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ISO Journal TitleJ Korean Inst. IIIum. Electr. Install. Eng.

  1. (Senior Research Engineer, Research Institute, G.F TEK Co.,LtD, Gwang-Ju)



Buck-Boost Voltage Control, Four Quadrant Voltage Control, In Phase Buck mode, Shoot Through Mode, Simple Duty Cycle Control Scheme, Quasi Z-Source AC Converter

1. 서 론

전력 품질에 민감한 부하 장치들이 증가되면서 전력 계통에 설치되어 일정 주파수의 교류 전압을 제어 가능한 동적전압보상기(DVR)(1,2)나 전자 변압기(Electronic Transformer)(3)용 교류 컨버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교류 컨버터는 그 구조와 제어 방법이 간단하여 산업 현장의 각종 전원 장치에 넓게 사용되고 있다(4-6). 특히 최근 들어 연구된 quasi Z-소스 토폴로지의 컨버터(7,8)는 시동시에 Z-네트워크 커패시터의 충전 전류와 스트레스 전압을 완화시키는 장점이 있어서 많은 연구가 있어왔다.

그러나 quasi Z-소스 교류 컨버터는 입력 전압에 대하여 역상(Out of phase)으로 승압-강압된 출력 전압과 동상(In phase)으로 승압된 출력 전압만 발생 가능하다(2,7). 대부분의 산업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전압(3)은 동상의 승압 출력 전압뿐 만 아니라, 동상의 강압된 전압이다. 4상한 출력 전압 특성은 2대의 quasi Z-소스 교류 컨버터(1,2,5) 를 캐스케이드로 연결하여 해결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2대의 컨버터를 사용하므로 하드웨어의 부피가 커지고, 공진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quasi Z-소스 교류 컨버터의 입력 전압에 대하여 동상 및 역상의 승압-강압된 출력 전압을 얻기 위한 간단한 듀티 비 제어 기법을 제안한다. 역상의 승압-강압 모드 및 동상의 승압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종전의 듀티비 제어 기법을 그대로 적용하고, 동상의 강압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제안한 방법을 적용한다. 제안된 방법은 우선 한 개의 캐리어 신호에 두 개의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두 개의 듀티 비를 갖는 PWM신호를 발생시킨다. 이 신호로 교류 컨버터의 입력단 스위치와 부하단 스위치를 중복 도통시킴으로서 컨버터를 Shoot-through모드(7,8)로 동작하게 하여 출력 전압을 제어한다.

PSIM시뮬레이션과 실험을 수행하여, 동상의 강압 출력 전압 뿐만 아니라, 동상의 승압 전압 및 역상의 승압-강압 전압을 발생 가능함을 입증하고자 한다. 추가적으로 부하 변동에 따른 출력 전압과 입력 역률 및 효율 특성도 살펴보기로 한다.

2. 제안된 시스템

그림 1은 quasi-Z-소스 교류 컨버터를 나타내고 있다. quasi Z-소스 교류 컨버터는 다이오드 브리지를 포함한 저압의 양방향 전력용 스위치로 동작하는 IGBT(Sw1, Sw2)와 스위치의 온, 오프에 따라 에너지의 저장과 방출이 이루어지는 quasi Z-소스 네트워크($L_{1},\: C_{1},\: L_{2},\:C_{2}$), 그리고 출력 $L_{f}-C_{f}$필터로 구성되어져 있다. 여기서, 스위치 양단의 $R_{s}-C_{s}$소자는 스너버 회로이고 소자에 직렬로 연결된 $r$은 등가손실 저항을 나타낸다.

Fig. 1. Single phase quasi-Z-source AC converter
../../Resources/kiiee/JIEIE.2021.35.5.025/fig1.png

Fig. 2. Conventional PWM duty ratio control
../../Resources/kiiee/JIEIE.2021.35.5.025/fig2.png

그림 2는 quasi-Z-소스 교류 컨버터의 종전의 PWM 듀티 비의 제어 기법을 나타낸다. 여기서 T는 스위칭의 한 주기를 의미하며, T 기간 동안 Sw1과 Sw2는 상보적으로 온, 오프를 반복하여 교류 컨버터의 출력 전압을 제어한다.

