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ISO Journal TitleJ Korean Inst. IIIum. Electr. Install. Eng.

  1.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Solid-State Lighting Engineering, Ph. D Cadidate)
  2.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Solid-State Lighting Engineering, Ph. D Cadidate)



LED lighting, S/P ratio, CRI, Mesopic vision, Pupil lumen

1. 서 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야간조명 선택에서 중요한 평가 파라미터는 발광효율, 휘도, 그리고 S/P ratio이다(1). 야간조명용 광원 중 RGB(Y) Multi-chip LED는 S/P ratio가 높으나, 연색지수(이하, CRI)와 휘도가 낮은 단점이 있다(2). 반면에 형광체형 LED는 Multi-chip LED보다 S/P ratio가 낮으나, CRI, 휘도 및 발광효율이 높기 때문에 야간도로조명에 많이 사용된다(3-4). IES와 CIE에서는 야간조명 평가 파라미터인 S/P ratio를 제시하고, IES TM-30-15 라이브러리를 통해 상관색온도(이하, CCT)와 야간조명 종류별 S/P ratio를 제시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한 그림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CCT 증가에 따라 S/P ratio도 증가한다(1). 그러나 최근 도로 상에서의 안전 의식이 커지고 편의시설 및 도시 미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CRI를 함께 설정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3,5). 특히 $R_{9}$가 클수록 적색에 대한 색차를 줄일 수 있으므로, LED의 경우 특수연색지수가 개선되어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6). 또한 국내 사용자가 오랫동안 익숙한 CCT 5,000 K를 선호한다는 연구결과(7)와 국내외 문헌조사를 통해 국내 도시공간의 CCT를 4,000 K와 5,000 K로 설정하도록 제안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야간조명에 5,000 K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5).

Fig. 1. S/P ratios according to CCTs(1)
../../Resources/kiiee/JIEIE.2020.34.10.001/fig1.png

영국표준협회(British Standard Institution)는 야간조명의 등급과 설치기준(주변휘도, 교통량에 따른 적용 기준과 방법)을 BS 5489-1에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표 1과 같이 LED의 CRI($R_{a}$) 적용 기준이 ‘60 이상’이면 허용되기 때문에, 일부 LED에서 $R_{9}$∼$R_{14}$가 낮아져서 원색을 띠는 물체를 구분하는 인지능력이 떨어진다(8). 따라서 야간도로조명을 평가함에 있어 발광효율, 휘도 및 S/P ratio뿐만 아니라 CRI를 포함하는 연색특성(color fidelity(이하 $R_{f}$), color gamut(이하 $R_{g}$), color quality scale(이하 $Q_{a}$))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통상적으로 S/P ratio와 CRI($R_{a}$)는 Trade-off 관계가 있기 때문에 동시에 개선하기는 어려우나, 스펙트럼 조합을 통해 일정 수준 이상으로 개선하는 것은 가능하다(2,9). 본 연구에서는, 이전 연구에서 455 nm 청색 여기 파장과 형광체 스펙트럼 조합 시뮬레이션을 통해 CCT 5,000 K에서 S/P ratio와 CRI($R_{1}$∼$R_{14}$), $R_{f}$, $R_{g}$를 동시에 개선하는 최적화 방법을 제시하였으며(9), 이를 통해 최적화한 LED module을 제작하고 측정 결과를 야간조명 효율 계산방법인 Pupil Lumen으로 계산(8)하여 BS 5489-1 기준과 비교하였다.

Table 1. Lighting classes of comparable levels and variations of maintained lighting level with S/P ratio of light sources(8)

Lighting class

Benchmark

(e.g. $R_{a}$ < 60 or when S/P ratio of light source is not known or specified)

S/P ratio=1.2 and $R_{a}$ ≥ 60 (e.g. some types of warm white lamp such as metal hailed)

S/P ratio=2 and $R_{a}$ ≥ 60

(e.g. some types of cool white compact fluorescent or LED)

