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시호
(Si-Ho Kim)
1
김철민
(Cheol-Min Kim)
2
김남준
(Nam-Jun Kim)
3
김종수
(Jong-Soo Kim)
†
-
(Director, Sales Departement, P&J Korea)
-
(Ph.D. Course, Dept of Electrical Eng. Daejin Univ., Korea)
-
(Professor, Dept of Electrical Eng. Daejin Univ., Korea)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Engineers(KIIEE)
Key words
PV Inverter, MPPT, Photovoltaic system
1. 서 론
최근 신재생에너지는 태양광, ESS등 분산 전원의 확대와 함께 소비와 생산을 함께하는 에너지 프로슈머가 증가하는 구조로 변화가 일어나고 있으며 에너지와
정보통신 기술(ICT)의 융합을 통해 에너지 생산 최적화, 소비 효율화, 에너지 거래 활성화를 도모하고 재생에너지와 ICT가 연계된 새로운 에너지의
서비스들이 활발히 창출되고 있다(1).
신재생에너지 중 태양광 발전의 경우 몇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데 그 중 가장 큰 이슈는 수익률의 감소로 신재생 원스톱 사업정보 통합포털의 REC
거래동향 분석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 Renewable Energy Certificate) 가격은 하락하고 있으며 그림 1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REC 가격은 16년 10월 168,514원에 거래 되었으나 이후 하락을 거듭하여 2019년 8월 들어서는 59,900원을
기록하여 2016년 10월 가격 대비 35.5% 수준인 6만원선 미만으로 떨어졌다. REC 가격 하락의 원인으로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인 농어촌공사,
수자원공사 등 공공기관의 참여, RPS제도의 구입의무화 제도가 있으며 또 다른 원인으로는 RPS 발전설비(태양광, 풍력, 수력, 연료전지, 기타 화력발전소)의
증가를 들 수 있는데 2016년 이후부터 REC 의무할당량 제도의 태양광 및 비태양광이 통합운영(의무량 부과, 의무이행, 현물거래 등 단일화)되기
시작했으며 2018년도 우드펠릿화력발전소(바이오메스)가 전국에 5개소 총 755MW 신설되었고, 태양광 발전소는 1.9GW 신설되었다(2).
Fig. 1. REC market volume and price by year(2)
이러한 설비용량의 증가에 따른 REC 생산 증가량을 확인하기 위해 발전원별 발전시간을 대입하여 연간 REC 생산량을 예측한 결과 산업자원부에서 고시한
2019년도 의무공급량이 26,557,761MW이며, 2019년도 2월까지 가동 중인 RPS발전소(태양광, 풍력, 수력, 연료전지, 기타화력발전소)
발전량은 약 29,700,000MW로 약 300백만REC가 초과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3).
태양광 발전 수익성 증대를 위해 여러 가지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수익률 감소는 계속해서 이뤄지는 실정이다. 수익률 증대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는 인버터 및 PV 모듈의 효율을 증대시키는 방법이 있으며 또 태양광 발전소 설계 및 운영에서의 효율을 증대시키는 방법이 있다(4).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발전소 운영에서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기 위해 현재 운영 중인 인버터들의 특성들을 분석하고, 실제 운영 중인 발전소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태양광 인버터의 MPPT (Maximum Power Point Tracking)수가 발전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실증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월간, 기상 상태에 따른 발전량 차이를 분석하였다.