Fig. 3. Operation states of quasi Z-source AC converter
../../Resources/kiiee/JIEIE.2021.35.5.025/fig3.png

그림 3은 이 경우에 대한 quasi Z-소스 교류 컨버터의 동작상태이다. 그림 3(a)는 Sw1이 (1-D)T만큼 온이 되고, Sw2는 오프가 되는 Active 동작상태(7,8)를 나타낸다. 이 기간에는 전원에너지가 Sw1을 통하여 (1-D)T만큼 부하에 공급된다. 그림 3(b)는 Sw2가 DT동안 온 되고, Sw1이 오프가 되는 Shoot-through상태를 나타낸다. 이 기간에는 Sw2가 암 단락 상태가 되므로 부스트 컨버터처럼 $C_{1}-L_{2}$에는 DT동안 에너지가 충전되고, 컨버터가 다시 Active상태로 되면 Sw1을 통하여 (1-D)T동안 전원에너지와 $C_{1}-L_{2}$에 저장된 에너지가 부하로 전달된다. 암 단락 기간이 길수록 $C_{1}-L_{2}$의 저장에너지는 커져서 전압 이득은 높아지나, 스위칭의 단락 구간이 길어져 스위치 스트레스가 높아지고 전류파형이 왜형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T 기간 동안의 커패시터$C_{1}$, $C_{2}$, $C_{f}$의 전압은 다음과 같다.

(1)
$v_{c1}=\dfrac{1-D}{1-2D}v_{acin}$

(2)
$v_{c2}=\dfrac{D}{1-2D}v_{acin}$

(3)
$v_{cf}=\dfrac{1-D}{1-2D}v_{acin}$

(1)-(3)을 활용하여 커패시터의 전압 이득 $K_{c1},\: K_{c2},\: K_{cf}$을 나타내면 (4)-(6)으로 표현된다.

(4)
$K_{c1}=\dfrac{v_{c1}}{v_{acin}}=\dfrac{1-D}{1-2D}$

(5)
$K_{c2}=\dfrac{v_{c2}}{v_{acin}}=\dfrac{D}{1-2D}$

(6)
$K=K_{cf}=\dfrac{v_{cf}}{v_{acin}}=\dfrac{1-D}{1-2D}$

여기서 $V_{acin}$은 교류 입력전압이고, D는 듀티비 그리고 $K_{c1}$, $K_{c2}$, $K_{cf}$는 커패시터$C_{1}$, $C_{2}$, $C_{f}$의 전압 이득을 의미한다. 식(6)의 D의 변화에 따른 출력전압 이득 K의 크기를 그림 4에 나타내었다.

Fig. 4. Output voltage gain(K) of the conventional scheme according to duty ratio(D).
../../Resources/kiiee/JIEIE.2021.35.5.025/fig4.png

그림 4의 K의 변화를 보면, 0.68≤D<1 영역에서는 역상의 강압 모드, 0.59<D<0.68 영역에서는 역상의 승압 모드로 동작되며, 0≤D<0.45사이에서는 동상의 승압 모드로 동작됨을 알 수 있다. 그림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quasi Z-소스 교류 컨버터는 낮은 D영역에서 항상 K ≥ 1이므로 입력 전압 $v_{acin}$에 대하여 동상의 강압 전압$v_{acout}$을 발생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종전의 제어 기법이 동상의 강압 모드로 동작 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제안된 듀티비 제어 기법을 그림 5에 나타내었다. 종전의 방법인 그림 2와 비교해보면, 제안된 방법은 기준 전압이 두 개임을 알 수 있다. 기준전압 $V_{ref1}$은 Sw1을 Ds1T만큼 도통하게 하고, $V_{ref}$는 Sw2가 DT만큼 Shoot-through모드로 도통하게 한다.

Fig. 5. The proposed PWM duty ratio control of the in-phase buck mode
../../Resources/kiiee/JIEIE.2021.35.5.025/fig5.png

그림 6은 이 경우의 Active상태와 Shoot-through상태에 대한 등가 회로를 나타낸다. 제안된 방법의 동상 강압모드는 (a)Active모드-1과 (b)Active모드-2 그리고 (c)Shoot-through모드로 진행된다. 먼저 그림 6(a)의 Active모드-1은 종전의 모드와 동일하게 Sw1은 온 상태이고 Sw2는 오프 상태로서 전원에너지는 (Ds1-D)T 동안 부하로 공급된다.

그 후 그림 6(b)의 Active모드-2가 되면 Sw1과 Sw2가 모두 오프되며 전원에너지는 스위치를 통하지 않고 (1-Ds1)T의 아주 짧은 시간동안 $L_{1}-C_{2}$를 통하여 공급된다. 이후 Sw1과 Sw2가 모두 도통되는 그림 6(c)의 Shoot-through모드가 되면 $L_{1}-C_{1}-L_{2}$에 DT동안 에너지가 충전되고, 이 에너지는 컨버터가 다시 Active모드-1상태로 되면 Sw1을 통하여 전원에너지와 $L_{1}-C_{1}-L_{2}$에 저장된 에너지가 부하로 전달된다.

