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승희
(Seunghee O)
1iD
BellaEliana
(Bella Eliana)
1iD
DewimarutoRatri
(Dewimaruto Ratri)
1iD
박영훈
(Younghun Park)
2iD
강형구
(Hyoungku Kang)
†iD
-
(Master course, Dept. of Electrical E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
(Undergraduate course, Dept. of Electrical E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Engineers(KIIEE)
Key words
Creepage discharge, Epoxy resin, PPLP, Stop joint box, Superconducting cable
1. 서 론
극저온 환경에서 ‘0’ 저항성으로 인하여 손실이 ‘0’이 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 초전도체를 도체로 사용하는 초전도케이블은 대용량의 전력을 전송할
때 발생하는 전력손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력한 대안 중의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1). 실제로 기존의 전력케이블을 사용함으로서 우리나라에서는 연간 1조 2,000억원 정도의 저항으로 인한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전력손실은
대략적으로 원전 1기가 1년 동안 만드는 전력에 해당한다 (2). 이와 같이 기존의 구리로 제작된 송, 배전 전력케이블을 초전도케이블로 교체하게 되면 매년 발생하고 있는 전력손실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직류 초전도케이블의 경우에는 기존의 전력케이블보다 약 10배 이상의 송전용량을 가질 수 있으며, 교류 초전도케이블의 경우에는 약 5배 이상의 송전용량을
가질 수 있다 (3). 또한 초전도케이블 사용으로 인하여 기존 전력구의 크기를 60\% 이하로 소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송전용량을 현재의 4배 이상으로 증가할 수
있다(4).
송전손실을 저감함으로서 전력생산에 수반되는 이산화탄소 배출을 억제할 수 있으며, 기존의 전력케이블에 사용되는 절연유나 SF6와 같은 환경오염 유발물질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서 환경보호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더욱이 초전도케이블은 완벽한 자기 차폐기능을 가지므로 기존의 초고압 가공선 및 지중선이 가지고
있는 전자파 환경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5).
초전도케이블의 구조는 크게 단말부, 코어, joint box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에서 joint box는 코어를 서로 연결하여 초전도케이블을
장선화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 제작 방식에 따라 normal joint box (NJB)와 stop joint box (SJB)의
두 가지 종류로 구분된다 (6)-(8). NJB는 단위길이를 가지는 두 개의 초전도코어를 개방된 냉각시스템 내에서 서로 직접 연결하는 방식이며, SJB는 두 초전도코어를 연결하고 epoxy
resin을 이용하여 함침한 후, 그 위에 polypropylene laminated paper (PPLP)를 권선하여 액체질소 내에서 절연을 하는
구조로 두 초전도코어 사이에 epoxy resin 재질의 격벽을 설치하는 방식이다. SJB는 격벽 설치를 통하여 단위 길이를 가지는 초전도코어의 압력과
온도를 NJB에 비하여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특징으로 인하여 장선화된 초전도케이블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SJB 설계를
위한 액체질소 내에서 PPLP와 epoxy resin 등과 같은 고체절연물의 표면에서 AC 및 뇌임펄스 전압에 대한 연면절연파괴 특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2019년 12월, 신갈변전소와 흥덕변전소 사이 1,035m 구간에 세계 최초로 23kV급 초전도케이블이 상용화되었으며, 2021년에 역곡변전소와
온수변전소 사이 1.6km 구간 및 문산변전소와 선유변전소 사이 2km 구간에도 추가로 초전도케이블을 설치할 계획이다. 향후 2km 구간 이상에 초전도케이블을
포설하기 위해서는 냉각시스템의 균일한 압력과 온도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SJB 설계기술을 개발해야 한다. 그러나 SJB 개발을 위한 액체질소
내 고체절연물의 연면절연파괴 특성을 비롯한 절연설계기술은 아직 도출되지 않은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전도케이블용 SJB 설계를 위하여 액체질소 내 PPLP-epoxy resin 계면에서의 연면 절연파괴특성 분석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면 절연파괴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AC 및 뇌임펄스 전압에 대한 절연파괴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결과적으로 압력변화에 따른 절연파괴 기준전계를 제시하였다.
2. 절연파괴 실험
2.1 절연파괴 실험준비
다음의 그림 1에는 SJB와 NJB의 구조를 나타내었다.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SJB는 단위 길이의 두 초전도코어가 격벽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는데 그 접합부는
epoxy resin을 이용하여 함침한 후 최종적으로 PPLP로 최외각을 절연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절연적으로 가장 취약한 부분은 PPLP와
epoxy resin 사이 계면을 따르는 경로이다 (9).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두 경로에 대한 연면절연파괴 특성을 다양한 압력 조건의 액체질소 내에서 분석하였다.
