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승범
(Seung-Beom Lim)
1iD
장주형
(Ju-Hyeong Jang)
2iD
김지수
(Ji-Soo Kim)
3iD
김상현
(Sang-Hyun Kim)
†iD
-
(ESS Department Head, Eon Co., Ltd)
-
(Asst Manager, Eon Co., Ltd)
-
(Research Director, Eon Co., Ltd)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Engineers(KIIEE)
Key words
ESS(Energy Storage System), Passive-Standby, 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y)
1. 서 론
무정전전원장치(UPS : Uninterruptible Power Supply)는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의 종속성에 의해서 크게 Passive-Standby,
Line-Interactive, Double- Conversion 방식으로 구분되며, Passive-Standby 방식은 일반적으로 Off-Line
방식, Double-Conversion 방식은 On-Line 방식으로 통용된다(1-3).
각각의 방식의 특징은 표 1과 같으며 일반적으로 효율을 중시하면 Off-Line 방식을 사용하고 신뢰성을 중시하면 On-Line 방식을 사용한다.
Table 1. The Features of Off-Line and On-Line
|
Off-Line
(Passive-Standby)
|
On-Line
(Double-Conversion)
|
Protection against Power Failure
|
VFD(Voltage and Frequency Dependent of input)
|
VFI(Voltage and Frequency Independent of input)
|
Variation range of output voltage
|
Variation according to input
|
None
|
Variation range of output frequency
|
Variation according to input
|
None
|
Output power reliability
|
Low
|
High
|
Efficiency
|
High
|
Low
|
Price
|
Low
|
High
|
failure rate
|
Low
|
High
|
Transfer time
|
4m sec
|
Seamless Transition
|
Required technology
|
Seamless Transition Control
|
Rectifier, Inverter control
|
최근 인터넷의 발달 및 각종 매체의 발전에 의하여 데이터의 양이 증가하면서 데이터센터의 서버 수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서버는 점점
고출력, 고정밀화 되고 있다. 데이터센터는 수많은 서버와 IT 장비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보안과 IT 장비의 안정적인 환경 유지를 위해 서버룸에는
365일 24시간 운영되는 서버와 공조장비가 설치되어 있다. 정전이 발생하면 서버의 경우 On-Line 방식의 UPS를 이용하여 무순단으로 전력을
공급하여 서버를 보호하나 공조장비는 별도의 보호장치가 없어 전력공급을 하지 않으므로 동작을 멈춰 서버룸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최근 서버는 고발열,
고정밀 서버로 공조장비가 멈추면 서버룸의 온도는 급속히 상승하므로 서버의 고장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4). PUE(전력효율지수, Power Usage Effectiveness)는 데이터센터 에너지 효율을 평가하는 지표이며, 총 전력사용량 중에서 냉각이나
다른 오버헤드를 제외하고 순수하게 IT장비에 의해 사용된 전력의 비율로 효율을 측정하며 PUE 지표가 낮을수록 전력을 효율적으로 적게 사용하는 의미이다.
국내 데이터센터의 평균 PUE는 2.66이며 해외 데이터센터는 1.7로 큰 차이를 보이며 PUE를 낮추기 위하여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방법
개발이 필요하다(5-6).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평상시에는 상용전원을 이용하여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면서 배터리를 충전하고 정전이 발생하면 배터리에 저장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공조부하용 Off- Line 방식의 UPS 개발이 필요하다.
2. 제안한 오프라인 UPS
2.1 시스템의 구성
그림 1은 제안하는 오프라인 방식의 UPS 시스템 구조로 Static switch, 배터리 충/방전 기능을 위한 양방향 3-Level 인버터와 DC/DC
컨버터로 구성된다. 제안한 시스템은 효율이 중요하므로 2레벨 방식에 비해서 효율이 높은 3레벨 방식으로 개발하였다.
제안한 시스템은 평상시 Static switch를 통해 계통 전원을 바이패스하여 전력의 손실을 줄여 부하에 공급하므로 고효율 운전이 가능하다. 또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계통 전원을 이용하여 양방향 3-Level 인버터를 통해 정류기로 동작하여 DC-Link단의 전압을 설정된 전압까지 상승시키기고
DC-DC 컨버터부를 Buck 컨버터로 동작하여 배터리의 정격 전압까지 충전시킨다. 한편, 저장된 배터리를 방전하기 위해서는 배터리 전압을 DC-DC
컨버터를 Boost 컨버터로 동작하여 DC-Link까지 상승시키고 교류 전원을 생성하기 위해 양방향 3-Level 인버터를 인버터로 동작하여 부하에
전력을 공급한다.
Fig. 1. Structure of proposed off-line UPS
한전 계통 전원 이상 시 배터리에 저장된 에너지를 부하에 공급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두 개의 전압 이상 검출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정전이 발생해도
무순단으로 절체하여 발생하는 과도 응답을 최소화하고 중요부하에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한다.
