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ISO Journal TitleJ Korean Inst. IIIum. Electr. Install. Eng.

  1. (Master Course, Dept.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
  2. (Ph.D. Course, Dept.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
  3. (Professor, Dept.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



Artificial Neural Network, Distributed Generation(DG), Hybrid AC/DC Microgrid, Interlinking Converter

1. 서 론

최근 태양광 발전, 풍력 발전 등과 같은 신재생 에너지원의 증가와 함께 기존의 중앙 집중형 전력공급 방식에서 수용가를 중심으로 분산 발전(Distributed Generation, DG)을 배치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마이크로그리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1).

마이크로그리드는 배전망의 전압 형태에 따라 DC 마이크로그리드와 AC 마이크로그리드로 구성된다. AC 마이크로그리드는 기존의 배전망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전력변환단계가 늘어나고, 전압의 위상, 주파수, 안정도, 역률, 무효전력을 고려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DC 마이크로그리드의 같은 경우 앞선 문제들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며, 전력변환 단계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으나 기존 설비가 모두 AC로 되어있어 현실적인 문제가 단점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DC 기반 마이크로그리드와 AC 기반 계통의 연계(Grid-Connected)가 가능하고, 도서, 산간 등 기존 AC 계통과의 연계가 어려운 지역이나 건물에서 독립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단독 운전(Stand-Alone)이 모두 가능한 Hybrid AC/DC 마이크로그리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2-4).

DC 마이크로그리드는 태양광 발전(Photovoltaic Generator, PV), 풍력 발전(Wind Turbine Generator, WT)과 같은 신재생 에너지의 간헐적인 특성으로 인해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을 위해서 에너지 저장 장치(Energy Storage System, ESS)가 필요하다. 이러한 마이크로그리드의 운영에 있어서 분산 발전원의 발전 전력과 부하 전력에 따라 ESS의 충·방전 전력을 결정해 줄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존재는 필수적이다. 기존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경우 과도하게 많은 운영 모드가 존재하거나, 다양한 상황을 고려하기 위해 알고리즘이 복잡해지는 문제(5)가 존재하거나 모드 절환의 기준이 불명확한 경우(6)도 존재한다. 소규모의 지역적인 마이크로그리드의 부하 패턴의 경우 빌딩 등과 같이 규모가 크고 일정한 부하 패턴을 갖지 않기 때문에 부하수요를 예측하고 이를 적용하는 기존의 에너지 관리 기법(7-8)을 적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Two-Step 구조의 인공신경망을 적용한 Hybrid AC/DC 마이크로그리드의 운영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마이크로그리드의 운영 기법은 하나의 히든 레이어만 존재하는 기존 인공신경망에 비해 학습의 부담이 적어지고 히든 노드의 숫자를 줄일 수 있으며, 개별 Step의 학습을 통해 구조의 변경이 용이한 Two-Step 구조의 인공신경망(9)을 적용하여 예측이 불가능한 분산발전원의 발전 전력량과 부하 수요전력량을 기반으로 최적의 동작 모드와 ESS의 전력 지령을 도출한다. 제안하는 마이크로그리드 운영기법은 실험을 통해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2. Hybrid AC/DC Microgrid의 구성

2.1 마이크로그리드의 구성

그림 1은 Hybrid AC/DC 마이크로그리드의 구성을 나타낸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AC 계통과 DC 마이크로그리드를 연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며, 도서 산간 지역이 많은 우리나라에 적합한 형태인 Hybrid AC/DC 마이크로그리드를 채택하였다. 기존 AC 계통과 DC 마이크로그리드를 연계하기 위해 인터링킹 컨버터가 존재하며, 인터링킹 컨버터의 토폴로지는 AC 계통의 불평형 부하로 인한 전압 불평형을 해소할 수 있는 3상 4선식 양방향 AC/DC 컨버터로 구성하였다(10).

Fig. 1. Hybrid AC/DC microgrid with DG and loads
../../Resources/kiiee/JIEIE.2021.35.3.047/fig1.png

DC 마이크로그리드는 태양광 발전기, 풍력 발전기와 같은 분산 발전원과 ESS 설비로 구성되어 있으며 단독 운전의 경우 DC 배전망 측 부하와 AC 계통 측 부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각 PV, WT, ESS 컨버터와 부하는 MGCC(Microgrid Central Controller)와 CAN 통신을 기반으로 PQM(Power Quality Monitoring)을 수행하며 MGCC의 지령에 의해 ESS가 충·방전하는 중앙제어 형태를 이루고 있다.

