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ISO Journal TitleJ Korean Inst. IIIum. Electr. Install. Eng.

  1.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S.Korea)
  2.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S.Korea)



Offshore wind farm, PSCAD/EMTDC, Power quality, STATCOM, Voltage variation

1. 서 론

제주특별자치도(이하 제주도)에서는 2030년까지 도내 전력수요 100%를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한다는 CFI 2030(Carbon Free Island 2030) 정책을 야심차게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목표 달성을 위해 제주도에서는 2030년까지 4,085MW의 신재생에너지 발전 설비용량이 구축될 예정으로, 2020년 9월 현재 제주도에는 풍력발전 291.6MW, 태양광발전 333.4MW 총 625MW설비용량이 구축되어 운용되고 있다(1). 특히 2020년 9월 제주도로부터 최종사업 승인이 된 제주도 서북쪽한림해상에 100MW 설비 용량을 갖는 한림해상풍력발전단지가 3년에 걸쳐 구축될 예정이다. 계통연계는 풍력발전기에서 육상 종합관리동까지 15.3㎞는 해저케이블, 육상관리동에서 한림변전소까지 4.5㎞는 지중케이블로 연계된다.

2020년 제주지역 평균전력부하가 약 650MW인데 한림해상풍력발전단지 설비용량이 이 값의 15%에 해당되며 한림변전소에 연계되어 운전 시 풍력발전단지 출력변동에 따라 연계점에 전압변동이 유기되어 제주계통의 전압안정도를 떨어뜨릴 수 있을 것으로 예견된다. 뿐만 아니라 풍력발전기에서 최종 한림변전소까지 해저 및 육상 지중케이블 길이가 합계 약 21㎞ 이다. 이것은 페란티효과에 의한 계통연계점에서의 전압상승의 한 요인으로도 볼 수가 있다(2). 산업통상자원부 “전력계통 신뢰도 및 전기품질 유지기준”고시에서는 중부하시(오전08시∼익일오전01시) 전압조정목표를 160±4kV로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계통연계점인 한림변전소에 해상풍력발전단지 출력 변동이 전압변동에 어느 정도 영향을 끼치는지 분석하기 위해 PSCAD/EMTD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컴퓨터 해석을 수행하였다. 컴퓨터 해석을 위해 선로정수는 실제 풍력발전기 및 변전소 별 거리를 통해 π형 선로 등가모델로 하였고, 풍력발전기의 경우는 전류원으로 등가화하여 적용하였다(3). 계통에서의 전압변동은 무효전력 변동에 의해 나타나기 때문에 능동적으로 전압변동에 대응할 수 있는 무효전력보상기인 STATCOM(Static Synchronou -s Compensator)을 계통연계점에 구축하여 운전하도록 모델링하였으며 이 시스템에서는 DC전압 제어와 AC 전압 제어를 수행하도록 하였다(4). 컴퓨터해석에서는 정상상태 운전 시와 출력변동이 심한 풍력발전단지의 탈락과 급속한 계통연계 시에 계통연계점에 연계된 STATCOM 출력응동에 여부에 따른 계통연계점에서의 전압변동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분석하였다.

2. 해상풍력발전단지 모델링

한림해상풍력발전단지의 계획된 용량 및 선로에 대한 파라미터는 표 1과 같다. 해상풍력발전단지는 5.56 MW급 풍력발전기 18기로 모델링 되었으며 해저케이블을 통해 육상 Joint Box로 연결된 후 변전소로 연계된다. 변전소의 경우 상용 변압기 퍼센트 임피던스를 통해 모델링되었다. 100 MW급 풍력발전단지의 출력에 따른 전압 변동을 분석하기 위해 PSCAD/EMTDC 컴퓨터 해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전체 제주계통의 경우 단락비(Short Circuit Ratio, SCR)를 고려하여 등가 임피던스와 전압원으로 등가화하였다(5)(6).