본 연구의 Shoot-through 상태는 Sw1과 Sw2가 동시에 온 되는 부분에 있어서 Sw2만 온 되어 에너지가 방전되는 일반적인 Shoot-through와는 다르다. 이 상태 동안은 Sw1과 Sw2가 동시에 온되는 Shoot-through상태이므로 부하 단에는 전압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상의 Active상태와 Shoot-through상태가 주기적으로 반복되면서 강압된 동상의 전압이 부하 전압으로 출력된다.

본 연구에서 다루는 컨버터의 동상의 승압모드 및 역상의 승강압 모드에 관한 전압 이득 식은 식(4-(6))과 동일하다. 동상의 강압 모드는 그림 5와 같이 Ds1과 D가 한주기 내에서 이루어지므로 두 Ds1과 D의 합은 1을 만족하여야 한다. 이 관계를 표 1로 정리하였으며, 이는 1차 함수로 근사화된다. 1차 함수로 근사화된 동상의 강압모드와 포물선 함수로 근사화된 동상의 승압 모드와 역상의 승강압 모드에 대한 K의 곡선을 그림 7로 나타내었다.

Table 1. Relationship Between D and Ds1

D

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

Ds1

1.0

0.9

0.8

0.7

0.6

0.5

0.4

0.3

0.2

0.1

0.0

Fig. 6. Operation states in case of the in-phase buck mode
../../Resources/kiiee/JIEIE.2021.35.5.025/fig6.png

Fig. 7. Output voltage gain(K) of the proposed scheme according to duty ratio(D)
../../Resources/kiiee/JIEIE.2021.35.5.025/fig7.png

그림 7은 본 연구에서 제안한 듀티비 제어 기법에 대한 D와 Ds1의 변화에 상응하는 K값의 변화를 교류 컨버터 동작 모드 별로 나타낸 것이다. 종전의 기법에서는 K가 D에 의해서만 결정되지만, 본 연구에서 제안된 동상의 강압 모드는 표 1의 규칙에 의하여 D와 Ds1을 동시에 제어해야 K가 제어됨을 알 수 있다. 낮은 D의 영역으로 갈수록 Sw2의 스위칭 기간이 매우 적어지므로, 출력 전압은 입력 전압과 거의 동일하다. D가 증가되면 Shoot-through기간이 커지므로 부하단으로 에너지 전달을 차단하는 효과가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3. 실험 고찰

표 2는 본 연구에서 제안된 듀티 비 제어 기법을 검증하기 위한 PSIM시뮬레이션과 실험의 파라미터를 나타낸다. 교류 입력 전압은 90Vpeak/60Hz이며, quasi Z-소스 네트워크의 인덕터와 커패시터는 L1=L2=1mH, C1=C2 =6.8uF,출력필터는 Lf=2[mH], Cf=10[uF] 그리고 부하는 R=100[$\Omega$]를 사용하였다. 스위칭 소자 Sw1, Sw2는 IGBT(G60N100)이며, 스위칭 주파수는 20kHz이고, 다이오드 D는 DSEI60 – 12A가 사용되었다.

Table 2. Simulation Parameters

Item

Value

AC input voltage

90Vpeak/60Hz

Z-source network

L1, L2

1mH

C1,C2

6.8uF

L-C filter

Lf

2mH

Cf

10uF

fsw

20kHz

R-C snubber

Rs

0.1 $\Omega$

Cs

0.01uF

AC load R

100 $\Omega$

종전의 방법은 컨버터 2대를 캐스케이드로 연결하여 상위컨버터와 하위컨버터의 스위치를 교차 스위칭하여 4상한 전압제어를 한다. 따라서 단상으로 제안된 시스템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컨버터 1대가 절약되고, 3상의 경우에는 3대가 절약되어 총 50%정도의 부품과 부피가 절감되어 두 컨버터 상호간의 공진현상과 순환전류가 없다. 그러나 일반 부품의 절감보다는 단상의 경우 무거운 절연변압기 2대의 부피가 불필요하며 따라서 발열문제가 없다는 것이 큰 장점이다. 그림 2그림 5의 PWM 듀티비 제어를 구현하기 위하여 DSP 28335가 사용되었다. 그림 5와 같이 삼각파 캐리어 Vtri의 진폭과 기준전압 Vref 및 Vref1과 비교하여 기준전압이 캐리어신호보다 크면 ‘1’의 값을 가지며 스위치는 온이 되고, 기준전압이 캐리어보다 작으면 ‘0’의 값을 가지면 스위치는 오프 상태가 된다.