3. Two-Step 구조의 인공신경망 기반 Hybrid AC/DC Microgrid 운영 기법

3.1 Microgrid 운영 기법

본 논문은 Two-Step 구조의 인공신경망을 적용한 소규모 Hybrid AC/DC 마이크로그리드의 운영 기법을 제안한다. 마이크로그리드의 MGCC는 Two-Step 구조의 인공신경망으로 구성하였으며 1-Step의 인공신경망은 마이크로그리드의 운영 모드를 결정하고 2-Step의 인공신경망은 ESS의 충·방전 전력 지령을 결정하게 된다. 자세한 Two-Step 구조의 인공신경망은 3.2절에 나타내었다. 먼저 인터링킹 컨버터는 DC 배전망과 기존 AC 계통의 연계를 위해 필수적이며, 각 컨버터는 계통 연계 모드와 단독 운전 모드 각각 운전 모드에 따라 제어 방법이 결정된다.

Fig. 2. Microgrid overall control block diagram with proposed Two-step ANN
../../Resources/kiiee/JIEIE.2021.35.3.047/fig2.png

계통 연계 시 인터링킹 컨버터는 DC 배전망의 전압 제어와 AC 계통 전류 제어를 수행하고 PV, WT 컨버터는 최대 전력점 추종(Maximum Power Point Tracking, MPPT) 제어를 수행하며, ESS는 MGCC의 지령에 의해 충·방전 전력을 결정하게 된다. 단독 운전 모드의 경우 인터링킹 컨버터는 AC 전압을 제어하게 되며, WT 컨버터가 DC 배전망의 전압을 제어하게 된다. PV 컨버터는 모드에 따라 MPPT 제어와 전력 제한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자세한 운영 모드는 3.3절에 나타냈다. 그림 2는 Two-Step 구조의 MGCC와 Hybrid AC/DC 마이크로그리드의 전체 구성도를 나타낸다.

Microgrid State($MG_{state}$)는 4가지로 나누어지며 0, 1은 계통 연계 모드에 해당하고 2, 3은 단독 운전 모드에 해당한다. 계통 연계 모드와 단독운전은 주 AC 계통의 Fault 유무에 의해 결정된다. 계통 연계 모드의 경우 인터링킹 컨버터는 DC 전압을 유지하기 위해 약 400W를 계통으로부터 수전을 받게 된다. 수전 받는 최소 전력량에 2.5배의 마진을 두어 1kW 이하라면 마이크로그리드 내에서 자체적으로 전력 수급이 가능한 상황으로 상정하였으며, 수전 받는 전력은 $P_{ILC}$로 표현하였고, $MG_{state}$는 0이다. 계통 연계 운전의 경우 ESS의 SOC는 단독 운전 모드로의 절환을 대비해 50% 이상으로 유지해야 한다. ESS의 SOC가 50% 이하라면 ESS의 SOC가 80%가 될 때까지 AC 계통으로부터 전력을 수전 받아 ESS를 충전하고 DC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며 해당 상황의 $MG_{state}$는 1이다. 이와 같이 $MG_{state}$를 분리한 이유는 AC 계통으로부터의 전력 수전을 최소화하여 경제적인 마이크로그리드의 이점을 최대화하기 위함이다.

주 AC 계통 Fault로 인해 AC 계통이 차단된 경우 마이크로그리드는 단독으로 운전하게 된다. 기존 계통 연계 모드와 같이 전력을 수전하거나 회생할 수 없으므로 마이크로그리드의 전력 상황을 상시 파악해야한다. 마이크로그리드의 분산 발전원의 발전량보다 부하 수요량이 크고 ESS의 SOC가 20% 이하로 떨어져 전력을 공급할 수 없는 상황에선 마이크로그리드의 배전망 전압의 강하 혹은 ESS의 과방전이 일어나게 되므로 비중요 부하를 차단해야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비중요 부하의 차단과 연계 기준을 명확히 하지 않다면 차단과 연계가 ESS의 SOC에 따라 무한히 반복되는 상황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MG_{state}$를 통해 부하의 상태를 상시 알아야 한다. 앞의 이유로 단독 운전 시에도 $MG_{state}$를 2와 3으로 나누어 나타냈다. $MG_{state}$가 2일 경우 부하 연계 상황을 의미하며 $MG_{state}$가 3일 경우 부하가 차단된 상황을 의미한다. 표 1은 각 상황 별 $MG_{state}$를 나타낸다.

Table 1. Microgrid State Data

Microgrid State

AC grid MC Fault

$P_{ILC}$

Load Cut-off

0

Grid

Connected

0

$\le$1kW

-

1

0

$SUCC$1kW

-

2

Stand Alone

1

-

Off

3

1

-

On

3.2 Two-Step 구조의 인공신경망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Hybrid AC/DC 마이크로그리드의 운영 알고리즘에 적용되는 인공신경망은 Mathwork 社의 Deep Learning Tool Box를 사용하여 학습을 진행하였다. 인공신경망의 학습은 역전파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Levenberg-Marquardt 학습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3.2.1 1-Step 인공신경망

1-Step 인공신경망은 3개의 입력 노드, 20개의 히든노드, 1개의 바이어스 노드와 1개의 출력 노드로 구성하였다. 3개의 입력 노드는 각각 $MG_{State}$, 마이크로그리드의 전력 상황 $P_{\neq t}$, 배터리의 SOC로 구성되어 있으며 출력으로는 마이크로그리드의 동작 모드를 나타낸다. 그림 3은 인공신경망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학습시킨 동작 모드 알고리즘은 그림 4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1-Step 인공신경망의 출력은 학습된 알고리즘에 따라 1∼5 사이의 값으로 출력되며 이는 2-Step 인공신경망의 입력 요소로 구성된다.