Table 1. Parameters of the offshore wind farm

Parameters

Value

Unit

Wind farm rated power

100.08

MW

33 kV Submarine cable lengths

15.585

km

33 kV Underground cable lengths

0.4

km

160 kV Underground cable lengths

4.5

km

2.1 풍속데이터

풍속데이터는 기상청(Korea Meteorological Admini -stration, KMA) 자동기상관측장비에서 측정된 1분 평균 데이터와 실제 한경면 해상 100m에서 측정된 10분 평균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KMA 데이터의 경우 2019년 한림(33°24'37"N, 126°E16'2", 21m)에서 측정된 풍속데이터를 분석하였으며, 풍향은 고려되지 않았다. 풍속데이터 분석을 통해 분당 풍속이 최대 8m/s로 급변하는 날을 선정 후 식 (1)의 지수법칙에 따라 100m 풍속으로 보정하였다(7). 식 (1)에서 $W_{Z}$는 높이 $H$에서의 보정풍속, $W_{R}$는 높이 $H_{R}$에서 측정된 풍속, $\alpha$는 풍속분포계수이다. 그림 1은 측정된 한경면 해상 풍속(점선)과 지수법칙에 따라 보정된 100m 한림 해상 풍속(실선)에 대한 1440분 동안의 그래프로 이때 $\alpha$는 측정된 해상 풍속과 비교하여 0.27로 선정하였다. 보정된 풍속 데이터를 출력곡선에 대입하여 5.56MW급 풍력발전기 출력 전력을 계산하였으며 풍력발전기별 출력은 모두 동일한 풍력발전기 출력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풍속데이터 중 풍속이 급변하는 구간인 14시에서 14시 45분 사이를 선정하였으며 그림 2와 같이 풍력발전기 출력을 산출하여 컴퓨터 해석에 적용하였다.

(1)
$W_{Z}=W_{R}(\dfrac{H}{H_{R}})^{\alpha}$

Fig. 1. Wind speed (2019.04.09.)
../../Resources/kiiee/JIEIE.2020.34.12.045/fig1.png

Fig. 2. 5.56MW wind turbine output power
../../Resources/kiiee/JIEIE.2020.34.12.045/fig2.png

2.2 풍력발전기 모델

풍력발전기 모델은 그림 3과 같은 전류원으로 등가화 되었고 모델 풍력발전기에 대한 파라미터는 표 2와 같다. 모델 풍력발전기는 5.56MW 영구자석동기발전기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림 4는 모델 풍력발전기에 대한 출력곡선이다.

Fig. 3. Equivalent model of the wind turbine
../../Resources/kiiee/JIEIE.2020.34.12.045/fig3.png

Fig. 4. 5.56MW wind turbine power Curve
../../Resources/kiiee/JIEIE.2020.34.12.045/fig4.png

Table 2. Parameters of 5.56MW wind turbine

Parameters

Value

Unit

Wind turbine rated power

5.50

MW

Wind turbine RMS Voltage

0.69

kV

Transformer rated apparent power

6.50

MVA

Transformer turn ratio

47.82

-

Transformer leakage reactance

0.06

pu

Transformer winding type

Y/Y

-

2.3 지중케이블 모델

풍력발전단지는 교류로 해저케이블과 지중케이블을 통해 계통에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케이블 모델은 그림 5와 같은 π형 등가회로로 모델링되었다. $E_{s}$와 $I_{s}$는 각각 송전단(풍력발전기) 전압과 전류로 설정하였으며, $E_{r}$와 $I_{r}$은 각각 수전단(한림변전소) 전압과 전류로 설정하였다. 여기서, $I_{cs}$는 송전단 측 커패시터에 흐르는 전류 [A], $I_{cr}$는 수전단 측 커패시터에 흐르는 전류, $Y$는 커패시턴스에 대한 어드미턴스 [$mho$], $I$는 저항 및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 [A], $Z$는 저항과 인덕턴스를 포함한 임피던스 [Ω]이다. 등가회로 파라미터는 전부 복소수로 실수부와 허수부로 나누어진다.

Fig. 5. π equivalent model of the transmission line
../../Resources/kiiee/JIEIE.2020.34.12.045/fig5.png

식 (2)는 π형 회로의 수전단 전압과 전류에 대한 행렬식이다(8).