그림 8은 본 연구에서 제안한 듀티 비 제어기법이 적용된 동상의 강압 모드(Ds1=0.9, D=0.1)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다. 종전의 듀티비 제어 기법으로 1대의 quasi Z-소스 교류 컨버터를 제어하는 경우, 이 모드로 동작할 수가 없다. 그러나 제안된 방법은 그림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 동작 모드로 컨버터가 제어 가능하다.

실제 산업 현장에서는 전자변압기에 의하여 교류 전압을 강압하여 사용하거나 전압 Sag를 동적전압보상기(DVR)에 의하여 보상할 때 동상의 강압모드가 적용된다. 동상의 강압 동작 모드는 교류 컨버터의 응용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Fig. 8. n-phase buck mode(Ds1=0.9, D=0.1)
../../Resources/kiiee/JIEIE.2021.35.5.025/fig8.png

그림 9는 동상의 승압 모드(D=0.3)로 동작하는 경우, quasi Z-소스 교류 컨버터의 입출력 전압 파형을 나타내고 있으며, 입력 전압에 대하여 출력 전압이 승압이 되고 있다. 동상의 강압 모드와 같이 승압 모드 역시 산업현장에서 많이 적용되고 있다.

Fig. 9. In-phase boost mode(D=0.3)
../../Resources/kiiee/JIEIE.2021.35.5.025/fig9.png

Fig. 10. Out of phase boost mode(D=0.64)
../../Resources/kiiee/JIEIE.2021.35.5.025/fig10.png

그림 10은 역상의 승압 모드(D=0.64)의 출력 특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입력 전압에 대하여 출력 전압이 역상으로 승압되고 있다.

그림 11은 역상의 강압 모드(D=0.75)에 대한 입/출력 전압 파형인데, 출력 전압은 입력 전압에 대하여 역상으로 강압되고 있다. 전원계통에 50%이하의 순간적인 전압 swell이 발생하는 경우 DVR은 이 모드로 동작하여 swell 전압을 보상한다.

그림 12는 2A에서 3A로 컨버터의 부하전류가 증가하는 경우에 대한 컨버터의 동상 모드의 동특성을 나타내었다. 그림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하 전류가 증가하더라도 제안된 quasi Z-소스 교류 컨버터는 부하 변동과 무관하게 출력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 가능함을 알 수 있다.

Fig. 11. Out of phase buck mode(D=0.75)
../../Resources/kiiee/JIEIE.2021.35.5.025/fig11.png

Fig. 12. Dynamic response in case of the out of phase buck mode (100V/div.,2A/div., 10ms)
../../Resources/kiiee/JIEIE.2021.35.5.025/fig12.png

그림 13은 20에서 100범위로 저항 부하를 10 씩 증가시키는 경우에 대한 종전의 방법과 제안된 방법의 입력 역률을 나타낸다. 동상으로 동작하는 경우, 높은 부하저항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영역에서 입력역률은 90%이상이다. 그러나 역상 모드에서는 부하 저항의 증가에 따라 입력 역률이 저하됨을 볼 수 있다.

그림 14는 효율에 대한 비교를 나타내고 있다. 제안된 방법은 동상의 경우에 낮은 부하저항의 영역에서의 약간의 차이를 제외하면 종전의 방법과 거의 비슷하다. 그러나 역상의 동작에서는 종전의 방법과 동일하게 전 영역에서 낮은 효율을 보인다.

제안된 컨버터는 동상의 승압-강압 동작에 한정하는 경우에는 소용량의 전자 교류 변압기로 응용 가능하며, 동상과 역상의 모드로 모두 동작하는 경우에는 동적전압 보상기로 응용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Fig. 13. Input power factor with different loads
../../Resources/kiiee/JIEIE.2021.35.5.025/fig13.png

Fig. 14. Efficiency with different loads
../../Resources/kiiee/JIEIE.2021.35.5.025/fig14.png

5. 결 론

종전의 quasi Z-소스 교류 컨버터의 듀티비 제어기법은 컨버터의 입력 전압에 대하여, 출력전압은 동상의 강압과 역상의 승압-강압 모드로만 동작 가능하였다. 동상의 강압 모드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교류 컨버터가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하드웨어를 추가하지 않고 동상의 강압 모드로도 제어 가능한 간단한 듀티비 제어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우선 한 개의 캐리어 신호에 두 개의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두 개의 듀티 비를 갖는 PWM신호를 발생시킨다. 이 신호로 교류 컨버터의 입력단 스위치와 부하단 스위치를 중복하여 도통시킴으로서 컨버터를 Shoot-through모드로 동작하게 하여 출력 전압을 제어한다.