Fig. 3. 1-Step ANN Structure
../../Resources/kiiee/JIEIE.2021.35.3.047/fig3.png

Fig. 4. Proposed hybrid AC/DC microgrid operation method algorithm
../../Resources/kiiee/JIEIE.2021.35.3.047/fig4.png

그림 5는 인공신경망의 Mean Square Error를 나타내고 있다. 이 때, 1-Step 인공신경망은 43번의 반복 학습을 수행하였으며 3.3642 x 10-6의 평균 제곱 오차를 갖는 것을 통해 알고리즘이 학습되었음을 확인하였다.

Fig. 5. 1-Step ANN MSE performance
../../Resources/kiiee/JIEIE.2021.35.3.047/fig5.png

3.2.2 2-Step 인공신경망

2-Step 인공신경망은 3개의 입력 노드, 20개의 히든노드, 1개의 바이어스 노드와 1개의 출력 노드로 구성하였다. 3개의 입력 노드는 각각 1-Step의 출력인 동작 모드(Mode), 마이크로그리드의 전력 상황 $P_{\neq t}$, 배터리의 SOC로 구성되어 있으며 출력으로는 마이크로그리드의 ESS의 전력 지령을 나타낸다. 2-Step 인공신경망의 출력인 전력 지령은 입력 값에 따라 –5[kW]에서 5[kW] 사이의 값으로 출력 된다. 그림 6은 인공신경망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며,

Fig. 6. 2-Step ANN Structure
../../Resources/kiiee/JIEIE.2021.35.3.047/fig6.png

그림 7은 인공신경망의 Mean Square Error를 나타내고 있다. 2-Step 인공신경망은 48번의 반복 학습을 수행하여 1.5837 x 10-5의 평균 제곱 오차를 갖는 것을 통해 ESS의 전력 지령이 학습되었음을 확인하였다.

Fig. 7. 2-Step ANN MSE performance
../../Resources/kiiee/JIEIE.2021.35.3.047/fig7.png

3.3 Microgrid 운영 모드

계통 연계 시 인터링킹 컨버터는 DC 마이크로그리드의 전압을 380V로 제어하고 AC 계통의 전류 제어를 수행한다. 각 분산 발전원은 MPPT 제어를 수행하며, ESS는 SOC와 발전 전력과 부하 전력에 따라 충·방전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계통 연계 모드는 AC 계통에서 전력을 수전 받지 않는 상황($MG_{state}$가 0일 경우)과 AC 계통에서 수전을 받는 상황($MG_{state}$가 1일 경우)으로 나누어 동작하게 된다. ESS의 SOC가 충분한 경우 MGCC의 지령에 의해 충·방전 동작을 수행하게 되며 마이크로그리드 내의 전력이 충분하므로 AC 계통으로 수전받지 않아 $MG_{state}$가 0이 된다. ESS의 SOC가 50% 이하인 경우 ESS는 SOC가 80%가 될 때까지 충전 동작만 수행하게 되며 계통으로부터 부족 전력을 수전 받기 때문에 $MG_{state}$가 1이 된다. 그림 8과 9는 ESS의 충·방전 동작 시 전력 흐름도를 나타내고 있다.

Fig. 8. Mode 1 : discharging mode
../../Resources/kiiee/JIEIE.2021.35.3.047/fig8.png

Fig. 9. Mode 2 : charging mode
../../Resources/kiiee/JIEIE.2021.35.3.047/fig9.png

AC 계통에 사고가 일어나게 되면 Main AC Grid MC가 차단되고, 마이크로그리드는 단독운전을 하게 된다. 단독 운전 시 경우 WT 컨버터가 DC 마이크로그리드의 전압을 380V로 제어하고, 인터링킹 컨버터는 AC 전압을 선간 220V로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Mode 3은 ESS의 SOC가 20% 이상 90% 이하인 경우 동작하며, ESS는 MGCC에 의해 충·방전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림 10은 Mode 3으로 동작 시 마이크로그리드의 전력 흐름도를 나타내고 있다.

