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ISO Journal TitleJ Korean Inst. IIIum. Electr. Install. Eng.

  1. (Master’s course, Pukyong National University, Industry 4.0 Convergence Bionics Engineering)



Bacteria Discrimination, Light Scattering, Scattering Pattern, Divergence Angl

1. 서 론

대장균, 살모넬라, 리스테리아와 같은 병원체 박테리아들은 식품 매개 질병을 유발하여 식품 안전에 대한 지속적인 위험성을 초래하며, 기타 제품에도 유해하거나 치명적일 수 있다(1). 이러한 박테리아에 의한 악영향은 사회적 비용 및 공공 건강 문제와 직결된다. 따라서, 개인과 공중 보건을 위해 병원체를 신속하게 감지하고 세균 오염을 확인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병원체 감지 부분에 있어 박테리아 검출이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관련 연구들이 꾸준히 수행되어 오고 있다. 지금까지 다양한 박테리아 검출의 분석법들이 개발되었는데, 예를 들면 항원-항체의 반응과 결합에 기초한 면역학적 방법, 핵산 증폭을 위한 중합 효소 연쇄 반응(PCR) 방법, 형광체를 사용한 바이오 센서에 기초하는 형광 분석법, 전기저항 분석법 등이 있다. 최근에는 박테리아에 저출력의 빛을 조사하여 얻어지는 광 산란 패턴(optical scattering pattern)을 이용하는 패턴 분석 기반 검출법이 연구되고 있다. 관련된 연구로, Banada 연구진은 BARDOT(BActeria Rapid Detection using Optical Scattering Technology)시스템을 이용하여 2007년 리스테리아에 속하는 여러 가지 종들의 패턴과 관련된 특징을 관찰하여 박테리아 분별에 이용하였으며(2), 2009년에는 앞의 논문과 달리 배지와 박테리아의 종을 다양하게 하여 광 산란 패턴을 촬영 및 분석하였다(3). 2007년 Bae 연구진도 BARDOT 시스템을 이용하여 획득한 세 가지 리스테리아 종의 광 산란 패턴에 여러 이론들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4). 이후 2011년 Bae 연구진은 균의 성장 시간, 박테리아 군집(colony)의 광 산란 패턴에서 관찰되는 패턴 직경 및 고리(ring)의 수에 따라 박테리아를 구별하였으며(5), 2012년에는 광 산란 패턴을 기반으로 하는 휴대용 박테리아 식별 시스템 장치를 제시하였다(6). BARDOT 시스템이 제안된 이후 다른 연구진들도 이 시스템을 기반으로 박테리아 광 산란 패턴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2010년 Rajwa 연구진은 서로 다른 살모넬라 혈청형에 의해 형성된 박테리아 군집의 광 산란 패턴을 분석하였다(7). 2014년 Marcoux 연구진은 배양 시간에 따라 대장균의 광 산란 패턴을 획득하고, 대장균의 네 가지 균주에 대해 광 산란 패턴 차이를 분석하였다(8). 이후 2015년 Jo 연구진은 푸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 광 산란 및 통계적 분류를 사용하여 광 산란 패턴을 분석하였고(9), Minoni 연구진은 다양한 종류의 박테리아에 대해 광 산란 패턴을 CCD 카메라 위치, 배양 시간, 박테리아 군집의 직경 등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10). 그러나, 상기 언급된 박테리아 군집들의 광 산란 패턴은 군집 크기, 배양되는 배지의 종류, 배양 시간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며, 박테리아 별로 특정 형태를 갖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동일한 박테리아에서도 사용된 배지나 배양 시간에 따라 다른 형태의 광 산란 패턴이 얻어지기도 하며, 서로 다른 박테리아에서도 배지나 배양 시간에 따라 비슷한 광 산란 패턴이 얻어지기도 한다(11). 본 논문에서는 Escherichia coli(E. coli), Salmonella typhimurium(S. typhimurium), Listeria monocytogenes(L. monocytogenes)의 세 박테리아 군집의 광 산란 패턴으로부터 구해지는 발산 각도(divergence angle)(11)를 기반으로 박테리아를 분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 세 균의 광 산란 패턴은 BHI(brain heart infusion) 배지에 배양했을 경우 상당히 유사한 광 산란 패턴을 가지기 때문에, 패턴에 의한 분별이 어려우므로 제안되는 발산 각도를 이용한 분별 기법은 박테리아 검출법에 대한 새로운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다. 특히 본 기법은 박테리아 군집의 크기와 광 산란 패턴의 크기만을 측정하여 발산각을 계산할 수 있으므로 측정 과정을 간소화하여 측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2. 실험 준비 과정