Table 1. Daily power generation of RPS power plants
일일평균
발전시간[시간]
|
3.6h
|
6h
|
24h
|
8h
|
8h
|
8h
|
8h
|
|
구 분
|
태양광
|
풍력
|
수력
|
연료
전지
|
바이오
|
폐기물
|
석탄
가스화
|
합계[MW]
|
~2012년 1일 발전량
|
878
|
574
|
15,654
|
86
|
2,257
|
5,463
|
|
24,912
|
2013년 1일 발전량
|
1,400
|
480
|
75
|
814
|
2,390
|
204
|
|
5,363
|
2014년 1일 발전량
|
3,110
|
393
|
440
|
278
|
5,636
|
379
|
|
10,236
|
2015년 1일 발전량
|
3,571
|
1,365
|
78
|
109
|
1,301
|
274
|
|
6,698
|
2016년 1일 발전량
|
2,892
|
765
|
183
|
85
|
1,359
|
390
|
2,770
|
8,444
|
2017년 1일 발전량
|
4,033
|
776
|
213
|
483
|
3,772
|
135
|
|
9,412
|
2018년 1일 발전량
|
6,829
|
1,005
|
132
|
711
|
6,040
|
265
|
|
14,982
|
2019년 1일 발전량
|
1,251
|
|
72
|
57
|
5
|
|
|
1,385
|
2019년 1일 총발전량
|
23,967
|
5,362
|
16,852
|
2,626
|
22,765
|
7,113
|
2,771
|
81,456
|
2019년 1년 총발전량
|
8,747,986
|
1,956,962
|
6,150,908
|
958,566
|
8,309,076
|
2,596,184
|
1,011,284
|
29,730,966
|
Table 2. Notification of mandatory supply by supplier in 2019 (5)
구 분
|
의무공급량
|
구 분
|
의무공급량
|
구 분
|
의무공급량
|
그
룹
Ⅰ
|
한국수력원자력
|
3,742,772
|
그
룹
Ⅱ
|
한국지역난방공사
|
667,865
|
그
룹
Ⅱ
|
대륜발전
|
75,314
|
한국남동발전
|
4,340,865
|
한국수자원공사
|
43,219
|
에스파워
|
249,503
|
한국중부발전
|
3,080,392
|
SK E&S
|
437,040
|
포천파워
|
204,829
|
한국서부발전
|
3,289,547
|
GS EPS
|
410,037
|
동두천드림파워
|
375,121
|
한국남부발전
|
3,759,778
|
GS파워
|
263,780
|
파주에너지서비스
|
667,228
|
한국동서발전
|
3,419,002
|
포스코에너지
|
608,478
|
GS동해전력
|
490,366
|
|
|
씨지앤율촌전력
|
401,997
|
포천민자발전
|
258,400
|
|
|
평택에너지서비스
|
172,228
|
전체 합계
|
26,957,761
|
2. 연구방법 및 시스템 구성
2.1 연구 방법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 동일 장소에 다양한 종류의 인버터를 설치 후 각 인버터별 발전량을 확인 및 평가해야 하므로 실제 운영 중인 발전소 중 전남
광양에 위치한 발전소를 선정하여 모니터링을 진행하였다.
첫 번째로 센트럴 타입 인버터와 스트링 타입 인버터의 발전량을 비교 분석하였고, 두 번째로는 하나의 MPPT를 가진 스트링 인버터와 여섯 개의 MPPT를
가진 스트링 인버터의 발전량을 월별(계절별) 기상 상태별 (맑은 날, 구름낀 맑은 날, 흐린 날, 비오는 날) 발전량을 비교 분석 하였다.
Fig. 2. Central type inverter
Fig. 3. String inverter with 1 MPPT
Fig. 4. String inverter with 6 MPPT
2.2 태양광 발전소 현황 및 시스템 구성
실증을 위한 발전소는 전남 광양에 있는 총 6.5 MWp로 건설된 발전소로 2.5MWp, 1MWp, 500kWp 등 다양한 용량으로 구성되어 있다.
MW 이상 발전소는 그림 2와 같이 센트럴타입 인버터를 적용하여 발전을 하고 500kW 이하 발전소에서는 스트링타입 인버터를 적용해서 발전을 하고 있다. 스트링타입 인버터를
적용한 발전소는 다시 아래 그림 3과 같이 1개의 MPPT를 가진 스트링 인버터와 그림 4와 같이 6개의MPPT를 가진 멀티스트링 인버터로 나뉜다(6).