Fig. 10. Mode 3 : stand alone mode
../../Resources/kiiee/JIEIE.2021.35.3.047/fig10.png

Mode 3 발전량 제한 모드는 단독 운전 모드로 동작 중 SOC가 90% 이상이거나 분산 발전원의 발전 전력이 부하 수요 전력 높아 더 이상 충전할 수 없음에도 잉여 전력이 존재할 때, 분산 발전원의 발전량을 강제로 부하 전력량 만큼 제한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모드이다. 해당 모드는 ESS의 과충전과 마이크로그리드의 전압 상승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림 11은 해당 모드로 동작할 때의 전력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Fig. 11. Mode 4 : power limited mode
../../Resources/kiiee/JIEIE.2021.35.3.047/fig11.png

Mode 5 부하 차단 모드는 마이크로그리드가 단독 운전 모드로 동작 중 ESS의 SOC가 20% 이하이면서 부하 전력이 발전 전력보다 큰 상황이면 부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없으므로 부하 차단 동작을 수행하는 모드이다. 해당 모드는 중요 부하를 제외한 모든 AC와 DC 부하를 계통에서 차단시키고 ESS의 충전을 우선적으로 하게 된다. 해당 모드로 동작하여 부하가 차단되게 되면 $MG_{state}$는 4가 되고, ESS의 SOC가 50%가 될 때까지 해당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ESS의 SOC가 50%까지 충전되면 Mode 3으로 절환되며 비중요 부하를 다시 연계하여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그림 12는 해당 모드로 동작 시 전력 흐름도를 나타내고 있다.

Fig. 12. Mode 5 : load cut-off mode
../../Resources/kiiee/JIEIE.2021.35.3.047/fig12.png

계통 연계 시와 단독 운전 시의 특징을 표 2와 같이 나타나며 부하전력은 $P_{Load}$, 분산발전원의 발전 전력은 $P_{DG}$로 나타내었다.

Table 2. Mode Characteristic

모드

조건

동작

비고

1

$P_{Load}$ > $P_{DG}$

ESS 방전

단독 운전을 대비하여 SOC를 50% 이상으로 유지

2

SOC < 50%

ESS 강제 충전

$P_{Load}$ < $P_{DG}$

ESS 충전

3

20% < SOC

SOC < 90%

ESS 충·방전

-

4

SOC > 90%

$P_{Load}$ < $P_{DG}$

발전량 제한

배전망 전압 상승 방지

5

SOC < 20%

$P_{Load}$ > $P_{DG}$

부하 차단

배전망 전암 강하 방지

4. 실험 결과

제안하는 Hybrid AC/DC 마이크로그리드의 운영기법을 검증하기 위해 실험 장비를 그림 13과 같이 구성하였다. AC 부하와 DC 부하를 통해 모드별 전력 흐름을 모의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진행한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운영 기법을 검증하였다.

Fig. 13. Experiment device
../../Resources/kiiee/JIEIE.2021.35.3.047/fig13.png

표 3은 실험의 조건을 나타내고 있으며, 다양한 마이크로그리드의 전력 흐름을 나타내기 위해 AC 부하와 DC 부하를 가변시키며 실험을 진행하였다.

Table 3. Experimental parameters

Parameter

Value

Unit

AC 계통 선간전압

220

$V_{ac}$

DC 배전망 전압

380

$V_{dc}$

ESS 용 컨버터

5,000

W

태양광 발전용(PV) 컨버터

2,000

W

풍력 발전용(WT) 컨버터

5,000

W

인터링킹(ILC) 컨버터

10,000

W

DC 부하

3,000

W

AC 부하

2,800

W

4.1 계통 연계 시 실험 결과

그림 2의 주 AC 계통이 연계되어 있는 상황을 모의하기 위해 계통을 연계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계통 연계의 경우 DC 전압은 인터링킹 컨버터가 제어를 수행하며 WT 컨버터와 PV 컨버터는 MPPT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그림 14는 계통 연계 시 마이크로그리드가 MGCC를 통해 개별 컨버터들과 연계운전을 하는 실험 파형으로 ESS의 SOC가 50% 이상인 상황에서 인공신경망의 지령에 따라 모드와 ESS의 충·방전 전력 지령이 결정되며, Mode 1과 Mode 2 사이에서 절환되는 실험 파형을 보인다. 그림 14 (a)는 인공신경망의 입력인 MG State와 SOC, 출력인 Mode와 ESS Power Reference를 나타내고 있으며, 그림 14 (b)는 DC 전압과 ESS, 분산발전 컨버터의 출력 전류, DC 부하 전류 파형을 나타내고 있다. 실험에서 각 전력변환 장치의 전력 흐름의 변화는 표 4와 같다.