(1) 박테리아 군집 시료

측정 시료인 세 박테리아 E. coli, S. typhimurium, L. monocytogenes는 BHI broth 배지에 37°C에서 24시간 동안 배양되었다. 상기 박테리아 배양 과정 이후, 1µl를 취하여 BHI agar 배지에 스프레딩(spreading) 방법으로 37°C에서 E. coli와 S. typhimurium는 12시간, L. monocytogenes는 24시간 동안 배양되었다. 세 균은 각각 다른 플레이트(plate)에 배양되었으며, 플레이트 당 10-100개의 박테리아 군집을 얻을 수 있었다. 배양된 박테리아 군집들의 크기는 세 종류의 균 모두 약 0.8-2.2mm 범위에 존재하였다.

(2) 발산 각도 측정을 위한 장치 구성

그림 1은 박테리아 군집의 광 산란 패턴 이미지를 얻기 위한 실험 모식도를 보여주고 있다. 박테리아 군집에 조사(illumination)하기 위한 532nm 레이저(CNI, MGL-III) 출력은 단일 모드 광섬유(single-mode fiber)를 통해 도파되고, 도파된 빛은 단일 모드 광섬유 출력단에 설치된 초점 거리가 150mm인 이중볼록 렌즈(biconvex lens)(Thorlabs, LB14367)를 거쳐 박테리아 군집에 입사된다. 박테리아 군집에 입사되는 레이저 빔(beam)은 군집의 크기에 비해 클 경우 회절(diffraction) 현상이 발생하여 산란 패턴에 혼선(crosstalk)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이중볼록 렌즈의 높이를 조절하여 입사 빔의 크기가 박테리아 군집의 크기와 거의 일치하도록 조절하였다. 박테리아 군집에서 생성되는 광 산란 패턴은 CMOS 카메라(Edmund, 46-144)를 이용하여 획득하였으며, 카메라에서 획득한 이미지 정보는 모니터와 PC로 전달하여 육안 관측 및 이미지 정보 저장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모니터를 통한 육안 관측 시 박테리아 광 산란 패턴을 선명하게 얻기 위해서는 산란 패턴의 초점에 맞춰 카메라의 위치를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카메라를 2축(xz) 스테이지에 부착하고, 이 스테이지를 통해 카메라의 위치를 정밀 조절하여 선명한 박테리아 광 산란 패턴을 획득하였다. 상기 2축 스테이지는 μm 단위로 위치 조정이 가능하고, z축 조절을 통해 산란 광의 초점에 맞춰 산란 패턴의 선택적 촬영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준다.

Fig. 1. Schematic diagram of the experimental setup for acquiring the optical scattering patterns of bacteria colonies
../../Resources/kiiee/JIEIE.2020.34.9.012/fig1.png

3. 실험 결과 및 고찰

(1) 산란 패턴 측정 결과

Fig. 2. Optical scattering patterns of colonies of (a) E. coli, (b) S. typhimurium, and (c) L. monocytogenes
../../Resources/kiiee/JIEIE.2020.34.9.012/fig2.png

