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순정
(Soon-Jeong Yu)
1
김재철
(Jae-Chul Kim)
†
-
( Dept. of Electrical Eng., SoongSil Univ., Korea / Manager, Seon-in engineering &
consultant.)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Engineers(KIIEE)
Key words
ESS, Emergency power, Large induction motor, PCS, Induction motor starting
1. 서 론
온실가스 감축 및 화석연료의 고갈을 대비한 신재생에너지의 확대보급과 지능형 전력망의 도입에 따라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급격한 보급이 예상된다. 특히
리튬이온전지(LIB) 및 나트륨유황전지(NaS) 등 고효율 대용량 2차전지의 급속한 기술발전은 전기 자동차와 더불어 사회 전반에 급속한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화재안전기준 (NFSC)등의 개정으로 에너지 저장장치(ESS)도 자가발전설비, 축전지설비, 비상용 전원전용 수전설비와 더불어
건축물의 비상 전원으로 설치가 가능하다. 하지만 건축물에서 비상용 부하에 공급할 ESS용량에 대한 구체적인 계산방법이나 설치지침이 명확하지 않은 관계로
기존의 발전기 산정방법인 PG법을 변형하여 현장에서 적용하는 것이 현실이다(1).
2016년 산업통상자원부는 정부관련부처와 합동으로 전기저장장치를 비상전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발표했으며 표 1과 같이 비상전원 대체 시의 ESS 경제성을 비교하여 비상발전기를 대체할 수 있도록 적극 권장하였다(2).
만약 이차전지를 이용한 ESS를 평상시에는 부하평준화용으로 사용하다가 정전시나 화재시에 비상전원으로 사용한다면 가장 이상적인 예비전원설비라고 할수
있다. 비상전원으로 비상발전기 대신 에너지저장장치를 적용한다면 높은 신뢰성 뿐만 아니라 경제성까지 확보되며 앞으로 급속하게 보급될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이용한 ESS 구축은 마이크로그리드의 기본시스템이 될 것이다.
소방용 비상전원은 정전 시 뿐만 아니라 화재 시에도 신뢰성 높은 성능을 보유하여야 하며, 관련 규정에서 정한 시간동안 안정적으로 소방용 시설물에 전원을
공급 하여야 한다.
만약 에너지저장장치가 최대부하전력을 제어하기 위하여 방전 중에라도 비상상황이 발생 시 비상전원이 가져야 하는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방전량에 제한을
두어야 한다. 또한 소방용 펌프는 화재 시 많은 양의 소화 용수를 빠른 시간 안에 소방대상물에 공급하여야 하므로 대용량 유도전동기가 필요하며 기동시에는
아주 큰 기동전류가 발생한다.
Table 1. Characteristics comparison and economic evaluation by emergency power source
구 분
|
비상발전기
|
납축전지
|
ESS
|
기준용량
|
250kW
|
250kVA
|
PCS : 250KW
배터리: 500kWh
|
구 성
|
디젤엔진+발전기
|
UPS+배터리
|
PCS+LiB
|
면 적
|
50㎡
|
18.4㎡
|
13.12㎡
|
사용연한
|
15년
|
4~5년
|
15년
|
설치환경
|
진동.소음
|
-
|
-
|
투자비용
|
34,200
|
113,200
|
350,000
|
유지비용(15년)
|
195,000
|
80,000
|
181,000
|
발생수익(15년)
|
|
|
401,000
|
전체비용
|
229,200
|
193,200
|
130,000a
|
대용량 유도전동기의 기동시 발생하는 큰 기동전류와 이로 인하여 전력계통에 전압강하가 발생하므로 이를 고려한 에너지 저장장치의 산정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마이크로 그리드와 같은 독립형 소규모 전력망 설계를 위한 ESS의 설계 용량에 대한 연구(3)나 신재생에너지나 배터리 특성 등을 고려한 연구는 앞서서 진행되었으나, 건축물의 비상전원으로서 소방부하의 특성을 고려한 연구는 국내외로 찾보기 어렵다(4-7).
배터리 물리적 특성이나 계통의 고장을 고려한 ESS 용량산정이나 SOC 추정방법에 대한 연구가 일부 진행되었다(8-11).
따라서 대용량 전동기의 기동시 발생하는 계통의 영향을 고려하여 ESS용량을 산정함으로써 비상전원으로서의 신뢰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2. 본 론
2.1 PCS 및 이차전지 용량산정
리튬이온배터리를 이용한 에너지 저장장치의 구성은 PCS(Power Conditioning System), Battery와 EMS로 구성된다.