$\overline{E}$

$E_{\min}$

$\overline{E}$

$E_{\min}$

$\overline{E}$

$E_{\min}$

S1 or P1

15.0

3.0

13.4

2.7

12.3

2.5

S2 or P2

10.0

2.0

8.6

1.7

7.7

1.5

S3 or P3

7.5

1.5

6.3

1.3

5.5

1.1

S4 or P4

5.0

1.0

4.0

0.8

3.4

0.7

2. 시뮬레이션 결과와 야간조명효율

2.1 시뮬레이션 결과 (9)

이전 연구에서 도출된 최적화된 형광체형 LED는 455 nm 청색 LED를 여기 파장으로 하고, 형광체 2종에서 7종의 조합으로 구성하였다(9). 청색 LED와 형광체 2종 조합(λP1=510 nm, λP6=630 nm)은 S/P ratio>2.13, LER>292 lm/W, $R_{a}$>97, $R_{9}$>90, $R_{9∼14}$ >92, $R_{f}$>91, $R_{g}$>100이고, 형광체 3종 조합(λP2=521 nm, λP4=583 nm, λP6=630 nm)은 S/P ratio>2.13, LER>295 lm/W, $R_{a}$>97, $R_{9}$>90, $R_{9∼14}$>92, $R_{f}$>91, $R_{g}$>100이며, 형광체 4종 조합(λP2=521 nm, λP4=583 nm, λP6=630 nm, λP7=650 nm)은 S/P ratio>2.17, LER>297 lm/W, $R_{a}$>96, $R_{9}$>90, $R_{9∼14}$>96, $R_{f}$>89, $R_{g}$>98이다(9). 형광체 2종 조합의 S/P ratio, CRI, 연색특성($Q_{a}$, $R_{f}$, $R_{g}$)이 형광체 3종 또는 4종 조합의 결과와 크게 차이가 없어서 형광체 2종 조합을 선택하였으며 LED package 제작업체에 의뢰하여 제작하였다. 시뮬레이션결과와 LED package 측정결과 오차는 최대 3% 이내이며, 대표 특성 값을 표. 2에 나타내었다.

Table 2. Characteristics of 5,000 K LED

CCT

(K)

S/P ratio

$R_{a}$

$Q_{a}$

$R_{9∼14}$

$R_{f}$

$R_{g}$

Simulation

5,027

2.19

97

96

93

91

100

5,000 K LED

5,043

2.22

96

95

94

91

98

2.2 Pupil Lumen을 활용한 야간조명효율 계산

사람 눈은 시감세포에 따라 반응하는 스펙트럼 특성이 달라진다. 즉 밝은 곳에서는 555 nm, 어두운 곳에서는 507 nm의 빛을 가장 밝게 느낀다. 따라서 어두운 곳에서는 S/P ratio가 높은 조명 아래에서 사물이 더 밝게 보인다. 이러한 특성을 표준화한 것이 Pupil Lumen이고, 다음 식 (1)과 같이 계산된다(10).

(1)
$$Pupil \enspace Lumen=P_{L}\times(\dfrac{S_{L}}{P_{L}})^{0.78}$$

3. CCT 5,000 K LED module 측정 및 Pupil Lumen 비교

3.1 CCT 5,000 K LED module 측정 결과

상기 2.1의 결과(9)를 바탕으로 최적화된 LED package를 제작하였으며, 이 5,000 K LED package 10개를 사용하여 도로공사용 LED module을 제작하였다. 그림 2는 최종 제작된 LED module이다.

Fig. 2. Fabricated LED module of CCT 5,000 K optimized with S/P ratio and CRI($R_{1}$~$R_{14}$) simultaneously.
../../Resources/kiiee/JIEIE.2020.34.10.001/fig2.png

한국도로공사 표준을 만족하는, 현재 고속도로에 설치되고 있는 'S'사의 5,000 K 가로등용 LED module과 제작된 LED module을 적분구시스템에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 그림 3이다. (a)는 최적화된 LED package의 시뮬레이션 스펙트럼과 제작된 5,000 K LED module 및 비교 샘플로 사용된 시판 중인 5,000 K LED package를 측정한 스펙트럼이며, (b)는 제작된 LED module과 비교 샘플인 LED package를 측정한 연색특성($R_{1}$∼$R_{14}$, $Q_{a}$)이다. 시판 중인 비교 샘플은 발광효율 160 lm/W, S/P ratio 1.91이고 $R_{1∼14}$ 66, $R_{9}$ 3이다. 제작된 5,000 K LED module은 발광효율 140 lm/W, S/P ratio 2.22이고, $R_{1∼14}$ 95이다. 여기서 제작된 LED module은 발광효율이 감소하였으나 연색특성이 전반적으로 향상되었다.