(2)
\begin{align*} \left[\begin{aligned}E_{r}\\I_{r}\end{aligned}\right]=\begin{bmatrix}1+\dfrac{ZY}{2}&-Z\\-Y(1+\dfrac{ZY}{4})& 1+\dfrac{ZY}{2}\end{bmatrix}\left[\begin{aligned}E_{s}\\I_{s}\end{aligned}\right] \end{align*}

그림 6은 π형 등가모델에 대한 벡터도이다. $\theta_{s}$는 송전단 전압과 송전단 전류 사이의 위상각[°], $\theta_{r}$은 수전단 전압과 수전단 전류 사이의 위상각[°]이며 나머지 기호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식 (2)에서 송전단 전압이 일정하므로 $I_{cs}$는 일정하다. 반면, 지중케이블에 흐르는 전류인 $I$ 는 풍력발전기 출력에 따라 변동한다. 따라서 선로에 흐르는 무효전력은 풍력발전기 출력 전력이 적을 경우 진상(Leading), 출력전력이 커질수록 지상(Lagging) 성분이 된다(9). 이는 풍력발전단지 출력이 낮을 경우 커패시턴스 성분에 의한 페란티 현상이 일어날 수 있음을 의미한다.

Fig. 6. π equivalent model vector diagram
../../Resources/kiiee/JIEIE.2020.34.12.045/fig6.png

Table 3. Parameters of the transmission line

Parameters

Value

Unit

270 A

DC Resistance

0.268

Ω/km

Inductance

0.482

mH/km

Capacitance

0.155

μF/km

320 A

DC Resistance

0.193

Ω/km

Inductance

0.458

mH/km

Capacitance

0.170

μF/km

360 A

DC Resistance

0.153

Ω/km

Inductance

0.439

mH/km

Capacitance

0.183

μF/km

650 A

DC Resistance

0.047

Ω/km

Inductance

0.369

mH/km

Capacitance

0.252

μF/km

1,130 A

DC Resistance

0.017

Ω/km

Inductance

1.500

mH/km

Capacitance

0.250

μF/km

PSCAD/EMTDC π형 등가모델은 Nexans 社에서 제공하는 파라미터를 이용하였으며, 선로별 송전 전력을 고려하여 용량에 따라 5가지 케이블로 모델링되었다. 선로별 파라미터는 표 3과 같다. 케이블 전류 용량에 따른 설치 위치는 그림 10에서 보여준다.

2.4 접속점 변압기 모델

접속점 변압기는 PSCAD/EMTDC 라이브러리 변압기 모델을 사용하여 모델링하였다. 그림 7과 같이 풍력발전기 5.5MW × 6 기는 Joint Box로 연계된 후 33/160kV 변압기를 통해 변전소로 송전되며, 변압기에 대한 파라미터는 표 4와 같다.

Fig. 7. Gird connection diagram
../../Resources/kiiee/JIEIE.2020.34.12.045/fig7.png

Table 4. Parameters of transformers

Parameters

Value

Unit

33/160

kV

Rated apparent power

45.0

MVA

Leakage reactance

0.11

pu

Transformer turn ratio

0.206

-

Winding type

Y/Y

-

160/160

kV

Rated apparent power

250

MVA

Leakage reactance

0.145

pu

Transformer turn ratio

1.0

-

Winding type

Y/Y

-

2.5 STATCOM 모델

그림 8은 25MVA STATCOM의 PSACAD/EMTD -C 모델 회로도이다. STATCOM은 한대의 2 Level 인버터로 등가화 되어 설계되었으며 STATCOM 용량의 경우 선로에 따른 무효전력과 전압변동을 고려하여 25MVA로 설계되었다(10-12). 식 (3)은 STAT -COM에서 제어되는 피상전력에 대한 식으로 $S$는 피상전력[VA], $V_{s}$는 계통전압 실효치[V], $V_{c}$는 STAT -COM 공칭전압 실효치[V], $X_{L}$은 리액턴스[Ω], $\theta$는 계통 전압과 STATCOM 출력 전압 사이의 위상각[°]이다. 여기서, 정상상태일 경우 $P = 0$으로 보면 $\theta$ = 0이 되며 식 (4)과 같이 된다. 식 (4)를 통해 무효전력은 계통 전압과 STATCOM 전압 차에 의해 제어가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때 $V_{s}$= 164kV, $V_{c}$ = 161kV, $X_{L}$은 모델링된 송전선로 및 변압기 임피던스를 고려하여 30.16Ω으로 볼 경우 식 (5)과 같이 -21.26Mvar를 보상해야 된다.