Fig. 1. Schematic view of NJB and SJB
이때 고체 절연물 표면에 존재하는 불순물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모든 샘플의 표면은 에탄올을 사용하여 세척한 후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epoxy resin의 종류는 Stycast 2850FT이며, 경화제는 Loctite CAT 9을 사용하였다. Epoxy resin과 경화제를
100:3.5의 질량비로 혼합하여 0.13Pa 압력 조건에서 27시간 동안 가스를 제거한 후 60℃의 온도에서 48시간 동안 경화시켰다. Epoxy
resin 시편의 표면에 전극 모양과 동일한 홈을 만들고 연면 방전거리는 5~110mm로 조정하였다. 또한 void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사포
(#1,200)를 이용하여 표면을 연마하고, 에탄올로 세척한 뒤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전압은 60Hz의 주파수를 갖는 AC와 파두와 파미가 각각 1.2/50μs인 뇌임펄스 전압이었으며, 각 조건에 대하여 7회 이상 동일한
실험을 반복 수행하고 통계 프로그램인 Minitab을 사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림 2에는 epoxy resin과 PPLP 계면 사이에서의 연면절연파괴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사용된 샘플의 구조를 나타내었다. 실험에 사용된 전극의 형상은
봉 대 봉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고체 절연물의 절연파괴전압 특성은 최대전계가 아닌 평균전계 특성에 의존하기 때문에 전극의 직경을 2mm로 고정하였다.
전극의 재질은 stainless steel을 사용하였다 (10). 그림 3에는 전극지지대를 이용하여 샘플을 지지한 모습을 나타내었다. 전극은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GFRP)로 제작한 전극지지대에
고정하였다. 그림 2(b)와 같이 epoxy resin 샘플과 PPLP 샘플 사이에 전극을 위치시킨 후 전극시스템이 잠길 정도의 충분한 액체질소를 채운 압력 챔버 안에 넣어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압력은 기체질소를 사용하여 0.1MPa ~ 0.5MPa로 조절하였다. 그림 4에는 전체적인 실험 구성도를 나타내었다.
Fig. 2. Image of the specimen
Fig. 3. Picture of the specimen with an electrode system
2.2 절연파괴 실험결과
압력 챔버에 액체질소를 채우고 시스템의 압력을 각각 0.1, 0.3, 그리고 0.5MPa로 조절하여 PPLP와 epoxy resin 계면에서의 절연파괴전압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AC와 뇌임펄스전압을 인가하여 연면 절연파괴 전압을 측정한 후,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림 4에는 본 실험의 구성도를 나타내었으며, 그림 5는 다양한 압력과 거리에 대한 PPLP와 epoxy resin 계면에서의 AC 절연파괴전압을 나타낸다. 그림에서 LCD는 length of creepage
discharge의 약어로서 두 봉 전극 사이의 연면거리를 나타내며, VCD,MEAN은 평균 연면절연파괴 전압값을 나타낸다.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LCD가 증가함에 따라 AC에 대한 연면절연파괴 전압은 포화하며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연면거리에 따른 절연파괴전압은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림 6은 PPLP와 epoxy resin 계면에 대한 압력과 거리 변화에 따른 뇌임펄스 절연파괴전압의 변화를 나타낸다. 뇌임펄스 전압에 대한 절연파괴특성
역시 AC 전압에 대한 절연파괴특성과 유사하게 LCD와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VCD,MEAN이 증가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특히 0.1MPa에서
0.3MPa로 압력이 증가할 때의 절연파괴전압에 비하여 0.3MPa에서 0.5MPa로 압력이 증가할 때의 절연파괴전압에서의 포화특성이 강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실험을 통하여 PPLP와 epoxy resin 계면에서의 절연파괴특성은 LCD와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포화하면서 증가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에 대한 특성을 추세선으로 함수화할 수 있다.
Fig. 4. Schematic drawing of dielectric experiment
Fig. 5. Creepage discharge voltage along the surface of PPLP/Epoxy resin(@AC)
Fig. 6. Creepage discharge voltage along the surface of PPLP/Epoxy resin(@Imp.)
3. 절연파괴 실험결과 분석
3.1 전계해석을 통한 실험결과 분석
본 연구에서는 PPLP와 epoxy resin 계면에서의 절연파괴실험 결과를 유한요소해석 (finite element method, FEM) 프로그램인
COMSOL을 사용하여 절연파괴시 전계값을 계산하였다. 전계의 크기는 절연파괴전압에 비례한다는 특성을 이용하여, 식(1)과 같이 인가전압이 1kV 일 때 전극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전계를 계산한 후 절연파괴 실험을 통해 얻은 실제 결과 값을 이용하여 절연파괴 시 전계값을
계산하였다. 여기에서 E1kV,MEAN은 인가전압이 1kV일 때 FEM 해석을 통하여 계산한 평균 전계값을 의미하며, E1kV,MEAN은 절연파괴
시 평균 전계값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AC 전압에 대한 절연파괴 시 평균 전계값을 압력별 LCD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를 그림 7에 나타내었으며, 뇌임펄스 전압에 대한 결과를 그림 8에 나타내었다.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절연파괴전계는 압력과 LCD의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Fig. 7. ECD along the surface of PPLP/Epoxy resin (@AC)
Fig. 8. ECD along the surface of PPLP/Epoxy resin (@Imp.)