$t_{1}$시점에 인공신경망이 투입되며, $t_{1}$∼$t_{2}$ 구간에서 부하 전력이 발전 전력보다 커서 ESS가 부하 전력을 감당하게 된다. $t_{2}$∼$t_{3}$구간은 발전 전력이 부하 전력보다 크게 되어 ESS는 충전 동작을 진행하게 된다. $t_{3}$ 이후 구간에서는 $t_{1}$∼$t_{2}$ 구간과 같은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Fig. 14. Experiment waveforms of microgrid power flow in grid-connected mode
../../Resources/kiiee/JIEIE.2021.35.3.047/fig14.png

Table 4. Microgrid power flow

Parameter

Value

Unit

$t_{1}$∼$t_{2}$

$t_{2}$∼$t_{3}$

$t_{3}$이후

Mode

1

2

1

-

ESS

3

-2

3

kW

PV 컨버터

2

2

2

kW

WT 컨버터

0

5

0

kW

DC 부하

5

5

5

kW

그림 15는 계통 연계 시 $t_{2}$ 시점에 ESS의 SOC가 50% 이하가 되어 부하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계통에서 수전 받아 ESS를 강제로 충전하기 시작하며 인터링킹 컨버터의 전력에 의해 MG State는 1로 변경되는 실험 파형을 나타낸다. 그림 15 (a)는 인공신경망의 입력인 MG State와 SOC, 출력인 Mode와 ESS Power Reference를 나타내고 있으며, 그림 15 (b)는 DC 전압과 ESS, 분산발전 컨버터의 출력 전류, DC 부하 전류 파형을 나타내고 있다. 실험에서 각 전력변환 장치의 전력 흐름의 변화는 표 5와 같다.

Fig. 15. Experiment waveforms of microgrid power flow in grid-connected mode (Steady state → Forced charging)
../../Resources/kiiee/JIEIE.2021.35.3.047/fig15.png

$t_{1}$시점에 인공신경망이 투입되며, 모든 구간에 발전 전력보다 부하 전력이 큰 상황임에도 $t_{2}$시점에 SOC가 50%가 되어 단독 운전 모드로의 절환을 대비하기 위해 ESS를 충전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Table 5. Microgrid power flow

Parameter

Value

Unit

$t_{1}$∼$t_{2}$

$t_{2}$이후

Mode

1

2

-

ESS

3 → 1 → 2

-4

kW

PV 컨버터

2

2

kW

WT 컨버터

0 → 2 → 1

1

kW

ILC 컨버터

0

5

kW

DC 부하

5

5

kW

그림 16은 계통 연계 시 ESS의 SOC가 50% 이하가 되어 계통에서 수전 받는 중 $t_{2}$ 시점에서 SOC가 80% 까지 충전된 후 ESS의 충·방전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실험 파형을 나타낸다. 그림 16 (a)는 인공신경망의 입력인 MG State와 SOC, 출력인 Mode와 ESS Power Reference를 나타내고 있으며, 그림 16 (b)는 DC 전압과 ESS, 분산발전 컨버터의 출력 전류, DC 부하 전류 파형을 나타내고 있다. 각 전력변환 장치의 전력 흐름의 변화는 표 6과 같다.

Fig. 16. Experiment waveforms of microgrid power flow in grid-connected mode (Forced charging → Steady state)
../../Resources/kiiee/JIEIE.2021.35.3.047/fig16.png

Table 6. Microgrid power flow

Parameter

Value

Unit

$t_{1}$∼$t_{2}$

$t_{2}$이후

Mode

2

1 → 2 → 1

-

ESS

-4

3 → -2 → 1

kW

PV 컨버터

2

2

kW

WT 컨버터

0

0 → 5 → 2

kW

ILC 컨버터

5

0

kW

DC 부하

5

5

kW

$t_{1}$ 시점에서 인공신경망이 투입되며, $t_{1}$∼$t_{2}$구간 동안은 AC 계통에서 수전받아 ESS를 충전하고 $t_{2}$ 시점에서 ESS의 SOC가 80%가 되어 충전 MG State는 0으로 변경되고 ESS는 발전 전력과 부하 수요에 따라 충·방전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4.2 단독 운전 시 실험 결과

그림 2에서 주 AC 계통의 Fault 상황을 모의하기 위해 AC 계통을 차단하고 실험을 진행하였다. 단독 운전의 경우 DC 전압 제어는 WT 컨버터가 수행하며 인터링킹 컨버터는 AC 전압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그림 17은 단독 운전 시 ESS의 SOC가 20% 이상 90% 이하인 상황에서 인공신경망의 지령에 따라 모드와 ESS의 충·방전 전력 지령이 결정되는 Mode 3의 실험 파형을 나타낸다. 그림 17 (a)는 인공신경망의 입력인 MG State와 SOC, 출력인 Mode와 ESS Power Reference를 나타내고 있으며, 그림 17 (b)는 AC와 DC 배전망의 전압과 ESS, 분산발전 컨버터의 출력 전류 파형을 나타내고 있다. 표 7은 각 전력변환 장치의 전력 흐름의 변화를 나타낸다.