Fig. 8. 25MVA STATCOM model
../../Resources/kiiee/JIEIE.2020.34.12.045/fig8.png

(3)
$S = 3\dfrac{V_{s}V_{c}}{X_{L}}\sin\theta - j3(\dfrac{V_{s}V_{c}}{X_{L}}\cos\theta -\dfrac{V_{s}^{2}}{X_{L}})= P-j Q$

(4)
$Q =\dfrac{V_{s}}{X_{L}}(V_{c}-V_{s})$

(5)
\begin{align*} Q =\dfrac{164\times 10^{3}}{30.16}\times(161\times 10^{3}-164\times 10^{3})\\ = -21.75 Mvar \end{align*}

STATCOM 모델은 직류전압제어와 AC 전압제어를 수행하도록 모델링되었다. 식 (6)은 인버터 전압방정식이며 $E_{as}$, $E_{bs}$, $E_{cs}$는 각각 계통 3상 상전압, $L$은 필터 인덕턴스의 총합, $I_{as}$, $I_{bs}$, $I_{cs}$는 각각 계통 3상 상전류, $V_{a}$, $V_{b}$, $V_{c}$는 각각 인버터 3상 상전압을 의미한다. 식 (7)은 Park’s transformation을 통해 변환된 인버터 전압방정식이다. 이때 $V_{de}$는 d축 인버터 전압, $V_{qe}$는 q축 인버터 전압, $E_{de}$는 d축 계통 전압, $E_{qe}$는 q축 계통 전압, $I_{de}$는 d축 전류, $I_{qe}$는 q축 전류이다. 3상 무효전력 Q에 대한 식은 식 (8)에 명시되어 있다. $i_{as}^{*}$, $i_{bs}^{*}$, $i_{cs}^{*}$은 각각 3상 계통 전류의 위상을 –90° 회전시킨 것을 의미한다. 이를 Park’s transformation을 통해 직류분으로 변환할 수 있으며 d축이 무효분이므로 $V_{de}$를 0으로 본다면 식 (9)와 같이 된다. 이에 따른 제어로직은 그림 9와 같다. 그림 9에서 $Q_{ref}$는 무효전력 지령치, $I_{de_{-}ref}$는 d축 전류 지령치, $I_{qe_{-}ref}$는 q축 전류 지령치이다. 제어기에서 PLL(Phase Locked Loop)를 통해 전압 위상각($\theta_{e}$)을 구했으며, d축을 무효분, q축을 유효분으로 설정하였다. $\omega Li_{de}$, $\omega Li_{qe}$는 d축과 q축 사이의 상호 간섭성분으로 전향보상을 수행한다. $L\dfrac{di_{de}}{dt}$와 $L\dfrac{di_{qe}}{dt}$는 PI(Proportional-Integral) 제어기 출력 값이며 $E_{de}$와 $E_{qe}$를 더함으로서 상호 간섭성분을 제거한 전압방정식과 동일하게 된다. 표 5는 모델링된 STATCOM에 대한 파라미터이다.

(6)
\begin{align*} \left[\begin{aligned}\begin{aligned}E_{as}\\E_{bs}\end{aligned}\\E_{cs}\end{aligned}\right]= L\dfrac{d}{dt}\left[\begin{aligned}\begin{aligned}I_{as}\\I_{bs}\end{aligned}\\I_{cs}\end{aligned}\right]+\left[\begin{aligned}\begin{aligned}V_{a}\\V_{b}\end{aligned}\\V_{c}\end{aligned}\right] \end{align*}

(7)
\begin{align*} \left[\begin{aligned}V_{de}\\V_{qe}\end{aligned}\right]=\left[\begin{aligned}E_{de}\\E_{qe}\end{aligned}\right]+\omega L\left[\begin{aligned}i_{qe}\\-i_{de}\end{aligned}\right]-L\dfrac{d}{dt}\left[\begin{aligned}i_{de}\\i_{qe}\end{aligned}\right] \end{align*}

