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중균
(Joong Kyun Kim)
†iD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Engineers(KIIEE)
Key words
Balmer series hydrogen atomic line, Pin to plate discharge, Saline solution, Stark broadening
1. 서 론
기체 방전 현상은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 활용되는 것 이외에도 바이러스나 박테이아의 살균이나 오염수처리 등에 활용될 수 있다(1,2). 오염수처리나 의학 장비의 세정 또는 혈액응고용 의료처치 및 박테리아의 살균 등의 바이오 분야에서는 기체 방전에 비해 액체 방전의 적용 가능성이
높다(3). 바이오 분야나 인체에 직접적으로 액체방전 장치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생체조직이나 세포의 손상을 고려해야 하며(4), 이 경우 액체 방전장치의 물성을 변화시키기 위한 주요 변수들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5). 인체에 직접 적용하는 방전장치의 경우 생체조직을 손상시키지 않기 위해 평균적으로 낮은 온도의 유지가 필요하고 순간적으로 높은 열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그 지속 시간을 짧게 유지해야 한다.
액체 매질의 방전은 온도 구배와 시간적 변화가 커서 그 물성의 특성을 파악하기 어렵고 물성 측정방법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액체 방전 중 발생하는 광방출 특성을 이용하여 펄스 전압이 인가된 염류용액 방전의 방전부 온도와 방전 특성을 이해함에 있어 출발점이 되는 전자 밀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시도하여 액체 방전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2. 본 론
본 연구에 사용된 액체 방전 장치는 그림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액체 매질 방전부와 방출광의 측정을 위한 광학부 및 단색화 장치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인체 내의 체액과 같은 성분인,
단위 부피 당 질량이 0.9\%인 염류용액(saline solution/salt water, 0.9 % weight per volume NaCl solution)을
사용하였으며 방전 중 발생하는 화학적 반응을 억제하고자 테플론 재질의 용기를 사용하였다.
염류용액의 방전을 유도하기 위해 인가한 양 또는 음의 펄스는 5%의 듀티비를 가지도록 고정하였으며 방전 물성 조절을 위해 1, 500, 1K [Ω]의
저항을 각각 직렬로 연결하여 중요 방전부의 온도와 전자의 밀도가 변화하는 범위를 측정하였다. 방전 전극은 방전 발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500 [㎛]
직경을 가지는 텅스텐 침을 사용하고 대향 전극은 평판형으로 구성하였다. 침대평판형 전극 (pin to plate electrodes)을 사용하는 경우
주요 방전부가 침전극 부근에서 형성되는데 방전의 영역이 매우 작으므로 방전물성을 변화시킬 가능성이 매우 높은 Langmuir Probe와 같은 측정법은
부적절하고 방출광을 측정하여 간접적인 측정법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Fig. 1. Experiment schematics for observing electrical characteristics and optical emission spectroscopy of saline discharge
저항은 전원부와 침전극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었으며 방전 중 방출되는 광은 수광렌즈로 집속되어 광섬유를 통해 단색화 장치 (monochromator,
Acton Spectropro SP2750, Princeton Instrument, USA)로 입사된다. 입사된 광은 회절격자에 의해 분광되고, 그
스펙트럼은 전하결합소자 (CCD / Charge Coupled Device, PIXIS, Princeton Instrument, USA)를 통해 분석하였다.
2.1 염류용액 방전의 전기적 특성
액체방전은 구동전압 인가 시 전극 근처에서의 강한 전기장이 발생하여 기포가 발생하는 초기 단계와 유전율이 상대적으로 작은 기포 내부에서 큰 전압강하에
의해 기포 근방의 액체 분자가 해리되고 전자가 증식되는 강한 방전 단계로 나누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Fig. 2. Circuit current variation w/o and w. Resistor of 1K[Ω]: (a) positive and (b) negative polarity of discharge pulse was applied to pin electrode
있다(6,7). 그러므로 매 회 구동 펄스가 인가될 때 형성되는 기포의 위치와 크기에 따라 방전의 강도 및 형성 시간이 변화하게 되고, 또 방전의 물성을 실험적으로
측정하는 것을 어렵게 만드는 원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방전의 특성이 어느 정도의 범위에서 무작위로 나타난다고 가정하여 실험적인 측정값을 얻기 위해 평균값 (256회)을 취하여 전압과 전류
파형을 취하고 긴 노출 시간을 통해 방출광의 평균값을 측정하였다.