PCS의 회로구성방식에 따라서 상용주파 절연방식, 고주파 변압기 절연방식, 트랜스리스 방식으로 구분된다.
전기설비기술기준의 제72조 (비상용 예비전원시설)에 의하면 수용장소에 시설하는 비상용 예비전원은 사용전원이 정전되었을 때 수용장소 이외의 전로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시설하여야 한다’고 규정되어 있으며, 화재안전기준(NFSC)에는 비상전원의 종류와 설치대상이 규정되어 있다.
비상전원의 충족요건으로서 첫째 비상전원 설비에 설치되어 동시에 운전될 수 있는 모든 부하의 입력용량을 기준으로 정격출력을 선정하여야 하며, 다만 소방전원
보존형 발전기를 사용할 경우 그러지 않는다.
둘째 기동전류가 가장 큰 부하가 기동할 때에는 부하의 허용 최저 입력전압 이상의 출력전압을 유지하여야 하며, 셋째 단시간 과전류에 견디는 내력은 입력용량이
가장 큰 부하가 최종 기동할 경우에 견딜 수 있어야 한다고 규정되어 있다.
이차전지를 이용한 ESS는 PCS와 Battery로 크게 나눌 수 있으며, PCS는 대형전동기의 기동특성을 고려하여 선정하며, PCS는 디젤발전기와
다르게 전력용 반도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소자의 효율에 따라서 출력이 변화되므로 이에 따른 수식의 변경이 필요하다.
2.2 비상발전기 계산 수식을 활용한 PCS용량 산정
Battery 및 PCS는 관련 화재안전규정(NFSC)에 따라서 규정된 시간동안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하여야 한다. 우선 상기 조건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PCS 계산식을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1) 전 부하용량 고려 ($PE_{1}$)
$\sum P$ : 소방부하의 합계, $\eta$: 부하효율,
$\epsilon_{pcs}$ : PCS 효율, $\cos\Phi$ : 역율
2) 가장 큰 소방모터 기동전류를 고려 ($PE_{2}$)
$P_{M}$ : 최대기동전류 소방모터, K: 모터기동계수
$\eta$ : 부하효율, $\triangle E$ : 허용전압강하 $\epsilon_{pcs}$ : PCS 효율
$\cos\Phi$ : 역율
3) 비상운전중 가장 큰 소방모터를 나중에 기동하였을 때 고려 ($PE_{3}$)
$\sum P$ : 소방부하의 합계, $P_{M}$ :최대기동전류 소방모터
$\eta$ : 부하효율, K: 모터기동계수, $\epsilon_{pcs}$ : PCS 효율
$\cos\Phi$ : 역율
2.3 이차전지용량 산정수식
관련 법적 유지시간에 의한 비상용 전원의 용량은 표 2.와 같으며 이차전지의 용량산정은 비상용부하의 사용용량과 법정 유지시간으로 계산할 수 있다.
Battery는 시간에 따른 용량변화가 발생하므로 경년변화율을 적용하여야 하며 부하의 효율을 고려하여 용량계산이 필요하다.
비상용전원은 화재시나 비상시에 소화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전원설비이므로 적정한 안전율을 고려하여 용량을 산정할 것을 적극 권장한다.
Table 2. Power supply maintenance time according to facilities by emergency power
source
설비구분
|
비상전원의 종류
|
용량
|
비상전원수전
|
자가
발전
설비
|
축전지설비
|
옥내(외)소화전설비
|
○
|
○
|
○
|
20분
|
스프링쿨러설비
|
○
|
○
|
○
|
20분
|
자동화재 탐지 설비
|
○
|
×
|
○
|
10분
|
비상경보 및 방송설비
|
○
|
×
|
○
|
10분
|
유도등
|
×
|
×
|
○
|
20분
|
비상조명등
|
○
|
○
|
○
|
20분
|
제연설비
|
○
|
○
|
○
|
20분
|
비상콘센트 설비
|
○
|
○
|
×
|
20분
|
무선통신 보조설비
|
×
|
×
|
○
|
20분
|
비상용 승강기
|
○
|
○
|
○
|
120분
|
방화셔터
|
○
|
○
|
○
|
30분
|
비상급수설비
|
○
|
○
|
○
|
20분
|
일반적인 소화설비의 안전율은 1.3∼2.0으로 본 연구는 경제성을 고려하여 1.3으로 적용하였다.