(8)
$Q = V_{a}i_{as}^{*}+V_{b}i_{bs}^{*}+V_{c}i_{cs}^{*}$

(9)
$Q =\dfrac{3}{2}V_{qe}i_{de}$

Fig. 9. STATCOM controller
../../Resources/kiiee/JIEIE.2020.34.12.045/fig9.png

Table 5. Parameters of STATCOM

Parameters

Value

Unit

Rated capacity

25

MVA

DC link voltage

3.2

kV

Output voltage RMS

1

kV

Inverter side inductance($L_{i}$)

0.11

mH

Grid side inductance($L_{g}$)

0.005

mH

Filter capacitance

62

μF

DC link capacitance

5,000

μF

3. PSCAD/EMTDC 컴퓨터 해석

3.1 해상풍력발전단지 모델링

100MW급 해상풍력발전단지 PSCAD/EMTDC 모델은 그림 10과 같다. 앞서 설명한바와 같이 각 송전선로 마다 선로 용량을 고려한 선로정수를 통해 π형 등가모델로 설계하였으며 그림 10에 선로 전류 용량을 명시하였다. STATCOM은 풍력발전단지 출력이 160kV로 연계되는 지점에 연결되었다. 계통의 경우 SCR을 고려한 인덕턴스와 저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용량이 1,300MVA인 전압원이 부하단 전압을 160kV로 유지하도록 모델링되었다. 계통 부하는 2020년 4월 5일에 나타난 최저 부하인 421MW를 고려하여, 160kV, 450MW, 1Mvar로 모델링하였다.

3.2 Case 1 : 해상풍력발전단지 평시 운전

컴퓨터 해석은 다음과 같이 수행한다.

1) 10 sec : 풍력발전단지 투입

2) 19 sec : 컴퓨터 해석 중단

그림 11에서 그림 18은 평시 풍속에 따른 출력 변동을 보이며 그래프 범주 중 붉은색 실선은 STATCOM이 동작하였을 때, 녹색 실선은 STATCOM이 동작하지 않을 때의 컴퓨터 해석 결과이다.

Fig. 10. PSCAD/EMTDC model of 100MW offshore wind farm
../../Resources/kiiee/JIEIE.2020.34.12.045/fig10.png

그림 11은 풍력발전단지 측 모선 유효전력에 대한 그래프이며 풍속 변화에 따라 유효전력이 변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4.4 초에서 14.8 초 동안 최대출력을 발전하며 선로 손실에 의해 풍력발전단지 최대출력인 100.8MW에 비해 6.5% 감소된 94.2MW로 나타났다.

그림 12는 풍력발전단지 측 모선 전압이다. STATC -OM 비연계시 풍력발전단지 출력 전력이 작을 경우 선로 커패시턴스 성분에 의해 전압 실효치는 160.8kV로 0.8kV의 전압 상승이 있었고 STATCOM을 사용할 경우 160.0kV로 일정하게 제어되었다. 또한 풍력발전단지 출력전력 변동 시 풍력발전단지 측 모선 전압은 10초에서 10.8초 사이 풍력발전단지 출력전력이 0MW에서 74.00MW로 증가하는 구간에서 최대 164.8kV, 18.2초에서 18.45초 사이 풍력발전단지 출력전력이 94.21MW에서 0MW로 감소하는 구간에서 최소 156.72 kV가 나타났으며 전압조정목표를 충족하지 못하였다. 반면, 25MVA STATCOM 연계 시 전압변동은 최대 160.6 kV에서 최소 159.8kV로 일정하게 제어되었다. 그림 13은 풍력발전단지 측 모선 무효전력을 보여주며 STATCOM 동작에 의해 전압 변동 보상을 위한 무효전력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 11. Case 1 Simulation results: acitve power in the wind farm bus side
../../Resources/kiiee/JIEIE.2020.34.12.045/fig11.png

Fig. 12. Case 1 Simulation results: rms voltage in the wind farm bus side
../../Resources/kiiee/JIEIE.2020.34.12.045/fig12.png

Fig. 13. Case 1 Simulation results: reacitve power in the wind farm bus side
../../Resources/kiiee/JIEIE.2020.34.12.045/fig13.png