그림 2의 전측정된 측정파형을 보면, 저항이 없는 경우의 방전은 (각 그래프의 하부) 강한 방전이 형성된 후에도 작은 방전이 수 회 반복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저항을 연결한 경우에는 방전 전류가 제한됨으로써 방전의 강도는 작아지지만 길게 지속되는 방전 형태로 바뀌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Table 1. Stable Discharge Range according to the Pulse Voltage Level of the Pin Electrode
|
극성
|
양의 펄스
|
음의 펄스
|
저항[Ω]
|
|
0
|
430∼490 [V]
|
200∼260 [V]
|
500
|
470∼530 [V]
|
250∼310 [V]
|
1K
|
510∼570 [V]
|
360∼420 [V]
|
방전 매질에 관계 없이 방전 전압과 방전 전류의 형성 시간은 음극 물질의 이차전자 방출 특성에 크게 영향을 받게 되는데, 침대평판형 액체방전 구조에서는
침전극에 음의 펄스가 인가하는 것이 낮은 구동전압을 얻을 수 있다(8). 표 1은 전원부 전단에 연결된 저항값을 0, 500, 1K [Ω]으로 조절하면서 침전극에 인가하는 펄스 전압의 극성을 변화시킬 경우, 본 연구에 사용한
실험장치에서 기포발생 단계를 지나서 광방출이 일어나는 안정적인 방전이 가능한 전압영역을 나타낸 것이다. 침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의 극성에 관계 없이
전원부 전단에 저항을 연결하면 방전전압은 증가하는데 방전의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방출광 관찰 조건은 표 1에 정리된 전압영역으로 하였다.
2.2 염류용액 방전의 온도 특성
그림 3은 150 [grooves/mm]의 회절격자 (grating)를 사용하여 측정한 염류용액 방전에서 방출되는 광을 측정한 것이다. 방전에서의 발생하는
주된 방출광의 파장은 그림에 표시된 것과 같이 310 [nm] 근처의 OH 분자선 (hydroxyl molecular lines), 468.13 [nm]
근처의 수소 발머 계열의 Hβ선, 그리고 589 [nm] 근처의 Na 원자선(atomic spectral line)이었다. 이 중에서 310 [nm]
근처에서 관찰되는 수산화기 분자선은 수산화기 라디칼(OH radical)의 회전온도(rotational temperature)에 사용하였다.
Fig. 3. Observed optical emission from negative-going pulse discharge
입자 회전 에너지의 증감은 전자들 간 또는 전자와 분자들 간의 충돌로 발생하는데, 비교적 높은 압력의 방전인 경우의 충돌주파수는 대단히 높아 회전-회전
에너지 간 또는 회전-병진에너지 간의 에너지 전달이 매우 활발하다. 즉, 압력이 높은 경우 자유전자로부터의 에너지나 진동 에너지가 회전 에너지나 병진
에너지로 분산되어 평형을 이루게 되므로 회전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면 방전 매질의 온도를 근사적으로 알 수 있다(9).