그림 2(a), 2(b), 2(c)는 그림 1의 셋업을 이용하여 획득한 세 박테리아 E. coli, S. typhimurium, L. monocytogenes의 광 산란 패턴들을 각각 보여주고 있으며, 군집 직경이 약 1mm로 비슷한 세 균을 선별하여 촬영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서론에서 언급하였듯이 박테리아의 광 산란 패턴에 관해서 균의 하위 분류에 속하는 종속 균들 간 비교, 군집 직경의 크기 및 배양 시간에 따른 비교, 카메라 위치 변경 또는 패턴 내 고리 수 비교 등 여러 방법을 이용하여 광 산란 패턴의 분석에 관한 연구가 다수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그림 2에서 나타낸 것처럼, BHI 배지에 세 균을 각각 배양했을 경우, 광 산란 패턴이 유사하여 패턴의 특징에 따라 박테리아 종류를 식별하는 것이 쉽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광 산란 패턴의 크기는 레이저 빔이 조사되는 박테리아 군집의 크기에 따라 변하며, 비슷한 크기의 군집에서도 박테리아의 종류에 따라 산란 패턴의 크기가 조금씩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광 산란 패턴의 크기는 주로 박테리아 군집의 크기 및 광 발산 각도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박테리아 군집별로 광 발산 각도를 측정하고, 그 차이를 분석하여 세 균을 구별해보고자 하였다.

(2) 발산 각도 측정 원리

그림 3은 박테리아 광 산란 패턴의 발산 각도를 계산하기 위한 모식도로 박테리아 군집 크기, 광 산란 패턴 크기, 광 발산 각도 간의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박테리아 광 산란 패턴이 얻어질 때 빛의 진행 경로는 마치 빛이 렌즈를 통과한 후 진행하는 모습과 유사하다. 즉, 박테리아 군집에 입사된 빛은 마치 빛이 렌즈를 통과하듯이 군집을 통과하고 초점을 향해 집중된 후 다시 넓게 퍼지며 진행한다. 그림 3에서 점선은 빛의 진행 경로를 나타내며, a는 군집의 직경, b는 광 산란 패턴의 크기, c는 군집과 초점까지의 거리, f는 초점에서 산란 패턴 경계까지의 거리, 그리고 θ는 발산 각도이다. 여기서 a와 b는 측정을 통해 얻어질 수 있고, 군집(플레이트)에서 산란 패턴까지의 거리는 27cm로 고정되어 있다.

(1)
$c+\dfrac{b}{a}c=27\Rightarrow c=\dfrac{27}{1+b/a}$

(2)
$f=\sqrt{\left(\dfrac{b}{a}c\right)^{2}+\left(\dfrac{b}{2}\right)^{2}}$

(3)
$\dfrac{\theta}{2}=\sin^{-1}\left(\dfrac{0.5b}{f}\right)$

따라서, 상기 식 (1)-(3)을 통해 발산 각도를 계산할 수 있으며, 식 (3)에서 계산되는 발산 각도는 θ/2로 실제 발산 각도의 절반 값이지만, 본 논문에서는 편의상 이 값을 발산 각도라고 표현하고 사용하였다.

Fig. 3. Relationship among the bacteria colony size, scattering pattern size, and divergence angle
../../Resources/kiiee/JIEIE.2020.34.9.012/fig3.png

(3) 발산 각도 측정 결과

그림 4, 5, 6은 E. coli, S. typhimurium, L. monocytogenes에 대한 발산 각도 획득 빈도수를 각각 보여주고 있으며, 박테리아 별로 발산각 획득 빈도수가 각기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 균의 발산각 획득 빈도수에 대한 가우시안(Gaussian) 분포 기반 비선형 회귀 분석 결과를 함께 나타내었다. 가우시안 분포는 확률 밀도 함수(probability density function)로 치환하여 해석이 가능하며, E. coli, S. typhimurium, L. monocytogenes의 발산각 획득 빈도수를 확률적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상기 가우시안 분포의 최댓값을 기준으로 하는 일정한 면적의 전체 넓이에 대한 비율, 즉 발산각 획득 확률에 따라 세 박테리아 군집의 발산 각도 분포 범위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면적을 산정할 때에는, 최댓값을 중심으로 왼쪽과 오른쪽의 면적이 같아지도록 하였다. 예를 들어, 75%의 발산각 획득 확률을 가정할 경우, 세 박테리아 군집들의 가우시안 분포에서 최댓값을 기준으로 하는 면적(회색 표시)이 전체 넓이의 75%가 되도록 조정하여 발산각 분포 범위를 산출하였다. 이때, 세 박테리아 군집의 발산각 분포 범위는 E. coli의 경우 4.08°∼8.54°, S. typhimurium의 경우 6.81°∼11.96°, L. monocytogenes의 경우 9.88°∼16.68°로 도출되었다. 동일한 방식으로 65%의 발산각 획득 확률을 가정할 경우, 세 박테리아 군집의 발산각 분포 범위는 E. coli에 대해 4.37°∼7.92°, S. typhimurium에 대해 7.60°∼11.39°, L. monocytogenes에 대해 10.79°∼15.89°로 산출되었다.