상기내용을 종합하여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P_{LB}$ : 소방용 $ESS$ 이차전지용량(kWh)
$C$ :경년변화율 $P_{k}$ : 비상용부하의 입력(KW)
$t_{k}$ :법정유지시간(h)
$\eta_{L}$ :부하효율 $\alpha_{h}$: 안전율(1.3)
$\beta_{H}$ : 설치장소 보정계수(옥내 : 1.0, 옥외 : 1.3)
3. 사례연구
3.1 ESS용량산정
비상용 전원에 대한 시뮬레이션은 설비의 용량선정 및 기동방식에 따라서 산정용량의 결과 차이가 크게 발생한다. 따라서 시뮬레이션 용량산정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 표 3처럼 실제 설치된 설비용량을 기준으로 하여 진행하였다.
ESS 용량산정은 상기에 제시하였던 식 (1),(2),(3)을 적용하여 PCS와 Battery용량은 식 (4)를 적용하여 계산하였다.
계산된 ESS를 기준으로 하여 비상시 ESS가 소방용펌프를 기동하였을 경우를 가정하여 선로의 전압을 시뮬레이션 하였다.
소방설비 중 가장 큰 용량의 전동기는 스프링클러용 펌프용으로서 3상 380V 41.6kW로 조사되었다. 소방설비는 정전시 부하와 화재시 부하로 구분할
수 있으며 계산 결과 각각 130.7KW와 161.KW로 조사되었다.
설비 중 가장 큰 용량은 승강기설비이며 용량은 51kW 정도였으며, 인버터 기동방식이었다.
소방설비는 화재 상황에서 신뢰성 높은 동작 특성을 유지하여야 하며, 미동작시 인명이나 물적 피해가 크게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실제 설계 시에는 신뢰성 향상을 위해서 안전율을 적용함으로써 여유 있게 선정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표 3 참조)
Table 3. Load capacity of 00 complex in case of power outage/fire
부하종류
|
정전시 부하
|
화재시 부하
|
승강기
|
51kW
|
51kW
|
급수펌프
|
25kW
|
-
|
배수펌프
|
7.7kW
|
-
|
비상전등
|
47kW
|
47kW
|
비상콘센트
|
-
|
3.6kW
|
소화수 펌프
|
-
|
41.6kW
|
제연FAN
|
-
|
16.7kW
|
소방비상등
|
-
|
1.7kW
|
소계
|
130.7kW
|
161.6kW
|
3.2 PCS 용량산정
상기와 같은 실제 비상설비용량을 기초로 하여 PCS 및 Battery 용량산정을 수행하였으며, ESS 설계 흐름도를 그림 1과 같이 도시하였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데이터는 설치된 소방 대상물을 기준으로 하여 조사하여 표 4에 정리하였다.
Fig. 1. Energy storage system design flowchart for using emergency power source
Table 4. Component parameter for simulation model
구 분
|
데이터
|
인입케이블
|
56m
|
변압기
|
%Z:4.8 X/R:10.67 R/X:0.094
%X:4.779 %R:0.448
|
PCS
|
250kW, 890V Vmax: 110%,
|
BATTERY
|
4,136(AH) VPC : 3.68
|
INVERTER
|
380V, 50KW, VFD : 89.5
|
MOTOR
|
41.6KW, %Slip :0.58 %LRC:600 LRA:4.771
%PF:35.55 X/R 2.629 T“:0.25SEC
|
PCS용량을 식 (1)~식 (3)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산출 하였다.
$PE_{1}=\dfrac{\sum P}{\eta\times COS\Phi\times\epsilon_{pcs}}=\dfrac{161}{0.9\times
0.8\times 0.95}=235.3(k W)$
$PE_{2}=\dfrac{P_{M}}{\eta\times COS\Phi_{M}\times K\times\triangle E\times\epsilon_{PCS}}=\dfrac{41.6}{0.9\times
0.8\times 0.3\times 0.95}=202(k W)$
$\begin{aligned}
PE_{3}&=[\dfrac{\sum P - P_{M}}{\eta}+(P_{M}\times COS\Phi_{M}\times K)]\times\dfrac{1}{\epsilon_{PCS}\times\cos\Phi}\\
&=[\dfrac{(161-41.6)}{0.9}+(41.6\times 0.8\times 1.5)]\times(\dfrac{1}{0.95\times
0.8})= 250(k W)
\end{aligned}$
상기식에서 $PE_{1}$∼$PE_{3}$ 중 가장 큰값인 250kW로 PCS용량을 산정하였다.