두 개의 전압 이상 검출 방법은 다음과 같이 순시 전압 이상 검출 방법과 RMS 전압 이상 검출 방법으로 검출한다. 그림 2에서 보이듯이 순시 전압 이상 검출 방법은 스위칭 주기마다 입력 전압 순시값을 기준파형과 비교하여 정전 시 또는 새그 발생 시 무순단 절체를 가능하게
하고, RMS 전압 이상 검출 방법은 입력 전압을 RMS 값으로 계산한 뒤 기준값과 비교하여 저전압이나 고전압으로부터 부하 장비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2.2 동작 모드
그림 3은 제안한 시스템의 동작 모드는 정상 모드, 충전 모드, 배터리 모드와 ESS 모드로 총 4가지의 모드가 존재한다. 그림 3에서 설정된 용량은 계통전원이 200kVA, 일반부하가 170kVA, 공조장비는 30kVA, 오프라인 UPS의 용량은 50kVA이다.
Fig. 2. Algorithm of voltage abnormal detection
그림 3의 (a)는 정상 모드로 Static switch만 동작하여 상용전원을 부하인 공조장비에 전력을 공급하는 모드로 일반부하는 170kVA, 공조장비는
30kVA를 공급한다. 그림 3의 (b)는 충전 모드로 정상 모드와 같은 동작을 하면서 3-Level인버터부와 DC-DC 컨버터부가 동작하여 공조장비에게 30kVA와 배터리에게
20kVA를 충전하는 모드이다. 그림 3의 (c)인 배터리 모드는 계통 전원이 이상 시에 일반 부하에게 전력을 공급하지 못하고 배터리에 저장된 에너지를 통해 공조장비에 30kVA의 전력
공급이 가능하고, 고속 절체 알고리즘을 통하여 4msec 이내로 절체가 이루어진다. 그림 3의 (d)는 ESS 모드로 피크 저감을 위하여 전력 소모가 많은 시간대에 배터리를 방전하여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을 일반부하와 공조장비에게 각각 170kVA와
30kVA를 공급하는 모드이다.
또한, ESS 기능 동작 시 전력 피크 시간대에 상용 전원과 배터리 에너지를 동시에 이용 가능하고, 배터리 방전량, 방전시간, 방전 중지, 배터리
용량은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Fig. 3. Operating mode of the proposed system (a) Normal Mode (b) Charge Mode (c) Battery Mode (d) ESS Mode
3. 실험 결과
제안하는 오프라인 방식의 UPS는 50kVA 용량의 개발품으로 그림 4와 같으며 세방전지의 ROCKET ESP40-12(12V, 40Ah)로 총 42cell로 이루어진 배터리가 내장된 장비이다. 그림 5는 제안한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제어부와 전력 변환부를 나타낸다. 제어부는 Freescale사의 16bit DSC(Digital Signal Controller)인
MC56F8345VFGE를 사용하였다. 전력 변환부는 Static Switch, IGBT와 DC Cap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YOKOGAWA의 WT1800 전력 분석계 및 HIOKI의 Memory HiCoder를 이용하여 제안한 시스템을 검증하였다. 또한,
실제 공조 장비를 연결하여 제품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Fig. 4. A proposed offline UPS with battery
Fig. 5. The experiment compositions
그림 6과 그림 7은 제안한 오프라인 UPS의 50kVA 용량에 대한 정상모드의 입력 전력, 출력 전력 및 효율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그림 6은 50% 부하를 인가했을 때, 측정된 입력 전력은 23.1kW, 출력 전력은 22.33kW, 효율은 96.65%이다. 그림 7은 전부하에서 측정된 값으로 입력 전력은 46.25kW, 출력 전력은 45.24kW 및 효율은 97.8%로 측정되었다.
Fig. 6. Power measurement at 50% load in normal mode
Fig. 7. Power measurement at 100% load in normal mode
그림 8과 그림 9는 상용 전원 이상 시 배터리 모드로 전환 되었을 때 측정한 결과값을 나타낸다. 그림 8은 50% 부하에서 입력 전력은 24.48kW, 출력 전력은 23.24kW, 효율은 94.97%로 측정되었다. 그림 9는 전부하에서 측정된 결과로 입력 전력은 48.62kW, 출력전력은 46.55kW 및 효율은 95.73%로 측정되었다.
정상 모드에서 최대 효율은 97.8%이고, 배터리 모드에서의 최대 효율은 95.73%로 측정되었다. 정상 모드에서는 Static switch만 사용하여
상용 전원을 바이패스로 부하에 공급하기 때문에 손실이 적어 높을 효율을 나타낸다. 반면에 배터리 모드는 배터리에 축적된 에너지를 부하에 공급하기 위해
배터리 전압을 승압하기 위한 DC/DC 컨버터 및 DC에서 AC로 변환하기 위한 인버터가 동작하는 과정에서 에너지 손실로 인하여 효율이 낮아지지만,
안정적인 전력을 부하에 공급 가능하다.