분자의 경우에는 원자에 비해 에너지 준위가 복잡하여 각 에너지 준위간의 천이에서 방출되는 스펙트럼이 매우 복잡하지만, 에너지 준위 간의 천이 확률은
온도의 함수이기 때문에 주요 에너지 준위 간의 천이에서 방출되는 방출광의 비율을 계산함으로써 분자의 온도를 예측하는 방법은 잘 알려져 있다. 또한
방전 중에서 방출되는 광의 절대값은 동일한 실험장비에서도 매 회 다르게 측정되는데, 절대값이 아닌 여러 방출광 강도의 비율을 이용한 측정은 많은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림 4는 전원부 전단에 저항을 연결하지 않은 경우와 1K[Ω]의 저항을 연결한 경우, 침전극에 음의 펄스를 인가하여 방전시키면서 2400 [grooves/mm]의
회절격자를 사용하여 얻은 308 [nm] 근처의 수산화기 분자선 방출광을 예시한 것이다. 방출되는 분자선은 매우 복잡하고 저항이나 방전의 전압에 따라
크기가 달라지지만 주요한 방출광의 파장은 일정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림에서 방출광은 전압별로 옵셋(offset)을 달리하여 보기 쉽게 도시한 것으로
본 연구에서 그 절대값은 의미가 없으며 상대값이 중요하다.
Fig. 4. OH molecular line spectrum w/o and w. resistor of 1K[Ω] (applied negative-going pulse to pin electrode)
수산화기 분자선 방출광을 이용하여 온도를 구하는 문제는 이미 이론적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상용 프로그램으로도 손쉽게 그 값을 구할 수 있다(8). 본 연구에서는 OH 분자의 [$A^{2}\Sigma ,\: v=0\to X^{2}\Pi ,\: v’=0$] 천이에 의한 방출 스팩트럼을 이용하여
온도를 구하는 상용 프로그램인 LIFBASE를 사용했다(10).
분자선 방출 파장 간의 비율을 통해 온도를 모사하는 경우, 실험적으로 얻어진 스펙트럼의 파장 별 감도에 대한 보정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LIFBASE를
이용한 온도 모사 전에, 측정된 방출광에서 염류용액을 담은 테플론 용기와 측정장비의 파장별 양자효율을 고려한 보정을 실시하여 방출광의 파장별 실제값을
구하였다(8).
그림 5은 저항이 없이 침전극에 음의 펄스를 인가한 방전에서 얻어진 수산화기 분자선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온도를 모사한 결과를 예시한 것이다.
Fig. 5. Observed(dotted line) and simulated(solid line) OH molecular line spectrum w/o resistor (applied negative- going pulse to pin electrode)
침전극에 가해지는 펄스의 극성, 방전 전압, 전원 전단부의 저항을 변화시키며 얻어진 방출광에 대해 이 과정을 반복하면 그림 7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Fig. 6. Change in the medium temperature in the vicinity of discharge area with the variation of pulse polarity, discharge voltage, and the series resistor
결과에서 주목할만한 것은 침전극에 음의 펄스가 가해진 경우에는 전원 전단부에 저항을 연결함으로써 방전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양의 펄스가
인가되는 경우에는 온도의 변화가 용이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검토한 저항 변화 범위에서는 약 15% 정도의 온도 변화가 가능하며 저항의
삽입은 온도를 낮추는 효과를 준다.
2.3 염류용액 방전의 전자 밀도 특성
방전으로부터 얻어진 방출광은 한 에너지 준위에서 다른 에너지 준위로의 천이에 의해서 나타나므로 에너지 준위를 정확하게 알면 그 파장은 정확히 계산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관찰되는 스펙트럼은 한 파장에서만 선 형태로 관찰되는 것이 아니고 광이 방출되는 환경을 반영하여 확장 (broadening)
되어 나타나게 된다(11-12). 관찰된 스펙트럼에 나타나는 확장 현상에는 자연적인 선 확장 (Natural line broadening), 도플러 확장 (Doppler broadening),
스타크 확장 (Stark broadening) 등이 있다. 자연적인 선 확장은 여기종들의 유한한 수명에 기인하며 로렌쯔 형태 (Lorentz profile)를
가지지만 상용의 플라즈마에서는 항상 무시할 수 있는 요소이다. 그리고 도플러 확장은 (입자의 운동속도/광속)에 비례하여 가우스 형태 (Gauss profile)로
나타나므로 본 연구에서는 무시할만한 값이다. 스타크 확장은 입자의 밀도에 영향을 받아 나타나게 되는데 이온에 비해 상대적으로 속도가 큰 전자의 경우에서