3.3 ESS 배터리 용량산정
ESS 배터리 용량은 식 (4)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계산하였다.
$\begin{aligned}
P_{EB}&=\dfrac{1}{C}\sum_{k=1}^{n}P_{k}t_{k}\circ\dfrac{1}{\eta}\circ\alpha_{h}\\
&=\dfrac{1}{0.8}\times(138.5)\times\dfrac{1}{0.9}\times 1.3 = 250.7(kwh)
\end{aligned}$
상기식에서 소방용 2차전지 용량값은 251kWh로 산정하였다.
3.4 사례연구 및 결과분석
LIB ESS와 대형 유도전동기의 기동특성을 분석하기위해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적정한 ESS용량 산정과 기동방식에 따른 ESS특성을 파악하였다.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은 ETAP(Electrical Transient Analyzer Program)을 사용하였다. 시뮬레이션 회로도를 도시하면 그림 2와 같으며, 전동기 기동 시 국제기준 IEEE 399 표 5에서는 전동기 기동 시 단자전압에서 발생하는 전압강하의 허용범위를 정격전압의 80%로 제한하고 있다. 그림 3은 직입기동으로서 기동중에 단자전압이 54%로 계산되었으며 기동이 끝나는 약 6초 후에는 50% 미만으로 IEEE 399에 제시한 80% 미만이므로
기동에 실패하였다.
Fig. 2. Simulation model for verification of energy storage system capacity design
Fig. 3. Terminal voltage change when starting motor directly from emergency ESS power supply
그림 4Y-△기동의 경우에도 기동 후 전압이 50% 미만 이므로 직입기동과 마찬가지로 기동에 실패하였으며 이는 기동중에 발생하는 급격한 역률저하로 피상전력이
급격히 증가하여 PCS의 공급용량을 초과함으로써 계통전압을 유지할 수 없으므로 전동기의 운전을 계속할 수 없게 되었다.
Fig. 4. Terminal voltage change when starting motor Y-D from emergency ESS power supply
Fig. 5. Terminal voltage change when starting motor inverter from emergency ESS power supply
인버터를 이용한 기동의 경우 그림 5와 같이 기동중에도 비교적 계통전압이 안정되었으며 기동중과 기동후에도 단자전압이 94% 이상을 유지하므로 기동에 성공하였다.
상기 사례연구를 통하여 ESS의 PCS용량산정 시 대용량 모터의 기동에 따른 피상전력의 급격한 증가를 고려하여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EEE 399 제시된 전압 시뮬레이션 결과 표 5와 그림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직입기동과 Y-△기동방식으로 유도전동기 기동의 경우 단자전압이 50% 미만으로서 요구전압인 80%를 만족하지 못하므로
전동기가 기동하지 않았다.
Table 5. Simulation results according to the motor starting method in (13)
Voltage drop location or problem
|
Minimum low
voltage
(% rated)
|
At terminals of starting motor
|
80%
|
All terminals of other motors that must reaccelerate
|
71%
|
AC contactor pick-up (by standard)
(see 9.8, NEMA standards)
|
85%
|
DC contactor pick-up (by standard)
(see 9.8, NEMA standards)
|
80%
|
Contactor hold-in (average of those in use)
|
60~70%
|
Solid-state control devices
|
90%
|
Noticeable light flicker
|
3% Change
|
NOTE-More detailed information is provided in Table 51 of IEEE Std 242-1986
|
그림 5의 경우는 인버터 기동시 약 94%로 요구전압인 80% 이상을 만족하여 전동기가 원활하게 기동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6에 정리하였다.
Table 6. Simulation Results according to the motor starting method
기동방식
|
단자전압(%)
|
기동여부
|
기동전
|
기동중
|
기동후
|
직입기동
|
98
|
54.2
|
48.1
|
불가능
|
Y-△기동
|
98
|
56.3
|
49.4
|
불가능
|
인버터기동
|
98
|
94.5
|
93.49
|
가 능
|
4. 결 론
사례연구에서와 같이 직입기동과 Y-△기동와 같은 경우 동일용량의 에너지저장장치의 경우 기동이 불가능하였으나 인버터 기동의 경우 기동에 성공하였다.