그림 14는 부하 측 유효전력 변동을 보여주며 전압 변동에 의해 공급되는 유효전력 또한 변동된다. 부하 측 전압 변동은 그림 15에서 확인할 수 있다. STATC -OM을 연계하지 않을 경우, 전압변동은 18.2초에서 18.45초 사이에 최소 155.95kV, 10초에서 10.8초 사이에 최대 164.5kV까지 변동되었다. STATCOM 연계 시에는 풍력발전단지 출력이 94.2MW에서 8.63MW로 급변하는 구간인 11.6초에서 11.75초 사이에 최소 158.38kV, 10초에서 10.8초 동안 최대 161.35kV까지 변동하였다.

Fig. 14. Case 1 Simulation results: acitve power in the load side
../../Resources/kiiee/JIEIE.2020.34.12.045/fig14.png

Fig. 15. Case 1 Simulation results: rms voltage in the load side
../../Resources/kiiee/JIEIE.2020.34.12.045/fig15.png

그림 16은 부하 측 무효전력 변동을 보여주며 STATCOM 연계 시 1±0.02Mvar로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7에서 그림 18은 STATCOM 출력 그래프이다. 그림 17에서 DC Link 전압은 3.2kV로 제어되며 그림 18에서 무효전력 레퍼런스에 따라 STATCOM이 공급하는 무효전력이 추종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ase 1 시뮬레이션 결과에 대한 정리는 표 6에 명시하였다. 전압변동률($\epsilon$)의 경우 식 (10)에 의해 계산되었으며 $V_{o}$는 무부하 단자전압으로 160kV, $V_{r}$은 단자 전압을 의미한다. Case 1에서 STATCOM 연계 시 최대 전압변동률은 2.84% 줄었다.

(10)
$\epsilon =\dfrac{V_{o}-V_{r}}{V_{r}}\times 100[%]$

Fig. 16. Case 1 Simulation results: reacitve power in the load side
../../Resources/kiiee/JIEIE.2020.34.12.045/fig16.png

Fig. 17. Case 1 Simulation results: STATCOM DC link voltage
../../Resources/kiiee/JIEIE.2020.34.12.045/fig17.png

Fig. 18. Case 1 Simulation results: STATCOM reactive power(Q_STATCOM) and reactive power reference(Qref_STATCOM)
../../Resources/kiiee/JIEIE.2020.34.12.045/fig18.png

Table 6. Simulation results : Case 1

구분

STATCOM 비연계

STATCOM 연계

최대전압[kV]

164.8

160.6

최소전압[kV]

156.72

159.8

최대 전압변동률[%]

2.91

0.37

3.3 Case 2 : 해상풍력발전단지 탈락

Case 2의 경우 100MW급 해상풍력발전단지 전체 탈락(그림 10 BRK4 탈락)을 컴퓨터 해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수행한다.

1) 10 sec : 풍력발전단지 투입

2) 14.41 sec : 풍력발전단지 계통 접속점 차단기 개방

3) 17 sec : 풍력발전단지 계통 접속점 차단기 투입

4) 19 sec : 컴퓨터 해석 중단

그림 19는 풍력발전단지 측 모선 유효전력을 보여준다. 14.41초일 때 풍력발전단지 출력은 94.2MW이며 풍력발전기와 계통이 접속되는 지점의 차단기가 개방된다. 이때 풍력발전단지 측 모선 유효전력은 시정수에 의해 2차 곡선으로 감소하여 14.5초에 0MW가 된다. 17초에는 동일한 차단기가 재투입되고 출력 전력이 증가하여 17.41초에 90MW로 발전한다. 그림 20은 풍력발전단지 측 모선 전압변동이며 풍력발전단지 탈락 시 STATCOM이 동작하지 않을 경우 탈락 후인 14.52초에 최소 155.79kV까지 전압 강하가 일어나다. 재투입 후에는 17.14초에 최대 168kV까지 전압이 상승한다. 반면, STATCOM 연계 시 풍력발전기가 탈락할 때 14.44초에 전압은 157.2kV까지 하강하며 0.04초 이내로 회복한다. 재투입 시 17.11초에 최대 161.3kV까지 상승하지만 전압조정목표를 충족한다. 그림 21은 풍력발전단지 측 모선 무효전력을 나타내며, STATCOM 전압 제어에 의해 보상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 19. Case 2 Simulation results: acitve power in the wind farm bus side
../../Resources/kiiee/JIEIE.2020.34.12.045/fig19.png