Fig. 5. Monitoring configuration diagram
Fig. 6. Monthly power generation of central inverter
Fig. 7. Monthly power generation of string inverter
2.3 모니터링 구성 현황
모니터링 시스템은 해당 발전소의 발전량 및 그 지역의 기상 환경, 모듈온도, 일사량까지 실시간으로 확인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데이터 수집
방법은 그림 5와 같다.
각 구역별 전체 장비들에 대해 RTU와 각각 RS485 통신을 통해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는 TCP/IP 통신을 통해 인터넷으로 원격에서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모든 데이터는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되어 언제든지 확인이 가능하도록 했다.
Fig. 8. Graph of daily uptime by inverter
Fig. 9. Graph of daily downtime by inverter
3. 태양광 발전소 발전 현황 분석
3.1 월별 발전량
월별 발전량 분석은 센트럴인버터로 운영 중인 발전소와 스트링인버터로 운영 중인 발전소의 월간 발전량 데이터를 확인 후 발전량 차이를 비교 분석 하였다.
그림 6은 센트럴인버터를 운영 중인 발전소의 발전량 그래프이며, 그림 7은 스트링인버터로 운영 중인 발전소의 발전량이다.
그림 6 및 그림 7의 그래프를 보면 겨울철에는 상대적으로 발전량이 적고 봄, 가을의 경우에는 발전량이 많은 데 이를 통해 태양광 발전 방식이 날씨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연간 단위로 보면 스트링 인버터의 발전량이 많은 것을 확인 할 수 있는데 이러한 발전량의 차이는 다음과 같이 분석 할
수 있다.
첫째, 하루 동안의 인버터 가동시간의 차이에서 발생하는데 이는 각각의 인버터의 운전 시작 시간과 정지 시간을 나타낸 그림 8과 9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둘째, 센트럴 인버터의 경우 기상상태에 따라 PV모듈에서의 발전량(입력량)이 적을 경우 발전을 정지하기 때문인데 이러한 이유로
그래프 중간 중간 값이 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스트링 인버터의 발전량이 센트럴 인버터의 발전량 보다 연간 40MWh 정도 더 많은 발전을
한 것으로 나타나며 이를 금액으로 환산하면 대략 600백만 원 이상의 차이를 보이게 된다.
Fig. 10. Insolation on a clear day
Fig. 11. Comparison of power generation on a clear day
Table 3. Power genera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MPPT on a clear day
구 분
|
입 력[kWh]
|
출 력[kWh]
|
1 MPPT
|
353.6
|
345.6
|
6 MPPT
|
351
|
345.4
|
3.2 기상 조건별 발전량 분석
스트링인버터에서의 MPPT 개수의 차이가 기상 조건별로 발전량의 차이를 보이는 지에 대한 실증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기상 조건은 발전량과 기상 상태의
변화가 가장 많은 7월을 기준으로 맑은 날, 구름 낀 맑은 날, 흐린 날, 비오는 날 등 4가지 경우에 대해서 하루 동안의 발전량 차이 및 효율 특성을
비교 하였다. 먼저 그림 10, 11 및 12, 13은 맑은 날 및 구름 낀 맑은 날 기준 일사량 및 발전량의 비교 그래프이다.
Fig. 12. Insolation on a little cloudy day
Fig. 13. Comparison of power generation on a little cloudy day
Table 4. Power genera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MPPT on a little cloudy day
구 분
|
입 력[kWh]
|
출 력[kWh]
|
1MPPT
|
163.9
|
160.4
|
6MPPT
|
162.8
|
160.1
|
맑은 날의 경사 최대 일사랑은 850[W/㎡]을 넘고 평균 일사량도 300[W/㎡] 이상으로 두 인버터 모두 발전량은 MPPT의 개수에 따른 영향
없이 발전량 및 효율 모두 높다. 그리고 구름 낀 맑은 날의 경우에는 최대 일사량의 차이는 별로 없지만 평균 일사량은 맑은 날 대비 약 50% 정도
줄어든 150[W/㎡]을 기록해서 발전량은 현저히 줄어든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효율은 각각 97.8%와 98.3%를 기록했으며 두 데이터를 보면
음영 등이 발전량에 미치는 영향이 큰 가를 알 수 있다.