3.2 절연파괴 기준전계 도출
그림 7과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ECD,MEAN은 LCD가 증가함에 따라 특정 값에 수렴하면서 감소하는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ECD,MEAN의 값은 포화특성을 가지면서 증가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초전도케이블용 SJB의 설계를 위한 PPLP와 epoxy
resin 계면에서의 절연파괴 기준전계를 추세선을 이용하여 LCD에 따른 함수로 변환하여 계산하였다. 이때 초전도케이블은 일반적으로 전기적 절연특성
및 초전도선재의 임계전류 향상을 위하여 0.5MPa 이상의 압력 조건에서 운전되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초전도케이블의 최소 운전압력인 0.5MPa의
값을 기준전계로 설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Table 1. Formula of ECD,MEAN along the surface of PPLP/Epoxy resin (@ 0.5MPa)
AC
|
Formula
|
ECD,MEAN = 29.0×LCD-0.7
|
ECD,criterion
[kV/mm]
|
0.99
|
Imp.
|
Formula
|
ECD,MEAN = 70.3×LCD-0.7
|
ECD,criterion
[kV/mm]
|
2.2
|
4. 결 론
본 논문에서는 배전급 초전도케이블용 SJB 설계를 위한 PPLP와 epoxy resin 계면에서의 절연파괴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절연파괴실험과 전계해석을
수행하였다. 결과적으로 PPLP와 epoxy resin 계면에서의 AC와 뇌임펄스 전압에 대한 연면절연파괴 기준전계를 LCD의 함수로 표현할 수 있었다.
전기적 안전율을 고려한 포화된 절연파괴시 기준전계값은 0.5MPa의 압력에서 AC 0.99kV/mm, 뇌임펄스 2.2kV/mm로 계산되었다. 향후
이와 같이 도출된 절연파괴 기준전계를 이용하여 배전급 초전도케이블용 SJB를 설계할 계획이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2021년도 산업통상자원부의 재원으로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KETEP)의 에너지인력양성사업으로 지원받아 수행한 인력양성 성과입니다. (No.
20184030202270)
References
Bardeen Cooper J., L. N., Schrieffer J. R., 1957, Theory of Superconductivity, Phys
Rev, Vol. 108, No. 5
Today energy , 12 MAY 2010, Superconducting cable Blue Ocean of cable, https://www.todayenergy.kr/news/articleView.html?idxno=54713
Energy facility management , 21 NOVEMBER 2020, Dream transmission network, superconducting
cable, http://www.energycenter.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06
The Korea Industry Daily , 13 OCTOBER 2015, The Bitgaram Energy Valley construction
project received momentum, http://kidd.co.kr/news/181919
Thomas H., Marian A., Chervyakov A., Stückrad S., 2016, Superconducting transmission
lines–Sustainable electric energytransfer with higher public acceptance?,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Vol. 55, pp. 59-72
Sohn S. H., Yang H. S., Lim J. H., Oh S. R., Yim S. W., Lee S. K., Jang H. M., Hwang
S. D., 2012, Installation and Power Grid Demonstration of a 22.9 kV 50 MVA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ing Cable for KEPCO, IEEE Trans Appl Supercond, Vol. 22
Lee S.Y., Lee C. K., Kim S. H., Sim K. D., Cho J. W., 2014, A Study on the thermal
characteristics of the epoxy insulator in the HTS power cable, Proc. of Proceeding
of the KSMPE Autumn Conference
Kim H. J., Cho J. W., Kim W. J., Choi Y. S., Kim S. H., 2016, The Basic Dielectric
Characteristics of Insulating Materials for HTS DC Cable System, IEEE Trans Appl Supercond,
Vol. 26, No. 3
Riccitiello Michael, Wechsler Kenneth , 1961, Electric Breakdown of a Parallel Solid
and Liquid Dielectric System,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Part3 Power Apparatus and Systems, Vol. 80, No. 3, pp. 365-368
MO Y. K., Lee O. Y., Kim J. I., Bang S. M., Kang J. O., Lee H. S., Jeong Y. J., Kang
H. K., 2016, Surface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GFRP in GN2 and LN2 for Designing
a Superconducting Coil System, IEEE Trans Appl Supercond, Vol. 26, No. 4
Biography
She received bachelor'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in 2020.
Currently, master course in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Her research interests are high voltage engineering, power asset management, and applied
superconductivity.
She received bachelor's degree in physics engineering from Telkom university, Indonesia
in 2018.
Currently, master course in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Her research interests are high voltage engineering, and applied superconductivity.
She received bachelor'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University of Indonesia,
Indonesia in 2019.
Currently, master course in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Her research interests are high voltage engineering, and applied superconductivity
He is currently a undergraduate course in electrical engineering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His research interests are high voltage engineering, power asset management, and applied
superconductivity.
He received doctor'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Yonsei university in 2005.
Currently, professor in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His research interests are high voltage engineering, power asset management, and applied
superconductivity.