$t_{1}$시점에 인공신경망이 투입되며, $t_{1}$∼$t_{2}$ 구간과 $t_{3}$∼$t_{4}$에서 발전 전력이 부하 전력보다 커서 ESS가 충전 동작을 수행하며, $t_{2}$∼$t_{3}$구간과 $t_{4}$구간 이후는 부하 전력이 발전 전력보다 크게 되어 ESS는 부하를 감당하게 된다. 그림 18은 AC 계통의 상전압과 각 상황에 따른 부하 전류를 나타낸다.

Fig. 17. Experiment waveforms of microgrid power flow in stand-alone mode (mode 3)
../../Resources/kiiee/JIEIE.2021.35.3.047/fig17.png

Fig. 18. Experiment waveforms of AC grid voltage and load current in stand-alone mode (mode 3)
../../Resources/kiiee/JIEIE.2021.35.3.047/fig18.png

Table 7. Microgrid power flow

Parameter

Value

Unit

$t_{1}$∼$t_{2}$

$t_{2}$∼$t_{3}$

$t_{3}$∼$t_{4}$

$t_{4}$이후

Mode

3

3

3

3

-

ESS 컨버터

-1

1

-1

1.7

kW

PV 컨버터

2

2

2

2

kW

WT 컨버터

DC 전압 제어

kW

ILC 컨버터

0

0

0

-2.7

kW

DC 부하

1

3

1

1

kW

AC 부하

0

0

0

2.7

kW

그림 19는 단독 운전 시 ESS의 SOC가 90% 이상이 되면 배전망의 전압 상승과 ESS의 과충전이 우려되어 분산 발전원의 발전 전력을 부하 전력만큼 제한하여 ESS가 충전 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하는 Mode 4의 실험 파형을 나타낸다. 그림 19 (a)는 인공신경망의 입력인 MG State와 SOC, 출력인 Mode와 ESS Power Reference를 나타내고 있으며, 그림 19 (b)는 AC와 DC 배전망의 전압과 ESS, 분산발전 컨버터의 출력 전류 파형을 나타내고 있다. 표 8은 각 전력변환 장치의 전력 흐름의 변화를 나타낸다.

Fig. 19. Experiment waveforms of microgrid power flow in stand-alone mode (mode 3→4→3)
../../Resources/kiiee/JIEIE.2021.35.3.047/fig19.png

$t_{1}$시점에 인공신경망이 투입되고, $t_{1}$∼$t_{2}$ 구간에서는 Mode 3으로 동작되며, 발전 전력이 부하 전력보다 커서 ESS는 충전 동작을 수행하다가 $t_{2}$ 시점에서 ESS의 SOC가 90% 이상이 되어 Mode 4로 절환 되고 PV 컨버터는 출력 전력을 부하 수요 전력만큼으로 제한되어 ESS는 충전 동작을 멈추게 된다. $t_{2}$∼$t_{3}$구간 동안 Mode 4를 유지하다 $t_{3}$ 시점에서 부하 전력이 PV 최대 발전 전력보다 커지게 되므로 PV 컨버터는 출력 전력을 2kW로 제어를 수행하고 ESS는 방전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t_{4}$이후 구간에서 ESS의 SOC가 90% 이하로 떨어지게 되어 mode 3으로 절환 된다. 그림 20은 AC 계통의 상전압과 각 상황에 따른 부하 전류를 나타낸다.

Fig. 20. Experiment waveforms of AC grid voltage and load current in stand-alone mode (mode 3→4→3)
../../Resources/kiiee/JIEIE.2021.35.3.047/fig20.png

Table 8. Microgrid power flow

Parameter

Value

Unit

$t_{1}$∼$t_{2}$

$t_{2}$∼$t_{3}$

$t_{3}$∼$t_{4}$

$t_{4}$이후

Mode

3

4

4

3

-

ESS 컨버터

-1

0

2.7

2.7

kW

PV 컨버터

2

1

2

2

kW

WT 컨버터

DC 전압 제어

kW

ILC 컨버터

0

0

0

-2.7

kW

DC 부하

1

1

1

1

kW

AC 부하

0

0

0

2.7

kW

그림 21은 단독 운전 시 ESS의 SOC가 20% 이하가 되면 배전망의 전압 강하와 ESS의 과방전이 우려되어 부하를 차단하고 ESS는 충전 동작을 수행하는 Mode 5의 실험 파형을 나타낸다. 그림 21 (a)는 인공신경망의 입력인 MG State와 SOC, 출력인 Mode와 ESS Power Reference를 나타내고 있으며, 그림 21 (b)는 AC와 DC 배전망의 전압과 ESS, 분산발전 컨버터의 출력 전류 파형을 나타내고 있다. 표 9는 각 전력변환 장치의 전력 흐름의 변화를 나타낸다.

$t_{1}$시점에 인공신경망이 투입되고, $t_{1}$∼$t_{2}$ 구간에서는 Mode 3으로 동작하며, $t_{2}$ 시점에서 ESS의 SOC가 20%가 되어 Mode 5로 절환된다. 해당 모드에서는 중요 DC 부하를 제외한 나머지 부하는 강제로 차단되고 ESS는 SOC가 50%가 될 때까지 충전 동작을 우선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그림 22는 AC 계통의 상전압과 각 상황에 따른 부하 전류를 나타낸다.