다음은 흐린 날 및 비오는 날의 일사량 및 발전량에 대한 그래프로 그림 14, 15 및 16, 17에 나타내었다. 먼저 흐린 날의 경우 그림 14와 같이 평균 일사량이 50[W/㎡] 미만으로 발전량도 50[kWh]이하로 떨어진 상황이다. 그리고 효율의 차이도 맑은 날 및 구름 낀 맑은 날에서는
0.5~0.7% 정도 차이를 보인데 반해 흐린 날의 경우에는 2.4% 정도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6개의 MPPT를 가진 인버터는 97.7%로
높은 효율을 기록하였다.
Fig. 14. Insolation on a cloudy day
Fig. 15. Comparison of power generation on a cloudy day
Table 5. Power genera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MPPT on a cloudy day
구 분
|
입 력[kWh]
|
출력[kWh]
|
1 MPPT
|
49.6
|
47.3
|
6 MPPT
|
49.2
|
48.1
|
그림 16, 17은 비오는 날에 대한 일사량 및 발전량에 대한 그래프이다. 다른 기상상태인 경우에 비해 적지만 비가 오는 날에도 발전을 하고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평균 일사량의 경우는 20[W/㎡] 이하로, 맑은 날 대비 5% 미만의 일사량을 기록 했으며 이에 따라서 발전량도 20[kWh] 이하를 보이고 있다.
또한 인버터의 효율도 같이 하락하였으나 상대적으로 MPPT가 적은 인버터의 하락률이 커서 90% 이하로 떨어진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인버터의 MPPT 개수가 기상 상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확인 할 수 있었으며, 기상 상태가 좋은 맑은 날 보다는 기상 상태가 좋지 않은 날씨에
인버터의 MPPT 개수에 따른 영향이 큰 것을 확인하였다. 취득한 데이터를 종합하여 표 7에 정리하였고, 그림 18과 같이 인버터의 효율 곡선에 평균 부하율을 대입해서 확인해보면 급격한 효율저하가 일어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Fig. 16. Insolation on a rainy day
Fig. 17. Comparison of power generation on a rainy day
Table 6. Power genera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MPPT on a rainy day
구 분
|
입 력[kWh]
|
출력[kWh]
|
1MPPT
|
19.2
|
17.1
|
6MPPT
|
19.1
|
18.2
|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실제 운영 중인 태양광 발전소의 센트럴 인버터와 단일 및 멀티 스트링 인버터 발전 생산 특성을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실측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확인하였으며 발전 생산 특성을 요소별 상세 분석을 통해 파악하였다.
입력 전압범위 즉 DC/DC 컨버터의 유무에 따라 상대적으로 일사량이 적은 아침, 저녁 시간대 및 일시적인 그림자 영향을 적게 받는 인버터일수록 발전량이
많아 수익성 증대에 유리하며 소비 전력이 상대적으로 큰 센트럴 인버터가 기상 환경(날씨 및 그림자 영향)에 취약해 유휴 기간이 늘어나게 되어 발전량
감소가 크게 나타나게 된다. 또한 MPPT의 개수가 1개인 경우보다 6개인 경우의 효율이 기상상태에 따라 0.4%에서 많게는 6.2%까지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able 7. Comparison of power generation by inverter MPPT by weather conditions
구분
|
기상조건
|
맑은날
|
구름낀 맑은날
|
흐린날
|
비오는날
|
일
사
량
|
최대일사량[W/㎡]
|
856
|
774
|
367
|
200
|
평균일사량[W/㎡]
|
313.7
|
150.4
|
47.6
|
18.2
|
1
M
P
P
T
|
입력[kWh]
|
353.3
|
163.9
|
49.6
|
19.2
|
출력[kWh]
|
345.6
|
160.4
|
47.3
|
17.1
|
효율[%]
|
97.7
|
97.8
|
95.3
|
88.9
|
평균부하율[%]
|
24
|
10
|
3.5
|
1
|
6
M
P
P
T
|
입력[kWh]
|
351
|
162.8
|
49.2
|
19.1
|
출력[kWh]
|
345.2
|
160.1
|
48.1
|
18.2
|
효율[%]
|
98.4
|
98.3
|
97.7
|
95.1
|
평균부하율[%]
|
24
|
10
|
3.5
|
1
|
Fig. 18. Efficiency curve of string inverter
이는 MPPT 개수가 많은 인버터일수록 날씨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이다. 따라서 발전소 건설시 현장의 기상 상태에 따라 맑고 쾌청한 지역의
경우에는 단일 MPPT를 가진 인버터 선정을 통해 초기비용을 최소화해서 수익률을 증대할 수 있고, 흐리고 및 비가 많이 오는 지역의 경우에는 MPPT가
많아 각 스트링별 MPPT제어가 가능한 인버터를 적용해 발전량을 극대화하여 수익률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References
Shin E. H., 2015, Annual Empirical Performance Evaluation of Photovoltaic System,
M.S. Thesis, Department of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Incheon National University
Todayenergy Co. , The government should stabilize the market such as REC prices, http://www.todayenergy.kr/news/articleView.html?idxno=215873\&lang=en