Fig. 8. Power measurement at 50% load in battery mode
Fig. 9. Power measurement at 100% load in battery mode
그림 10은 동일한 50kVA 용량은 갖는 온라인 UPS와 오프라인 UPS의 부하에 따른 효율 그래프를 나타낸다. 온라인 UPS의 정상 모드 같은 경우 정전압/정주파수를
출력하기 위해 인버터가 항상 동작하게 되므로 정류기 및 인버터의 전력 손실이 발생한다. 하지만 오프라인 UPS의 정상모드는 Static Switch만
동작하게 되므로 온라인 UPS보다 전력 손실이 적으므로 높은 효율을 가지게 된다.
Fig. 10. An efficiency graph of online and offline UPS
그림 11은 계통 전원 정전이 되었을 때, 정상 모드에서 배터리 모드로 전환될 때의 입ㆍ출력 파형을 나타낸다. 계통 전원 이상 시 두 개의 전압 검출 기법을
통하여 절체 시 무순단으로 부하에 전력을 공급한다. 모드 전환 시 파형을 확인하면 출력 전압이 1.1ms 이내에 절체 되어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2는 계통 전원이 정상적으로 장비에 공급되었을 때, 배터리 모드에서 정상 모드로 전환될 때의 입ㆍ출력 파형을 나타낸다. 그림에서 보이듯이 모드가 전환되기
전에 입력 전압이 인가되었지만,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는 계통 전원 공급 시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의 동기를 확인한
후 STATIC SWITCH를 통해 절체가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입력 전류가 흐르는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절체 시점을 측정한 결과 1.2ms 이내에
절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3은 제안한 시스템을 각 10kVA에 해당하는 공조 장비를 3대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다. 배터리 모드 시 제안한 시스템의 동특성을 확인하였다.
Fig. 11. Transfer time when switching battery mode
Fig. 12. Transfer time when switching normal mode
Fig. 13. An air conditioning system connected the proposed system
그림 14는 노말 모드에서의 입ㆍ출력 파형을 나타낸다. 계통 전원을 바이패스 시키기 때문에 과도 상태가 발견되지 않고 공조 장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5는 배터리 모드 시 입ㆍ출력 파형을 나타내는데, 계통 전원이 끊어지는 시점에서 출력 전류의 헌팅이 발생하는 현상이 보였다. 배터리 모드에서 정상 절체와
공조 장비의 동작은 가능하지만, 간헐적으로 공조 장비의 소음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전압 제어기와 반복 제어기의 이득 값을 조정하여,
그림 16과 같이 개선된 파형을 확인하였다.
Fig. 14. Input/Output waveform in the normal mode
Fig. 15. Input/Output Waveform before Improvement in the Battery Mode
Fig. 16. Input/Output Waveform after Improvement in the Battery Mode
4. 결 론
본 논문에서 공조장비용 50kVA 용량의 오프라인 UPS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시스템은 static 스위치, 배터리 충/방전 기능을 위한 양방향 3-Level
인버터, DC/DC 컨버터와 배터리로 구성되며, 3-Level 토폴로지를 사용하여 최대 효율이 기존 제품 대비 2% 이상 높은 95.73%으로 측정되었다.
제안한 시스템은 평상시에 상용 전원을 부하에 직접 공급하여 효율이 97.8%로 온라인 UPS보다 약 5% 높으며, 계통 전원 이상 시 고속 절체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절체 시간은 4msec 이내이다. 배터리에 저장된 에너지를 무순단으로 부하에 안정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고, 공조 장비를
연결하여 제안한 시스템의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Energy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KETEP) and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 Energy(MOTIE) of the Republic
of Korea (No. 20182010600010).
References
Dipl-Ing. Wilhelm Solter, 2002, A New International UPS Classification by IEC 62040-3,
Proc. of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Energy Conference, pp. 541-545
Lorenzo Giuntini, 2011, Harmonics Reduction in High- Efficiency Operation of Double-Conversion
UPS, Proc. of European Conference on Power Electronics and Applications, pp. 1-10
Cammarota F., Sinigallia S., 2007, High-Efficiency On-Line Double-Conversion UPS,
Proc. of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Energy Conference, pp. 657-662
Seo J. N., Kim J. Y., Lim B. H., 2017, Data Center Trends and Energy Saving Indirect
Evaporation Cooling System Application Cases, Korea Association of Facilities Engineering,
Vol. 46, No. 3, pp. 42-48
Avelar V., Azevedo D., French A., 2012, PUETM: a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the
metric, White paper #49, The Green Grid Technical Committee
Korea IT Service Industry Association, 2015, A foundation research for the data center
industry development, Ministry of Science, ICT & Future Planning of Korea
Biography
He received Ph.D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Dankook university in 2014.
Since 2007, he has been working on Eon Co., Ltd as a researcher.
His research interests are power converters, inverters, UPS and ESS.
He received M.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angwon national university
in 2017.
Since 2017, he has been working on Eon Co., Ltd as a researcher.
His research interests are power converters, inverters.
He received M.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nkuk university in 2013.
Since 2007, he has been working on Eon Co., Ltd as a researcher.
His research interests are power converters, inverters, UPS and ESS.
He received M.S degree in Advanced Material Science & Engineering from Sungkyunkwhan
university in 2016.
Since 2018, he has been working on PNEInnotec Co., Ltd as a researcher.
His research interests are power converters, inverters, PCS, UPS and 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