이는 직입기동과 Y-△기동의 경우 기동시에 발생하는 무효전력으로 인하여 피상전력이 급격히 상승하여 PCS의 공급능력을 상회함으로써 계통이 불안정하게
되어 기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인버터기동의 경우 PCS가 전동기 기동에 필요하는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을 공급함으로써 기동이 가능하였다. 비상전원용 에너지저장장치는 소방부하의 용량뿐만
아니라 대용량 전동기 기동 시 발생하는 계통의 순시전압강하를 고려하여야 한다. 즉 직입기동과 Y-△기동과 같이 기동 시 발생하는 큰 피상전력을 고려하여
PCS의 용량을 산정하거나, 인버터 기동과 같이 계통에 발생하는 순시 전압강하를 저감할 수 있는 기동방식을 채택하여야 한다.
소방용 예비전원장치는 화재시에 소방부하에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하여 화재 초기에 제압하여야 하므로 신뢰성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에너지저장장치의 적절한 용량산정을 위해서는 소방부하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여 화재 시나 비상시에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하여야 한다.
앞으로 소방용 에너지저장장치는 대용량 전동기 기동시 발생하는 계통의 순시 전압강하뿐만 아니라 여러 변수를 고려하여야 함으로 앞으로 이에 대한 연구를
기대해 본다.
References
Korea Academy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Technical Guidelines for Capacity Estimation
ESS etc, http://www.kea.kr/front/shop/item.php?it_id=1530168935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 The ESS can be used as an Emergency Power
Source, http://www.motie.go.kr/motie/ne/presse/press2/bbs/bbsView.do?bbs_cd_n=81&bbs_seq_n=158016.
Lee J. G., Shin J. H., Choy Y. D., Nam S. C., KIM T. M., 2009, A Study on the Method
to Evaluated Minimum Capacity of Energy Storage System,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Vol. 23, No. 10, pp. 52-58
Gu B. H., Cha J. M., 2013, The Calculation of ESS Capacity by Using the Battery Characteristics,
Proc. of Korea Academy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pp. 274-276
Choi Y. S., 2018, A Study on the Economic Analysis by Estimat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and ESS Capacity, Proc. of Korea Academy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pp. 21-34
Kim Y. S., 2014, Energy Storage System, Infothebook, Vol. 1, pp. 85-115
Kim J. G., Park Y. J., Kim I. J., Kim Y. K., 2011, Characteristics Analysis of Induction
Generator with a Change in Rotor Speed, Korea Academy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60, No. 12, pp. 2225-2229
Kim T. K., An J. Y., 2019, A Study on Starting Characteristic and Improvement for
High Power Motor with Tunnel Boring Machine,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8, No. 1, pp. 44-51
No H. G., 2006, Economic Analysis of squirrel cage induction motor starter, M.Sc.
Thesis, Department Electrical Engineering, Anyang Univ
Kim J. S., Oh Y. S., Cho G. J., Kim M. S., Kim C. H., Funabashi Toshihisa, 2018, Study
on the estimation method of minimum ESS capacity considering frequency and voltage
protection, The Institution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 Vol. 2018, No. 15, pp.
1186-1189
Li Rui, Wang Ziyi, Tang Qi, Wang Wei, 2016, Research on Capacity Value Estimation
for Hybrid Power Generation System based on WT/PV/ESS Considering Operation Strategy,
China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icity Distribution, Vol. 22, No. 1, pp. 1085-1096
Lee N. E., Kim W. W., Shin J. H., Kim J. O., 2014, Optimal SOC Limit Estimation of
ESS Considering Renewable Energy Source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Science, Electronics and Electrical Engineering, Vol. 10, No. 12, pp. 689-699
IEEE , 2014, Std399-1997 Recommended Practice for Industiral and Commercial Power
Systems Analysis, https://ieeexplore.ieee.org/iel4
Lee H. W., 2009, Solar Power Generation for Low-Carbon and Green Growth, Kidari, 1$^{st}$Ed,
pp. 83
Biography
She received M.S. degrees from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in 2012.
Since 2014, she has been working on her Ph.D. in Electrical Engineering at Soongsil
University.
She is now an engineer of Seon-in engineering & consultant.
He received B.S. degree from Soongsil University, Seoul, Korea, in 1979 and his M.S.
and Ph.D. degree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in 1983 and 1987, respectively,
all in Electrical Engineering.
Since 1988, he is now a professor of electrical engineering of Soongsil University.
He is an honorary president of KII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