Fig. 21. Experiment waveforms of microgrid power flow in stand-alone mode (mode 3→5)
../../Resources/kiiee/JIEIE.2021.35.3.047/fig21.png

Fig. 22. Experiment waveforms of AC grid voltage and load current in stand-alone mode (mode 3→5)
../../Resources/kiiee/JIEIE.2021.35.3.047/fig22.png

Table 9. Microgrid power flow

Parameter

Value

Unit

$t_{1}$∼$t_{2}$

$t_{2}$ 이후

Mode

3

5

-

ESS 컨버터

1.7

-1

kW

PV 컨버터

2

2

kW

WT 컨버터

DC 전압 제어

kW

ILC 컨버터

-2.7

0

kW

DC 부하

1

1

kW

AC 부하

2.7

0

kW

그림 23은 단독 운전 시 Mode 5로 동작하는 경우 ESS의 SOC가 50%가 될 때까지 부하를 차단하고 ESS의 충전 동작을 우선적으로 수행하다가 SOC가 50%가 되면 동작 모드가 Mode 3으로 절환되며 부하를 다시 연계하고 ESS는 충·방전 동작을 수행하는 실험 파형을 나타낸다. 그림 23 (a)는 인공신경망의 입력인 MG State와 SOC, 출력인 Mode와 ESS Power Reference를 나타내고 있으며, 그림 23 (b)는 AC와 DC 배전망의 전압과 ESS, 분산발전 컨버터의 출력 전류 파형을 나타내고 있다. 표 10은 각 전력변환장치의 전력 흐름의 변화를 나타낸다.

Fig. 23. Experiment waveforms of microgrid power flow in stand-alone mode (mode 5→3)
../../Resources/kiiee/JIEIE.2021.35.3.047/fig23.png

Fig. 24. Experiment waveforms of AC grid voltage and load current in stand-alone mode (mode 5→3)
../../Resources/kiiee/JIEIE.2021.35.3.047/fig24.png

$t_{1}$시점에 인공신경망이 투입되고, $t_{1}$∼$t_{2}$ 구간에서는 Mode 5로 동작하며, $t_{2}$ 시점에서 ESS의 SOC가 50%가 되어 Mode 3으로 절환된다. 해당 모드에서는 다시 모든 부하가 연계되며 ESS는 충·방전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림 24는 AC 계통의 상전압과 각 상황에 따른 부하 전류를 나타낸다.

Table 10. Microgrid power flow

Parameter

Value

Unit

$t_{1}$∼$t_{2}$

$t_{2}$ 이후

Mode

5

3

-

ESS 컨버터

-1

1.7

kW

PV 컨버터

2

2

kW

WT 컨버터

DC 전압 제어

kW

ILC 컨버터

0

-2.7

kW

DC 부하

1

1

kW

AC 부하

0

2.7

kW

5. 결 론

본 논문은 Two-Step 구조의 인공신경망을 적용한 Hybrid AC/DC 마이크로그리드의 운영 기법에 관해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마이크로그리드의 운영 기법은 예측이 불가능한 소규모 마이크로그리드의 분산 발전 전력과 부하 수요 전력을 데이터로 사용하기 위해 운영기법에 인공신경망을 적용하였다. 다양한 분산 발전원의 발전 상황과 부하 상황에서 1-Step의 출력인 동작 모드와 2-Step 인공신경망의 출력인 ESS의 전력 지령이 안정적으로 출력되고 개별 컨버터들이 MGCC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시뮬레이션 과정에서 확인하였다. 실험을 통해 인공신경망에 의해 소규모 마이크로그리드의 운영이 가능하였으며, 본 연구의 타당성을 증명하였다. 향후 인공신경망을 적용한 하이브리드 AC/DC 마이크로그리드 운영에서 부하 불평형에 의한 전압 불평형 문제를 해결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MOTIE)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KETEP)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연구 과제입니다. (No. 2019381010001B)