Fig. 4. Acquisition frequency of the divergence angle of the optical scattering pattern of E. coli and its nonlinear curve fit based on the Gaussian distribution and optimal distribution range (70%)
../../Resources/kiiee/JIEIE.2020.34.9.012/fig4.png

Fig. 5. Acquisition frequency of the divergence angle of the optical scattering pattern of S. typhimurium and its nonlinear curve fit based on the Gaussian distribution and optimal distribution range (70%)
../../Resources/kiiee/JIEIE.2020.34.9.012/fig5.png

Fig. 6. Acquisition frequency of the divergence angle of the optical scattering pattern of L. monocytogenes and its nonlinear curve fit based on the Gaussian distribution and optimal distribution range (70%)
../../Resources/kiiee/JIEIE.2020.34.9.012/fig6.png

이를 통해 발산각 획득 확률에 따라 산출된 발산각 분포 범위로부터, 획득 확률이 높아질수록 박테리아 별 발산각 분포 범위 또한 넓어져 박테리아 군집 간 중복되는 분포 영역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E. coli와 S. typhimurium 그리고 S. typhimurium과 L. monocytogenes 간 발산각 중복 분포 영역을 1.3° 미만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발산각 획득 확률 중 최댓값인 70%를 기준 획득 확률로 선정하고, 선정된 획득 확률에서 얻어지는 발산각 분포 범위를 박테리아 군집 별 최적 발산각 분포 범위로 지정하였다. 이 때, 발산각 중복 분포 범위를 1.3° 미만으로 산정한 이유는 세 박테리아의 발산각 분포 경계 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측정 오차를 일부 고려하면서도 발산각 획득 확률을 높게 유지함으로써 박테리아 분별을 위한 효율적인 발산각 분포 범위를 선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선정된 발산각 획득 확률 70%로 도출되는 최적 발산각 분포 범위는 E. coli의 경우 4.23°∼8.12°, S. typhimurium의 경우 7.32°∼11.63°, L. monocytogenes의 경우 10.36°∼16.37°이었다. 상기 최적 발산각 분포 범위에서 E. coli와 S. typhimurium의 발산각 중복 분포 범위는 ∼0.8°, S. typhimurium과 L. monocytogenes의 발산각 중복 분포 범위는 ∼1.27°이었다. 상기 도출된 최적 발산각 분포 범위에서 실제로 측정된 발산각 획득 빈도수를 기반으로 발산각 획득 확률을 구해보면 E. coli는 ∼71.5%, S. typhimurium은 ∼70.9%, L. monocytogenes는 ∼70.4%로 계산되었다. 그리고, 실제 측정된 발산각 획득 빈도수와 가우시안 분포의 편차는 평균적으로 E. coli는 ∼0.55, S. typhimurium은 ∼0.53, L. monocytogenes는 ∼0.55로 계산되었다. 이처럼 가우시안 분포를 통해 선정한 획득 확률과 실험적으로 구한 획득 확률에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상기 언급된 실제 획득 빈도수와 회귀 분석된 빈도수 간 편차 때문이며, 이러한 편차의 발생 원인은 박테리아 배양 환경에 따라 배양 과정에서 발생하는 군집 높이 및 형상의 변화에 의한 발산각 변화 때문으로 사료된다. 