PSIM시뮬레이션과 실험에 의하여 quasi Z-소스 교류 컨버터의 4상한 교류 전압 제어 특성을 고찰하여 제안된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제안된 방법은 동상의 승압과 역상의 승압-강압 모드 뿐 만 아니라, 동상의 강압 모드로도 컨버터가 동작하였으며, 부하가 급증하는 과도 상태에서도 출력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입력역률과 효율의 관점에서, 동상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대부분의 영역에서 입력역률과 효율은 90%이상이나, 역상모드의 경우에는 비교적 낮은 값을 보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동적전압 보상기(DVR)나 소용량 전자 변압기에로 응용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Acknowledgements

이 논문은 2021년도 세한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씌어진 것임.

References

1 
Oum J.H., Jung Y.G., Lim Y.C., 2013, Single-Phase Series Type Quasi Z-Source Voltage Sag-Swell Compensator for Voltage Compensation of Entire Region, Journal of KIPE, Vol. 18, No. 4, pp. 322-332DOI
2 
Jung Y. G. , Lim Y. C., 2010, Dynamic Voltage Restorer(DVR) with a Z-Source AC Converter Topology”, Journal of KIIEE, Vol. 24, No. 9, pp. 36-43DOI
3 
D.H. Yoo., J.H. Oum., Y.G. Jung., Y.C. Lim., 2014, A Quasi Z-Source AC-AC Converter with a Low DC Voltage Distribution Capability Operating as a Power Electronic Transformer, Journal of KIEE, Vol. 63, No. 3, pp. 358-366DOI
4 
Wang. J. , McMahon. R. , 2020, Highly Reliable and Efficient Voltage Optimizer Based on Direct PWM AC-AC Buck Converter, IEEE Trans. Energy Convers., Vol. 35, No. 4, pp. 1987-1906DOI
5 
J.H. Oum., Y.G. Jung., Y.C. Lim., Y.J. Wu., pp28-31, Single-Phase Quasi Z-Source AC-AC Converter with a Series Connection of the Output Terminals', in Proc. IEEE ISIE’12, pp. 28-31DOI
6 
Kawashima. R. , Mishima. T. , Ide. C. , 2021, Three-Phase to Single-Phase Multiresonant Direct AC–AC Converter for Metal Hardening High-Frequency Induction Heating Applications, IEEE Trans. Power Electron, Vol. 36, No. 1, pp. 639-653DOI
7 
Nguyen. M.K., Jung. Y.G., Lim. Y.C. , 2010, Single-Phase AC-AC Converter Based on Quasi-Z-Source Topology, IEEE Trans. on. Power Electron, Vol. 25, No. 8, pp. 2200-2210DOI
8 
Lashab. A. , Sera. D. , Martins. J. , Guerrero. Josep M. , 2020, Dual-Input Quasi-Z-Source PV Inverter: Dynamic Modeling Design and Control, IEEE Trans. Ind. Electron., Vol. 67, No. 8, pp. 6483-6493DOI

Biography

Jun-Hyun Eom
../../Resources/kiiee/JIEIE.2021.35.5.025/au1.png

Jun-Hyun Eom was born in Sunchon, Chonnam, Korea. He received the B.S degree in control and measurement engineering from Chosun University, Gwang-ju, Korea in 2006.

He received the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in 2008 and 2013, respectively.

He is currently an Senior Research Engineer, Research Institute, G.F TEK Co., LtD, Gwang-Ju, Korea.

His current research interests include fuel cell power conversion, system design of dynamic voltage restorer, Z-source converters and their applications.

Young-Gook Jung
../../Resources/kiiee/JIEIE.2021.35.5.025/au2.png

Young-Gook Jung was born in Gwang-ju, Korea. He received the B.S., the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in 1986, 1988 and 1996, respectively.

He is currently an Associate Professor, Division of Liberal Arts(Engineering), Sehan University, Youngam-Geun, Chonnam, Korea.

His current research interests include system design of Z-source inverter and converters, random PWM scheme based electric drives, control theory of active power filters and dynamic voltage restorers, power quality problems and solutions.

Dr. Jung received several Prize Paper Awards from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and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of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