(Accessed 04 JULY 2019).
Kang N. H., 2018, 2018 Korea Energy Agency Handbook, Korea Energy Agency, 1st ED
Korea Energy Agency , World Renewable Energy Trend 2019, http://www.energy.or.kr/web/kem_home_new/energy_issue/mail_vol104_1/pdf/issue_207_03_02.pdf
(Accessed 02 MARCH 2019).
Solartoday Co. ,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problems in 2019: urgent need to establish
policies due to expansion of compulsory supply and SMP price fluctuations, https://www.solartodaymag.com/news/articleView.html?idxno=7970
(Accessed 30 JANUARY 2019).
Choi H. T., 2019, Composition of solar cell module-mounted converter and solar power
system, Bulletin of the Korea Photovoltaic Society, Vol. 5, No. 1, pp. 16-32
Subhendu D., Kishore C., 2018, A Buck & Boost Based Grid Connected PV Inverter Maximizing
Power Yield from Two PV Arrays in Mismatched Environmental Conditions, 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Electronics, Vol. 65, No. 7
Madhura N. D., Subhash V. M., 2018, Optimization of PV System using Distributed MPPT
Control, 2018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ystem Modeling & Advancement in Research
Trends (SMART), pp. 216-220
Suneel R. P., Performance Evaluation of Series, Series-Parallel and Honey-Comb PV
Array Configurations under Partial Shading Conditions
Biography
He received B.S. and M.S. degrees from Daejin University, Pocheon, Korea, in 2018
and 2020, respectively, all in Electrical Engineering.
He is work for P&J Korea and currently a director.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PV generation system, PV-PCS, MPPT control.
He received B.S. and M.S. degrees from Daejin University, Pocheon, Korea, in 2018
and 2020, respectively, all in Electrical Engineering.
Since 2020, he has worked for his Ph.D. in Electrical Engineering at Daejin University.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WBG semiconductor devices for dc dc–converters and
PCS for renewable energy.
He received B.S. and M.S. and Ph.D. degrees from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in 1988 and 1990 and 1997, respectively, all in Electrical Engineering.
In 1992, Prof. Kim joined Daejin University in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Power Conversion System and Motor drive control.
He received his B.S. degree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Korea, in 2006, and his M.S. and Ph.D. degree from Sungkyunkwan University,
Suwon, Korea, in 2008 and 2011, respectively, all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2011 to 2012, he was a Full-time lecturer for Electrical Engineering at Seoil
university, Seoul, Korea.
From 2012 to 2013, he worked as a Senior Researcher at the Samsung Advanced Institute
of Technology (SAIT), Giheung, Korea.
In 2013, Prof. Kim joined Daejin University in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wide band gap devices for power electronics, high power
dc-dc converters, power conversion for electric vehicles, and wireless power transfer
charging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