References

1 
Nejabatkhah Farzam., Yun Wei Li, 2014, Overview of power management strategies of hybrid AC/DC microgrid., IEEE Transactions on power electronics 30.12, pp. 7072-7089DOI
2 
Hong Won-Pyo, 2018, Analysis of recent microgrid technology development trends,, Proc. of the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Vol. 32, No. 6, pp. 40-52DOI
3 
Li X., Song Y. J., Han. S. B., July 2007, Study on Power Quality Control in Multiple Renewable Energy Hybrid Micro Grid System, 2007 IEEE Lausanne Power Tech, pp. 2000-2005DOI
4 
Prabhala V. A. K., Baddipadiga. B. P., Ferdowsi M., Oct. 2014, DC distribution systems-An overview, in 2014 Int. Conf. Renew. Energy Res. Appl, pp. 307-312DOI
5 
Salomonsson D., Soder. L., Sannino A., Nov-dec 2008, An Adaptive Control System for a DC Microgrid for Data Centers,, in IEEE Transactions on Industry Applications, Vol. 44, No. 6, pp. 1910-1917DOI
6 
Choi. Bong-Yeon, 2020 Seoul, A study on intelligent energy management of microgrid based on neural network and fault control of interlinking converter, Ph.D. Thesis, Department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Google Search
7 
Marzooghi H., Emami K., Wolfs. P. J., Holcombe B., 2018, Short-term Electric Load Forecasting in Microgrids: Issues and Challenges,, 2018 Australasian Universities Power Engineering Conference (AUPEC), Auckland, New Zealand, pp. 1-6DOI
8 
Wang Y., Oct 2018, Energy management of smart micro-grid with response loads and distributed generation considering demand response, J. Cleaner Prod., Vol. 197, pp. 1069-1083DOI
9 
Mu X., Zhang Y., 2010, A New Two-Step Gradient-Based Backpropagation Training Method for Neural Networks.In: Zhang L., Lu BL., Kwok J. (eds) Advances in Neural Networks, ISNN 2010. ISNN 2010. Lecture Notes in Computer Science, Vol. 6063, No. Springer, Berlin, HeidelbergDOI
10 
A. Mohd., 2010, Control strategy and space vector modulation for three-leg four-wire voltage source inverters under unbalanced load conditions., IET power electronics 3.3, pp. 323-333DOI

Biography

Tae-Gyu Kim
../../Resources/kiiee/JIEIE.2021.35.3.047/au1.png

He received the B.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Gachon University, Seongnam, Korea in 2019.

He is currently working towards the M.S degree in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at Sungkyunkwan University, Suwon, Korea.

His current research interests include the power converters for renewable energy sources, hybrid AC/DC microgrid.

Hoon Lee
../../Resources/kiiee/JIEIE.2021.35.3.047/au2.png

He received B.S degree in electronic and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ungkyunkwan University, Suwon, Republic of Korea, where he is currently working toward the combined master and Ph.D degree in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design and control of power converters for distributed energy resources and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hybrid AC/DC microgrid.

Chang-Gyun An
../../Resources/kiiee/JIEIE.2021.35.3.047/au3.png

He received the B.S. degree in Automatic System Engineering from Dongyang Mirae University, Seoul, Korea in 2019 and he is currently working towards his Combined Master and Ph.D degree in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Suwon, Korea.

His current research interests include the power converters for renewable energy sources, hybrid AC/DC microgrid with 4-leg inverter.

Yoon-Seong Lee
../../Resources/kiiee/JIEIE.2021.35.3.047/au4.png

He received the B.S. degree in 2019 in Automotive Engineering from Daelim University, Anyang, Korea.

He is currently working toward the Combined Master and Ph.D. degree in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in Sung kyunkwan University, Suwon, Korea.

His current research interests include DC Microgrid, AC/DC converter, and DC/AC inverter.

Kyung-Min Kang
../../Resources/kiiee/JIEIE.2021.35.3.047/au5.png

He received his B.S. degree in Automatic System Engineering from Dongyang Mirae University, Seoul, Korea, in 2016: and his M.S degree in Energy System Engineering form Sungkyunkwan University, Suwon, Korea, in 2018.

He is presently working towards his Ph.D. degree in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His current research interests include DC distribution system, ac-dc converter, model predictive control.

Junsin Yi
../../Resources/kiiee/JIEIE.2021.35.3.047/au6.png

Junsin Yi was born in Seoul, Korea, in 1962. He received the B.S. degree in Electronic and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 in 1989.

He received the M.S and Ph. D. degree in Electronic and Electrical Engineering from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University at Buffalo, U.S.A. in 1991 and 1994, respectively, He is currently working as a professor at SungKyunKwan University, Suwon.

His main research interest is solar cells, Thin Film Transistor and their applications.

Chung-Yuen Won
../../Resources/kiiee/JIEIE.2021.35.3.047/au7.png

He received B.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ungkyunkwan University, Suwon, Korea, in 1978, and the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in 1980 and 1987, respectively.

From 1990 to 1991, he was with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University of Tennessee, Knoxville, TN, USA as a Visiting Professor.

From 1988 to 2020, he has been with a member of the faculty of Sungkyunkwan University, where he is a Professor in the Colleg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also, in 2008-2013, he was the director of Samsung Energy Power Research Center.

He is currently Distinguished Chair Professor with the Colleg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He was the President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in 2010.

Since 2016, he has been a director of the DC distribution research center.

His current research interests include the power electronic of electric machines, electric / hybrid vehicle drives, power converters for renewable energy systems.

He is a member of the Korea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KIPE), and senior member of IE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