교란을 받는 주파수 (perturbed frequency)가 크므로 주로 전자의 상태를 유추하는데 활용된다(11). 수소 원자선에서 주양자수가 2인 준위로 천이하면서 방출되는 발머 계열의 광은 가시광 영역에 존재하여 광학적 측정에 많이 활용되는데 천이 전 전자의
주양자수가 3, 4, 5인 경우를 각각 Hα, Hβ, Hγ 선이라고 하며 이들을 이용한 전자의 밀도의 측정은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Hβ 선의 스타크 확장을 이용하여 전자의 밀도를 유추하였는데 로렌쯔 형태로 나타나며 전자의 밀도가 $10^{18}[/cm^{3}]$ 이하의 플라즈마에서
적용되는 경우 계산에서 발생하는 오차는 5% 이하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스타크 확장을 이용하여 전자의 밀도를 측정할 때 실험적으로 얻어진 스펙트럼의 처리와 관련하여 주의할 점은, 얻어진 스펙트럼이 위에서 제시된 이론적인
확장만을 포함한 것이 아니라 실험장치의 구성 요소들이 미치는 기기 확장 (instrumental broadening)이 존재하며 이 값은 전자의 밀도와
무관한 값이므로 이를 제외한 값을 스타크 확장 값으로 취급해야 한다는 것이다.
Fig. 7. An example of fitted Voigt profile (solid line) to observed Hβ Line (dots), and Instrumental broadening
Fig. 8. Change in spectrum near 468[nm] w/o and w. resistor of 1K[Ω] (applied negative- going pulse to pin electrode)
본 연구에서는 그림 7에서와 같이 확장폭이 0.0001 [nm] 이하인 레이져 (DL-488-020-S, CrystaLaser, USA)를 사용하여 기기 확장값을 0.0636
[nm]로 결정하였다. 구해진 기기 확장에 의한 가우스 형태의 반치폭 (FWHM, Full Width at Half Maximum) $\alpha_{1/2,\:i
n st}[nm]$과 함께 그림 8에서와 같이 구동 조건을 변화시키며 얻은 Hβ 방출광의 로렌쯔 근사 (Lorentz Fit)로 구한 반치폭 $\alpha_{1/2}[nm]$을 이용하면
도플러 확장을 무시한 경우 전자의 밀도를 아래와 같이 계산할 수 있다(13).
Fig. 9. Change in the electron density with the variation of pulse polarity, discharge voltage, and the series resistor
스타크 확장으로부터 구한 전자의 밀도 그래프 그림 9로부터 액체 방전의 방전부에 존재하는 전자의 밀도는 침전극에 음의 펄스를 인가한 경우 $2.7\times 10^{16}\sim 4.1\times 10^{16}[/cm^{3}]$
정도임을 알 수 있다. 침전극에 음의 펄스를 인가하는 경우에는 양의 펄스를 인가한 경우에 비해 전자의 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전원부 전단에 저항을
연결하면 본 연구에 사용한 조건에서는 약 20 %정도의 전자의 밀도 변화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3. 결 론
본 연구에서는 단위 부피 당 질량이 0.9 % 인 염류용액에 5 % 듀티비를 가지는 구형파를 인가한 침대평판 방전(pin to plate discharge)에서
전원부 전단에 저항을 연결한 경우 나타나는 액체 방전의 구동 특성 변화를 살펴보았다. 침전극에 인가되는 펄스의 극성에 관계 없이 저항이 없는 경우에는
인가된 하나의 펄스에 복수의 방전이 발생하였지만 직렬 연결한 저항으로 강한 방전전류를 제한한 경우, 약하지만 연속적인 방전으로 변화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수산화기의 분자선 방출로부터 강한 방전부의 온도는 본 연구의 조전에서는 $2700\sim 3700[K]$로 관찰되었는데 침전극에 음의
펄스를 인가한 경우에는 저항을 연결하면 강한 방전부의 온도를 15 % 정도 감소시킬 수 있었지만, 양의 펄스를 인가한 경우에는 온도 변화가 용이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수소 발머계열인 Hβ선의 스타크 확장을 관찰한 결과 전자의 밀도는 $1.3\times 10^{16}\sim 4.1\times 10^{16}[/cm^{3}]$
정도임을 알 수 있으며 침전극에 인가되는 펄스의 극성에 관계 없이 저항값이 증가함에 따라 전자의 밀도는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침전극에 양의
펄스를 인가한 경우 전자의 밀도에는 변화가 있지만 온도의 변화가 크지 않은데, 이는 방전 체적 변화와 함께 고려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 사용한 기법은 전자밀도나 온도의 최대값을 측정하는데, 에너지를 받은 전자의 밀도가 높아지더라도 더 넓은 영역에 에너지를 전달하면 분자의
평균 온도의 변화는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액체 방전을 급속한 혈액응고나 살균 등의 생체에 적용하는 경우, 온도와 같은 생체에 민감한 변수를 변화시키기 위한 방안 중의 하나로 전원부