더불어, 박테리아들의 최대 획득 빈도수는 E. coli, S. typhimurium, L. monocytogenes가 모두 8회로 최대 획득 빈도수를 갖는 특정 발산 각도는 해당 균의 최적 발산각 분포 범위 내에 속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확률 밀도 함수로 접근하여 발산각 분포 범위를 추정하였을 경우에 보다 쉽게 박테리아 간 구별이 가능하며, 획득 빈도수의 분석 과정에 있어 편차를 적정히 보정함으로써 유사하거나 더 높은 확률로 박테리아 군집들을 구별하는 것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그림 7은 상기 세 박테리아 군집들의 발산 각도를 박테리아 군집 직경(0.8-2.2mm)에 따라 도시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연한 분홍색(■), 녹색(●), 청색(◆)으로 표시된 영역 E, S, L은 각각 이전 과정에서 도출했던 세 박테리아 군집의 최적 발산각 분포 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그림 7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영역 E, S, L에 실제 측정된 세 박테리아 군집들의 발산 각도가 집중적으로 분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영역 L에서는 E와 서로 중복되는 발산 각도 범위가 존재하지 않으며, 실제 측정에서도 E. coli의 발산 각도는 L 영역의 범위에서 거의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에 L. monocytogenes와의 구별이 수월하다. 그러나, 영역 S는 영역 E 및 L과 중복되는 발산 각도 범위가 존재하기 때문에 S. typhimurium은 7.32°∼8.12° 및 10.36°∼11.63°의 발산 각도 범위에서 각각 E. coli 및 L. monocytogenes와 구별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박테리아 분별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다량의 박테리아 군집에 대한 광 산란 패턴의 발산 각도 측정을 통해 조사된 발산 각도의 분포 범위를 산출하여 이를 기반으로 박테리아 종류에 대한 판정을 내려야 한다. 이와 같이 E. coli, S. typhimurium, L. monocytogenes는 서로 구분이 가능한 고유의 발산각 분포 범위를 가지므로 세 균의 식별 뿐만 아니라 두 균 간의 분별 즉, ‘E. coli 및 S. typhimurium’, ‘S. typhimurium 및 L. monocytogenes’, ‘E. coli 및 L. monocytogenes’ 에도 선택적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결과적으로 세 박테리아 군집들에 대해 광 산란 패턴의 발산각 획득 빈도수를 분석함으로써, 박테리아 군집별로 고유의 최적 발산각 분포 범위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박테리아 군집별 최적 발산각 분포 범위의 차이는 박테리아의 증식 및 성장 특성과 관련된 고유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Fig. 7. Measured divergence angles according to the colony diameter of E. coli, S. typhimurium, and L. monocytogenes
../../Resources/kiiee/JIEIE.2020.34.9.012/fig7.png

Table 1. Distribution range of divergence angle according to acquisition probability

Species

65%

75%

E.coli

4.37°∼7.92°

4.08°∼8.54°

S.typhimurium

7.60°∼11.39°

6.81°∼11.96°

L.monocytogenes

10.79°∼15.89°

9.88°∼16.68°

Table 2. Number of measurement of three species, optimal distribution range(70%), and standard deviation between actual acquisition frequency and the regression analysis frequency