Fig. 3. Comparison of simulation and results of measurements of fabricated or on-sale LED packages
../../Resources/kiiee/JIEIE.2020.34.10.001/fig3.png

3.2 Pupil Lumen을 이용한 S1 or P1 class 비교

제작된 CCT 5,000 K LED module을 배광측정기에 설치하여 배광파일을 측정하였으며, 이 배광파일을 이용하여 BS 5489-1:2013 기준에 따른 도로조명 등급을 시뮬레이션 하였다. 시뮬레이션은 Relux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설치높이 6m, 등주 간격 30 m, 보수율 0.75를 적용하여 S1 or P1 Class 기준(8)으로 노면조도를 예측하였다. BS 기준은 평균조도, 최소조도, 최소전광선속이다. 따라서 S/P ratio 2.0인 LED와 동일한 조건으로 제작된 LED module을 계산하였다. 표 3은 BS기준과 제작된 LED module의 예측 결과를 비교한 것이다. S/P ratio 2.0 LED 조도기준을 만족하는 조건은 40 W, 5,600 lm이다. 이때 Pupil Lumen은 S/P ratio 2.0 LED에서 8,736 lm이고, 5,000 K LED 시뮬레이션은 9,566 lm이며, 제작된 5,000 K LED module은 9,697 lm이다.

Table 3. Comparison of British standard (8) and the estimated values of the fabricated LED module

항목

$\overline{E}$

$E_{\min}$

최소 전광선속

(lm)

S/P ratio

Pupil Lumen

(lm)

Benchmark (5)

15

3.0

7,000

-

-

S/P 2.0 LED (5)

12.3

2.5

5,600

2.0

8,736

Simulation LED

12.3

2.5

5,600

2.19

9,566

5000 K LED

12.3

2.5

5,600

2.22

9,697

4. 결 론

야간조명의 주요 평가 파라미터는 발광효율, 휘도, S/P ratio였으나(1), 시인성 개선을 위해 CRI도 포함하도록 요구된다(5-7). 그러나 S/P ratio는 CRI와 Trade-off 관계이므로 동시에 개선하는 데 한계가 있다(2). 시뮬레이션을 통해 455 nm 여기 파장과 형광체 2종에서 7종 조합을 연구하였으며, 형광체 2종 조합이 형광체 3종 또는 4종 조합과 결과에서 큰 차이가 없었다(9). 이를 바탕으로 하여 S/P ratio와 CRI($R_{1}$∼$R_{14}$), 연색특성($Q_{f}$, $R_{f}$, $R_{g}$ 등)을 동시에 개선하는 최적화된 LED package를 455 nm LED와 형광체 2종 조합(λP1=510 nm, λP6=630 nm)으로 제작 의뢰하였다. 최적화 시뮬레이션 결과(9)를 바탕으로 실제 LED 모듈을 제작하였으며, 제작된 LED모듈의 광학특성이 시뮬레이션을 통해 예측된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제작된 LED package로 한국도로공사용 가로등 LED module을 제작하고, “S"사 5,000 K LED module과 함께 적분구시스템으로 측정하여, 광학특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이용하여 BS기준과 Pupil Lumen 성능을 비교하였다. 제작된 LED module은 S/P ratio≥2.22, $R_{a}$≥96, $R_{9∼14}$≥94, $R_{f}$≥90, $R_{g}$≥99, $Q_{a}$≥95, 광효율 140 lm/W로 측정되었다. S1 or P1 Class의 평균조도와 최소조도 기준을 만족하는 BS 4589-1의 S/P ratio 2.0 LED조명의 소비전력, 전광선속, Pupil Lumen은 각각 40 W, 5,600 lm, 8,736 lm이다. 제작된 CCT 5,000 K LED module을 40 W 조명으로 제작하면, 전광선속 5,600 lm, Pupil Lumen 9,697 lm으로, 동일한 소비전력과 전광선속에서 Pupil Lumen이 10 % 향상되며 현재 제시된 표준들과 비교했을 때도 높은 수준의 특성을 보였다.