전단에 저항을 인가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펄스 전압으로 구동하는 침대평판형 방전을 생체조직이나 세포에 적용 할 때, 전원부
전단에 삽입된 저항은 방전을 안정화시키고 방전 특성의 변화폭을 넓힐 수 있는 방법의 하나로 고려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cknowledgements
This study was supported by the Research Program funded by the SeoulTech(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References
Shin B. J., Park S. S., 2009, Studies on High Speed Addressing Driving Scheme using
the Priming Effect in Plasma Display Panel, Journal of KIIEE, Vol. 23, No. 2, pp.
45-52
World Health Organization , Water, sanitation, hygiene, and waste management for the
COVID-19 virus, https://apps.who.int/iris/handle/10665/331305(Accessed5 Oct. 2020)
Fatemeh Rezaei, 2019, Applications of Plasma-Liquid Systems: A Review, Materials,
Vol. 12, pp. 2751
Kaushik N. K., 2019, Biological and medical applications of plasma-activated media,
water and solutions, Biological Chem, Vol. 400, No. 1, pp. 39-62
Mo S., 2020, Effect of bubble flow on partial discharge under non-uniform AC electric
fields in FC-72, IEEE Tr. on Dielec. and Elec. Insulation, Vol. 27, No. 4, pp. 1059-1067
Hsieh K. C., 2017, Analysis of hydroxyl radical formation in a gas-liquid electrical
discharge plasma reactor utilizing liquid and gaseous radical scavengers, Plas. Pro.
and Poly, Vol. 14, No. 8, pp. 1600171
Kanazawa S., 2011, Observation of OH radicals produced by pulsed discharges on the
surface of a liquid, J. Plasma Sources Sci. Tech., Vol. 20, pp. 034010
Kim J. K., 2016, Study on the Temperature Measurement Using Optical Emission in Saline
Solution Discharge with Pin to Plate Electrodes, Journal of KIIEE, Vol. 30, No. 1,
pp. 66-71
Izarra C. de., 2000, UV OH Spectrum used as a Molecular Pyrometer, J. Phys. D: Appl.
Phys, Vol. 30, pp. 1697-1704
Luque J., Crosley D. R., 1999, LIFBASE: Database and Spectral Simulation Program (Version
1.5), SRI International Report MP 99-009
Griem Hans R.., 1997, Principles of Plasmas Spectroscopy, Cambridge: University Press
Cooper J., 1966, Plasmas Spectroscopy, Institute of Physics and the Physical Society
Ivkovic M., Jovicevic S., Konjevic N., 2004, Low Electron Density Diagnostics: Development
of Optical Emission Spectroscopic Techniques and Some Applications to Microwave Induced
Plasmas, Spectrochimica Acta Part B: Atomic Spectroscopy, Vol. 59, pp. 591-605
Biography
He received the B.S., M.S., and Ph. D degrees in the Dep. of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in 1994, 1996, and 2001, respectively.
Currently, he is a professor at Dept. of Electrical and Information Engineering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