코더와 센서로 구성된다. 기존 방식은 레졸버 등을 사용하므로 모터사이즈가 커지고 레졸버 가격만큼 비싸져 경쟁성이 떨어진다.
제안은 엔코더와 센서로 구성하여 속도, 모터위치, 약계자제어까지 하면서도 가격이 저렴하여 가격에 민감한 전지자동차 분야에 가장 적합한 시스템이다.
구동방식은 바깥이 돌아가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모터의 회전위치를 파악하는 센서부는 투과형 포토인터럽터를 사용하여 하고 있다.
Fig. 6. 3D design conceptual diagram of a Multi-Phase Independent motor
이에 대한 모터의 MAXWELL에 의한 극수 등에 의한 코깅 토크와 자석 밀도 설계해석, 그리고 엔코더 센서각에 의한 토크 및 출력을 해석하였다.
실제 자동차에 걸리는 토크는 다음 식과 같다.
$$
\begin{aligned}
단, \enspace &g : 중력가속도 \enspace 980cm/s^{2}\\
&u : 마찰계수\\
&J[kg-cm^{2}]=w+D^{2}/8:부하관성모멘트\\
&w [kg] : 중량\\
&D [cm] : \text{바퀴 지름}\\
&f [turn/s] : \text{등속회전 속도}\\
&t [sec] : 가속구간
\end{aligned}
$$
그러나 모터 설계시 반영되는 토크는 대부분 Pole Number, Magnet pole arc ratio, Tooth Width, Diameter
등에 의해 좌우되며 [표 1]과 같이 해석이 가능하다.
Table 1. The electromagnetic field analysis parameters.
구분
|
변경 전
|
Pole Number
|
8
|
Magnet pole arc ratio
|
0.87
|
Tooth Width
|
7.8
|
Outer Diameter of Stator
|
354
|
Inner Diameter of Stator
|
215
|
Stack Length
|
66
|
Thickness of Bridge
|
1.5
|
그림 7은 전자기 해석시 모터에 작용하는 코깅 토크의 개선 전 파형을 나타내고 있다. Fig. 에서 보는 것처럼 상당히 코킹이 심한 것으로 사료된다. 전기자동차의
진동원인과 저 효율을 가질 수 있는 파라메타중 하나이다. 최종설계는 Cogging Torque 설계 개선 전, 후로 나누어 모터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으며,
자석밀도 또한 비교하므로 모터의 안정성을 제시한다.
Fig. 7. Analysis of cogging torque
그림 8은 전자기 해석시 모터에 작용하는 자속밀도의 개선 전 파형을 나타내고 있다. 그림 에서 보는 것처럼 기존보다 상당히 자석밀도가 밀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열 문제를 야기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모터의 안정성과 신뢰성에 문제가 된다.
Fig. 8. Analysis of magnetic flux density design
Table 2. shows the electromagnetic field analysis parameters.
구분
|
변경 후
|
Pole Number
|
8
|
Magnet pole arc ratio
|
0.91
|
Tooth Width
|
8.2
|
Outer Diameter of Stator
|
354
|
Inner Diameter of Stator
|
215
|
Stack Length
|
66
|
Thickness of Bridge
|
1.5
|
그림 9는 전자기 해석시 모터에 작용하는 코깅 토크의 개선 후 파형을 나타내고 있다.
Fig. 9. Analysis of caulking torque
그림 10은 여기서, Magnet pole arc ratio와 Tooth Width를 설계시 보완하므로 그림에서 보는 것처럼 기존보다 상당히 코킹이 개선된
것으로 사료된다. 개선전은 6.5465Nm로 개선 후 2.5977Nm보다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전기자동차의 진동원인중 하나를 개선한
것으로 사료된다.
그림 10은 전자기 해석시 모터에 작용하는 자석밀도의 개선 후 파형을 나타내고 있다. 그림에서 보는 것처럼 기존보다 상당히 자석밀도가 개선되어 개선전보다 열문제가
상당히 해소된 것으로 나타나며, 모터의 안정성과 신뢰성에 면에서 개선된 것으로 사료된다.
Fig. 10. Analysis of magnetic flux density design
그림 11은 MAXWELL 프로그램 이용하여 각도에 따라 토크, 출력, 효율 및 Back EMF 해석을 실시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코깅 토크의 해석 결과 2.5977Nm 파형을 분석하였고, 설계 목표치에 근접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실제 본 모터는 전자 모터이므로 센서각도에
의해 출력이 좌우되며, 그에 따른 MAXWELLL 2D SIMULATION의 파형이 그림 11과 같다. 센서각 7.5deg나 20deg보다 15deg가 가장 안정적이며, 출력 또한 설계 마력수가 나오고 있다. 이는 SIMULATION과 실측으로
검정하였다.