Acknowledgements

이 논문은 한국조명ㆍ전기설비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에서 발표하고 우수추천논문으로 선정된 논문이며, 유휴ㆍ저활용장비이전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은 장비를 활용하여 수행되었음. 이 연구는 2020년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후속연구지원)(과제 : NRF-2020R1I1A3A04037827) 과제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음.

References

1 
2012, Spectral effects of lighting on visual performance at mesopic lighting levels, IES TM-12-12Google Search
2 
Kim Jong-Oh, Jo Hyeong-Seob, Ryu Uh-Chan, 2017, A study on changes of the S/P ratio and CRI based on the wavelength spectra of RGB 3-chip LED lightings, Journal of KIIEE, Vol. 31, No. 2, pp. 17-25Google Search
3 
2013, S/P ratios and mesopic vision, Technical Statement of Lighting Industry Association, LIA TS-24:2013, No. 1Google Search
4 
Choi Hyeon-Seok, Yoo Seong-Sik, Kim Hoon, 2012, The comparison of mesopic vision luminance for lamp variation, Proceedings of KIIEE Annual Conference, pp. 199-200Google Search
5 
Yang Jung Soon, 2018, A study on design direction of color temperature of LED lighting environment in urban space, Journal of KSBDA, Vol. 19, No. 5, pp. 475-486Google Search
6 
Yang Il, Kim Sung-Joong, Shin Kyung-Ho, Cho. Mee-Ryoung, Yeo In-Seon, 2017, Study on improvement of CRI and $R_{9}$ by mixing monochromatic (R, G, B, A) and white LED, Proceedings of KIIEE Annual conferenceGoogle Search
7 
Park Hyensou, Lee Chan-su, 2018, Psychophysiological responses of passengers to the illuminance and color temperature of lighting for different in-vehicle activities, Journal of KIIEE, Vol. 32, No. 1, pp. 9-16Google Search
8 
2013, Code of practice for the design of road lighting, Part 1: Lighting of roads and public amenity areas, BS 5489-1:2013, BSI Standards PublicationGoogle Search
9 
Kim Jong-Oh, Jo. Hyeong-Seob, Ryu Uh-Chan, 2019, Simulation of S/P ratio changes by combination of 455nm LED and phosphor spectra, Journal of KIIEE, Vol. 33, No. 11, pp. 1-10Google Search
10 
Berman S. M., 1992, Energy efficiency consequences of scotopic sensitivity, Journal of the Illuminating Engineering Society, Vol. 21, No. 1, pp. 3-14DOI

Biography

Jong-Oh Kim
../../Resources/kiiee/JIEIE.2020.34.10.001/au1.png

He received the B.S. degree in the health service management from Daegu Haany University, Daegu, Korea in 2010 and the M.S. degree in the specialized graduate school of science and technology convergence from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in 2017.

Since March 2017, he is a Ph.D candidate in the school of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LED and solid state lighting engineering from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Hyeong-Seob Jo
../../Resources/kiiee/JIEIE.2020.34.10.001/au2.png

He received the B.S. degree in the electronic engineering from Chosun University, Gwangju, Korea in 2015 and the M.S. degree in the specialized graduate school of science and technology convergence from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in August 2017.

Since September 2017, he is a Ph.D candidate in the school of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LED and solid state lighting engineering from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Uh-Chan Ryu
../../Resources/kiiee/JIEIE.2020.34.10.001/au3.png

He received the B.S. and M.S. degrees in the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in 1997 and 1999, respectively, and the Ph.D. degree in the schoo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from Gwangju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Gwangju, Korea.

He received the B.S. and M.S. degrees in the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in 1997 and 1999, respectively, and the Ph.D. degree in the schoo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from Gwangju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Gwangju,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