Fig. 20. Case 2 Simulation results: rms volatge in the wind farm bus side
../../Resources/kiiee/JIEIE.2020.34.12.045/fig20.png

Fig. 21. Case 2 Simulation results: reacitve power in the wind farm bus side
../../Resources/kiiee/JIEIE.2020.34.12.045/fig21.png

그림 22는 해상풍력발전단지 탈락 시 부하측 유효전력을 보여준다. Case 1과 동일한 부하가 사용되었으며, 그림 23에서 보여주는 전압 변동에 의해 유효전력이 변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TATCOM 비연계 시 전압 변동은 14.52초에 최소 155.88kV, 17.14초에 최대 166.1kV로 변동하며, STATCOM 연계 시 14.44초에 최소 158.9kV에서 17.11초에 최대 161.18 kV까지 변동한다. 그림 24는 부하 측 무효전력을 보여주며 발전기 탈락 시 무효전력이 최대 1.02Mvar로 변동하였다. 그림 25에서 그림 26은 각각 STATCOM DC link 전압과 무효전력 그래프이다. DC link 전압의 경우 해상풍력발전단지가 재투입되는 17.11초에 최소 2.8kV까지 감소하게 되나 0.03초 이내로 정격 전압인 3.2 kV로 복구한다. 무효전력의 경우 무효전력 기준값에 따라 추종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표 7은 Case 2 시뮬레이션 결과에 대한 표이며 최대 전압변동률은 2.98% 줄었다.

Fig. 22. Case 2 Simulation results: acitve power in the load bus side
../../Resources/kiiee/JIEIE.2020.34.12.045/fig22.png

Fig. 23. Case 2 Simulation results: rms voltage in the load bus side
../../Resources/kiiee/JIEIE.2020.34.12.045/fig23.png

Fig. 24. Case 2 Simulation results: reacitve power in the load bus side
../../Resources/kiiee/JIEIE.2020.34.12.045/fig24.png

Fig. 25. Case 2 Simulation results: STATCOM DC Link voltage
../../Resources/kiiee/JIEIE.2020.34.12.045/fig25.png

Fig. 26. Case 2 Simulation results: STATCOM reactive power(Q_STATCOM) and reactive power reference(Qref_STATCOM)
../../Resources/kiiee/JIEIE.2020.34.12.045/fig26.png

Table 7. Simulation results : Case 2

구분

STATCOM 비연계

STATCOM 연계

최대전압 [kV]

168

161.3

최소전압 [kV]

155.79

157.2

최대 전압변동률 [%]

4.76

1.78

4. 결 론

본 논문에서는 제주도 한림 해상에 구축되고 있는 100MW급 해상풍력발전단지 출력변동에 따른 계통연계점에서의 전압변동 최소화를 위해 무효전력제어를 능동적으로 구현 할 수 있는 STATCOM을 구축하여 연계점에서의 전압변동성을 PSCAD/EMTD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Case 1에서는 풍력발전단지가 정상 운전 시 출력 변동에 따른 계통연계점에서의 전압 변동은 STATCOM이 동작하지 않을 경우 전압조정목표인 160±4kV에 비해 0.8kV 초과하였고, 반면에 STATCOM이 동작할 경우에는 최대 160.3 kV 이내로 나타났다. Case 2에서는 풍력발전단지 최대 출력인 94.2MW에서 풍력발전단지를 계통 탈락 후 재투입시켰다. 탈락 시켰을 경우 STATCOM이 연계되지 않았을 때 최소 전압값은 155.8kV 이고, STATCOM이 연계되었을 경우에는 최소 전압값이 157.2kV로 나타났다. 재투입 시에는 과도상태에서 STATCOM 비연계 시 168.0kV, STATCOM 연계 시 161.3kV로 전압이 상승하였다. 이에 따라 2020년 제주계통의 평균부하 650MW의 약 15\%를 차지하고 있는 100MW의 한림 해상풍력발전단지 출력변동은 STATCOM 설비가 구축되지 않으면 계통연계점에서의 전압변동이 허용 기준치를 초과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과 같은 결론을 통해 신재생에너지의 급격한 출력 변동은 계통 전압안정화를 떨어뜨리게 되며, 특히 제주 계통과 같이 단락용량이 작은 소규모 계통에서는 신재생에너지 계통 연계 시 불규칙한 출력변동에 대한 전압 안정화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STATCOM과 같은 능동형 무효전력 보상기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MOTIE)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KETEP)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연구 과제임. (No. 20173010140890)