Species

Number of measurements

70%

Standard deviation

E.coli

200

4.23°

∼8.12°

0.55

S.typhimurium

230

7.32°

∼11.63°

0.53

L.monocytogenes

230

10.36°

∼16.37°

0.55

4. 결 론

본 논문에서는 E. coli, S. typhimurium, L. monocytogenes 군집들의 광 산란 패턴을 촬영한 후, 군집 직경과 산란 패턴의 크기를 비교하여 발산 각도를 계산하고, 각 박테리아 군집별로 발산 각도의 획득 빈도수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박테리아 군집들의 발산각 획득 빈도수에 대한 가우시안 분포 기반 비선형 회귀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군집별 최적 발산각 분포 범위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최적 발산각 분포 범위는 E. coli의 경우 4.23°∼8.12°, S. typhimurium의 경우 7.32°∼11.63°, L. monocytogenes의 경우 10.36°∼16.37°이었다. 이와 같이 E. coli, S. typhimurium, L. monocytogenes는 고유한 최적 발산각 분포 범위를 가질 수 있으므로, 다수의 박테리아 군집들에 대한 측정 데이터들을 분석하여 분포 범위를 도출하면 박테리아 검출에 있어 종(species) 간의 분별 신뢰도 및 재현성이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방법과 달리 박테리아 군집의 발산 각도 분포 영역 차이를 이용하여 박테리아를 선별하는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1회의 배양으로도 다수의 박테리아 군집을 확보할 수 있어, 경제성 및 시간의 측면에서 좀 더 효율적인 박테리아의 구별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시된 세 종류의 박테리아 외 종들의 발산 각도에 따른 경향은 추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균들을 선별하여 발산각의 조사에 따른 각 균의 경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향후 기존 박테리아의 검출 방식의 2차 검증을 위한 서브시스템(sub-system)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cknowledgements

이 논문은 2019년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기초연구사업임. (2019R1I1A3A01046232)

References

1 
Havelaar A., 2015, World Health Organization global estimates and regional comparisons of the burden of foodborne disease in 2010”, PLoS Med., Vol. 12, No. 12, pp. 1-23DOI
2 
Banada P. P., 2007, Optical forward scattering for detec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and other Listeria species, Biosens. Bioelectron., Vol. 22, No. 8, pp. 1664-1671DOI
3 
Banada P. P., 2009, Label-free detection of multiple bacterial pathogens using light scattering sensor, Biosens. Bioelectron., Vol. 24, No. 6, pp. 1685-1692DOI
4 
Bae E., 2007, Biophysical modeling of forward scattering from bacterial colonies using scalar diffraction theory, Appl. Opt., Vol. 46, No. 17, pp. 3639-3648DOI
5 
Bae E., 2011, Label free identification of bacterial microcolonies via elastic scattering, Biotech. Bioeng., Vol. 108, No. 3, pp. 637-644DOI
6 
Bae E., 2012, Portable bacterial identification system based on elastic light scatter patterns, J. Biol. Eng., Vol. 6, pp. 12DOI
7 
Rajwa B., 2010, Discovering the unknown: Detection of emerging pathogens using a label-free light-scattering system, Cytometry A, Vol. 77, No. 12, pp. 1103-1112DOI
8 
Marcoux P. R., 2014, Optical forward-scattering for identification of bacteria within microcolonies, Appl. Microbiol. Biotechnol., Vol. 98, No. 5, pp. 2243-2254DOI
9 
Jo Y. J., 2015, Label free identification of individual bacteria using Fourier transform light scattering, Opt. Express, Vol. 23, No. 12, pp. 15792-15805DOI
10 
Minoni U., Signoroni A., Nassini G., 2015, On the application of optical forward scattering to bacterial identification in an automated clinical analysis perspective, Biosens. Bioelectron., Vol. 68, pp. 536-543DOI
11 
Han J., Jeong J. H., Lee S.-L., Jeong H., Kim Y.-M., Lee Y. W., 2020, Label-free identification of bacteria species based on divergence angle distribution of light scattering patterns, Sens. Mater., Vol. 32, pp. 2929-2940Google Search

Biography

Jinsil Han
../../Resources/kiiee/JIEIE.2020.34.9.012/au1.png

She received her B.S. degree from the School of Electrical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South Korea, in 2020, where she is currently pursuing her master’s degree under the Industry 4.0 Convergence Bionics Engineering.

Her research interests include fiber-optic physical, chemical, and bio sensors.

Yong Wook Lee
../../Resources/kiiee/JIEIE.2020.34.9.012/au2.png

He received his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1998, 2000, and 2004, respectively.

He is now a professor at the School of Electrical Engineering in Pukyong National University.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photonics and oxide semiconduc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