Fig. 11. BEMF Output Comparison of MAXWELLL 2D SIMULATION
2.1.3 제어기
그림 12는 독립 다상 모터의 제어기 구성도 이다. 입력 지령(속도)에 의하여 속도제어기를 거쳐 공간벡터 스위칭으로 모터를 구동하게 된다. 구성은 속도 지령치,
속도제어기, 전류 detector, 공간 벡터 제어기, 스위칭 소자부 및 can통신부 로 구성된다. 속도에 따라 과전압과 과전류를 detecting하는
보호회로가 장착되어 있으며, 기본 토크제어와 자동차의 기능중 하나인 위상제어로 순간적으로 속도를 가속하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구조상 독립 구조로 모터의 한상이 끊어져도 모터가 구동되는 원리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전기자동차로 외부와 인터페이스를 위해서 필히 can통신
방식을 사용하여야 한다. 그리고, 전기자동차의 기능중하나인 원할한 가속기능 구현을 위해서 위상 제어를 통하여 약 계자제어를 하였다. 모터의 속도위치는
엔코더에 의해서 관할한다.
Fig. 12. Controller of Independent Polyphase Motor
그림 13은 엔코더와 센서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독립 다상 모터는 센서에 의해 구동되는 전자 모터이며 속도와 위치제어는 엔코더와 센서에 의해 제어되며 기존의
레졸버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으로 가격과 모터 크기 축소 등이 있다.
Fig. 13. Encoder and Sensor
그림 14는 4상 모터의 제어 방식으로 HALF여자 방식으로 1상이 비 여자 되어 쉬어주므로 열손실이 기존의 FULL 여자방식에서 가지는 열 문제를 혜결 하고
있다.
Fig. 14. Switching Method
그림 15는 4상 독립 다상 모터의 제어회로의 전체적인 제어회로 구성도를 나타내고 있다. 프로세서 Atmega128을 사용하고 있으며, 개별 구동소자의 제어
회로 구성도를 나타내고 있다.
Fig. 15. Independent polyphase motor control equivalent circuit
3. 실험결과 및 고찰
3.1 사양
표 3, 4는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모터와 제어기의 사양을 나타내는 독립 다상 모터는 엔코더와 센서에 의해서 구동되는 전자 모터로 엔코더에 의해 외부의 레졸버
등을 사용하지 않아도 정밀. 위치제 및 속도제어가 가능하다. 사용된 모터와 제어기의 사양은 표 3, 4와 같다.
Table 3. Motor Specification
Table 4. Controller specification
3.2 시험 파형 및 시험 장면
그림 16은 실제 제작된 허브모터와 제어기의 KORAS인증기관인 조선기자재 연구원(KOMERI)에서의 시험 장면이다. 다이나모 장착시 기존 방식으로는 불가하므로
다이나모 장착용 별도의 지그를 제작하여 장착하고 시험하였다. 시험 장비는 다이나모멘트로 미국의 Magtrol 4WB1S를 사용하고 있다.
그림 17은 개발된 허브모터의 다이나모멘트에 설치한 시험 장면을 나타낸다.
Fig. 17. Motor Test Scene
그림 18은 본 논문에서 설계․제작한 허브모터의 고정자와 회전자이다.
Fig. 18. Motor Stator and Rotor
3.3 시험 결과
그림 19는 독립 다상 모터 효율 특성 그래프를 나타내며, 전압, 전류, 토크 등 각종 전기적 파라메타를 실측으로 나타내고 있다. 사용 전압은 145VDC이고
속도는 2,700rpm이고 토크는 52Nm이다.
센서 Pcb를 7.5deg, 15deg로 Advanced 시켰을 때를 측정하고 있으며, 출력과 각종 파라메타의 특징을 출력하여 서로 비교하고 있다.
그림 19(a)는 실측한 모터 + 제어기의 효율 및 파라메타의 파형으로 센서각도를 7.5deg에서의 출력파형으로 출력이 나오지 않으며 효율 또한 출력 마력수에 미달되고
진동도 같이 유발하고 있다. 이는 전기자동차로써의 트랙션 모터로 부족함을 나타내고 있다. 그림 19(b)는 실측 모터 파라메타로 전압, 전류, 토크, 속도, 효율, 출력 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시뮬레이션에 의한 설계치와 유사한 것을 알 수 있다.
센서 각도를 15deg에서의 출력파형으로 출력이 나오며 효율 또한 설계 출력 마력수와 동일하고 진동 없이 안정한 회전력을 가진다. 이는 전기자동차가
가지는 특징이 고효율과 저진동, 소형 대마력 및 공간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허브모타가 적합함을 나타내고 있다. 7.5deg보다 15deg때 출력 및
토크가 설계치에 가까움을 알 수 있다. 또한 출력효율은 통합효율로 88%가 나오며, 제어기는 97%, 모터는 90.7%정도 나오고 있다. 기존 허브모터의
경우 1kw내외로 효율은 80%대, 제어기는 95%대 기준이다. 그리고, 허브모터 약계자 제어는 본 개발 모터에 처음으로 시도하고 있다.