본 연구는 한국전력공사의 2018년 착수 에너지 거점대학 클러스터 사업에 의해 지원되었음. (과제번호:R18XA03)

References

1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 2017, The 8th Basic Plan for Power Supply, MOTIEGoogle Search
2 
Chae W. K., Yoon G. G., Kim J. E., Han J. H., 2008, Power Quality Analysis of Jeju System Considering HVDC Overhaul and Wind Turbin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on and Eectrical Installation Engieers, Vol. 22, No. 1, pp. 132-140Google Search
3 
Anadol M. A., Aydin M., Yalcinoz T., 2011,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Laboratory Scale Underground Cable Model, International Review on Modelling and Simulations, International Review on Modelling and Simulations (I.RE.MO.S.), Vol. 4, No. 4, pp. 1635-1641Google Search
4 
Akhmatov V., Søbrink K., 2006, Static Synchronous Compensator (Statcom) for Dynamic Reactive- Compensation of Wind Turbines, Wind Enginnering, Vol. 30, No. 1, pp. 43-54DOI
5 
Kim S. J., Yoon M. H., Hwang S. C., Jang G. S., 2014, Study of voltage characteristics with SCR in wind farm connected to power system,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pp. 151-152Google Search
6 
Choi S. H., Lee S. D., Kim C. K., 2011, Jeju 80kV HVDC Controller Modeling Using PSCAD/EMTDC Program, The Transactions of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Vol. 16, No. 6, pp. 533-541DOI
7 
Lee S. S. Kim J. Y., Kim Y. M., 2015, Guideline for Bridge Design Wind Speed in Coastal Region,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Vol. 28, No. 6, pp. 615-623DOI
8 
Grainger J., Stevenson W., 1994, Power System Analysis, McGraw-Hill Inc.Google Search
9 
Lee C. Y., Chen N. M., 1992, Distribution factors of reactive power flow in transmission line and transformer outage studies, IEEE Transactions on Power Systems, Vol. 7, No. 1DOI
10 
Singh B., Saha R., Chandra A., Al-Haddad K., 2009, Static synchronous compensators (STATCOM): a review, IET Power Electronics, Vol. 2, No. 4, pp. 297-324DOI
11 
Song Y. H., J. A. T., 1999, 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ms (FACTS), the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Google Search
12 
Rao P., Crow M. L., Yang Z., 2000, STATCOM control for power system voltage control applications, IEEE Transactions on Power Delivery, Vol. 15, No. 4, pp. 1311-1317DOI

Biography

Gi-Hoon Kim
../../Resources/kiiee/JIEIE.2020.34.12.045/au1.png

He received the B.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Korea, in 2018.

Currently, he is a Master’s course in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City, Korea.

Do-Heon Lee
../../Resources/kiiee/JIEIE.2020.34.12.045/au2.png

He received the B.S. and M.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Korea, in 2013 and 2015.

Currently, he is a Ph.D. course in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City, Korea and working as senior researcher of JEJU TECHNOPARK

Eel-Hwan Kim
../../Resources/kiiee/JIEIE.2020.34.12.045/au3.png

He received his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in 1985, 1987 and 1991, respectively.

Since 1991, he has been with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City, Korea, where he is presently working as a Professor.

He was a Visiting Scholar at Ohio State University, Columbus, OH, USA, in 1995; and at the University of Washington, Seattle, WA, USA, in 2004.

His current research interests include power electronics and control, drive systems, renewable energy control applications and power quality.

He is a Member of KIEE, KIPE and IE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