차후 개선시는 더욱더 전지자동차에서 가지는 공간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사이즈와 무게인 출력밀도와 이동거리 향상을 위한 출력효율을 높이는 방법을
연구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앞으로 모터의 2개 또는 4개의 원활한 확장성을 위하여 속도의 동기화를 하여야한다. 엔코더와 센서에서 출력되는 엣지값으로
동기화방향을 연구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Fig. 19. Graph of Independent Multi-phase motor Measurement Efficiency
4. 결 론
본 논문에서는 Atmega128를 이용하여 상별 개별 제어하므로서 고급의 DSP를 사용하지 않아도 간단하게 제어되며, 자동차용으로 사용되는 독립다상
허브모터를 설계하고, 공간 벡터제어를 이용하여 제어기를 구성하였다. 전기자동차용으로 사용되는 독립 다상 허브모터를 설계 및 제작안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해석하였으며, 각각의 파라메타에 대한 특성의 결과를 시뮬레이션 및 실측을 통하여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전기자동차용으로 사용되는 독립 다상 허브모터의 구동을 위해서 공간벡터제어기를 구성하였고,
2)정위치 제어를 하기 위해서 시간영역에서의 계단응답을 기초로 하여 비례, 적분 및 미분상수를 결정하는 Ziegles-Nichols법을 이용하여 PID제어기를
설계하였다.
3)전기자동차용으로 사용되는 독립 다상 허브모터의 PID제어기에 공간벡터제어가 가능한 벡터제어기법을 부가한 결과는 안정성있는 구동을 하였으며, 정위치
제어를 위한 빠른 응답특성 및 soft start/stop을 이루었다.
4)부하변동에서도 정위치 제어를 위한 빠른 응답특성을 나타내었다.
5)본 논문에서는 결과 1), 2), 3), 4)에 의해서 전기자동차용으로 사용되는 독립 다상 허브모터의 진동없이 안정한 구동과 특히, 부하변동에
대한 강인함을 시험을 통하여 고찰하였고, 또한 전기자동차용으로 사용되는 독립다상 허브모터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산자부 과제에 의해 연구되었음.
References
BOLDEA & S.A.NASAR , 1985, Linear Motion Electromagnetic System, Wiley-Interscience
Publication
Bose B.K., 1986, Power Electronics and AC Drives, Prentice Hall
Gieras Jacek F, 1994, Linear Induction Drivers, Oxford Science Publications
Yamamura Sakae, 1978, Theory of Linear Induction Motors, University of TOKYO Press
山田一 , 1985, 産業用リアモ-ダ, 工業
Nondahl T.A., Novotny D.W., July/Aug, 1979, Pole-by-Pole Model of a Linear Induction
Machine Using Conformal Mapping Coefficients, IEEE Transactions on Power Apparatus
and Systems, Vol. PAS-98, No. 4
Nondahl T.A., Novotny D.W., MARCH 1980, Three-phase pole-by-pole model of a linear
induction machine, IEEE Proceeding, Vol. 127, No. 2
Nonakam S., 1988, Experimental Study on Characteristics of Linear Induction Motor
for Urban Transit, 電學論D, Vol. 108, No. 5, pp. 477-484
Lu C., Eastham T.R., Dawson G.E., 1993, Transient and Dynamic Performance of a Linear
Induction Motor, IEEE Conf. IAS Annual Meeting, pp. 266-273
Loye T.H., December 1981, The Transient Performance of Linear Induction Motors, IEEE
Transactions on power Apparatus and Systems, Vol. PAS-100, No. 12
Astrὸom Karl Johan, Hagglund Tore, 1988, Automatic Tuning of PID Controllers, Instrument
Society of AMERICA
見城尙志 , 赤木泰文 , 川村 昭, 三上 旦, 1984, ACサ-ボモ-ダどマイコン制御”, 綜合電子 出版社
Boldea Ion, Nasar Syed A., 1992, Vector Control of AC Drives, CRC Press
Novotny D.W., Lipo T.A., 2002, Vector Control and Dynamics of AC Drives, CLARENDON
PRESSㆍOXFORD
Kim J.S., Sul S.K., 1995.2, A Novel Voltage modulation Technique of the Space Vector
PWM, IPEC'95 yokohama Conf, pp. 742-747
Biography
02. 2002 : Industrial Engineering, Chosun University(College graduate)
02. 2015 : Technical Management, Chonnam nationnal University(Master of Engineering)
07. 2004 ~ : CEO of PTG
Fields of interest : DC motor, Electircal distribution, Controller, AI
02. 2006 : Computer Engineering, Ajou University(College graduate)
10. 2016 ~ : CEO of OTUMA
Fields of interest : Controller, IOT, Big Data
08. 1999 : Business administartion, Jeonbuk Nationanl University(College graduate)
09. 2012 : Mechanical Engineering, Mokpo National University(Master of Engineering)
02. 2012 ~ : Director of Research at Yuil Fields of interest : Machine, Shipbuilding
08. 2017 : Computer Engineering, Chonnam nationnal University(Doctor of Engineering)
04. 2018 ~ : Director of Research at MIDO Fields of interest : Welding Robot Machine,
Motor, Compu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